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성군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앙부에 위치한 군으로, 신라 경덕왕 때 문소군으로 불리며 조문국이 있던 지역이다. 고려 시대에 '의로운 성'이라는 뜻의 의성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895년 대구부 의성군, 1896년 경상북도 의성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를 편입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2023년에는 전 지역이 의성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주요 산업은 마늘 농업이며, 2016년 기준 전국 3위의 마늘 생산량을 기록했다. 교통으로는 중앙선 철도와 중앙고속도로, 국도 등이 지나며,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 훈련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군의 행정 구역 - 금성면 (의성군)
    금성면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속하며 17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금성산, 경덕왕릉,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등의 관광지와 탑리시외버스터미널, 탑리역 등의 교통 시설, 그리고 금성초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의성군의 행정 구역 - 의성읍
    의성읍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하며, 조문국에 속했던 지역이 신라에 병합된 후 고려와 조선을 거쳐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13개의 리로 구성되어 다양한 도로망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의성군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 의성군 - 금성면 (의성군)
    금성면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속하며 17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금성산, 경덕왕릉,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등의 관광지와 탑리시외버스터미널, 탑리역 등의 교통 시설, 그리고 금성초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성주군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성주군은 참외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특산물과 가야산 국립공원, 성주호, 세종대왕자태실, 성밖숲, 한개마을 등 자연, 역사, 문화 관광자원이 풍부한 1읍 9면의 군이다.
의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의성군
로마자 표기Uiseong-gun
한글 표기의성군
한자 표기義城郡
지역영남
방언경상 방언
면적1175.89 km²
인구 (2002년)71,216명
인구 밀도60.6명/km²
하위 행정 구역1읍, 17면
의성군 엠블럼
의성군 엠블럼
의성군 기
의성군 기
행정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상북도
군수김주수(무소속)
국회의원박형수(국민의힘,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군청 소재지의성읍 군청길 31 (후죽리 509-2)
행정 구역 분류 코드37320
상징
군목느티나무
군화산수유
군조왜가리
기타
공식 홈페이지의성군청
관련 정보
관련 정보의성 공룡 발자국
관련 정보한국 컬링 여자 국가대표팀 '갈릭걸스'의 올림픽 은메달 수상
관련 정보평창 동계올림픽의 9명의 스타: '갈릭걸스' 포함
관련 정보‘마늘 소녀들’이 학대를 극복하고 올림픽에 복귀한 방법

2. 역사

신라 경덕왕 때 의성군의 초기 이름은 문소군(聞韶郡)이었고, 그 당시 경북 지역에서 두 번째로 컸던 조문국(趙文國)이 의성군의 초기였다.[21] 현재 문소군과 조문국의 유적지는 의성향교와 조문국 경덕왕릉 등이다.

929년(고려 태조 12년), 후백제 견훤의 공격을 막다가 전사한 홍술 장군의 충절을 기려 지명을 '의성(의로운 성)'으로 바꿨다.[21]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비안군의 대부분(현서면 제외) 및 용궁군 신하면이 '''의성군'''에 편입되었다.

1934년 4월 1일 산운면과 소문면이 합병하여 금성면이 설치되었고,[14] 1940년 11월 1일 의성면이 의성읍으로 승격하였다.[15]

1973년 7월 1일 금성면 광현동이 군위군 군위면에 편입되었고, 1983년 2월 15일 비안면 신평동이 봉양면에 편입되었다. 1987년 1월 1일 단밀면 용산리가 선산군 도개면에, 선산군 도개면 청산리가 구천면에 편입되었다.[16] 1990년 4월 1일 신평면 안사출장소가 안사면으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4월 27일 단북면의 일부(신하 3·4리)가 다인면에 편입되었다.

2023년 6월 21일 전 지역이 [https://www.usc.go.kr/geopark 의성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으며, 지질명소 12개소가 있다.

2. 1. 신라 시대

신라 경덕왕 때 의성군의 초기 이름은 문소군(聞韶郡)이었고, 그 당시 경북 지역에서 2번째로 컸던 조문국(趙文國)이 의성군의 초기였다.[21] 현재 문소군과 조문국의 유적지는 의성향교와 조문국 경덕왕릉 등이다.

2. 2. 고려 시대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고려 시대 의성군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려 시대'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2. 3. 조선 시대


  • 1895년 6월 23일(구력 5월 1일) 대구부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되었다.[10]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되었다.[11]
  • 1906년 상주군 구 단밀현이었던 단서면·단동면·단북면·단남면, 예천군 구 다인현이었던 현동면·현서면·현남면·현내면이 비안군에 편입되었다.
  • 1907년 비안군 외북면이 본군에 편입되었다.
  • 1909년 6월 25일 신평면(우곡면)이 비안군에 편입되었다.[12]
  •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비안군의 대부분(현서면 제외) 및 용궁군 신하면이 '''의성군'''에 편입되었다.[13] 당시 의성군에 설치된 면은 다음과 같다. (18면)
  • * 의성면·사곡면·단촌면·산운면·소문면·봉양면·안평면·비안면·구천면·단밀면·단북면·안계면·신평면·다인면·점곡면·옥산면·춘산면·가음면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른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의성군남부면, 북부면의성면
가음면(23리)가음면(7리)
내사면, 외사면사곡면
점곡면(25리)점곡면(8리)
옥산면(36리)옥산면(10리)
춘산면(22리)춘산면(8리)
구산면단촌면의 일부
상천면산운면의 일부
금뢰면봉양면의 일부
억곡면소문면의 일부
석전면안평면의 일부
비안군외북면
군내면, 내북면, 신동면비안면
내서면, 외서면, 단동면구천면
단북면단북면
단서면, 단남면단밀면
현내면, 현남면, 현동면다인면
정동면, 정서면안계면
정북면, 우곡면신평면
용궁군신하면


2. 4. 일제 강점기

1895년 6월 23일(구력 5월 1일) 대구부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되었다.[10]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되었다.[11] 1906년 상주군과 예천군의 일부 면이 비안군에 편입되었고, 1907년 비안군 외북면이 본군에 편입되었다. 1909년 6월 25일 우곡면이 비안군에 편입되었다.[12]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비안군의 대부분(현서면 제외) 및 용궁군 신하면이 '''의성군'''에 편입되었다. 이때 의성군에 의성면, 사곡면, 단촌면, 산운면, 소문면, 봉양면, 안평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신평면, 다인면, 점곡면, 옥산면, 춘산면, 가음면이 설치되었다.[13] (18면)

1934년 4월 1일 산운면과 소문면이 합병하여 금성면이 설치되었고,[14] 1940년 11월 1일 의성면이 의성읍으로 승격하였다.[15]

2. 5. 대한민국


  • 신라 경덕왕 때 문소군(聞韶郡)이라는 이름이 의성군의 초기 이름이었고, 당시 경북 지역에서 두 번째로 컸던 조문국(趙文國)이라는 나라가 의성군의 초기였다.
  • 현재 문소군, 조문국의 유적지는 의성향교와 조문국 경덕왕릉 등이다.
  • 929년(고려 태조 12년), 후백제 견훤의 공격을 막다가 전사한 홍술 장군의 충절을 기려 지명을 '의성(의로운 성)'으로 바꿨다.[21]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하였다.[22]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의성군·비안군으로 개편하였다.[23]
  • 1906년 상주군 단밀면, 단동면, 단북면, 단남면을 비안군에 편입하고, 1907년 비안군 외북면을 의성군에, 1909년 의성군 우곡면을 비안군에 편입하였다.
  • 2023년 6월 21일 전 지역이 [https://www.usc.go.kr/geopark 의성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으며, 지질명소 12개소가 있다.

3. 지리

경상북도 중앙부에 있으며, 관련 웹사이트로는 의성 국가지질공원이 있다. 현재 의성군청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3. 1. 지형

경상북도 중앙부에 있으며, 대부분이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의 지질로 되어 있다. 약 1억년 전의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약 7천만년 전 화산 칼데라 등의 지질학적 특징이 있다. 군의 동북쪽을 태백산맥의 일부가 지나므로 산세가 험한 고원지대를 이루고 있으나, 노년기에 달한 구릉지대이므로 비교적 잘 개척되어 있다. 남대천 물길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구봉산이 뻗어 있다. 남서쪽은 신평면을 제외하면 그다지 험하지 않다. 위천 유역은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만들어진 안계분지로, 분지 내 안계평야는 넓은 들로 곡창 지대를 이루고 있다.

3. 2. 기후

의성군은 내륙에 위치하여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강수량이 적다. 연평균 기온은 11.6°C, 1월 평균 기온은 -3°C, 8월 평균 기온은 25.1°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011.2mm이다.[24][25] 의성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4.8°C7.8°C13.4°C20.3°C25.4°C28.6°C30.5°C31°C26.6°C21.4°C14°C6.8°C19.2°C
평균 기온 (℃)-3°C-0.3°C5.3°C11.7°C17.1°C21.6°C24.8°C25.1°C19.8°C12.7°C5.5°C-1.1°C11.6°C
평균 최저 기온 (℃)-9.6°C-7.5°C-2.2°C3.3°C9°C15.2°C20.3°C20.5°C14.4°C6°C-1.2°C-7.5°C5.1°C
강수량 (mm)15.522.641.573.678.6115.8221.4229.6124.341.530.516.31,011.2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4.24.76.97.58.09.013.713.79.15.35.84.792.6
평균 상대 습도 (%)64.861.360.157.962.167.376.276.476.373.971.167.367.9
평균 일조 시간177.9180.3202.2212.5234.6191.3155.0160.8149.8178.7160.2171.02,174.3


4. 행정 구역

의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의성군의 면적은 1,178.82km2이며, 인구는 28,574세대, 51,940명이다. 1965년에는 210,045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26]

의성군 행정 구역 (2020년 8월 기준)[26]
읍·면한자세대인구 (명)면적 (km2)
의성읍義城邑6,59414,05068.81
단촌면丹村面
점곡면點谷面
옥산면玉山面
사곡면舍谷面
춘산면春山面
가음면佳音面
금성면金城面
봉양면鳳陽面
비안면比安面
구천면龜川面
단밀면丹密面
단북면丹北面
안계면安溪面
다인면多仁面
신평면新平面
안평면安平面
안사면安寺面



각 읍·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의성읍도동리, 도서리, 비봉리, 상리리, 업리, 오로리, 용연리, 원당리, 중리리, 철파리, 치선리, 팔성리, 포죽리
사곡면공정리, 매곡리, 신감리, 신리리, 양지리, 오상리, 음지리, 화전리, 작승리, 토현리
단촌면관덕리, 구계리, 방하리, 병방리, 상화리, 세촌리, 장림리, 하화리, 후평리
금성면개일리, 구련리, 대리리, 도경리, 만천리, 명덕리, 산운리, 수정리, 운곡리, 제오리, 청로리, 초전리, 탑리리, 하리, 학미리
봉양면구미리, 구산리, 길천리, 도원리, 문흥리, 분토리, 사부리, 삼산리, 신평리, 안평리, 장대리, 풍리리, 화전리
안평면괴산리, 금곡리, 기도리, 대사리, 도옥리, 마전리, 박곡리, 삼춘리, 석탑리, 신안리, 신월리, 창길리, 하녕리
비안면도암리, 동부리, 산제리, 서부리, 상계리, 옥연리, 외곡리, 용남리, 용천리, 이두리, 자락리, 장춘리, 현산리, 화신리
구천면내산리, 무흥리, 미천리, 소호리, 용사리, 위성리, 유산리, 장곡리, 조성리, 청산리
단밀면낙정리, 생송리, 속암리, 용곡리, 서제리, 위중리, 주선리, 팔등리
단북면노연리, 성암리, 신하리, 연제리, 이련리, 정안리, 효제리
안계면교촌리, 도덕리, 봉양리, 시안리, 안정리, 양곡리, 용기리, 위양리, 토매리
신평면검곡리, 교안리, 덕봉리, 용봉리, 중율리, 청운리
안사면만리리, 신수리, 쌍호리, 안사리, 월섬리, 중하리
다인면서령리, 산내리, 가원리, 송호리, 도암리, 평림리, 덕지리, 덕미리, 양서리, 용곡리, 봉정리, 달제리, 삼분리, 외정리, 신락리, 용무리
점곡면구암리, 동변리, 명고리, 사촌리, 서변리, 송내리, 윤암리, 황룡리
옥산면구성리, 정자리, 감계리, 실업리, 오류리, 금봉리, 전흥리, 립암리, 금학리, 신계리
춘산면금오리, 금천리, 대사리, 빙계리, 사미리, 신흥리, 옥정리, 효선리
가음면가산리, 구천리, 준호리, 양지리, 이리, 장리, 현리리


5. 인구

의성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7]

연도총인구 (명)
1960년190,667
1966년203,753
1970년182,709
1975년179,570
1980년146,063
1985년122,664
1990년96,897
1995년77,362
2000년68,353
2005년56,712
2010년51,247
2013년56,064
2019년49,621
2020년51,940


6. 산업

의성군은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특히 마늘이 유명하며, 2016년 기준 마늘 생산량은 전국 3위, 한지마늘 기준으로는 전국 1위이다.[28]

6. 1. 농업

의성군의 마늘 생산량은 2016년 기준 15,680t으로 전국 3위이며, 한지마늘 기준으로는 전국 1위이다.[28] 한지형 의성 재래종을 의성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알맞게 순화 개량한 품종으로, 쪽이 6~8쪽으로 수확 시기는 6월 중순 이후이다. 조선 중종 21년(1526년, 약 470여 년 전)에 현 의성읍 치선리(선암부락)에 경주 최씨김해 김씨 두 성씨가 터전을 잡게 되면서 재배되었다고 전해진다.[29]

7. 문화·관광


  • 고운사: 의성군 등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신라 신문왕 원년(68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처음 이름은 고운사(高雲寺)였으나, 최치원이 머물며 가운루와 우화루를 지은 후 최치원의 호인 고운(孤雲)을 따서 절 이름을 바꾸었다.
  • 탑산온천
  • 산운마을
  • 금성산 (경북)
  • 의성 산수유 축제: 의성읍에서 걸어서 15분 거리에 있는 화전리는 산수유가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노란 꽃이 피고, 10월에는 빨간 열매가 맺힌다. 화전리에는 조선 시대부터 자라온 3만 그루가 넘는 산수유 나무가 있다.[8]

8. 교통

이미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된 국도 제5호선과 왕복 4차선으로 확장 예정인 왕복 2차선 국도 제28호선(비안-봉양구간 왕복 4차선)이 각기 안동, 예천 방면에서 대구, 영천으로 이어진다. 중앙고속도로가 군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봉양면에 의성 나들목이 존재한다.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철도가 안동시에서 의성군을 지나 영천시로 연결된다. 그 외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있으며, 2016년 12월서의성 나들목북의성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17년에는 영천상주고속도로가 개통했으며, 단밀면도개면 경계에 있는 낙동강휴게소에서 영천/경주/포항/울산/부산방면 고속버스 환승을 취급한다.

9. 스포츠

의성군은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유명하며, 컬링훈련원이 자리하고 있다. 2006년 5월 경북체육회와 의성군 등이 공동으로 투자해 4시트짜리 훈련원을 완공했는데, 이는 국제경기규격을 갖춘 국내 유일의 훈련장이었다. 경북체육회는 2007년 남자부, 2010년 여자부를 창단했으며, 2016년 1월에는 사상 첫 믹스더블 팀을 구성했다.[30]

이러한 시설 덕분에 대한민국 컬링 선수 중 약 90%가 의성군 출신이며,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선수 15명 중 12명이 의성을 중심으로 한 경북과 대구 출신이다. 경북에 선수로 등록된 컬링 선수는 초·중·고등부와 일반부를 합쳐 54명이고, 선수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까지 포함하면 80명에 달한다.[30]

10. 교육 기관


11. 자매 도시

의성군은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iseong Dinosaur Tracks - North Gyeongsang Province - South Korea http://www.lifeinkor[...]
[2] 뉴스 Sweden Wins Gold, South Korea's 'Garlic Girls' Win Silver Medal In Curling https://www.npr.org/[...] 2018-02-25
[3] 뉴스 Winter Olympics: Nine unlikely stars of Pyeongchang 2018 https://www.bbc.com/[...] 2018-02-25
[4] 뉴스 How the ‘Garlic Girls’ Overcame Abuse to Return to the Olympics https://www.nytimes.[...] 2022-02-09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12-08
[8] 웹사이트 의성산수유꽃피는마을&의성산수유꽃축제 http://ussansuyu.kr/[...] 2018-04-21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간행물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1] 간행물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2] 웹사이트 의성군의 연혁 http://www.uiseong.g[...]
[13] 간행물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4] 간행물 道令第83号 1933-10-06
[15] 간행물 朝鮮総督府令第221号 1940-10-23
[16] 간행물 大統領令第1200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名称変更に関する規定 1986-12-23
[17]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의성(27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8]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의성(27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1] 뉴스 의성군 지명 유래 ‘홍술 장군’, 캐릭터 제작·홍보 https://www.kyongbuk[...] 경북일보 2016-12-11
[22]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3]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의성(27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의성(27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6] 웹사이트 읍면별 세대 및 인구(주민등록) - 경상북도 의성군 http://kosis.kr/stat[...] 한국통계정보원 2019-10
[27] 웹사이트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http://kosis.kr/stat[...] 한국통계정보원
[28] 뉴스 ‘의성 마늘’ http://www.yeongnam.[...]
[29] 웹사이트 의성마늘 특징 http://us.nonghyup.c[...]
[30]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