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훈트는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양자론, 특히 원자 및 분자의 스펙트럼 구조 연구에 기여했으며, '훈트의 경우'와 '훈트의 규칙'을 통해 분광학과 양자 화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분자 궤도 함수 이론의 기초를 다지는 데 공헌했다. 훈트는 괴팅겐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막스 플랑크 메달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백세인 - 에른스트 마이어
에른스트 마이어는 20세기 후반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조류학자로, 생물학적 종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를 거부하며 진화론적 종합에 크게 기여했고, 100세 넘는 나이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그의 업적은 다양한 생물 종의 학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는 것으로 기념되고 있다. - 독일의 백세인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한스-게오르크 가다머는 20세기 독일 철학자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을 계승하여 철학적 해석학을 정립하고, 『진리와 방법』에서 이해의 역사성과 상황성, 해석자의 선입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평 융합'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을 대화 모델로 제시, 현대 해석학과 인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스토크 대학교 동문 - 알브레히트 코셀
독일의 생화학자이자 유전학 연구의 선구자인 알브레히트 코셀은 핵산 구성 성분 발견 및 명명, 단백질 화학적 조성 연구 기여, 세포 생물학 연구 등으로 191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로스토크 대학교 동문 - 루돌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는 괴테 연구로 이름을 알린 후 인지학을 창시하여 발도르프 교육, 생물역동 농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나, 유사과학적 요소와 인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괴팅겐 대학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괴팅겐 대학교 -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 출신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 비상대론적 스핀 이론 공식화, 중성미자 존재 예측 등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융과의 협력으로 심리학과 물리학의 접점을 탐구하고 194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프리드리히 훈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리드리히 헤르만 훈트 |
출생일 | 1896년 2월 4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카를스루에 |
사망일 | 1997년 3월 31일 (101세) |
사망지 | 독일 괴팅겐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 |
분야 | 물리학 |
소속 기관 | |
근무 기관 | 괴팅겐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예나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
모교 | 마르부르크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
학력 및 지도 | |
박사 지도 교수 | 막스 보른 |
박사 제자 | 해리 레만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위르겐 슈나켄베르크 에드워드 텔러 |
업적 | |
주요 업적 | 분자 오비탈 이론 양자 화학 양자 터널링 훈트의 경우 훈트의 최대 다중도 규칙 훈트 규칙 |
수상 | |
수상 | 막스 플랑크 메달 (1943년) 오토 한 화학 및 물리학상 (1974년) |
2. 생애
프리드리히 훈트는 1896년 독일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났다. 마르부르크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학, 지리학을 공부했다.
에르빈 슈뢰딩거, 폴 디랙,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막스 보른, 발터 보테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과 함께 연구했으며, 1926년에는 닐스 보어와 함께 코펜하겐에서, 1928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1931년 수학자 인게보르크 자인셰와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다.
1943년 막스 플랑크 메달, 1971년 코테니우스 메달, 1974년 오토 한 물리·화학상 등 많은 상을 받았으며, 예나시 명예 시민이 되었다. 괴팅겐 대학교 이론물리학 연구소에는 "Friedrich-Hund-Platz 1"이라는 주소가 부여되어 있다.
1997년 카를스루에에서 10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 1. 학문적 경력
훈트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강사(1925년)로 시작하여, 로스토크 대학교(1927년), 라이프치히 대학교(1929년), 예나 대학교(1946년),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1951년) 교수를 역임했고, 1957년부터 다시 괴팅겐 대학교에서 활동했다.[2] 1926년에는 닐스 보어와 함께 코펜하겐에서 연구했고, 1928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원자에 대한 강의를 했다.[2]에르빈 슈뢰딩거, 폴 디랙,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막스 보른, 발터 보테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과 함께 연구했으며, 보른의 조교로서 띠 스펙트럼의 양자 해석, 특히 이원자 분자의 띠 스펙트럼 연구에 참여했다.
250편 이상의 논문과 에세이를 발표했다.[2] 양자 이론, 특히 원자 구조와 분자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2] 분자 궤도 함수 이론은 훈트-멀리컨 MO 이론으로도 불린다.[2] 훈트의 최대 다중도 규칙은 그의 또 다른 업적이며, 1926년에는 터널 효과를 발견했다.[2] 훈트의 경우, 즉 이원자 분자의 특정 영역 각운동량 결합과 훈트의 규칙은 원자 전자 배열을 지배하며, 분광학과 양자 화학에서 중요하다.[2] 화학에서는 첫 번째 규칙인 훈트의 최대 다중도 규칙이 특히 중요하며, 종종 단순히 훈트의 규칙으로 불린다.[2]
2. 2.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손주 |
---|---|---|
인게보르크 자인셰 (1905–1994) |
훈트는 1931년 3월 17일 바르멘에서 수학자 인게보르크 자인셰와 결혼했다.
2. 3. 말년 및 유산

훈트는 1997년 카를스루에에서 10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8] 훈트는 예나/잘레(Saale)의 명예 시민이 되었으며, 예나의 한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4년 6월, 괴팅겐의 물리학과 신축 건물 일부에 프리드리히-훈트-플라츠(Friedrich-Hund-Platz) 1번지라는 주소가 부여되었다. 괴팅겐 대학교 이론물리학 연구소에도 같은 이름이 사용되었다.
훈트의 10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프리드리히 훈트: 물리 개념의 역사』(Friedrich Hund: Geschichte der physikalischen Begriffe)가 출판되었다. 베르너 쿠첼니히(Werner Kutzelnigg)가 서평을 작성하기도 했다.[3]
훈트의 과학사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클라우스 헨트슐(Klaus Hentschel)과 레나테 토비에스(Renate Tobies)가 진행한 인터뷰에서도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4]
3. 주요 업적
훈트는 슈뢰딩거, 디랙, 하이젠베르크, 보른, 보테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과 함께 연구했으며, 특히 보른의 조교로서 이원자 분자의 띠 스펙트럼 연구에 참여했다.[2]
마르부르크와 괴팅겐에서 수학, 물리학, 지리학을 공부한 후, 괴팅겐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예나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1957년부터 다시 괴팅겐 대학교에서 활동했다. 1926년에는 코펜하겐에서 보어와 함께 연구했고, 1928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원자에 대한 강의를 했다. 그는 총 250편 이상의 논문과 에세이를 발표했으며, 양자 이론, 특히 원자 구조와 분자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2]
3. 1. 훈트의 규칙
훈트의 최대 다중도 규칙은 1926년 훈트가 발견한 또 다른 업적으로, 소위 터널 효과를 발견했다.[2]훈트의 경우는 이원자 분자의 특정 영역 각운동량 결합을 의미하며, 훈트의 규칙은 원자 전자 배열을 지배하고 분광학과 양자 화학에서 중요하다. 화학에서는 첫 번째 규칙인 훈트의 최대 다중도 규칙이 특히 중요하며, 종종 단순히 훈트의 규칙으로 불린다.
3. 2. 훈트-멀리컨 분자 궤도 함수 이론
훈트는 로버트 멀리컨(멀리컨)과 함께 분자 궤도 함수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분자 내의 전자가 특정 원자에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분자 전체에 퍼져 있는 분자 궤도를 차지한다는 개념을 제시한다. 분자 궤도 함수 이론은 분자의 결합, 에너지 준위, 스펙트럼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현대 화학의 핵심적인 이론 중 하나이다. 196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멀리컨은 훈트의 연구가 자신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하며, 훈트-멀리컨 분자 궤도 함수 이론으로 불리기도 한다.[2]3. 3. 양자 터널링 발견
1926년, 훈트는 양자 터널링 현상을 발견했다.[2]3. 4. 훈트의 경우 (이원자 분자)
훈트는 이원자 분자의 각운동량 결합에 대한 상세한 분류를 제시했는데, 이를 '훈트의 경우'라고 한다. 훈트의 경우는 분자의 회전 에너지 준위와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2] 훈트의 규칙은 원자 전자 배열을 지배하며, 분광학과 양자 화학에서 중요하다.4. 수상 경력
훈트는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많은 상을 받았다.
연도 | 상 이름 |
---|---|
1943년 | 막스 플랑크 메달 |
1971년 | 코테니우스 메달 |
1974년 | 오토 한 물리·화학상 |
[8]
또한 예나시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고, 예나 시내의 거리 이름에도 그의 이름이 새겨졌다. 괴팅겐 대학교 이론물리학 연구소에도 "Friedrich-Hund-Platz 1"이라는 주소가 부여되었다.
생전에 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5. 저서
- 1923년, 괴팅겐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매우 느린 전자에 대한 일부 귀금속 기체의 높은 투과성에 대한 해석 시도
- 1927년, 괴팅겐 대학교, 슈프링거 출판 - 선 스펙트럼과 원소의 주기율표 (자격 논문)[5][6]
- 1933년, 물리학 백과사전, 24/1권, 제2판, 561-694쪽 - 원자 및 분자 구조의 일반적인 양자 역학
- 1954년, 베를린, 슈프링거 출판 - 장(場)으로서의 물질
- 1944년-1951년, 마이어스 소형 백과사전, 라이프치히, 문헌 정보 연구소 - 이론 물리학 입문 (총 5권, 1945년, 1950/51년): 1권: 역학, 2권: 전기 및 자기 이론, 3권: 광학, 4권: 열역학, 5권: 원자 및 양자 이론
- 1956년-1957년, 슈투트가르트 토이브너 출판 - 이론 물리학 (총 3권, 초판): 1권: 역학 (제5판 1962년), 2권: 전기 및 광학 이론, 상대성 이론 (제4판 1963년), 3권: 열역학 및 양자 이론 (제3판 1966년)
- 1961년, 슈투트가르트, 토이브너 출판 - 물질 구조 이론
- 1969년, 만하임, 문헌 정보 연구소 - 물리학의 기본 개념 (제2판 1979년)
- 1967년, 양자 이론의 역사 (1975년 제2판, 1984년 제3판, 만하임, 문헌 정보 연구소; 1974년 영어 번역)[7]
- 1956년, 물리학 백과사전/Encyclopedia of Physics, 36권, 베를린, 슈프링거 출판 - 원자의 양자 역학
- 1987년, 판덴호크 운트 루프레히트 출판 - 괴팅겐 물리학의 역사 (괴팅겐 대학교 강연)
- 1968년, 물리적 개념의 역사 (1978년 제2판 (2권), 만하임, 문헌 정보 연구소, 1996년 스펙트럼 출판사): 1권: 기계적 자연관의 형성, 2권: 오늘날의 자연관으로 가는 길
- 1961년, 프리츠 보프 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우리 시대의 물리학'' (브라운슈바이크) - 회고: 괴팅겐, 코펜하겐, 라이프치히
- 프리드리히 훈트(1896-1997) 저서 목록 (약 300편)
참조
[1]
논문
Obituary: Friedrich Hund
1997-10-01
[2]
논문
The Early History of Quantum Tunneling
https://physicstoday[...]
2022-08-17
[3]
논문
Friedrich Hund and Chemistry
[4]
논문
Interview mit Friedrich Hund zum 100. Geburtstag
[5]
논문
Review: ''Linienspektren und periodisches System der Elemente'', by Friedrich Hund
https://www.ams.org/[...]
[6]
논문
Review: ''Linienspektren und periodisches System der Elemente'', by Friedrich Hund
http://adsabs.harvar[...]
[7]
논문
Review: ''The History of Quantum Theory'', by Friedrich Hund, trans. by Gordon Reece
[8]
논문
Friedrich Hund and Chemistry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