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병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병매는 송나라 임청을 배경으로, 약방 주인 서문경과 그의 처첩들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인간의 탐욕, 성욕, 권력욕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중국의 고전 소설이다. 수호전의 내용을 차용하여 시작하지만, 이후 현실 속 인물들의 욕망을 과감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서문경은 반금련을 차지하기 위해 무대랑을 독살하고, 권력과 재력을 이용해 온갖 악행을 저지르다 결국 요절한다. 이 소설은 중국 4대 기서로 평가받으며, 여성 인물들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여 중국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금병매는 다양한 판본과 번역본이 존재하며, 소설, 만화,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병매 - 수호전 108성
수호전 108성은 중국 소설 《수호전》에 등장하는 108명의 주요 인물들로, 천강성 36성과 지살성 72성으로 분류되어 양산박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소설의 주요 사건을 이끌어간다. - 중국의 에로 소설 - 마도조사
묵향동후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중국 판타지 소설 마도조사는 언데드 술법을 사용했던 위무선의 부활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가 환생하여 남망기와 함께 과거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과정을 고대 중국풍 가상 선협 세계인 수진계를 배경으로 묘사하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 중국의 에로 소설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소설)
문화 대혁명 시대를 배경으로 권력층 부인과 젊은 군인의 불륜을 다룬 소설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는 마오쩌둥 시대 중국에서 논란을 일으켜 금지되었지만, 여러 언어로 번역 출판되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산둥성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홍고량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붉은 수수밭》을 원작으로 1930년대 중국 격동기를 배경으로 한 2014년 중국 드라마 홍고량은 강렬한 생명력과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방영 후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상업성 및 캐스팅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산둥성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명수사관 유용전
명수사관 유용전은 드라마로, 유용, 김완아, 추몽남, 부국태, 화신, 하자풍, 진랑, 건륭제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극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병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책 정보 | |
원어 제목 (병음) | Jīn Píng Méi (진핑메이) |
원어 제목 (웨이드-자일스) | Chin¹ Pʻing² Mei² |
원어 제목 (광둥어) | Gam¹ Ping⁴ Mui⁴ (감핑무이) |
원어 제목 (예일) | Gām Pìhng Mùih |
원어 제목 (국제음성기호) | /jin¹ pʰiŋ² mei²/ (표준 중국어), /gɐm¹ pʰɪŋ⁴ mui⁴/ (광둥어) |
의미 | 금병매 |
저자 | 난링소소생 (蘭陵笑笑生, 가명) |
삽화가 | 알 수 없음 |
표지 미술가 | 알 수 없음 |
국가 | 명나라 |
언어 | 구어체 중국어 |
배경 | 중국, 1111–1127 |
장르 | 역사 소설, 에로 소설 |
출판일 | 1610년경 |
영어 출판일 | 1972년, 2013년 |
미디어 유형 | 인쇄물 |
선행 작품 | 알 수 없음 |
도서관 분류 (듀이십진분류법) | 895.1346 |
도서관 분류 (의회도서관) | PL2698.H73 C4713 |
![]() |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인물 | 반금련 (潘金蓮) 이병아 (李瓶兒) 방춘매 (龐春梅) |
관련 정보 | |
ISBN | 0-7007-0439-6 |
2. 주요 내용
《금병매》는 송대 임청을 배경으로, 약방 주인 서문경(西門慶)과 그의 처첩들,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욕망과 갈등을 그린 소설이다. 떡 장수 무대랑(武大郞)의 아내 반금련(潘金蓮)과 밀통한 서문경은 그녀를 차지하기 위해 무대랑을 독살하고, 뇌물로 무송(武松)의 복수를 피한다. 이후 반금련을 다섯째 부인으로 맞아들이고, 이웃의 화자허의 아내인 이병아(李甁兒)를 여섯째 부인으로 삼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운다.[4]
서문경은 금전과 권세에 대한 탐닉으로 약방 외에 비단, 염업에도 손을 뻗치고, 매관매직으로 관직까지 얻는다. 집 안팎에서는 반금련을 중심으로 첩들 간의 반목, 질투,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의 복잡한 관계가 이어진다. 결국 서문경은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고 호승이 준 최음제를 과다 복용하여 요절한다.[4]
이병아와 이병아의 아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반금련은 무송에게 살해된다. 이후 춘매(春梅)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나, 결국 몰락으로 이어진다. 최후에는 선량하고 신앙심이 깊었던 본처 오월낭(吳月娘)만이 끝까지 수절하고 평안을 얻지만, 외아들을 출가시키고 만다.
작품은 아래의 맺음 시와 함께 끝을 맺는다.
2. 1. 수호전과의 관계
수호전의 외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장은 "호랑이 사냥꾼" 무송(武松)이 형의 전처이자 살인자인 판금련(潘金蓮)을 잔혹하게 죽이며 형을 살해한 복수를 하는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한다.[4] 이야기는 명목상으로 1111년부터 1127년까지(북송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여섯 명의 아내와 첩을 거느릴 만큼 부유한 부패한 사회적 상승 지향적인 상인 서문경(西門慶)을 중심으로 전개된다.판금련이 남편을 암살한 후, 서문경은 그녀를 자신의 아내 중 한 명으로 삼는다. 이야기는 서문경 가문의 몰락 속에서 명성과 영향력을 얻으려고 애쓰는 그의 집안 여자들의 가정 내 성적 갈등을 따라간다. 수호전에서 서문경은 무송에게 대낮에 잔혹하게 살해당하지만, 금병매에서는 결국 금련이 서문경을 흥분시키기 위해 준 최음제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다. 그러나 중간 부분은 수호전과 거의 모든 면에서 다르다.[4]
금병매의 1회부터 6회까지는 수호전의 스토리를 따라가며, 그 부분은 수호전의 문장과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2회, 판금련과 서문경의 첫 만남을 그린 장면에서 판금련의 모습을 묘사하는 병어는 수호전에서 양웅의 아내인 판교운의 모습을 묘사하는 병어를 사용하고 있다. 수호전에서 판금련의 모습을 나타내는 병어는 25회 무송이 판금련을 만난 장면에서 나오지만, 이것은 금병매 9회에서 판금련이 서문경의 집에 시집간 후의 장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수호전에서의 첫 만남은 판금련을 단순히 요염한 여자로만 묘사하고 있지만, 저자는 아마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수호전에서 요염한 여성을 나타내는 병어를 인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97]
일반적으로 병어는 인물의 용모, 풍경이나 정경을 묘사할 때 사용되며, 그 표현은 유형적이다. 엄밀히 말하면 금병매에서 수호전과 같은 병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해서, 저자가 정말로 수호전의 병어를 의식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슷한 병어가 다른 소설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예를 비교해 보면, 역시 저자는 수호전의 병어를 보고 금병매에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98] 인용되고 있는 문장으로부터 금병매의 저자가 사용한 수호전은 만력 17년(1589년) 천도외신의 서문이 붙어 있는 100회본에 가까운 현존하지 않는 판본이라고 추정되고 있다.[99] 금병매의 저자가 읽었을 법한 오래된 판본의 수호전은 병어가 많은 소설이었던 것 같다.[100]
현재 인정되는 공통의 병어를 검토해 보면, 같은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수호전의 병어를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101] 수호전에서 송강 등이 도성에 입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병어의 서두 부분이 금병매에서 이병이(李瓶兒)의 발인 행렬을 나타내는 병어의 서두에 사용되고 있는 등, 의외의 사용법도 하고 있다. 금병매는 독서인을 독자로 상정하고 있는 것 같고, 이러한 의외의 사용법에 독자가 기지와 해학을 인정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102] 이러한 수법은 다른 백화소설에는 없는 금병매만의 특수한 수법이다.[22]
개정판인 숭정본・제일기서본에서는 수호전에서 독립된 소설이 되도록 하려고 했던 의도가 보인다.[103] 1회의 무송의 호랑이 사냥 에피소드나, 84회의 오월낭이 송강에게 구출되는 장면은 생략되어 있다. 병어의 종류가 많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수호전 유래의 병어도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수호전을 포함한 백화소설에서 그려지는 것은 남자의 세계이며, 남자끼리의 유대가 중요한 테마가 되고 있으며, 여성에 대해서는 혐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금병매의 저자는, 저자 자신이 남성인 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남자끼리의 유대에 냉소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으며, 더욱이 숭정본의 개정자는 1회에 서문경과 그 동료들의 의형제의 맹세를 그리는 것으로 그 방향을 더욱 추진하고 있다.
2. 2. 등장인물
등장인물 | 설명 |
---|---|
서문경(西門慶) | 약방을 운영하는 부유한 상인으로, 탐욕스럽고 방탕한 인물이다. 판금련(潘金蓮)과 밀통하고, 그녀를 차지하기 위해 떡 장수 무대랑(武大郞)을 독살한다. 뇌물로 무송(武松)의 복수를 피하고 반금련을 다섯째 부인으로 맞이하며, 이웃 화자허의 아내 이병아(李甁兒)를 여섯째 부인으로 삼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운다. 약방 외에 비단, 소금 장사에도 손을 뻗치고, 관직까지 얻으며 재력과 권력을 쌓지만, 결국 최음제 과다 복용으로 요절한다. |
판금련(潘金蓮) | 재봉사의 딸로,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말솜씨를 지녔다. 하녀 시절 주인과의 불륜으로 무대랑에게 시집갔으나, 서문경과 사랑에 빠져 그의 다섯째 부인이 된다. 『수호전』의 판금련은 무지한 하녀로 묘사되지만, 『금병매』에서는 음악과 악기 연주에 능숙한 교양 있는 여성으로 그려진다. 이병아의 아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악행을 저지르고, 결국 무송에게 살해당한다. |
이병아(李甁兒) | 서문경의 여섯째 부인으로, 이웃 화자허의 아내였다. 남편 사후 화자허의 재산을 가지고 서문가에 들어온다. 판금련과 잘 지내고 싶어하지만, 라이벌 의식을 느껴 갈등을 겪는다. 온순하고 고상한 성격으로, 판금련과 대조를 이룬다. 아들을 잃고 실의에 빠져 병으로 죽는다. |
팽춘매(龐春梅) | 판금련의 시녀로, 원래는 오월낭(吳月娘)의 하녀였다. 미인이며, 서문경의 애인 중 한 명이다. 강한 투쟁심을 가지고 있으며, 판금련과 서로 신뢰하는 관계이다. |
오월낭(吳月娘) | 서문경의 정실 부인으로, 집안을 통솔한다. 진지하고 위엄 있는 성격으로, 서문경도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 판금련 등 다른 부인들 때문에 고생하지만, 끝까지 수절하며 평안을 얻는다. |
이교아(李嬌兒) | 서문경의 두 번째 부인. 기녀 출신으로 돈에 욕심이 많다. |
맹옥루(孟玉樓) | 서문경의 세 번째 부인. 부유한 과부로, 상식적이고 균형 잡힌 성격의 소유자다. |
손설아(孫雪娥) | 서문경의 네 번째 부인. 서문경 딸의 하녀 출신으로 부엌일을 맡는다. |
진경제(陳經濟) | 서문경의 사위이자 상인. |
무송(武松) | 무대의 동생. |
2. 3. 주제와 특징
원소절(음력 정월 15일)의 등롱. 이 회에서는 원소절의 연회나 등롱, 불꽃놀이 모습이 그려져 있다.(숭정본 삽화)]]《금병매》는 송대 임청을 배경으로, 부유한 약방 주인 서문경(西門慶)과 그의 처첩들,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욕망과 갈등을 적나라하게 그린 소설이다. 수호전의 외전으로 시작하지만, 영웅호걸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과 욕망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4]
소설은 탐욕, 성욕, 권력욕 등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진다. 서문경은 반금련(潘金蓮)을 차지하기 위해 무대랑(武大郞)을 독살하고, 뇌물로 무송(武松)의 복수를 피하며, 이병아(李甁兒)를 비롯한 여러 여인을 첩으로 삼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4] 그는 금전과 권세에 대한 탐닉으로 약방 외에 비단, 소금 장사에도 손을 뻗치고, 매관매직으로 관직까지 얻는다.[4]
집 안팎에서는 반금련을 중심으로 첩들 간의 반목과 질투, 주변 인물들과의 복잡한 관계가 이어진다. 결국 서문경은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고 최음제를 과다 복용하여 요절한다.[4] 반금련은 무송에게 살해되고, 춘매(春梅)를 중심으로 한 음란하고 방자스러운 인간 군상은 계속되지만, 결국 몰락과 이산으로 이어진다.
《금병매》는 당대 사회의 부패상과 타락한 도덕관을 비판하는 작가의 시각을 보여준다. 지배 계급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볼 수 있으며,[9] 여성 인물들의 심리와 욕망을 섬세하게 그려낸 점이 주목할 만하다.[11] 기존의 영웅 서사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인간 군상을 묘사한 점은 중국 소설사의 획기적인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36]
《금병매》는 여성, 애욕, 돈, 자세한 일상 묘사 등 기존 소설에서 생략되었던 요소들을 전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음식, 음료, 인물의 용모, 의복, 장신구, 화장하는 모습 등이 매우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49] 예를 들어 이병아에 대한 묘사는, "위에는 비색 바탕에 오색을 아로새긴 얇은 비단의 긴 소매 저고리, 아래에는 녹색 바탕에 금으로 가지와 잎을 아로새긴 백합 무늬의 사의 치마를 입고, 허리에는 벽옥의 여자띠를 매고, 팔에는 금의 소매 고리를 차고, 가슴에는 목걸이와 영락을 드리우고, 허리에는 패옥을 차고, 머리에는 진주와 비취의 머리 장식을 얹고, 빈에는 비녀를 꽂고, 귀에는 금대의 자수정 귀고리, 그리고 구슬을 문 봉황 모양의 비녀를 두 개 빈에 꽂고 있다. 하얀 얼굴에 비취 장식이 잘 어울리고, 치마 아래에서 붉은 잉꼬가 얼굴을 내밀고, 마치 항아가 월궁을 떠나 신녀 연회장에 이르는 듯한 모습."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자세한 묘사는 사람들의 행동, 대화, 돈의 거래 등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은을 저울로 달아 거래하는 모습, 사용인이 돈을 속이는 것이 묵인되는 모습, 부인들의 성격에 따라 돈을 내는 방식이 다른 모습 등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50]
저자는 남성으로 추정되지만, 여성들의 대화나 일상생활, 신발을 만드는 모습, 머리를 땋는 모습 등 여성들의 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51]
《금병매》에는 강간이나 SM 장면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중국 성문학의 특징 중 하나이다. 서문경의 상대는 대부분 "아마추어" 여성들이며, 매춘부인 이계제와의 묘사도 대충이다.[53]
《금병매》는 성적 도착증(性癖)으로 간주될 수 있는 성적 대상과 성행위 기술, 음탕한 농담, 성적 은유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묘사가 필수적이며, 다른 중국 소설에 "해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토드 로이(David Tod Roy)는 《금병매》가 순자(荀子)(Xunzi)의 철학과 관련된 "타협 없는 도덕적 비전"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서문경이 옷가게를 개점한 장면. 저자도 이런 종류의 장사를 했을지도 모른다.(숭정본 삽화)
3. 판본과 번역
『금병매』는 크게 『금병매사화』(詞話本) 계통과 『제일기서본』(第一奇書本) 계통의 판본으로 나뉜다.
『금병매사화』(詞話本) 계통만력 연간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1932년에 완전한 판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유실된 것으로 알려졌었다. 현존하는 주요 사화본은 다음과 같다.
소장처 | 특징 | 비고 |
---|---|---|
국립고궁박물원 (대만) | 1930년 산서성 개휴현에서 발견, "개휴본" 또는 "중토본" | 국립북경도서관 소장, 중일전쟁 시 미국 이송, 1965년 중화민국 반환 |
닛코 륜왕사 자안당 (일본)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 텐카이 소장 | 간행 후 약 20년 뒤 일본 유입 추정[86] |
도쿠야마번 모리씨 생식당 (일본) | 도쿠야마번 3대 번주 모리 모토츠구 건립 장서 | 1708년 이전 일본 유입, 자안당 소장본보다 후대 인쇄 추정[22] |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일본) | 잔본 (23회분) |
사화본은 필사본에 가까운 형태로, 오자, 탈자, 중복 등이 많아 난해한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제일기서본』(第一奇書本) 계통명나라 말기에 사화본을 개정하여 출판한 판본이다. '신각수상비평금병매(新刻繡像批評金瓶梅)'와 같은 제목으로 출판되었으며, 숭정 연간에 출판된 것으로 보이는 '숭정본'이 대표적이다.[87] 숭정본은 사화본에 없던 삽화가 추가되었고, 내용상 불분명하거나 구성상 의문이 있는 부분을 수정하였다. 예를 들어, 판금련과 진경제의 만남 장면 중복을 수정하고, 진경제가 존재하지 않는 만남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을 고쳤다.[88]
또한, 음식, 옷 등에 대한 상세한 묘사, 줄거리와 관련 없는 서술을 삭제하여 호색적인 방향을 강조하였다.[89] [90]
청나라 시대에는 장죽파가 비평을 추가한 『제일기서금병매(第一奇書金瓶梅)』(1695년)가 출판되었고, 이후 출판된 금병매에는 대개 '제일기서'라는 말이 들어가게 되었다. 사화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 제일기서본이 『금병매』로 알려져 있었다.
두 판본의 주요 차이점
- 1회: 사화본은 항우와 우미인, 유방과 척부인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비극적 결말을 예고하는 반면, 제일기서본은 서문경과 동료들의 의형제 맹세로 시작하여 주인공의 악덕함을 강조한다.[94] [95]
- 53, 54회: 내용이 완전히 다르다.
- 84회: 제일기서본은 오월랑이 왕영에게 납치되었다가 송강에게 구출되는 장면(수호전 32회)을 삭제했다.
- 기타: 사화본의 산동 방언 삭제, 각 회 제목 및 서두 시 변경 등.
3. 1. 한국어 번역
金甁梅중국어는 대한민국에서도 여러 차례 번역 출간되었다. 강태권은 2022년에 金甁梅중국어 완역본(전 10권)을 문예춘추사에서 출간하였다.[18] 오노 시노부(小野忍)와 센다 규이치(千田九一)가 번역한 일본어판은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에서 전 10권으로 출간되었으며(1973-1974년, 복간 1992년 외), 원판은 헤이본샤(平凡社)의 "중국고전문학대계(中国古典文学大系)" 전 3권이다. 다만, 이 일본어판은 성 묘사 일부를 생략했다. 타나카 토모유키(田中智行)는 조에이샤(鳥影社)에서 金甁梅중국어 신역 완역본 상, 중권(2018년, 2021년)을 출간하였고, 하권은 미간이다. 쓰치야 히데아키(土屋英明)는 도쿠마 문고(徳間文庫)에서 상하 2권으로 편역본(2007년)을 출간했는데, 성 묘사는 완역하고 나머지는 편역하였다. 정요항(丁耀亢)의 속편도 간행되었다. 무라카미 토모유키(村上知行)는 치쿠마 문고(ちくま文庫)에서 신판 전 4권(2000년)으로 편역본을 출간하였다.3. 2. 기타 번역
ᡦᡳᠩᠮᡝᡳ
ᠪᡳᡨᡥᡝ|Gin p'ing mei pitghe|Gin ping mei bithe}}는 1708년 초 만주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20] 제목은 의미를 번역한 것이 아니라 만주 문자의 각 음절을 음역한 것이다. 이 책은 교토대학 중국학 연구 정보 센터에서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에서 볼 수 있다.
- La merveilleuse histoire de Hsi Men avec ses six femmes|여섯 부인을 거느린 서문경의 놀라운 이야기프랑스어는 장-피에르 포레가 번역하여 1949년부터 1952년까지 파리의 프랑스 도서 클럽(Le Club Français du Livre)에서 출판되었고, 1967년에 재판되었다. 총 2권이다.
- Djin Ping Meh: Schlehenblüten in Goldener Vase: ein Sittenroman aus der Ming-Zeit|금병매: 금항아리 속의 자두꽃: 명나라 시대의 풍속 소설de는 오토 키바트와 아르투르 키바트가 공동 번역하여 1967년부터 1983년까지 함부르크의 디 바게(Die Waage)에서 출판되었다. 1695년 판본을 사용하였으며, 총 6권이다.
- Fleur en fiole d'or, Jin Ping Mei Cihua|금병매사화프랑스어는 앙드레 레비가 번역 및 주석을 달아 1985년 갈리마르 플레이아드 총서로 출판되었고, 2004년 갈리마르 폴리오 총서로 재출간되었다. 총 2권이다. 1610년 판본을 사용한 최초의 서구 언어 번역본이지만, 긴 노래 모음집과 다른 차용된 자료는 1695년 판본을 따라 생략되었다.
- Jin Ping Mei en verso y en prosa|금병매 운문과 산문es은 알리시아 렐링케 엘레타가 번역 및 주석을 달아 2010년과 2011년에 아탈란타에서 출판되었다. 총 2권이다.
- Цзинь, Пин, Мэй, или Цветы сливы в золотой вазе|금병매, 또는 금항아리 속의 매화꽃ru는 1994년부터 2016년까지 총 5권으로 완역된 러시아어 번역본이다. 1권부터 3권까지는 1994년 이르쿠츠크의 율리세스에서 출판되었고, 4권(1부, 2부)은 2016년 모스크바의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방학 연구소에서 출판되었다.
4. 평가
『금병매』는 수 세기 동안 음란물로 간주되어 대부분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많은 지식인들은 이 책을 은밀하게 읽어 왔다. 이 소설에는 오늘날 성적 도착증(性癖)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여러 성적 대상과 성행위 묘사, 음탕한 농담 및 성적 은유가 들어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성적 묘사가 필수적이며, 『홍루몽(紅樓夢)』을 비롯한 다른 중국 소설에 "해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토드 로이(David Tod Roy)는 이 소설에서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도덕적 변화를 통해서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 순자(荀子)(Xunzi)의 철학과 관련된 "타협 없는 도덕적 비전"을 보았다.
4. 1. 긍정적 평가
청나라 초기 비평가 장주포(張竹坡)는 『금병매』를 음란물로 여기는 사람들은 "음란한 부분만 읽는다"고 말했다.[8] 1920년대에 글을 쓴 영향력 있는 작가 루쉰(魯迅)은 이 책을 명나라의 "가장 유명한 풍속소설"이라고 부르며, 명나라 비평가 위안홍다오(袁宏道)의 의견을 인용하여 "『수호전(水滸傳)』에 이어 두 번째로 뛰어난 고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이 소설이 "사실상 지배 계급 전체에 대한 비판"이라고 덧붙였다.[9]미국의 학자이자 문학 비평가인 앤드루 H. 플랙스(Andrew H. Plaks)는 『금병매』를 『삼국지(三國志演義)』, 『수호전』, 『서유기(西遊記)』과 함께 "명나라 소설 4대 걸작" 중 하나로 평가하며, 이 소설들이 집합적으로 기술적 돌파구를 이루었고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지적인 관심을 반영한다고 말한다.[10] 이 소설은 특히 여성 인물에 대한 복잡한 묘사로 중국 소설의 "획기적인 작품"으로 묘사되었다.[11] 제임스 로버트 하이타워(James Robert Hightower)는 1953년에 『홍루몽(紅樓夢)』과 함께 "범위, 미묘한 인물 묘사, 정교한 줄거리" 면에서 "가장 위대한 소설"에 속한다고 썼다.[12] 필립 S. Y. 선(Phillip S. Y. Sun)은 이 소설이 『홍루몽』보다 구성 면에서는 덜 뛰어나지만 "깊이와 활력"에서는 능가한다고 주장했다.[13]
필사본이 유통되던 시절, 원홍도(袁宏道)는 “매승(枚乗)의 ‘칠발(七發)’보다 낫다”[63]라고 극찬했다. 매승은 서사시(賦)에 능했던 문인으로, 원홍도는 의식주 생활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부분에서 재미를 발견했을 것이다.[64] 당시 명나라 시대는 미식, 사치, 색정을 인간 본성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풍조가 있었고, 원홍도도 그러한 생각을 주장했다.[65]
『금병매』는 중국 국내는 물론 만주어와 일본어로 번역되어 읽혔다. 일본에는 전 세계에 3세트밖에 없는 완전한 『금병매사화』 중 2세트가 현존한다. 숭정본 계열의 주요 텍스트도 간행 직후 일본에 들어와 내각문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71]
4. 2. 부정적 평가
원홍도(袁宏道) 등 명나라 시대 지식인들은 『금병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지만, 윤리적인 측면을 들어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단순한 해학 소설로 치부하는 시각도 있었다.[66] 예를 들어 이일화(李日華)는 『수호전』보다 예리함이 떨어진다고 평가했고,[67] 심덕부(沈徳符)는 사람들의 마음을 현혹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출판을 꺼렸다.[68]청나라 말기에는 소설이 사회를 변혁할 수 있다는 "소설의 사회적 효용론"이 퍼지면서, 『금병매』를 사회소설로 보는 시각도 등장했다.[69]
곡정마금(曲亭馬琴)은 『금병매』가 줄거리도 재미없고 권선징악도 부족한 음란서적이라고 평가했다.[77]
4. 3. 현대적 평가
수 세기 동안 음란물로 간주되어 대부분의 시간 동안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많은 교육받은 계층은 이 책을 은밀하게 읽어 왔다. 청나라 초기 비평가 장주포(張竹坡)는 『금병매』를 음란물로 여기는 사람들은 "음란한 부분만 읽는다"고 말했다.[8] 1920년대에 글을 쓴 영향력 있는 작가 루쉰(魯迅)은 이 책을 명나라의 "가장 유명한 풍속소설"이라고 평가하며, 명나라 비평가 위안홍다오(袁宏道)의 말을 인용하여 "『수호전(水滸傳)』에 이어 두 번째로 뛰어난 고전"이라고 평했다. 그는 또한 이 소설이 "사실상 지배 계급 전체에 대한 비판"이라고 덧붙였다.[9]미국의 학자이자 문학 비평가인 앤드루 H. 플랙스(Andrew H. Plaks)는 『금병매』를 『삼국지(三國志演義)』, 『수호전』, 『서유기(西遊記)』와 함께 "명나라 소설 4대 걸작" 중 하나로 평가하며, 이 소설들이 함께 기술적 돌파구를 이루었고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지적인 관심을 반영한다고 말한다.[10] 이 소설은 특히 여성 인물에 대한 복잡한 묘사로 중국 소설의 "획기적인 작품"으로 묘사되었다.[11] 제임스 로버트 하이타워(James Robert Hightower)는 1953년에 『홍루몽(紅樓夢)』과 함께 "범위, 미묘한 인물 묘사, 정교한 줄거리" 면에서 "가장 위대한 소설"에 속한다고 썼다.[12] 필립 S. Y. 선(Phillip S. Y. Sun)은 이 소설이 『홍루몽』보다 구성 면에서는 덜 뛰어나지만 "깊이와 활력"에서는 능가한다고 주장했다.[13]
이 소설에는 오늘날 성적 도착증(性癖)으로 간주될 수 있는 많은 성적 대상과 성행위 기술에 대한 묘사와 많은 음탕한 농담 및 간접적이지만 자극적인 성적 은유가 들어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매우 성적인 묘사가 필수적이며, 특히 『홍루몽』을 비롯한 성을 다루는 다른 중국 소설에 "해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1993~2013년에 이 소설을 번역한) 데이비드 토드 로이(David Tod Roy)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도덕적 변화를 통해서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 순자(荀子)(Xunzi)의 철학과 관련된 "타협 없는 도덕적 비전"을 본다.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6. 각색
《금병매》는 소설, 만화,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일본에서는 야마다 후타로가 《금병매》를 바탕으로 추리 소설 《요이 징핑메이》, 《히쇼 징핑메이》를 썼고, 하야시 마리코는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한 《본조 금병매》를, 고마다 신지는 《사본 금병매》를 썼다.
만화로는 와타나베 마사코의 《금병매》, 다케자키 마사미의 《만화 그림 동화 금병매》, 야마가미 다쓰히코의 《금병매》 등이 있다.
영화로는 1968년 일본 영화 《금병매》와 《채녀》, 1974년 홍콩 영화 《금련화》, 1982년 대한민국 영화 《금병매》, 1982년 홍콩 영화 《무송》, 1991년 홍콩 영화 《금병풍월》, 1994년 홍콩 영화 《소녀음란지옥/금병매비전》, 《온화한 반사》(孽鎖金瓶|얼쇄금병중국어), 2008년 홍콩 영화 《금병매》와 그 후편인 《금병매 하권》(2009년), 2008년 홍콩 영화 《금단의 전설 섹스 앤 젓가락》 등이 있다. 미즈카미 신의 일본 만화 金瓶梅・奇伝 炎のくちづけ|금병매・기전 불꽃의 입맞춤일본어 (2004년)는 '금병매'를 느슨하게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래픽 소설가 마그누스는 '금병매'를 느슨하게 바탕으로 한 축약된 그래픽 소설인 '110 Sexpills'를 제작했는데, 이는 심씨(그러나 성과 이름이 서로 바뀌었다)의 성적 쾌락과 최후의 몰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드라마로는 1995년 홍콩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신 금병매》가 있다.
6. 1. 소설
야마다 후타로의 요이 징핑메이, 히쇼 징핑메이는 《금병매》를 바탕으로 한 추리 소설이다. 신판은 후소샤 문고와 광제당 문고에서 출간되었다. 하야시 마리코의 《본조 금병매》는 저자의 첫 시대 소설로,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신판은 분슌 문고에서 출간되었다. 고마다 신지의 《사본 금병매》는 중국 문학자가 쓴 작품으로, 도쿠마 문고에서 1986년에 출간되었다.6. 2. 만화
- 와타나베 마사코의 만화 『금병매』는 후타바샤에서 액션 코믹스 13권, 후타바 문고 전 11권으로 출판되었다.
- 다케자키 마사미의 만화 『만화 그림 동화 금병매』는 분카샤에서 전자책으로 출판되었으며, 종이책 코믹스는 2023년 3월 현재 53권이 나와 있다.
- 야마가미 다쓰히코의 만화 『금병매』는 1988년 작품을 아키타 서점에서 2010년에 재발행한 것이다.
6. 3. 영화
- 금병매 (1968년) - 일본 영화.
- 채녀 (1968년) - 일본 영화.
- 금련화 (1974년) - 홍콩 영화.
- 금병매 (1982년) - 대한민국 영화.
- 무송 (1982년) - 홍콩 영화.
- 금병풍월(1991년) - 홍콩 영화.
- 소녀음란지옥/금병매비전(1994년) - 홍콩 영화.
- 온화한 반사 (孽鎖金瓶|얼쇄금병중국어) (1994년) - 홍콩 영화.
- 금병매 (2008년) - 홍콩 영화.
- 금병매 하권(2009년) - 위 영화의 후편인 홍콩 영화.
- 금단의 전설 섹스 앤 젓가락 (2008년) - 홍콩 영화.
- 미즈카미 신의 일본 만화 金瓶梅・奇伝 炎のくちづけ|금병매・기전 불꽃의 입맞춤일본어 (2004년)는 '금병매'를 느슨하게 바탕으로 하고 있다.
- 그래픽 소설가 마그누스는 '금병매'를 느슨하게 바탕으로 한 축약된 그래픽 소설인 '110 Sexpills'를 제작했는데, 이는 심씨(그러나 성과 이름이 서로 바뀌었다)의 성적 쾌락과 최후의 몰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6. 4. 드라마
1995년 홍콩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신 금병매이다.참조
[1]
서적
China: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Routledge
[2]
논문
[3]
웹사이트
The Plum in the Golden Vase, translated by David Tod Roy
http://www.commentar[...]
1994-10-01
[4]
서적
The Distinctive Art of Chinese Fi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Passions of the Cut Sleeve: The Male Homosexual Tradi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논문
[7]
서적
Sex in China: Studies in Sexology in Chinese Culture
Plenum Press
[8]
서적
Full-Length Vernacular Fic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A Brief History of Chinese Fiction
Foreign Languages Press
[10]
서적
Four Masterworks of the Ming Nov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학술지
The True-False Pattern in the Jin Ping Mei
[12]
학술지
Chinese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Duke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The Structure and Achievements of Jin Ping Mei
http://www.cuhk.edu.[...]
[14]
서적
Chin P'ing Mei: The Adventurous History of Hsi Men and His Six Wives
John Lane
[15]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Literature
[16]
학술지
A New Candidate for Authorship of the Jin Ping Mei: Bai Yue 白悦 (1499–1551)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논문
[19]
문서
[20]
학술지
A Profile of The Manchu Language in Ch'ing History
Harvard-Yenching Institute
1993-06-01
[21]
서적
Science &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7: The Gunpowder Ep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문서
原文では「炊餅」。これを「蒸し餅」と訳すのは岩波文庫の『金瓶梅』(小野忍・千田九一訳)に倣った。
[23]
문서
元の時代の戯曲『趙氏孤児』で屠岸賈が犬を襲わせて趙盾を殺す方法と同じ。
[24]
문서
6、1995年、pp.163-165。
[25]
문서
呉月娘と孟玉楼(西門慶の第4夫人)が人生を幸せに終えたことを言っている。
[26]
문서
李瓶児と春梅のこと。
[27]
위키소스
金瓶梅/第100回
[28]
문서
当時の女性美の要素のひとつが足の小ささであった。『金瓶梅』第二十二回にも、西門慶の愛人の一人が潘金蓮より足が小さいことを自慢する場面がある。
[29]
문서
日下、1996年、pp.42-43
[30]
문서
ただし、これは西門家に来てストーリーの本流にのってきてからの話で、西門家に来る前は夫のある身で西門慶を誘って会いに来させるなど、とても上品とは言えない振る舞いをしている。
[31]
문서
藤原他、p.116
[32]
문서
時には喧嘩もするが、西門慶は「( 呉月娘は)なかなかいいたちですよ。でなければ、とてもあんなに大勢の人間を手もとにおいておけるもんじゃありません。」と評価し(第十六回)、しばしば西門慶にアドバイスを与えたりもする。
[33]
문서
「第七十九回」で西門慶が死に、そのすぐ後の「第八十回」で身の回りのものを持ち出しはじめ、それがばれて西門家から出される。なお、身の回りのものといえどもすべては西門家の所有物であり、西門慶の亡き後は正妻の呉月娘が認めない限り勝手に持ち出すことはできない。
[34]
문서
張竹坡: 田中訳、p102
[35]
문서
第十四回で、李瓶児が西門家に客として訪問した際、孫雪娥の身なりが他の4人より粗末で、西門慶の妻の一人とは気が付かなかったという場面がある。
[36]
서적
中国の五大小説 下 水滸伝・金瓶梅・紅楼夢
岩波新書
2009
[37]
서적
1990
[38]
서적
1995
[39]
문서
話本とはもともとは講釈師の台本のことである。
[40]
서적
中国の五大小説.下 水滸伝・金瓶梅・紅楼夢
岩波新書
2009
[41]
서적
1994
[42]
논문
1963
[43]
서적
1990
[44]
서적
1994
[45]
서적
閲微草堂筆記 ; 子不語 ; 述異記 ; 秋燈叢話 ; 諧鐸 ; 耳食録
平凡社 中国古典文学大系
1971
[46]
논문
1963
[47]
문서
当時の白話小説によく出てくるの一定の句形を持つ段落のこと。例えば、「(金蓮の)そのいでたち、いかにといえば、」の後で改行し、1字下げた段落で『黒地に金をぬいとった、つけ髷(まげ)頭にいただいて、…』(第二回。訳文は小野・千田による)という風に地の文と区別されている部分。
[48]
서적
1994
[49]
서적
金瓶梅 第1巻
ちくま文庫
2000
[50]
서적
1996
[51]
서적
1996
[52]
서적
2001
[53]
서적
1996
[54]
서적
[55]
서적
「金瓶梅」中的上海方言研究
上海古籍出版社
2005
[56]
서적
1996
[57]
서적
1990
[58]
서적
1990
[59]
서적
2002
[60]
서적
2002
[61]
서적
1995
[62]
서적
1996
[63]
서적
2002
[64]
서적
2002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味水軒日記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新編金瓶梅序文
[77]
서적
[78]
문서
天保三年十一月二十六日篠斎宛書簡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문서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문서
[93]
문서
[94]
서적
[95]
서적
[96]
문서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문서
[102]
서적
[10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