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 라뤼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라뤼엘은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파리 낭테르 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프랑스의 철학자이다. 그는 폴 리쾨르 등과 교류했으며, 1970년대부터 2024년 사망하기 전까지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철학적 사상을 전개했다.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다섯 시기로 구분하며, 비철학(Non-philosophy)을 주창하여 철학의 결정적 구조를 비판하고, 철학에 대한 과학으로서의 비철학을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 등으로부터 주목받았으며, 레이 브라시에 등의 소개를 통해 영미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폴 비릴리오
프랑스 철학자이자 도시 계획가인 폴 비릴리오는 '드로몰로지' 개념을 통해 기술, 전쟁, 도시 공간을 분석하고 생 베르나데트 교회 설계에 참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여러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과학 용어 오용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에밀 시오랑
에밀 시오랑은 루마니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염세주의적이고 비관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자살, 인간 소외, 역사, 문명 비판 등을 다룬 경구와 에세이를 썼다. - 허무주의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허무주의 철학자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프랑수아 라뤼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랑수아 라뤼엘 |
출생일 | 1937년 8월 22일 |
출생지 | 샤블로, 보주 |
사망일 | 2024년 10월 28일 (87세)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현대 철학 |
사조 | 대륙 철학, 비철학 |
주요 관심사 | 존재론 |
소속 기관 | 파리 제10대학교 낭테르 |
학력 | 고등사범학교 |
주요 사상 | 충족 철학률 철학적 결정 실재계 일자 일자 내의 비전 실재계 복제 |
영향 | 질 들뢰즈, 펠릭스 라베송 |
영향을 준 인물 | 레이 브라시에 질 그렐레 닉 스르니체크 카테리나 콜로조바 |
프랑수아 라뤼엘 사망 기사 | 프랑수아 라뤼엘 사망 기사 |
2. 생애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에서 철학 교수 자격과 박사 학위를 취득한 라뤼엘은 아라스, 파리, 앙강의 그랑제콜 준비반에서 강의했고, 이후 파리 낭테르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어 철학 국제 학술 프로그램 총감을 맡았다.[8] 폴 리쾨르와 가깝게 지냈으며, 1977년에는 장 뤽 낭시, 사라 코프먼, 자크 데리다, 필리프 라쿠-라바르트와의 대담집을 출간했다.[8] 1980년대에는 두 학술지('왜 철학이 아닌가?'(1983-1985), '철학적 결정'(1987-1989))를 창간, 편집했고, 1990년대에는 총서('철학적 창조', 오비에 출판사와 '비철학 총서'(1995년부터) 키메 출판사)를 발간했다.[8]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다섯 시기로 구분했다. 각 시기별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라뤼엘은 파리 낭테르 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철학 국제 학술 프로그램 전 총감이었다.[8] 그는 예술, 철학, 미학 연구 센터(EA 3459, CRéART-PHI)의 연구자였다.[8] 예술에 대한 그의 사상은 역사, 철학과 연결되어 "사상-예술 프로젝트" 또는 "비-철학", '예술의 현재'(Le Présent de l'Art : l'hypothèse fictionnaliste, Paris, Germs, 2013, sous la dir.de Ciro Giordano Bruni)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8]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다섯 시기로 나누었다: 철학 I (1971–1981), 철학 II (1981–1995), 철학 III (1995–2002), 철학 IV (2002–2008), 철학 V (2008–2024).[8] 철학 I에서 니체, 하이데거, 들뢰즈, 데리다에게서 발견되는 개념들을 전복하려 시도했다.[8] 이 초기 단계에서도 라뤼엘이 철학에 대한 초월적인 입장을 취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8] 철학 II를 통해 철학 자체에 대한 초월적 접근 방식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8] 라뤼엘이 비철학 작업을 시작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철학 III에 이르러서이다.[8]
2024년 10월 28일, 라뤼엘은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
3. 주요 저작
시기 저작 철학 Ⅰ
(1971–1981)철학 Ⅱ
(1981–1995)철학 Ⅲ
(1995–2002)철학 Ⅳ
(2002–2008)철학 Ⅴ
(2008–)
; 영문 번역된 논문3. 1. 철학 I (1971–1981)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다섯 시기로 나누었는데, 철학 I (1971–1981) 시기에는 니체, 하이데거, 들뢰즈, 데리다에게서 발견되는 개념들을 전복하려 시도했다. 이 초기 단계에서도 라뤼엘이 철학 ''에 대한'' 초월적인 입장을 취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철학 I 시기에 해당하는 라뤼엘의 저작은 다음과 같다.3. 2. 철학 II (1981–1995)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5개의 시기로 구분하는데, 철학 II (1981–1995) 시기에는 철학 자체에 대해 초월론적인 접근을 전개하려는 확고한 노력을 기울였다.
3. 3. 철학 III (1995–2002)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5개의 시기로 구분하는데, 철학 III (1995–2002) 시기에 비철학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시기에 출판된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3. 4. 철학 IV (2002–2008)
3. 5. 철학 V (2008–)
라뤼엘은 자신의 작업을 다섯 시기로 나누었는데, 철학 V (2008–)는 2008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4. 비철학 (Non-philosophy)
라뤼엘은 모든 형태의 철학이 선행하는 '결정'에 기반하여 구성되지만, 이 결정에 대해 본질적으로 무지하다고 보았다. 여기서 '결정'은 세계를 철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변증법적 분열을 의미한다. 그는 철학의 결정적 구조는 오직 비철학적으로만 파악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비철학을 철학의 과학으로 제시한다.[4]
4. 1. 비철학의 특징
라뤼엘은 모든 형태의 철학(고대 철학부터 분석 철학, 해체주의 등)이 선행적 결정에 기반하여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지만, 모든 형태의 철학은 이 결정에 대해 본질적으로 무지하다고 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결정'은 세상을 철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변증법적 분열을 의미한다. 라뤼엘은 철학의 결정적 구조는 오직 비철학적으로만 파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철학은 철학의 과학이다.[4] 라뤼엘에 따르면, 비철학은 "근본적으로 탈-인간중심적이며, 보편화되고 자동-효과적인 일련의 일반적 조건들을 향한다."[4]5. 라뤼엘 사상의 수용과 영향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는 라뤼엘을 "현대 철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6] 레이 브라시에는 2003년 라뤼엘을 "오늘날 유럽에서 활동하는 가장 중요한 무명의 철학자"라고 묘사했다.[6] 레이 브라시에가 2003년 《래디컬 철학》에서 라뤼엘을 소개한 이후, 존 오 마오일레아르카, 앤서니 폴 스미스, 로코 갱글, 카테리나 콜로조바, 알렉산더 R. 갤러웨이 등이 라뤼엘을 소개했고, 브라시에의 저서 《무한의 허무》도 출간되었다.[7]
오늘날 라뤼엘의 저작은 폴리티 북스, 에든버러 대학교 출판부, 컨티뉴엄, 팔그레이브 맥밀란,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어바노믹/시퀀스 등과 같은 출판사에서 매년 수십 권의 책이 영어로 번역 및 출판되면서 국제적으로 널리 수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rinciples of Non-Philosophy – Reviews
https://ndpr.nd.edu/[...]
[2]
웹사이트
Philosophy and Non-Philosophy – Reviews
https://ndpr.nd.edu/[...]
[3]
서적
Dictionary of Non-Philosoph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
[4]
학술지
A Biography of Ordinary Man: On Authorities and Minorities
http://www.cromrev.c[...]
2019-Spring
[5]
문서
2003
[6]
서적
What is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7]
서적
Nihil Unbound
Palgrave Macmillan
2010
[8]
웹사이트
François Laruelle
https://www.hommages[...]
2024-11-07
[9]
서적
Post-Continental Philosophy: An Outline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7
[10]
서적
The Cut of the Real: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Subjectiv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11]
웹사이트
François Laruelle
https://www.hommages[...]
2024-11-10
[12]
간행물
Axiomatic Heresy: The Non-Philosophy of Francois Laruelle
2003-09
[13]
서적
What is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14]
서적
Nihil Unbound
Palgrave Macmillan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