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국은 명나라 정덕 연간에 기원한 것으로 알려진, 화물의 운송 안전을 담당하는 중국의 민간 업체이다. 무사들이 각종 화물이나 귀중품의 운반을 담당했으며, 명나라 시기에는 산둥성 동창부의 표국이 유명했다. 청나라 시기에는 베이징, 쑤저우, 허난성 등 여러 지역에서 표국이 운영되었다. 표국은 대장궤, 표두, 표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주표(육로 호위는 육표, 수로 호위는 수표)라는 업무를 수행했다. 삼회일불 등의 규율을 따랐으며, 표국을 소재로 한 영상 작품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경제 - 일조편법
    일조편법은 명나라에서 시행된 세제 개혁으로, 토지세를 중심으로 세금을 일원화하고 은으로 납부하는 화폐화를 추진하여 동아시아 경제와 조선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경제 - 1554년 포르투갈-명 조약
    1554년 포르투갈-명 조약은 레오넬 드 소우사의 노력으로 포르투갈과 명나라 간의 무역 관계를 규정하고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무역 거점을 건설할 수 있게 한 중요한 사건이다.
  • 청나라의 경제 - 지정은제
    지정은제는 명나라 일조편법을 계승하여 인두세를 폐지하고 지세로 통합함으로써 조세 제도를 간소화한 중국의 조세 개혁 제도이다.
  • 청나라의 경제 - 광동 체제
    광동 체제는 18세기 중반 청나라가 서양과의 무역을 광저우 한정하고 광주십삼행이 독점 관리한 통상 시스템으로, 평화 유지 및 국가 균형 유지 정책, 광주십삼행의 중개 역할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형성되었으나 아편전쟁 이후 난징 조약으로 폐지되어 자유 무역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후대의 국제 관계와 중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경제 - 사회주의 시장 경제
    사회주의 시장 경제는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경제 모델로, 중국의 '중국 특색 사회주의'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국가의 통제와 시장경제 효율성 활용의 공존으로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비판과 논쟁이 있다.
  • 중국의 경제 - 한중 자유 무역 협정
    한중 자유무역협정은 2012년 5월 협상을 시작하여 2015년 12월 20일 발효된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자유무역협정으로, 양국 교역 확대, 관세 철폐, 개성공업지구 생산품 혜택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시장 의존도 심화 우려와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협력 과제를 안고 있다.
표국

2. 역사

표국은 금품이나 여객의 호송을 맡았으며, 표사(鏢師) 또는 표객(鏢客)이라고 불리는 보디가드가 파견되었다. 화물이 분실되거나 도적 등에 의해 강탈된 경우에는 위탁주에게 배상해야 했다. 일반적으로는 길목의 유력자에게 통행세를 지불하여 도중의 안전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았다.

"표(鏢)"는 원래 수리검이나 던지기 나이프와 유사한 투척 무기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표도"라고도 불렀다. 강도와의 근접전에 즉응성이 있고 연사도 가능한 특성 때문에, 고대 중국의 경비업에서는 투척 무기가 중시되었으며, 그 때문에 경비원은 "표 사용"을 의미하는 "표사(鏢師)", 경비업자는 표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대 중국어에서 경비원이나 보디가드를 가리키는 단어 "보표(保鏢)"도 여기서 유래한다. 그 외, 표에 밧줄이 달린 무기 "승표"도 존재한다.

무협 소설에서는 표국과 표국이 호송하는 짐을 노리는 도적 등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2. 1. 기원

표국의 기원은 명나라 정덕 연간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근세 소설인 《견호집》에는 표행, 타행(打行) 등으로 쓰여 있다.[5]금병매》에도 표행, 표선 등의 표현이 등장한다.[6] 이들 소설에 등장하는 표국은 무사들이 화물의 운송 안전을 담당하는 민간 업체로, 각종 화물이나 귀중품의 운반을 담당하였다.

명나라 시기 가장 유명한 표국은 산둥성 동창부(東昌府)의 표국이었으며, 동연동로서총병관(東兗東路署總兵官)에 약 2천 명의 표병이 있었다고 한다. 만력 연간에 하남도 감제어사였던 노겸(盧謙)은 공문에 "표객(標客)을 생업으로 삼은 사람 가운데 무술을 익히지 않은 사람이 없다"라고 썼고, 섬서감제어사 모지기는 "병력이 있는 곳이면 마땅히 병력을 모아 대응해야 한다. 하남의 모병(모호로병, 毛葫蘆兵), 소림의 승병, 산동감청의 송표병(送標兵)과 같은 부류들이 다른 지방의 모병에 응하는 자들이다"라고 써서 당시 산둥성 표사들이 다른 지방에서도 유명했음을 알 수 있다.[7]

2. 2. 청나라 시기

표국 이름설립 시기위치
흥륭표국(興隆镖局)건륭제 - 가경제 연간베이징 전문외대가[8]
회우표국(會友镖局)1845년 - 1921년베이징 전문외양식점가[9]
원순표국(源順镖局)1878년 - 1900년베이징 주시구남대가[10]
옥영표국(玉永镖局)가경제 연간 - 1838년쑤저우시
창륭표국(昌隆镖局)1840년 - 1901년쑤저우시
광성표국(廣盛镖局)1802년 - 1830년하남 서디안
동흥공표국(同興公镖局)1855년 - 1913년산서 핑야오현
성흥표국(成興镖局)1878년 - 1900년하북 창저우
삼합표국(三合镖局)장가구
만통표국(万通镖局)바오딩


3. 조직

베이징에는 북경 8대 표국으로 평가받는 표국이 개업했으며, 그중 대형 표국은 회우표국이었고, 그 외에 영흥, 지성, 정흥, 의우, 광흥 등이 있었다.[2]

표국의 계급은 대장궤(국장)가 최고이며, 다음으로 표두(鏢頭)가 있고, 그 다음으로 표사, 견습생·잔심부름꾼인 탕자수와 잡역이 있다. 다른 예로는 노판(老板), 총표두, 표두, 표사, 장궤, 탕자수, 잡역이 있다.[1]

탕자수는 습격받았을 때나 신분을 밝힐 때, 도움을 요청할 때 등에 탕자를 외치는 역할을 한다. 합오라는 암호도 있는데, 이는 '벗이여, 가자'를 의미하는 말로, 표국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장흑오(張黑五)의 흑오(黑五)와 소리가 같다.[1]

4. 업무

표국은 금품이나 여객의 호송을 맡으며, 표사, 표객이라고 불리는 보디가드가 파견된다. 화물이 분실되거나 도적 등에 의해 강탈된 경우에는 위탁주에게 배상 책임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도의 얼굴에게 통행세를 지불하여 도중의 안전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다.[2]

"표(鏢)"는 원래 수리검이나 던지기 나이프와 유사한 투척 무기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표도"라고도 부른다. 강도와의 근접전에 즉응성이 있고 연사도 가능한 특성 때문에, 고대 중국의 경비업에서는 투척 무기가 중시되었으며, 그 때문에 경비원은 "표 사용"을 의미하는 "표사(鏢師)", 경비업자는 표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대 중국어에서 경비원이나 보디가드를 가리키는 단어 "보표"도 이것에서 유래한다. 그 외, 표에 밧줄이 달린 무기 "승표"도 존재한다.

중국의 대중 소설인 무협 소설에서는 표국과 표국이 호송하는 짐을 노리는 도적 등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업무는 주표(走鏢)라고 부르며, 육로 호위는 노표(路鏢, 육표), 수로 호위는 수표(水鏢)라고 한다.

4. 1. 규율

삼회일불(三會一不)이라는 교육 표어가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2][3]

  • 여행지에서 요리나 난방을 위해 불을 지필 수 있을 것
  • 여행 중에도 신발을 수리할 수 있을 것
  • 사람이 있는 곳에서의 예의로서 머리를 정돈할 수 있을 것
  • (일불) 추위나 햇볕 등에 의한 여행의 가혹함에 견디기 위해 얼굴을 씻지 않는 것 (얼굴을 씻는 것은 집에 돌아가는 것과 동의어로 여겨졌다.)


수표(水鏢)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3]

규칙내용
주복야출(晝伏夜出)낮에는 자고, 밤에 습격해 오는 것을 경계한다.
인불리선(人不離船)배를 떠나지 않고 감시한다. 짐을 내리는 곳 근처는 번화하거나, 거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경계를 게을리하고 놀러 가면 함정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피휘여성(避諱女性)미인계 방지 및 평판 유지를 위한 여성 관련 규칙



육표(陸鏢)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3]

규칙내용
부주신개적여점(不住新開的旅店)여행객을 죽이거나 하는 "흑점(黑店)"을 경계하여, 새로운 숙소에는 묵지 않는다.
부주역주지점(不住易主之店)주인이 바뀐 가게에는 묵지 않는다. "흑점"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사람을 보내 확인한다.
부주"화점"(不住「花店」)매춘 숙소에는 묵지 않는다. 트러블 회피를 위해.



숙박 시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3]


  • 수상한 손님이 없는지 확인한다.
  • 가게 주변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 요리에 이상한 것이 없는지 요리장을 확인한다.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묵기는 하지만, 소지한 식량을 먹었다.
  • 잠을 잘 때는, 통상적인 풍습이라면 머리에 바람이 닿지 않도록 창문 쪽에 발을 향하지만, 이상하게 민감해지기 때문에 창가에 머리를 향하고, 무기나 옷을 입은 채로 취침한다.
  • 숙박 시에는 마차를 경비하는 사람을 두고, 유리한 지형을 떠나 트러블의 소용돌이로 뛰어드는 조호이산의 계략을 경계하며, 이상이 일어나도 마차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업무상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3]

  • 짐의 내용물을 묻지 않는다.
  • 손님의 아내와는 극력 관계하지 않는다.
  • 여행 도중에 가격을 올리면 트러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호송받기 위해 표사에게 외쾌(팁)가 지불된다.

5. 표국을 주제로 한 작품


  • 龙门镖局|용문표국중국어
  • 镖门|표문 Great Protector중국어

참조

[1] 웹사이트 古代鏢局如何“送快遞”--理論-人民網 http://theory.people[...] 2022-02-01
[2] 서적 三教九流全知道 Beijing Book Co. Inc. 2013-03-01
[3] 웹사이트 古代鏢局六不得 https://kknews.cc/hi[...] 每日頭條 2022-02-01
[4] 사전 保鏢 https://dic.daum.net[...]
[5] 뉴스 古代镖师的四件法宝 https://new.qq.com/o[...]
[6] 문서 万曆詞話本《新刻金瓶梅詞話》:「家裡開著兩個綾緞鋪,如今又要開個標行,近的利錢也委的無數。」第六十六回,亦有西門慶等人預備搭「標船」出門的情形。
[7] 간행물 行走江湖的「保標」,真的存在嗎?官方公文找答案 https://research.sin[...]
[8] 뉴스 八大镖局 - 乾隆撑腰的“兴隆镖局” https://www.sohu.com[...]
[9] 뉴스 老北京八大镖局,和镖行的那些事儿! https://www.sohu.com[...]
[10] 웹사이트 源顺镖局 https://place.qy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