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 류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산 류씨는 고려 초 호장 류절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류절의 후손 류백은 고려 충렬왕 때 급제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류중영, 류경심, 류운룡, 류성룡, 류후조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은 국난 극복에 기여했으며, 22명의 문과 급제자를 포함하여 많은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집성촌은 안동 하회, 영동, 상주, 의성, 문경 등이며, 2015년 인구조사에서 풍산 류씨는 22,817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풍산 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풍산 류씨 정보 | |
성씨 | 풍산 류씨 |
한자 표기 | 豊山 柳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
시조 | 류절(柳節) |
중시조 | 류백(柳伯) |
집성촌 | |
집성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천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존도리 |
주요 인물 | |
인물 | 류중영 류경심 류운룡 류성룡 류후조 류도발 류신영 류찬우 류돈우 류종하 류시열 류승우 류우익 류시춘 류진 류영하 |
통계 | |
년도 | 2015 |
인구 | 8,817명 |
2. 역사
《풍산류씨세보(豊山柳氏世譜)》에 따르면, 풍산 류씨의 시조 '''류절'''(柳節)은 고려 초에 수주(樹州 : 지금의 경기도 부평구)에서 호장(戶長)을 지냈다.[1] 류절의 증손자 류백(柳伯)은 1290년(충렬왕 16년) 은사(恩賜)로 급제하여 전서(典書)를 역임하였다.[1] 7세 류종혜(柳從惠)가 조선 초에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역임하고 하회동(河回洞)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2. 1. 시조 및 기원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의 10세손 류자성(柳資成)의 후손 중 14세 류절(柳節)의 후손이 풍산 류씨로 분적했다는 설이 있으나, 풍산 류씨와 문화 류씨 세계에는 의문점이 많아 현재에는 부정하는 추세이다.[1]풍산류씨 시조 류절의 증손자인 류백은 1290년(충렬왕 16년) 은사(恩賜)로 급제했다.[1] 문화 류씨 분적설에 따르면 류소는 류백의 6대조가 되는데, 류소는 고려 고종(1214~1259) 때 관직에 있었다.[1] 7대에 걸치는 활동 기간이 50여 년 전후에 걸쳐 있다는 것은 의문이 간다.[1]
류차달은 880년생으로 나오는데, 류차달을 880년생으로 가정(假定)하고 한 세대를 30±5년으로 이들의 연대(年代)를 계산해 본다면, 류차달의 10세손이었던 류자성은 대략 류차달보다 300(±50)년 이후인 1180±50년쯤 태어난 인물로 추정된다.[1] 류자성의 4세손이 류절이므로 류절은 1300±70년경 태어난 사람이 된다.[1] 류절의 4세손이 류백으로 충렬왕(忠烈王) 때 출사(出仕)하였다고 하는데, 충렬왕 때가 바로 1274~1308년이다.[1] 그런데 류백은 류절의 4세손이므로, 적어도 1420±90년에 태어난 사람이어야 하는데, 연대가 맞지 않게 된다.[1] 세대(世代)를 거듭하여 20세 때 계속해서 자손을 보았다고 하면, 류차달과 류백 간의 나이 차(差)는 18세손이므로 예전의 혼례 관습에 따라 20세 전후로 계산하여 360년을 더하면 1240년이 되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1]
2. 2. 고려시대
고려 초 류절(柳節)은 수주(樹州 : 지금의 경기도 부평구)에서 호장(戶長)을 지냈다.[1] 류절의 증손자 류백(柳伯)은 1290년(충렬왕 16년)에 은사(恩賜)로 과거에 급제하여 전서(典書)를 역임하였다.[1]2. 3.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풍산 류씨는 류중영, 류경심, 류운룡, 류성룡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2. 3. 1. 주요 인물
- 류중영(柳仲郢, 1515년 ~ 1573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지방 교육에 힘썼다. 저서로 《입암집》이 있다.[2]
- 류경심(柳景深, 1516년 ~ 1571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호조참판, 병조참판, 평안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류운룡(柳雲龍, 1539년 ~ 1601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이황의 제자이며, 류성룡의 형이다. 원주목사를 지냈다.
- 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이황의 제자이며,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내며 국난 극복에 큰 공을 세웠다. 저서로 《징비록》 등이 있다.
- 류기(柳綺, 1561년 ~ 1613년): 류운룡의 아들이자 류성룡의 조카이다. 김성일의 사위이다.
- 류후조(柳厚祚, 1798년 ~ 1876년):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용되어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 류돈우(柳惇佑, 1933년 ~ 2021년): 제13·14대 국회의원, 한국주택은행 은행장을 역임했다.
- 류우익(柳佑益, 1950년 ~ ): 제36대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다.
- 류시민(柳時敏, 1959년 ~ ): 제16·17대 국회의원, 제44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 류종하(柳宗夏, 1936년 ~ ): 제26대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류영하(柳榮夏, 1962년 ~ ): 검사 출신으로,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고, 제22대 국회의원이다.
3. 주요 인물
- 류중영(柳仲郢, 1515년 ~ 1573년) : 조선 중기 문신, 학자. 1540년(중종 3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방 교육에 힘썼으며, 의주목사로 국경지방의 밀수행위를 조절하고 생산을 권장하였다. 저서로 《입암집》이 있다.[2]
- 류경심(柳景深, 1516년 ~ 1571년) : 조선 중기 문신. 154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546년(명종 1년) 문과 중시에 장원하였다. 광주목사, 함경도 병마절도사 등 외직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귀촌집》이 있다.
- 류운룡(柳雲龍, 1539년 ~ 1601년) : 조선 중기 문신, 학자. 류성룡의 형. 이황의 문인으로, 지방관을 지내면서 백성을 어질게 다스려 존경을 받았다. 원주목사에 이르렀다.
- 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 : 조선 중기 문신, 학자. 이황의 문인. 1590년 우의정에 승진,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영의정에 올라 4도 도체찰사를 겸해 군사를 총지휘했다. 저서로 《징비록》 등이 있다.
- 류기(柳綺, 1561년 ~ 1613년) : 조선 중기 문신. 류운룡의 차남이자 류성룡의 조카. 관직은 낭천현감에 이르렀다. 한석봉증유여장서첩의 주인공이다.
- 류후조(柳厚祚, 1798년 ~ 1876년) : 조선 후기 문신. 류성룡의 8대손. 1866년 우의정, 1867년 좌의정을 지냈다.
- 류돈우(柳惇佑, 1933년 ~ 2021년) : 제13·14대 국회의원, 한국주택은행 은행장을 지냈다.
- 류우익(柳佑益, 1950년 ~ ) : 류성룡의 11대손. 제36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 류시민(柳時敏, 1959년 ~ ) : 제16·17대 국회의원, 제44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다.
- 류종하(柳宗夏, 1936년 ~ ) : 제26대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 류영하(柳榮夏, 1962년 ~ ) : 류성룡의 13대손. 검사 출신,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다. 제22대 국회의원.
4. 과거 급제자
풍산 류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2명, 생원시 합격자 40명, 진사시 합격자 25명을 배출하였다.
4. 1. 문과
이름 | 한자 | 비고 |
---|---|---|
류경심 | 柳景深 | |
류경심 | 柳景深 | 중복 |
류공권 | 柳公權 | |
류광목 | 柳光睦 | |
류광억 | 柳光澺 | |
류도위 | 柳道緯 | |
유도창 | 柳道昌 | |
유도해 | 柳道海 | |
유도휘 | 柳道彙 | |
류벽조 | 柳璧祚 | |
류상조 | 柳相祚 | |
류성룡 | 柳成龍 | |
류세명 | 柳世鳴 | |
류세빈 | 柳世賓 | |
류양춘 | 柳陽春 | |
류종개 | 柳宗介 | |
류중영 | 柳仲郢 | |
류지영 | 柳芝榮 | |
류진한 | 柳進翰 | |
류치목 | 柳致睦 | |
류태좌 | 柳台佐 | |
류후조 | 柳厚祚 |
4. 2. 생원시
명단 |
---|
4. 3. 진사시
이름 | 한자 |
---|---|
류단 | 柳𥚻 |
류성룡 | 柳成龍 |
류벽조 | 柳璧祚 |
류후조 | 柳厚祚 |
류도직 | 柳道直 |
류상우 | 柳相佑 |
류성우 | 柳聖雨 |
류성회 | 柳聖會 |
류세명 | 柳世鳴 |
류세익 | 柳世翊 |
류세철 | 柳世哲 |
류시원 | 柳時元 |
류시일 | 柳時一 |
류엽춘 | 柳燁春 |
류응목 | 柳膺睦 |
류의남 | 柳義男 |
류일상 | 柳日祥 |
류종개 | 柳宗介 |
류지정 | 柳志鼎 |
류지호 | 柳之湖 |
류진 | 柳袗 |
류진봉 | 柳進鳳 |
류진한 | 柳進翰 |
류진휘 | 柳進徽 |
류항윤 | 柳恒潤 |
류홍식 | 柳泓植 |
5. 항렬자
풍산 류씨는 24세부터 항렬자를 사용해왔다. 다음은 풍산 류씨 항렬표이다.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영(榮) 식(植) 동(東) | 시(時) 수(壽) 재(在) | 한(漢) 호(浩) 해(海) | 병(炳) 응(應) 극(克) | 승(升) 건(建) 진(珍) | 병(秉) 내(來) 창(昌) | 규(奎) 곤(坤) 용(容) | 수(守) 제(濟) | 형(炯) 연(然) 형(亨) |
6. 집성촌
7. 인구
연도 | 1985년 | 2000년 | 2015년 |
---|---|---|---|
인구 | 15,031명 | 17,238명 | 22,817명 |
1985년에는 풍산 류씨(2,946가구 11,657명)와 하회 류씨(764가구 3,374명)를 합쳐 15,031명이었다. 2000년에는 풍산 류씨(4,181가구 13,341명)와 하회 류씨(1,114가구 3,897명)를 합쳐 17,238명이었다. 2015년에는 풍산 류씨 10,664명과 풍산 유씨 12,153명을 합쳐 22,817명이였다.
참조
[1]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2]
서적
宣城誌․안동하회마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