맨위로가기

폼페오 콜론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폼페오 콜론나는 1482년 3월 4일에 태어난 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군인이다. 그는 프로스페로 콜론나와 조반니 콜론나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했고, 사촌 마르칸토니오 콜론나와 군사적 유대를 맺었다. 1504년 추기경의 집사가 되었고, 1508년 리에티 주교, 1517년 추기경이 되었다. 율리우스 2세 및 레오 10세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으며, 1527년 로마 약탈에 관여했다. 1530년 나폴리 부왕으로 임명되었으며, 1532년 6월 28일 나폴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론나가 - 파올라 콜론나
  • 콜론나가 - 교황 마르티노 5세
    교황 마르티노 5세는 교회 대분열 종식 후 교황으로 선출되어 교황권 회복과 교회 재건에 힘썼으며, 유럽의 여러 문제에 대응하고 로마 르네상스를 촉발하며 교황령 재건에 기여했다.
  • 1532년 사망 - 한형윤
  • 1532년 사망 - 요한 폰 작센 선제후
    요한 폰 작센 선제후는 1525년부터 작센 선제후를 지냈으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루터교를 작센의 국교로 정하는 등 종교 개혁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결연공'으로도 알려진 인물이다.
  • 1479년 출생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 1479년 출생 - 후아나 (카스티야)
    후아나 1세는 카스티야, 레온, 아라곤의 여왕이자 나폴리, 시칠리아 등의 상속자였으나, 정신 질환과 남편의 죽음으로 통치권을 박탈당하고 유폐되었으며 죽을 때까지 여왕 지위를 유지하며 역사적 논쟁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폼페오 콜론나
기본 정보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초상,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 작, 콜론나 미술관, 로마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초상,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 작, 콜론나 미술관, 로마
출생일1479년 5월 12일
출생지로마
사망일1532년 6월 28일
사망지나폴리
부모지롤라모 콜론나, 비토리아 데이 콘티 디 폴라
종교 경력
직위추기경
교구몬레알레 대교구 대주교
선출1530년 12월 14일
임기 시작1530년 12월 14일
임기 종료1532년 6월 28일
추기경 서임1517년 7월 1일
추기경 임명자레오 10세
계급추기경 사제, 산 로렌초 인 다마소 성당 (1524년–1532년)

2. 초기 생애 및 가문 배경

폼페오 콜론나는 1479년 로마에서 태어났다. 1482년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그는 세 살도 되지 않았다. 어린 폼페오는 프라스카티 동쪽에 있는 투스쿨란 언덕의 몬테 콤파트룸에서 삼촌인 프로스페로와 추기경 조반니 콜론나의 보살핌을 받으며 엄격하게 성장했다. 그는 사촌 마르칸토니오 콜론나와 친구이자 든든한 동반자였으며, 특히 군사 문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다.[3]

1498년, 열여덟 살의 폼페오는 삼촌 프로스페로와 함께 가문의 적인 오르시니에 맞서 싸웠다. 이후 폼페오는 나폴리로 가서 페데리고 1세 왕의 친구가 되었다.[4] 1503년에는 스페인 편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피에로 데 메디치가 사망했다.

수비아코 수도원


폼페오의 삼촌들은 그가 성직자의 길을 걷도록 이끌었다. 이는 추기경 조반니가 누리던 부유한 교회 재산과 직책을 물려받게 하기 위함이었다.[5] 폼페오는 1504년에 추기경의 집사가 되었고,[6] 1507년에는 교황 율리우스 2세의 협력으로 사도 서기장이 되었다.[7] 1508년 조반니 콜론나 추기경이 사망하자 폼페오는 리에티 주교로 임명되었다. 1520년 폼페오는 조카 스키피오 콜론나에게 주교직을 양보하고, 리에티 대성당의 정원 수를 28명에서 40명으로 늘렸다.[8] 1528년 스키피오 콜론나가 사임하자 폼페오는 다시 리에티 주교가 되었고, 이듬해 자신의 비서에게 양보했다.[9] 폼페오는 수비아코그로타페라타의 수도원장직도 계승했으며, 1513년 조카 스키피오에게 물려주었다.[10]

2. 1. 가문 배경

폼페오 콜론나는 1482년 그의 아버지 지롤라모 콜론나가 사망했을 당시 세 살도 되지 않았다. 그는 프라스카티 동쪽 투스쿨란 언덕의 몬테 콤파트룸에서 삼촌인 프로스페로와 추기경 조반니 콜론나의 보살핌을 받으며 엄격하게 성장했다.[3] 그는 사촌 마르칸토니오 콜론나와 절친한 친구이자 동반자였으며, 특히 군사 문제에 대한 열정으로 서로 경쟁했다.[3]

1498년, 18세의 폼페오는 제나차노와 네미의 영주이자 트라에토 공작, 폰디 백작인 삼촌 프로스페로와 함께 가문의 전통적인 적인 오르시니 가문에 맞서 싸웠다. 삼촌은 오르시니 사건 해결 후 폼페오를 나폴리로 데려가 페데리고 1세에게 소개했고, 폼페오는 왕의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4] 폼페오는 1503년 여러 전투에서 스페인 편에 서서 싸웠으며,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피에로 데 메디치가 사망했다.

폼페오의 삼촌들은 그가 성직자의 길을 걷도록 결정하여, 추기경 조반니가 누리던 부유한 교회 재산과 직책을 물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5] 1504년에 그는 추기경의 집사가 되었고,[6] 교황 율리우스 2세의 협력으로 1507년에 사도 서기장으로 임명되었다.[7] 1480년부터 리에티 교구를 통치했던 조반니 콜론나 추기경이 사망하자(1508년 9월 26일), 폼페오는 1508년 10월 6일 율리우스 2세에 의해 리에티 주교로 임명되었다. 1520년, 사임 직전 폼페오 추기경은 리에티 대성당의 정원 수를 28명에서 40명으로 늘렸다.[8] 폼페오 콜론나는 조반니 콜론나의 뒤를 이어 수비아코와 그로타페라타의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1513년에는 조카 스키피오 콜론나가 뒤를 이었다.[10]

프로스페로 콜론나


레오 10세(1513–1521)가 선출된 직후 폼페오 콜론나를 맞이하여 그의 발에 입을 맞추도록 허락했다. 폼페오는 모든 성직자 직무에 복귀되었다. 또한 레오는 폼페오와 그의 형제 파브리치오에게 교황 율리우스 2세가 콜론나 가문으로부터 몰수한 땅에 지은 저택과 정원을 하사했다. 교황청과 화해한 폼페오는 그 후 2년 동안 도시와 교황청에서 레오 10세의 총애를 받으며 지냈다.[19]

리에티 주교 폼페오 콜론나는 제5차 라테란 공의회에 참여했으며, 1513년 6월 27일 제7차 본회의에서 교황 레오의 공의회 작업에 대한 각서를 낭독하고, 계절의 과도한 더위로 인해 다음 본회의를 11월 16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20]

1515년 9월 14일, 마리냐노 전투에서 폼페오의 삼촌 프로스페로 콜론나가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면서 콜론나 가문은 큰 재앙을 겪었다. 프로스페로는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의 주요 장군이었으며,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와 바야르 기사가 이끄는 프랑스군에 의해 강화된 제노바군에 맞서 밀라노군, 교황군, 스위스군을 이끌었다. 프로스페로는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프랑스로 추방되었다.[21] 폼페오 콜론나 주교는 그를 석방시키기 위해 프랑스로 여행했다.

2. 2. 초기 생애

폼페오 콜론나는 1482년 3월 4일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세 살도 채 되지 않았다. 그는 프라스카티 동쪽 투스쿨란 언덕의 몬테 콤파트룸에서 삼촌인 프로스페로와 추기경 조반니 콜론나의 보살핌을 받으며 엄격하게 성장했다. 그는 사촌 마르칸토니오 콜론나와 친구이자 든든한 동반자였으며, 특히 군사 문제에 대한 열정을 함께 했다.[3] 1498년, 열여덟 살의 폼페오는 제나차노와 네미의 영주이자 트라에토 공작, 폰디 백작인 삼촌 프로스페로와 함께 가문의 적인 오르시니에 맞서 싸웠다. 삼촌은 오르시니 사건이 해결된 후 폼페오를 나폴리로 데려가 페데리고 1세 왕에게 소개했고, 그는 왕의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4] 폼페오는 1503년 여러 전투에서 스페인 편에 서서 싸웠으며, 그 절정은 가릴리아노 전투였는데, 이 전투에서 피에로 데 메디치가 사망했다.

폼페오의 삼촌들은 그가 성직자의 길을 걷도록 결정했는데, 이는 추기경 조반니가 누리던 부유한 교회 재산과 직책을 물려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5] 그는 1504년에 추기경의 집사가 되었다.[6] 교황 율리우스 2세의 협력으로 1507년에 사도 서기장으로 임명되었다.[7] 1480년부터 리에티 교구를 통치했던 조반니 콜론나 추기경이 사망(1508년 9월 26일)하자, 폼페오는 1508년 10월 6일 교황 율리우스 2세에 의해 리에티 주교로 임명되었다. 폼페오는 조카 스키피오 콜론나에게 양보하기 위해 1520년에 사임할 때까지 교구를 통치했다. 1520년, 사임 직전에 폼페오 추기경은 리에티 대성당의 정원 수를 28명에서 40명으로 늘렸다.[8] 스키피오 콜론나 주교가 1528년에 사임했을 때, 폼페오 콜론나는 다시 리에티 주교가 되었고, 다음 해 자신의 비서인 마리오 알리게리에게 양보할 때까지 그 자리에 있었다.[9] 폼페오 콜론나는 또한 조반니 콜론나의 뒤를 이어 수비아코그로타페라타의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1513년에는 조카 스키피오 콜론나가 뒤를 이었다.[10]

3. 성직 경력

폼페오 콜론나는 1517년 7월 1일 레오 10세가 주재한 추기경 회의에서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23] 같은 해 11월 4일에는 로마의 12사도 바실리카의 ''titulus''를 받았다.[23] 이후 독일(''Germania Superior'')로 파견되어 막시밀리안 1세 황제를 만나고 그의 궁정을 따라다니며 독일 도시들을 시찰했다.[24] 로마로 돌아온 후에는 교황청에서 추기경으로서의 활동을 활발히 수행했다.[24]

1521년 1월 7일, 레오 10세는 콜론나 추기경을 포텐차 교구의 행정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1526년 클레멘스 7세에 대한 공격으로 모든 특권을 박탈당할 때까지 해당 교구를 관리했다.[25] 1524년 1월 11일, 클레멘스 7세는 콜론나 추기경을 교황청 사무국의 수장인 성좌 부총리로 임명했다.[54] 이는 교황청 내에서 가장 수입이 많은 자리였다. 같은 해 11월 1일, 그는 산 로렌초 인 루치나 성당의 추기경 사제로 임명되었고, 12사도 바실리카를 ''in commendam''(보호자로서) 유지하는 것이 허락되었다.

1524년 1월 18일, 콜론나 추기경은 아체르노 교구의 관리자로 임명되었고, 1525년 6월 23일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55] 또한 1524년 초에는 카를 5세와 프랑수아 1세 간의 휴전을 성사시키기 위해 특사로 파견되었으나 실패했다.[56] 1525년 6월 23일, 로사노 교구의 관리자로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7월 3일 몬시뇰 빈첸초 핌피넬라가 주교로 임명되면서 물러났다.[57] 같은 날, 알바노의 추기경 주교로 임명된 후, 아퀼라 교구의 관리자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58]

1526년, 폼페오 콜론나는 코냑 동맹 전쟁에 휘말렸다. 그는 교황 클레멘스 7세와 대립하며, 9월 20일에는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진입하여 바티칸과 성 베드로 대성당을 약탈했다.[63] 이 사건으로 인해 교황은 콜론나를 파문하고 부총장직에서 해임했으나,[69] 1527년 3월에 복직되었다.[70]

3. 1. 성직 입문

교황 레오 10세가 선종한 후, 1521년 12월 27일 콘클라베가 시작되었다. 폼페오 콜론나는 이 콘클라베에 참여한 39명의 추기경 중 한 명이었다. 1522년 1월 9일, 콘클라베에 참석하지도 않았던 아드리안 플로렌초 데델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출되어 하드리아노 6세로 불렸다. 콜론나 추기경은 하드리아노 6세를 지지하는 표를 던졌다.[35] 하드리아노 6세 선출 직후, 추기경 회의에서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과 알레산드로 체사리니 추기경이 스페인으로 파견되어 새 교황에게 선출 소식을 알리고 로마로 호송하기로 결정되었으나, 하드리아노 6세는 이를 거절하였다.[37]

1522년 2월 9일, 폼페오 콜론나는 테르니 총독으로 임명되었다.[38] 같은 해 3월 13일, 크리스토포로 누마이 추기경과 함께 테르니와 콜레스치폴리 사이에 6개월간 휴전을 맺었다.[39]

1523년 2월 27일, 마티아스 시너 추기경이 사망하자, 폼페오 콜론나는 시칠리아 카타니아 교구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어 1524년 1월 18일까지 재임했다.[40] 같은 날, 폼페오 콜론나는 헝가리와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1세에게 교황 대사(''Legatus a latere'')로 임명되었다.[41]

1523년 9월 14일, 하드리아노 6세가 선종하자, 10월 1일부터 새로운 콘클라베가 시작되었다. 폼페오 콜론나는 유력한 교황 후보 중 한 명이었으나, 프랑스와 황제 파벌의 대립 속에서 자신의 세력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처음에는 메디치 추기경을 반대하며 도메니코 자코바치 추기경을 지지했으나, 메디치 추기경이 자신의 세습 원수인 오르시니 추기경을 내세우겠다고 위협하자 결국 메디치 추기경을 지지하게 되었다.[50] 11월 18일, 메디치 추기경은 폼페오 콜론나를 비롯한 여러 추기경들의 지지로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클레멘스 7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51][52] 폼페오 콜론나는 클레멘스 7세의 즉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그 대가로 부교황직과 칸첼레리아 궁전을 얻었다.[53]

3. 2. 율리우스 2세와의 갈등

1511년, 교황 율리우스 2세가 곧 죽을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자, 폼페오는 로마 시민들을 선동하여 교황의 권위에 반기를 들게 했다.[11][12] 파올로 조비오는 폼페오가 최근 추기경 회의에서 8명의 추기경 중 로마 출신이 한 명도 없다는 사실에 분개했다고 언급했다.[13] 그러나 로마 귀족들은 1511년 8월 28일에 서로 합의했고, 오르시니 가문과 콜론나 가문 사이에도 휴전이 이루어졌다. 교황은 회복 후, 자신의 조카인 우르비노 공작 부인으로부터 반란에 대한 소식을 듣고 폼페오 콜론나를 단죄했다. 폼페오는 수비아코 수도원으로 도망쳤고, 그의 공모자들 중 일부는 프랑스로 도망쳤다.[14] 율리우스 2세는 사면을 제안했지만, 리에티 주교직 복직이 포함되지 않아 거절했다.[15] 폼페오는 이에 분노하여 프랑스에 합류하겠다고 위협했지만, 그의 삼촌 프로스페로는 그를 만류했다.

율리우스 2세는 1513년 2월 21일 삼일열(말라리아)로 사망했다. 폼페오는 즉시 투스쿨룸 영지로 친구들을 소집하고 로마로 진격할 병력을 준비했다. 오르시니 가문과 콜론나 가문은 2월 22일에 로마에 들어왔다. 폼페오는 1511년 자신이 폐위되었을 때 로마 가톨릭 리에티 교구의 관리자가 된 안토니오 마리아 키오키 델 몬테 추기경의 집과, 자신의 단죄를 위한 정보를 작성한 마리아노 쿠치니를 공격했다. 안드레아 델라 발레는 로마 원로원과 협력하여 도시에 질서를 회복하려 했고, 오르시니 가문과 콜론나 가문, 특히 폼페오 사이의 휴전을 협상했다. 원로원은 그가 무기를 내려놓으면 모든 것을 바로잡겠다고 약속했다. 그의 형제 파브리치오도 개입하여 키오키 델 몬테 추기경으로부터 폼페오의 주교 휘장을 복원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16] 1513년 콘클라베는 3월 4일 바티칸 대성당에서 25명의 추기경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고,[17] 3월 11일, 추기경들은 조반니 데 메디치를 선출했고, 그는 레오 10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8]

3. 3. 레오 10세와의 관계

레오 10세는 1513년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폼페오 콜론나를 모든 성직자 직무에 복귀시키고, 율리우스 2세가 몰수했던 콜론나 가문의 땅에 지은 저택과 정원을 하사했다.[19] 이후 2년 동안 레오 10세의 총애를 받으며 로마와 교황청에서 지냈다.[19] 제5차 라테란 공의회에 참여하여 교황의 공의회 작업에 대한 각서를 낭독하기도 했다.[20]

1515년, 폼페오의 삼촌 프로스페로 콜론나마리냐노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21] 폼페오는 삼촌의 석방을 위해 프랑스로 직접 가서 프랑수아 1세를 설득했다. 프랑수아 1세는 프로스페로가 프랑스를 위해 복무하겠다는 조건으로 석방에 동의했지만, 프로스페로는 이탈리아에 도착한 후 카를 5세를 위해 군대를 모집했다.[22] 폼페오는 막시밀리안 1세와 카를 5세에게 사절로 파견되어 페르디난트 1세를 설득하는 데 성공, 자금을 지원받아 카를 5세와 협상하기도 했다.[22]

1521년 12월 1일, 레오 10세가 사망하자 교황청은 막대한 빚을 지게 되었다.[28] 후임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에서 폼페오 콜론나는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의 반대파 중 한 명이었다.[34] 결국 하드리아노 6세가 선출되었고, 폼페오 콜론나는 새 교황에게 선출 소식을 알리는 사절단의 일원으로 임명되었으나, 하드리아노 6세는 이를 거절했다.[37]

3. 4. 추기경 서임 및 교황청 활동

폼페오 콜론나는 1517년 7월 1일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고,[23] 같은 해 11월 4일 로마의 12사도 바실리카의 ''titulus''를 받았다.[23] 그는 추기경 서임 직후 독일로 파견되어 황제를 만나고 로마로 돌아와 교황청에서 활동했다.[24]

1521년 1월 7일, 교황 레오 10세는 콜론나 추기경을 포텐차 교구의 행정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1526년 교황 클레멘스 7세에 대한 공격으로 특권을 박탈당할 때까지 해당 교구를 맡았다.[25]

1526년, 폼페오 콜론나는 스페인과 프랑스 간의 교황 클레멘스 7세와의 동맹 협상에 관여했다. 5월 22일, 프랑수아 1세, 교황 클레멘스 7세,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밀라노의 스포르차는 코냑 동맹을 맺어 신성 로마 제국의 이탈리아 지배에 대항했다. 황제는 로마에 대사 우고 몬카다를 파견했고, 몬카다는 콜론나와 함께 로마에서 혁명을 일으켜 교황을 압박하려 했다.[60]

9월 20일, 폼페오 콜론나가 이끄는 군대가 로마로 진입하여 바티칸과 성 베드로 대성당을 약탈했다. 다음 날 교황은 몬카다와 회담하여 황제와의 휴전, 콜론나의 사면 등을 얻어냈다.[64] 그러나 교황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콜론나는 파문당했다. 1526년 11월 21일, 콜론나 추기경은 부총장직에서 해임되었으나,[69] 1527년 3월 27일에 복귀했다.[70]

1527년 1월 31일, 프로시노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황제군이 패배하자, 교황은 황제의 제안을 거부했다. 그러나 3월, 교황은 나폴리 부왕 카를로 디 라누아와 조약을 체결하고 콜론나를 사면했다.[75]

4. 교황 선출 콘클라베

152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군대가 로마를 침공하여 약탈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교황 클레멘스 7세와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배경으로 한다.

당시 독일군과 스페인군으로 구성된 황제군은 보급품 부족과 임금 체불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볼로냐에서 보급품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 황제군 사령관이었던 부르봉 공작은 간신히 목숨을 건졌고, 황제를 지원하던 페라라 공작은 군대에 지원을 거부했다.[76] 반란 지도자들과 대면하던 프룬드베르크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지휘권을 잃었다.[76]

이런 상황에서 황제군을 지휘하던 부르봉 공작은 군대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이 사실을 교황에게 알렸다.[77] 교황은 사절을 보냈지만, 사절은 피렌체의 안전을 우려하여 황제군을 만나기를 꺼렸다.[77] 황제군은 피렌체와 로마를 향해 남쪽으로 진군했고, 피렌체는 동맹을 모으고 방어를 준비할 시간을 벌기 위해 황제군에게 돈을 제공했다. 그러나 부르봉 공작은 더 많은 돈을 요구하며 행진을 멈추지 않았다.[77]

한편,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은 로마에서 봉기를 준비하고 있었다.[78] 교황은 자금이 고갈되자 황제 측과 조약을 갱신하려 했고, 폼페오 추기경은 조약에 서약하면서도 봉기를 계획하고 있었다.[79] 그러나 황제는 교황과의 조약 조건에 동의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베네치아도 동의하지 않았다.[80]

결국 황제군은 로마에 도착했고, 부르봉 공작은 공격 중 사망했다.[84] 지도자를 잃은 황제군은 약탈을 자행했고,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은 자신의 세력을 이끌고 로마 약탈에 가담했다.[88] 그는 개인적인 적이었던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산탄젤로 성에 갇힌 동안 로마 시를 장악했다.[94]

이후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은 황제 측에 의해 로마의 영적 문제에 대한 교황 대리인으로 임명될 것을 요청받았으나, 교황은 이를 거부했다.[100]

4. 1. 1521-1522년 콘클라베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521-1522년 콘클라베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다.

4. 2. 1523년 콘클라베

주어진 소스에는 1523년 콘클라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다. 소스는 주로 1527년 로마 약탈 전후의 사건들과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1523년 콘클라베에 대한 내용은 이 소스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클레멘스 7세와의 갈등 및 로마 약탈

독일군과 스페인군으로 구성된 군대는 볼로냐에 도착하여 보급품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에 스페인군이 반란을 일으켰고, 독일군도 이에 합류했다. 콩스타블 부르봉(Constable Bourbon)은 간신히 목숨을 건졌고, 황제를 지원하던 페라라 공작 알폰소는 군대에 지원을 거부했다. 프룬드베르크(Frundberg)는 반란 지도자들과 대면했지만 뇌졸중으로 쓰러졌다.[76] 황제 군대를 지휘하던 콩스타블 부르봉은 군대를 통제할 수 없었고, 교황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를 인정했다. 교황은 교황 사절을 보냈지만, 그는 피렌체의 안전을 넘어 독일인과 스페인인을 만나는 것을 꺼렸다.[77]

군대는 피렌체와 로마 방향으로 계속 남진했다. 부왕은 콩스타블을 만나기 위해 북쪽으로 진격했고, 피렌체 사람들이 제공한 약 80000USD을 가져왔는데, 이는 피렌체인들이 동맹을 모아 방어 준비를 할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었다. 콩스타블은 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그 세 배의 금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그들은 행진을 멈추기를 거부했다. 그는 간신히 탈출하여 시에나에 도착했고, 약탈 직전의 위태로운 시기에 갇혔다. 같은 날 황제 군대는 아르노 강을 건너 아레초에 도착했다. 4월 26일에는 메디치 가문의 반대자들이 피렌체에서 혁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5. 1. 코냑 동맹 전쟁과 1526년 로마 침공

샤를 드 라누아에게 보낸 서신에서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과 우고 데 몬카다는 1526년 5월 10일에 로마에서 봉기를 일으킬 것이라고 알렸다.[78] 자금 부족에 시달리던 교황 클레멘스는 황제 측 지도자들과 조약을 맺으려 하였다. 1526년 5월 1일 콜론나 궁전 옆에 있는 12사도 대성당에서 조약이 체결되었고, 폼페오 추기경은 조약에 서명했을 뿐만 아니라, 봉기를 계획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과 황제 측 협상자들을 위해 만찬을 열었다.[79] 그러나 황제는 교황과 그의 동맹국인 프랑스 및 베네치아와의 조약 조건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프랑스와 베네치아 역시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80]

1526년 5월 2일, 황제 군대는 비테르보에 도착했고, 5월 4일에는 론칠리오네에서 라누치오 파르네세가 지휘하는 교황군을 격파했다. 같은 날 그들은 콜론나에게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았다. 교황은 병사 모집에 어려움을 겪었고, 5월 3일에는 돈을 모으기 위해 5명의 새로운 추기경을 임명했다.[81] 이와 동시에 비테르보의 에지디오 추기경, 볼테라, 볼로냐, 페사로의 주교, 추기경 캄페지오의 가족, 필리포 스트로치와 그의 아내 등 분별력 있는 사람들이 로마를 떠나고 있었다. 약 4만 명의 병사로 구성된 스페인-독일 군대는 5월 5일 일요일 로마에 도착했고, 그날 오후 콩스타블 드 부르봉은 S. 오노프리오 수도원을 본부로 삼았다.[82] 콜론나 추기경은 5월 10일 금요일 로마에 도착했다.[83]

5. 2. 1527년 로마 약탈

1527년 4월 말,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과 우고 데 몬카다는 샤를 드 라누아에게 5월 10일에 로마에서 봉기를 일으키겠다고 편지를 보냈다.[78]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자금이 부족해지자 황제 측 지도자들과 조약을 갱신하려 했다. 5월 1일 콜론나 궁전 옆에 있는 12사도 대성당에서 조약이 체결되었고, 폼페오 추기경은 조약에 서명했을 뿐만 아니라, 봉기를 계획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과 황제 측 협상자들을 위한 만찬을 열었다.[79] 그러나 황제는 교황과 그의 동맹국인 프랑스 및 베네치아와의 조약 조건에 동의하지 않았고, 프랑스나 베네치아도 마찬가지였다.[80]

5월 2일 황제 군대는 비테르보에 도착했다. 5월 4일, 론칠리오네에서 그들은 라누치오 파르네세가 지휘하는 교황군을 격파했다. 같은 날 그들은 콜론나에게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았다. 교황은 병사를 모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5월 3일 돈을 모으기 위해 5명의 새로운 추기경을 임명했다.[81] 이 무렵, 비테르보의 에지디오 추기경, 볼테라, 볼로냐, 페사로의 주교, 추기경 캄페지오의 가족, 필리포 스트로치와 그의 아내 등 현명한 사람들은 로마를 떠나고 있었다.

약 4만 명의 스페인-독일 군대는 5월 5일 일요일 로마에 도착했고, 그날 오후 샤를 드 부르봉은 산토노프리오 성당을 본부로 삼았다.[82] 콜론나 추기경은 5월 10일 금요일 로마에 도착했다.[83]

6. 나폴리 부왕 시절 및 사망

폼페오 콜론나는 시인이기도 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그의 친척이자 시인이었던 비토리아 콜론나를 위해 쓰여진 ''De laudibus mulierum''인데, 이 시는 출판되지 않았다.[110]

교황 클레멘스 7세는 네덜란드와 스페인 출신 여러 사람들로부터 폼페오 추기경이 나폴리에서 물러나 로마로 돌아와 투스쿨룸 영지에서 은퇴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교황은 과거를 잊고 폼페오를 궁정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 중 한 명으로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지만, 폼페오는 시골이 아닌 도시에서 살면서 교황 회의에 참여해야 했다. 그러나 폼페오 추기경은 위험에 처할 것이라는 의심을 품고 있었기에, 로마로 돌아오도록 유도하는 어떤 제안에도 흔들리지 않았다.[111]

6. 1. 나폴리 부왕 임명

카를 5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한 1530년, 폼페오 콜론나는 나폴리 왕국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3일 오렌지 공작 필리베르가 사망하자, 콜론나 추기경은 그의 뒤를 이어 나폴리 부왕이 되었다.[109]

6. 2. 사망

1532년 초,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은 합스부르크-헝가리의 을 방어하고 페르디난트 1세 국왕(훗날 황제)을 술레이만 1세의 군대로부터 구출하려는 카를 5세가 이끄는 군대를 위해 병력과 자금을 모아야 했다. 그는 나폴리의 산 로렌초에서 공청회를 소집하여 나폴리 왕국의 귀족들에게 황제의 요구 사항을 설명하고 약 600000두카트를 4년에 걸쳐 지불하는 데 성공했다. 살레르노 공작이 그 돈을 황제에게 전달하도록 지정되었다.[112] 추기경의 조카 카밀로[113]와 마르치오가 원정에 합류했다.[114] 며칠 후 폼페오는 몸이 좋지 않다고 느꼈지만,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겨졌다. 그의 의사들은 그가 항상 삼니움 산맥에서 가져온 눈으로 차갑게 한 와인을 마시고 무화과에 중독되었다고 불평했다. 명백히 그들은 진단을 내리지 못했지만, 그를 아프게 하는 것은 그의 위장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것은 그의 체질을 빠르게 약화시켰다.[115] 추기경 폼페오 콜론나는 1532년 6월 28일 나폴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몬테 올리베토의 산타 안나 교회에 묻혔다.[116]

7. 평가 및 유산

주어진 원본 소스에 폼페오 콜론나에 대한 평가 및 유산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백과사전 COLONNA, Pompeo http://www.treccani.[...]
[2] 학술지 A Portrait of Cardinal Pompeo Colonna, Rival and Imitator of the Papal Caesars 2008
[3] 서적 Geschichte der Stadt Rom https://books.google[...] Königlichen Gemeheinen
[4] 문서 Paolo Jovio, "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 155. King Federigo was deposed by the French and Spanish in a coup-d'-état in 1501.
[5]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 Bell & sons
[6] 문서 Baker Bates, p. 186, in 1504, it seems.
[7] 간행물 Giorgio Viviano Marchesi Buonaccorsi, ''Antichità ed excellenza del Protonotariato Apostolico Partecipante'' (Faenza: Benedetti 1751), pp. 269-270.
[8] 서적 Storia dei santuari della B. Vergine in Sabina: opera premiata https://books.google[...] Tip. Pontificia S. Bernardino
[9] 서적 Guilelmus van Gulik and Conradus Eubel,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Volumen III, editio altera (Monasterii 1923), p. 283.
[10] 서적 Memorie di Subiaco e sua Badia https://archive.org/[...] Giovanni Fassicomo
[11]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12]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 Bell & sons
[13] 문서 Paolo Jovio, "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 163.
[14] 문서 Francesco Guicciardini, ''Della istoria d'Italia'' Book X, cap. 1 and cap. 5 (p. 74 and p. 91, ed. Rosini 1874. Paolo Jovio, "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 165. Gregorovius, pp. 86–87.
[15] 문서 Paolo Jovio, "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 167.
[16] 문서 Paolo Jovio,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 167.
[17] 서적 Guilelmus van Gulik & Conradus Eubel Hierarchia catholica III (Monasterii 1923), p. 13, n. 2.
[18] 웹사이트 J. P. Adams,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513. http://www.csun.edu/[...] 2016-03-30
[19] 문서 Paolo Jovio, "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pp. 167–168.
[20] 서적 Les conciles généraux: Le Vème Concile général de Latran & le Concile de Trente https://books.google[...] Typ. Salviucci
[21] 서적 Government in Reformation Europe 1520–156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2]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3] 문서 Gulik-Eubel, p. 15 no. 18, with n. 9.
[24] 문서 Paolo Giovio, p. 171.
[25] 문서 Gulik-Eubel, p. 279.
[26]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The German revolt. 1517–1527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27] 문서 Paolo Giovio, p. 172.
[28] 간행물 Alessandro Luzio, "Due documenti mantovani sul conclave di Adriano VI," Archivio della Società Romana di Storia Patria 29 (1906) 379–396, at pp. 385–386.
[29] 서적 Histoire diplomatique des conclaves https://books.google[...] Librerie internationale
[30] 문서 Bergenroth, p. 387, no. 373.
[31] 문서 Petruccelli, p. 517.
[32] 문서 Petruccelli, p. 518.
[33]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MCCCCXCVI-MDXXXIII) dall' autografo Marciano ital. cl. VII codd. CDXIX-CDLXXVII https://books.google[...] F. Visentini
[34] 문서 Bergenroth, p. 387, no. 372.
[35] 문서 Bergenroth, p. 392.
[36] 웹사이트 Sede Vacante 1521–1522 http://www.csun.edu/[...] 2016-03-30
[37] 서적 Calendar of Letters, Despatches, and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Negotiations between England and Spain, preserved in the Archives at Simancas and elsewhere Longmans, Green, Reader and Dyer
[38] 간행물 Due paci fra Terni e Narni https://books.google[...] Tip. Boncompagni
[39] 서적 The Political Role of the Orsini Family from Sixtus IV to Clement VII: Barons and Factions in the Papal States https://books.google[...] Istituto Storico Italiano per il Medio Evo
[39] 서적 Historia di Terni https://books.google[...] Stamperia di Andrea Fei
[40] 문서 Gulik-Eubel, p. 159. Caracciolo was Papal Nuncio to the Emperor from 1520–1523; he became a Cardinal on 21 May 1535, and died on 28 January 1538.
[41]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MCCCCXCVI-MDXXXIII) dall' autografo Marciano ital. cl. VII codd. CDXIX-CDLXXVII https://books.google[...] F. Visentini
[42] 서적 Calendar of Letters, Despatches, and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Negotiations Between England and Spain Preserved in the Archives at Simancas and Elsewhere: Henry VIII. 1509–[1546] 12 v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 Roberts
[43]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MCCCCXCVI-MDXXXIII) https://books.google[...] F. Visentini
[44] 문서 Sanuto, XXXV, pp. 223–224.
[45] 문서 Petruccelli, pp. 535–536.
[46] 문서 Bergenroth, p. 595, no. 613.
[47] 문서 Sanuto, XXXV, p. 119.
[48] 문서 Sanuto, XXXV, p. 148.
[49] 문서 Bergenroth, no. 606. After the Conclave was over, Lope Hurtado de Mendoza reported to the Emperor Charles that Pio de Carpi had contributed greatly to the election of Medici: Bergenroth, p. 595.
[50] 문서 Gregorovius, p. 456.
[51] 문서 Sanuto, pp. 225–226.
[52] 웹사이트 Sede Vacante 1523 http://www.csun.edu/[...] 2016-04-03
[53] 문서 Sanuto, XXXV, p. 226.
[54] 문서 Baker Bates, p. 192.
[55] 문서 Gulik-Eubel, p. 93.
[56]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1356 to 1534, 1523 to 152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6] 서적 Epistolae ... auctiores https://books.google[...] Peter Vander
[57] 문서 Gulik-Eubel, p. 286, note 5.
[58] 문서 Gulik-Eubel, p. 113.
[58] 간행물 Cenni storici della Badia e Prepositura di Sant'Eusanio Forconese https://books.google[...] Deputazione abruzzese di storia patria
[59] 문서 Gayagos, pp. 608–609. Creighton, p. 225.
[60]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61] 문서 Creighton, V, p. 275, quoting from the letter in n. 2. The letter is given in full in G. Molini, Documenti di storia italiana (Firenze: Insegna di Dante 1836) I, no. cv, pp. 203–209.
[62] 문서 Francesco Guiccardini, Storia d' Italia, Book XVII, cap. 5 (Vol. 4, pp. 344–347, ed. Rosini).
[63] 문서 Gregorovius, p. 509–512.
[64] 문서 Gregorovius, p. 514.
[65] 문서 Erasmus, letter 1762.
[66] 문서 It was at the urging of the King of France: Theiner (1877), p. 544 no. 68.
[67] 문서 violence and treason
[68] 문서 Giannone, p.44, quotes the document (in part).
[69] 문서 Creighton, p. 326.
[70] 문서 Gulik-Eubel, p. 16.
[71] 서적 Gregorovius VIII. 2
[72] 서적 Gregorovius
[73] 서적 Gregorovius
[74] 서적 Gregorovius
[75] 서적 Gregorovius
[76] 서적 Gregorovius
[77] 서적 Gregorovius
[78]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https://books.google[...] Marino Sanudo
[79] 서적 Sanuto
[80] 서적 Gayagos
[81] 서적 Gulik-Eubel
[82] 서적 Gregorovius
[83] 서적 Sanuto
[84] 서적 Sanuto
[85] 서적 Sanuto
[86] 서적 Gregorovius
[87] 서적 Sanuto
[88] 서적 Sanuto
[89] 서적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90] 서적 Gregorovius
[91] 서적 Sanuto
[92] 서적 Sanuto
[93] 서적 Gayangos
[94] 서적 Gregorovius
[95] 서적 Sanuto
[96] 서적 Sanuto
[97] 서적 Gayangos
[98]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https://books.google[...] Stamperia F. Visentini
[99] 서적 Gregorovius
[100] 서적 Gayagos
[101] 서적 Gayangos
[102] 서적 Gayangos
[103] 서적 Gayangos
[104] 서적 Gayangos
[105] 서적 Gulik-Eubel
[106] 문서 Gulik-Eubel
[107] 서적 Sicilia sacra disquisitionibus et nototoos illustrata https://books.google[...] haeredes P. Coppulae
[108] 문서 Gulik-Eubel
[109] 서적 Istoria civile del regno di Napoli Nicolò Bettoni
[110] 서적 Universal Historical Dictionary: Or, Explanation of the Names of Persons and Places in the Departments of Biblical, Political and Ecclesiastical History, Mythology, Heraldry, Biography, Bibliography, Geography, and Numismatics. Illustrated by Portraits and Medallic Cuts https://books.google[...] Baldwin, Cradock, and Joy
[111] 문서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112] 문서 Giannone
[113] 문서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114] 문서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115] 문서 Pompeii Columnae Cardinalis vita
[116] 서적 Il complesso di Monteoliveto a Napoli: analisi, rilievi, documenti, informatizzazione degli archivi https://books.google[...] Gangem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