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은 1598년 스페인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에서 태어나 1664년 마드리드에서 사망한 스페인의 화가이다. 그는 종교화를 주로 그렸으며, 강렬한 명암 대비와 단순하고 엄숙한 구도, 정교한 세부 묘사가 특징이다. 세비야에서 활동하며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았고, 필리페 4세의 궁정 화가로 임명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세라피온 성인》, 《무염시태》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1987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대규모 전시회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화가 - 살바도르 달리
스페인 출신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정교한 기술과 몽환적인 이미지, 다양한 예술 활동으로 명성을 얻었지만, 논란적인 행보로도 알려져 있다. - 스페인의 화가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1664년 사망 - 성이성
성이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암행어사, 지방관을 역임하며 청렴한 관리로 칭송받았고, 춘향전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저서로 《계서유고》가 있다. - 1664년 사망 - 원두표
원두표는 조선 시대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요직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김자점의 옥사를 조작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손자 원몽린은 숙경공주와 혼인하였다. - 17세기 화가 - 귀도 레니
귀도 레니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화가로, 볼로냐에서 미술을 배워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라파엘로풍의 고전주의 양식을 발전시켜 《아우로라》, 《무고한 어린이 학살》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당대 "라파엘로의 재림"이라 불릴 정도로 명성을 얻었고 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세기 화가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
로마자 표기 | Francisco de Zurbarán |
출생일 | 1598년 11월 7일 (세례일) |
출생지 | 푸엔테데칸토스, 바다호스 주, 에스트레마두라, 스페인 |
사망일 | 1664년 8월 27일 |
사망지 | 마드리드, 스페인 |
국적 | 스페인 |
직업 | 화가 |
활동 시기 | 바로크 시대 |
영향 | 카라바지스티 |
작업 | |
후원자 | 펠리페 4세 디에고 벨라스케스 |
추가 정보 | |
종교 | 가톨릭 반종교개혁 |
2. 생애
수르바란은 에스트레마두라 지방의 푸엔테 데 칸토스에서 태어나 세비야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이다. 1617년 첫 번째 결혼을 했고, 1625년 재혼했다. 1629년 세비야에 정착하기 전까지 카라바지슴을 익혔지만, 이후 세비야에서 활동하던 조각가 몬타네스의 영향을 받아 조각처럼 명확한 형태를 가진 작품을 주로 그렸다.
1650년 전후, 무리요의 인기에 밀려 마드리드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의 걸작은 대부분 세비야에서 활동하던 전반기에 제작되었다.[6] 대표작으로는 <성(聖) 베드로 노라스코의 환상>, <성(聖)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광>, <성녀(聖女) 카시르타> 등이 있으며, 세비야 주변 수도원을 위해 그린 작품이 많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수르바란은 1598년 에스트레마두라의 푸엔테 데 칸토스에서 태어나 그해 11월 7일에 세례를 받았다.[4][5] 그의 부모는 방물 장수인 루이스 데 수르바란과 그의 아내 이사벨 마르케스였다.[5] 어린 시절 그는 목탄을 이용하여 사물을 모방하기 시작했다. 1614년 그의 아버지는 그를 세비야로 보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화가 페드로 디아스 데 비야누에바 밑에서 3년 동안 도제 수업을 받게 했다. 1617년 9살 연상인 마리아 파엣과 혼인했다.2. 2. 세비야에서의 활동과 전성기
1626년부터 수르바란은 세비야에서 활동했다. 세비야로 진출한 것은 재혼한 아내의 친척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1628년에는 메르세드 수도회 (13세기에 스페인에서 설립된 수도회)의 의뢰를 받아 수도회 창설자인 성 페드로 노라스코의 일생을 그린 연작을 제작했다.[6] 1629년 세비야 원로들은 그의 그림이 높은 명성을 얻어 세비야의 명성을 높일 것이라는 이유로 수르바란이 도시에 영구적으로 이주할 것을 초청했다. 그는 초청을 받아들여 그의 아내 베아트리스 데 모랄레스,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세 자녀, 이사벨 데 수르바란(Isabel de Zurbarán)이라는 친척, 그리고 8명의 하인과 함께 세비야로 이주했다.1630년경 그는 필리페 4세의 궁정 화가로 임명되었으며, 어느 날 국왕이 그의 어깨에 손을 얹고 "왕의 화가이자, 화가들의 왕"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634년에는 마드리드의 부엔 레티로 궁전 "왕국들의 방" 장식이라는 대작을 의뢰받았다. 여기에는 동시대의 거장 벨라스케스의 도움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1638년~1639년에는 과달루페 왕립 수도원 성구실 장식에 참여했으며, 이 무렵이 수르바란의 전성기였다.
1640년대에 들어 수르바란의 인기는 급속도로 쇠퇴했다. 이 무렵 스페인 화단에서는 감미롭고 감상적인 마리아상 등을 그려 인기를 얻었던 무리요가 널리 유행했고, 엄격한 양식의 수르바란의 그림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졌다.[6] 또한, 이 무렵 세비야 자체가 독점 무역권을 상실하면서 과거의 활기를 잃었다. 도시를 덮친 페스트 역병도 세비야에 타격을 입혔다.
2. 3. 인기 하락과 말년
1640년대에 들어 수르바란의 인기는 급속도로 쇠퇴했다. 이 무렵 스페인 화단에서는 감미롭고 감상적인 마리아상 등을 그려 인기를 얻었던 무리요가 널리 유행했고, 엄격한 양식의 수르바란의 그림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졌다.[6] 이 무렵 세비야는 독점 무역권을 상실하면서 과거의 활기를 잃었고, 도시를 덮친 페스트 역병도 타격을 더했다.1658년, 벨라스케스를 의지하여 마드리드로 갔지만, 과거의 기량을 보여주지는 못했고, 1664년 마드리드에서 사망했다.[6]
3. 화풍
수르바란이 카라바조의 그림을 볼 기회가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작품에는 명암 대비와 테네브리즘(극적인 조명)이 유사하게 사용된다는 점만 알 수 있다. 일부 미술사가들은 그의 특징적인 엄격한 구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화가로 후안 산체스 코탄을 꼽는다.[1] 수르바란이 도제 수업을 받던 시대에는 세비야에서 다색 조각이 지역 화가들을 능가하는 수준의 정교함에 도달했는데, 이는 젊은 예술가에게 또 다른 중요한 스타일 모델을 제공했다.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네스의 작품은 특히 수르바란의 작품과 정신적으로 가깝다.[1]
그는 자연에서 직접 인물을 그렸고, 특히 능숙했던 옷 주름(드레이프) 연구에 인체 모형을 크게 활용했다. 그는 흰 드레이프에 특별한 재능이 있었고, 그 결과 그의 그림에는 흰 가운을 입은 카르투시오 수도회 수도사들이 많이 등장한다. 수르바란은 번영했던 자신의 삶 내내 이러한 엄격한 방법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삶은 스페인에 국한되었고, 일상적인 노동 이외의 사건으로 변화된 적은 거의 없었다. 그의 주제는 대부분 엄격하고 금욕적인 종교적인 경건한 모습으로, 영혼이 육체를 정복하는 모습을 그렸으며, 구성은 종종 단일 인물로 축소되었다. 수르바란의 "서사에 대한 무능력 또는 경멸"로 인해 그의 작품에 묘사된 행위는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는 해석하기 어렵다.[2] 그의 스타일은 카라바조보다 더 절제되고 엄격하며, 색조는 종종 푸른빛을 띤다. 정교하게 마무리된 전경은 명암으로 구성되어 뛰어난 효과를 얻는다.[3] 배경은 종종 특징 없고 어둡다. 수르바란은 깊이 있는 공간을 그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실내 또는 실외 배경이 표현될 때는 얕은 무대의 극장 배경을 연상시킨다.[4] 미술사가 후리안 갈레고는 수르바란의 초기 교육이 "매너리즘적 구성에 대한 취향을 남겼을 수도 있으며... 가구와 소품이 비스듬히 배치되어" 통일된 원근감이 없는 모호한 공간에 놓여 있다고 제안한다.[5] 그 결과 생긴 모순은 각 객체가 고립되어 표현되는 방식으로 큐비즘과 비교되었다.[6] 호세 카몬 아즈나르에 따르면, "수르바란은 그의 서투른 점을 우아함으로 만들어냈다".
수르바란의 후기 작품, 예를 들어 ''성 프란체스코''(알테 피나코테크)는 더 느슨한 붓놀림과 부드러운 대비에서 무릴로와 티치아노의 영향을 보여준다.
4. 대표작
Francisco de Zurbaránes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작품 | 제작 연도 | 소장처 |
---|---|---|
![]() | 1633년 | 노턴 사이먼 미술관 |
![]() | 1630년대 후반 | 시애틀 미술관 |
소리아의 산토 도밍고 | 1626년 | 세비야의 산타 마리아 마달레나 |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 1627년 | 시카고 미술관 |
세라피온 성인 | 1628년 | 와즈워스 애서니엄 |
성 베드로와 나타난 성 페드로 | 1629년 | 프라도 미술관 |
성 보나벤투라의 죽음 (보나벤투라의 시신과 그레고리오 10세 및 아라곤의 하이메 1세) | 1629–1630년 | 루브르 박물관 |
성 우고와 식탁의 기적 | 1630-1635년 | 세비야 미술관 |
무염시태 | 1630년 | 프라도 미술관 |
어린 성모 | 1630년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톨레도의 성 카실다 | 1630-1635년 |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 |
목동으로서의 성 마가레타 | 1631년 | 런던 내셔널 갤러리 |
카디스의 영국군 방어 | 1634년 | 프라도 미술관 |
헤라클레스와 히드라 | 1634년 | 프라도 미술관 |
법학 박사 | 1635년 |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 |
포르투갈의 성 이사벨 | 1635년경 | 프라도 미술관 |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앞의 화가로서의 성 루카 | 1635–1640년경 | 프라도 미술관 |
수태고지 | 1637–1639년 | 그르노블 미술관 |
성 루피나 | 1635–1640년경 | 아일랜드 국립 미술관 |
하느님의 어린 양 | 1635–1640년경 | 프라도 미술관 |
무덤 속의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 | 1630/34년 | 밀워키 미술관 |
나자렛 집의 그리스도와 성모 | 1631–1640년경 | 클리블랜드 미술관 |
성가족 | 1659년 | 세게미베세티 무제움 |
항아리가 있는 정물 | 1650년경 | 프라도 미술관 |
카르투시오 수도원 식당의 성 휴고 | 1655년경 | 세비야 미술관 |
성 프란체스코 | 1658–1664년경 | 알테 피나코테크 |
기도하는 어린 성모 마리아 | 1658–1664년경 | 에르미타주 미술관 |
기도하는 성 프란체스코 | 1659년 | 프라도 미술관 |
1631년, 수르바란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격화》를 제작했는데, 이는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의 대학 교회를 위해 제작된 것이다.[2] 이 작품은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여러 성인들, 샤를 5세 황제와 기사들, 그리고 디에고 데사 대주교(대학 설립자)와 수도승들과 시종들이 등장하며, 주요 인물들은 실제 크기보다 더 크게 묘사되었다.[2]
1628년에서 1634년 사이에는 세비야의 칼세드 메르세다리오 수도원을 위해 성 베드로 놀라스코의 삶을 그린 네 장면을 그렸다.[2] 과달루페 성모 마리아 교회에서는 여러 점의 대형 그림을 그렸는데, 그중 8점은 성 예로니모의 역사와 관련이 있다.[2]
1639년에는 헤레스 데 라 프론테라의 카르투시오 수도원의 높은 제단화 그림을 완성했다.[2] 또한 1630년대에 그는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을 묘사한 그림들을 의뢰받았는데, 이는 수르바란이 그린 유일한 신화 주제의 그림들로, 마드리드의 왕궁의 영광의 홀에 설치되었다.[2]
5. 평가
수르바란은 1987년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대규모 전시회의 주제였으며, 1988년 파리의 그랑팔레 국립 미술관으로 순회 전시되었다.[2] 2015년에는 마드리드의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에서 "수르바란: 새로운 관점" 전시회가 열렸다. 그의 주요 제자로는 베르나베 데 아얄라, 후안 카로 데 타비라, 폴란코 형제들, 이냐시오 데 리에스도가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wo new paintings now on display
https://www.national[...]
2021-03-18
[2]
웹사이트
Write on Art:"Saint Francis"
https://artuk.org/di[...]
2018-00-00 #날짜 정보가 연도만 존재하므로 00-00으로 처리.
[3]
웹사이트
Francisco de Zurbarán {{!}} Spanish Paint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1-07
[4]
서적
http://books.google.[...]
[5]
서적
http://books.google.[...]
[6]
간행물
수르바란과 세비야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