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 디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디랙은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이자 양자역학의 선구자이다. 1902년 브리스톨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루카시안 수학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양자역학, 양자 전기역학, 자기 홀극, 중력 및 끈 이론 분야에 기여했으며, 디랙 방정식, 디랙 델타 함수, 페르미-디랙 통계 등을 개발했다. 1933년 에르빈 슈뢰딩거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1984년 플로리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 디랙 - 디랙 델타 함수
    디랙 델타 함수는 원점에서 무한대 값을 갖고 그 외 지점에서 0의 값을 갖는 수학적 개념으로, 분포 또는 측도로 정의되며, 순간적인 충격이나 점 형태 현상 모델링에 활용되고 푸리에 변환, 스케일링, 평행 이동 등의 성질을 가진다.
  • 폴 디랙 - 디랙 방정식
    디랙 방정식은 폴 디랙이 도입한 스핀 1/2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상대론적 효과와 전자의 스핀을 결합하여 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하는 데 기여했으며 양자장론의 기본 방정식으로 널리 활용된다.
  • 스위스계 영국인 - 피터 보네티
    피터 보네티는 1960-70년대 첼시 FC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FA컵, 리그 컵, UEFA 컵 위너스 컵 우승에 기여하고 잉글랜드 국가대표로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 멤버였던 축구 선수이다.
  • 스위스계 영국인 - 클라라 (배우)
    영국 국적의 배우 클라라는 2002년 뮤지컬로 데뷔하여 한국에서 CF 모델과 드라마 출연을 통해 연기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구 이후 인기를 얻고 국내외에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팀 헌트
    영국의 생화학자 팀 헌트는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사이클린을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나, 2015년 성차별적 발언 논란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 교수직을 사임했다.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존 E. 워커
    존 E. 워커는 ATP 합성 효소의 기구를 밝혀 199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미토콘드리아 연구를 진행하여 결합 변화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구조를 밝혀냈다.
폴 디랙
기본 정보
이름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
출생일1902년 8월 8일
출생지잉글랜드 브리스틀
사망일1984년 10월 20일
사망지미국 플로리다주 탤러해시
국적(1902–19)
(1919–84)
로마자 표기Paul Adrien Maurice Dirac
디랙
디랙 (1933년)
학력 및 경력
출신 대학브리스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랠프 H. 파울러
박사 학위 지도 학생호미 J. 바바
하리시찬드라
데니스 시아마
프레드 호일
베람 쿠르수노글루
존 폴킹혼
전공 분야이론 물리학
수리 물리학
근무 기관케임브리지 대학교
마이애미 대학교 (플로리다주)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양자역학
학위 논문 URL양자역학
학위 논문 연도1926년
주요 업적
주요 업적디랙 방정식
디랙 델타 함수
페르미-디랙 통계
디랙의 바다
디랙 스피너
디랙 측정
브라-켓 표기법
디랙 수반
대수 가설
디랙 페르미온
디랙 끈
디랙 대수
디랙 연산자
아브라함-로런츠-디랙 힘
미완성 페르미-디랙 적분
음의 확률
상호 작용 묘사
디랙-쿨롱-브라이트 방정식
카피차-디랙 효과
수상
수상 내역노벨 물리학상 (1933)
로열 메달 (1939)
코플리 메달 (1952)
막스 플랑크 메달 (1952)
왕립 학회 펠로우(1930)
메리트 훈장 (1973)
개인 정보
배우자마르기트 위그너 (1937년 결혼)
자녀2명
종교무신론
기타
영향존 스튜어트 밀
참고케임브리지 응용수학 및 이론물리학부 디랙 페이지

2. 생애

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은 1902년 8월 8일 영국 브리스톨의 부모님 집에서 태어나[199] 비숍스턴지역에서 자랐다.[200] 그의 아버지 샤를 아드리앵 라디슬라스 디라크Charles Adrien Ladislas Dirac스위스 생모리스 출신의 이민자로 브리스톨에서 프랑스어 교사로 일했다.[41][201] 그의 어머니 플로렌스 한나 디랙Florence Hannah Dirac, 니 홀텐née Holten은 콘월 리스케드의 콘월인 감리교 가정 출신이다.[42][43][202] 그의 어머니는 브리스톨 중잉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했으며,[204]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4][203]

디랙에게는 베티Béatrice Isabelle Marguerite라는 여동생과 펠릭스Reginald Charles Félix라는 형이 있었는데,[46][47][205][206] 펠릭스는 1925년 3월에 자살했다.[48][207] 디랙은 "부모님은 몹시 괴로워하셨다. 부모님이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지 몰랐다... 부모가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지만 그때부터 저는 알았다."라고 회상했다.[49][208]

찰스 디랙과 그의 자녀들은 1919년 10월 22일에 귀화할 때까지 공식적으로 스위스 국민이었다.[50][209] 디랙의 아버지는 엄격하고 권위적이었지만,[51][210] 찰스는 자녀들이 프랑스어를 배우도록 프랑스어로만 말하도록 강요했다.[52][211] 디랙은 프랑스어로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할 수 없을 때 침묵을 지켰다.[53][212]

디랙은 처음에 비숍 로드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213] 그 다음에는 그의 아버지가 프랑스어 교사였던 남학교인 무역상회의 기술대학(Merchant Venturers' Technical College)(나중 코탐 학교(Cotham School)에서 교육을 받았다.[214] 그 학교는 캠퍼스와 교직원을 공유하는 브리스톨 대학교에 부속된 기관으로서,[215] 벽돌 쌓기, 제화 및 금속 작업, 현대 언어와 같은 기술적 주제를 강조했다.[216] 이것은 영국의 중등 교육이 여전히 고전에 전념했을 때라서 이례적이었는데, 디랙은 나중에 이에 감사를 표한 소중한 것이었다.[215]

디랙은 브리스톨 대학교 도시 장학금으로 무역상회 기술대학의 엔지니어링 교수진에게서 전기 공학을 공부했다.[217] 1921년에 학위를 마치기 직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입학시험에 응시했다. 그는 합격하여 70파운드의 장학금을 받았지만, 이것은 케임브리지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데 필요한 금액에 미치지 못했다. 그는 공학에서 퍼스트 클래스 아너스(first class honours) 공학학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후 불황의 경제 풍토에서는 엔지니어로서 일할 수 없었다. 그 대신, 그는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무료로 수학 학사를 받기 위한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는 공학 학위가 있어서 과정의 첫 해를 건너뛸 수 있었다.[218] 디랙이 최고의 수학 교사라고 불렀던 피터 프레이저Peter Fraser의 영향으로 그는 사영 기하학에 가장 관심이 있었고 그것을 민코프스키가 개발한 기하학적 버전의 상대성 이론에 적용하기 시작했다.[219]

1923년에 디랙은 다시 한번 퍼스트 클래스 아너스로 졸업하고 과학산업연구과로부터 140파운드의 장학금을 받았다.[220] 이것은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받은 70파운드의 장학금과 함께 이것은 케임브리지에서 생활하기에 충분했다. 디랙은 브리스톨에서 학생이었을 때 일찌기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관심을 추구했으며, 나중에는 랄프 파울러 교수의 지도 하에 양자 물리학의 초기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221] 1925년부터 1928년까지 그는 1851년 왕립 전시 위원회에서 1851 연구 펠로우쉽을 유지했다.[222] 그는 1926년 6월 양자 역학에 관한 첫 번째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마쳤다.[223] 그후 그는 코펜하겐괴팅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222] 1929년 봄, 그는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의 방문 교수였다.[224][225]

1937년, 디랙은 물리학자 유진 위그너의 여동생이자 이혼녀[226]인 마르기트 위그너Margit Wigner[227]와 결혼했다.[228] 디랙은 마르기트의 두 자녀인 유디트Judith와 가브리엘Gabriel을 마치 자신의 자식처럼 키웠다.[229] 폴과 마르기트 디랙은 또한 메리 엘리자베스Mary Elizabeth와 플로렌스 모니카라Florence Monica는 두 딸을 두었다.[230]

맨시Manci로 알려진 마르기트는 1934년에 고향 헝가리에서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그녀의 오빠를 방문했고 애넥스(Annex)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하던 중 "옆 테이블에서 외롭게 보이는 남자"를 만났다.[231] 디랙을 만나 그 영향을 받은 한국인 물리학자인 김영서Y. S. Kim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맨시가 우리가 존경하는 폴 디랙을 잘 돌본 것은 물리학계를 위해서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디랙은 1939년-1946년에 1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랙이 정상적인 연구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맨시가 그밖의 모든 것을 담당했기 때문이다."[231]

1963년 7월, 코펜하겐(Copenhagen)에서 폴과 맨시 디랙


디랙은 여성에게 관심이 없어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지낼 것이라고 여겨졌다.[183] 마르기트 부인이 1960년대에 조지 가모프(George Gamow)와 안톤 카프리(Anton Capri)에게 이야기한 바에 따르면, 디랙은 방문객에게 그녀를 소개할 때, "제 아내가 된 위그너의 여동생을 소개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디랙은 그의 동료들에게서 과도할 만큼 논리적이며, 과묵한 사람으로 기억되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그의 동료들은 농담 삼아 1시간에 1마디를 말한다는 "1 디랙" 단위를 정의하였다.[232] 닐스 보어가 논문을 쓰면서 디랙에게 마지막 문장을 어떻게 끝내야 할 지 모르겠다고 불평하자, 디랙은 "난 학교에서 끝에 뭐라고 쓸 지 결정하지 않은 문장은 시작하지도 말라고 배웠다네."라고 대답했다.[233] 그는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시에 대한 관심을 비판하기를: "과학의 목적은 어려운 것들을 더 간단한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시의 목적은 간단한 것들을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 둘은 양립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234]

디랙은 자신의 일기에서 대학원에 있는 동안에는 자신의 연구에만 집중하고 있었으며, 일요일에만 연구를 중지하고 혼자 산책을 즐겼다고 썼다.[235]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디랙이 1929년 학회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났을 때, 하이젠베르크는 여자들과 즐겁게 환담을 하며 춤을 추던 인기남이었지만, 디랙은 조금만 서로 말하는 것에도 고통을 느끼는 괴짜였다. 디랙은 자기 동료에게 '왜 그렇게 춤을 추나?' 하고 물었는데, 하이젠베르크는 '괜찮은 여자들과 함께 하는건 즐거운 일이라네.' 하고 대답했다. 디랙은 잠시 생각하더니, '하이젠베르크, 어떻게 여자들이 괜찮다는 걸 미리 알 수 있나?' 하고 대답했다.[236]

마르기트 디랙은 1960년대에 조지 가모프와 안톤 카프리에게 남편이 한 집 방문객에게 "이제 아내가 된 위그너의 여동생을 소개하도록 허락해 주세요."라고 했다고 말했다.[237][238]

디랙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는 그가 젊은 리처드 파인만을 학회에서 처음 만났을 때, 긴 침묵 끝에 "나는 한 방정식이 있다네. 자네도 역시 하나 있는가?"라고 했다.[239]

그가 한 학회에서 강연을 한 뒤 한 동료가 손을 들어 말하기를: "나는 칠판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방정식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긴 침묵 후, 사회자가 디랙에게 질문에 답하고 싶은지를 물었고, 디랙은 "그건 질문이 아니었고, 논평이었다."라고 대답했다.[240][241]

디랙은 또한 겸손한 성격으로도 유명했다. 그는 그가 제일 먼저 기술했던 양자역학적 연산자의 시간 변화 방정식을 "하이젠베르크 운동 방정식"이라고 불렀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반정수 스핀 입자에 대해서는 페르미-디랙 통계학, 정수 스핀 입자에 대해서는 보스-아인슈타인 통계학이라고 한다. 디랙은 만년에 강의를 하면서 항상 전자를 "페르미 통계학"이라고 불렀다. 그는 후자를 "보즈 통계학"이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로서 "대칭성"을 위해서라고 설명했다.[242]

알코올은 전혀 마시지 않았다.[184] 과학 소설(SF)을 좋아해서, "2001년 우주 여행"은 영화관에서 세 번이나 보았다고 한다.[185] 또한, 유명해지는 것을 극도로 피했다고 전해지며, 노벨상이 결정되었을 때는 유명해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수상을 거절하려고 했다. 그때,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만약 노벨상을 거절한다면, 노벨상을 받았을 때보다 훨씬 더 유명해질 것입니다"라고 설득한 결과, 마지못해 상을 받았다고 전해진다.[186]

하이젠베르크는 1927년 솔베이 회의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막스 플랑크의 종교에 관한 관점을 회고하며, 볼프강 파울리, 디랙이 그 안에 함께 있었다고 회고한다. 디랙은 대화에서 종교의 정치적인 측면을 비판하였으며, 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는 이 비판의 명확한 점을 좋아했고, 이를 나중에 디랙에게 알렸다고 한다.[243] 디랙은 종교가 현실에서 아무런 근거도 없이 잘못된 주장의 뒤죽박죽이며, 신의 바로 그 아이디어는 인간의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날, 우리가 너무나 많은 자연적 과정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또한 전능하신 신의 가정이 왜 신이 그토록 많은 불행과 불의, 부자에 의한 가난한 자에 대한 착취, 그리고 그 밖의 모든 참상을 허락하는지에 대한 그런 비생산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244] 디랙은 종교가 국가가 희망의 꿈으로 소강상태에 빠지도록 하여 국민에게 자행되고 있는 부당함을 잊게 하는 아편의 일종이며, 국가와 교회 사이의 긴밀한 동맹이 맺어진 이유라고 설명했다.[244]

하이젠베르크의 견해는 관대했다. 카톨릭 신자로 자란 파울리는 처음에는 침묵을 지켰으나 마침내 그의 의견을 묻자 "글쎄, 우리 친구 디랙은 한 종교를 가지고 있고, 그 가이드 원칙은 '신은 없고 폴 디랙은 그의 선지자이다.'이네요."라고 했고, 디랙을 비롯해 모두가 웃음을 터뜨렸다.[245][246]

인생의 말기에, 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디랙의 관점은 덜 신랄했다. 1963년 5월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 실린 기사에서, 디랙은 근본적인 물리적 법칙이 커다란 아름다움과 힘의 수학 이론의 관점에서 묘사되고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꽤 높은 수준의 수학이 필요하다는 것이 자연의 근본적인 특징 중 하나인 것 같다고 썼다. 그는 아마도 하나님은 매우 높은 위계의 수학자이고, 우주를 구성할 때 매우 진보된 수학을 사용했다고 묘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247]

1971년, 디랙은 한 학회에서 신의 존재는 과거에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248] 그는 생명의 시작은 극도로 어려울 수 있으며, 모든 행성 중에 단 한 곳에서만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생명의 시작에 적합한 물리적 조건을 10-100 정도로 어림짐작하며, 그러한 조건하에서 생명의 시작은 불가능했음이 거의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디랙은 물리적 법칙이 매우 낮은 확률로 생명을 시작하기 때문에 맹목적 우연만으로 생명의 시작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면, 반드시 신이 있을 것이라고 결론내렸다.[249] 디랙은 확실한 견해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신에 대한 질문에 과학적으로 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술했다.[249]

한편, 디랙은 철학자들이 과학과는 다른 일상 언어로 "존재"나 "우주"를 이야기하려 한다고 보았다. 그는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최고의 논객으로 이름을 날리던 비트겐슈타인을 포함한 철학자들이 양자파동함수와 불확정성 원리에 대해 엉뚱한 말만 한다고 여겨, 철학자들에 대한 불신을 넘어 혐오감을 느꼈다. 디랙은 비과학적인 일상 언어를 아무리 사용해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1984년, 디랙은 플로리다주 탈라해시에서 사망하여 탈라해시의 로즈론 묘지에 묻혔다.[167] 브리스톨의 비숍스턴에 있는 디랙의 어린 시절 집은 푸른 명판으로 기념되고 있으며,[168] 인근의 디랙 로드는 그가 브리스톨과 맺은 관계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1991년 8월 1일 그의 아버지 가족의 원산지인 스위스 생모리스의 정원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1995년 11월 13일 버링턴 그린 점판암으로 만들어지고 디랙 방정식이 새겨진 기념 표지석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공개되었다.[2][169] 웨스트민스터 사원장인 에드워드 카펜터는 처음에 디랙을 반기독교적이라고 생각하여 기념비 건립을 허가하지 않았지만, 결국 5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후 허가를 내주었다.[170]

디랙과 그의 부인의 묘비, 플로리다주 탈라해시의 로즈론 묘지. 2007년 1월 20일에 사망한 그들의 딸 메리 엘리자베스 디랙도 그들 옆에 묻혀 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있는 기념 표지석

2. 1. 초년

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은 1902년 8월 8일 영국 브리스톨의 부모님 집에서 태어나[199] 비숍스턴지역에서 자랐다.[200] 그의 아버지 샤를 아드리앵 라디슬라스 디라크Charles Adrien Ladislas Dirac스위스 생모리스 출신의 이민자로 브리스톨에서 프랑스어 교사로 일했다.[41][201] 그의 어머니 플로렌스 한나 디랙Florence Hannah Dirac, 니 홀텐née Holten은 콘월 리스케드의 콘월인 감리교 가정 출신이다.[42][43][202] 그의 어머니는 브리스톨 중잉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했으며,[204]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4][203]

디랙에게는 베티Béatrice Isabelle Marguerite라는 여동생과 펠릭스Reginald Charles Félix라는 형이 있었는데,[46][47][205][206] 펠릭스는 1925년 3월에 자살했다.[48][207] 디랙은 "부모님은 몹시 괴로워하셨다. 부모님이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지 몰랐다... 부모가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지만 그때부터 저는 알았다."라고 회상했다.[49][208]

찰스 디랙과 그의 자녀들은 1919년 10월 22일에 귀화할 때까지 공식적으로 스위스 국민이었다.[50][209] 디랙의 아버지는 엄격하고 권위적이었지만,[51][210] 찰스는 자녀들이 프랑스어를 배우도록 프랑스어로만 말하도록 강요했다.[52][211] 디랙은 프랑스어로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할 수 없을 때 침묵을 지켰다.[53][212]

2. 2. 교육

디랙은 처음에 비숍 로드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213] 그 다음에는 그의 아버지가 프랑스어 교사였던 남학교인 무역상회의 기술대학(Merchant Venturers' Technical College)(나중 코탐 학교(Cotham School)에서 교육을 받았다.[214] 그 학교는 캠퍼스와 교직원을 공유하는 브리스톨 대학교에 부속된 기관으로서,[215] 벽돌 쌓기, 제화 및 금속 작업, 현대 언어와 같은 기술적 주제를 강조했다.[216] 이것은 영국의 중등 교육이 여전히 고전에 전념했을 때라서 이례적이었는데, 디랙은 나중에 이에 감사를 표한 소중한 것이었다.[215]

디랙은 브리스톨 대학교 도시 장학금으로 무역상회 기술대학의 엔지니어링 교수진에게서 전기 공학을 공부했다.[217] 1921년에 학위를 마치기 직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입학시험에 응시했다. 그는 합격하여 70파운드의 장학금을 받았지만, 이것은 케임브리지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데 필요한 금액에 미치지 못했다. 그는 공학에서 퍼스트 클래스 아너스(first class honours) 공학학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후 불황의 경제 풍토에서는 엔지니어로서 일할 수 없었다. 그 대신, 그는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무료로 수학 학사를 받기 위한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는 공학 학위가 있어서 과정의 첫 해를 건너뛸 수 있었다.[218] 디랙이 최고의 수학 교사라고 불렀던 피터 프레이저Peter Fraser의 영향으로 그는 사영 기하학에 가장 관심이 있었고 그것을 민코프스키가 개발한 기하학적 버전의 상대성 이론에 적용하기 시작했다.[219]

1923년에 디랙은 다시 한번 퍼스트 클래스 아너스로 졸업하고 과학산업연구과로부터 140파운드의 장학금을 받았다.[220] 이것은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받은 70파운드의 장학금과 함께 이것은 케임브리지에서 생활하기에 충분했다. 디랙은 브리스톨에서 학생이었을 때 일찌기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관심을 추구했으며, 나중에는 랄프 파울러 교수의 지도 하에 양자 물리학의 초기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221] 1925년부터 1928년까지 그는 1851년 왕립 전시 위원회에서 1851 연구 펠로우쉽을 유지했다.[222] 그는 1926년 6월 양자 역학에 관한 첫 번째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마쳤다.[223] 그후 그는 코펜하겐괴팅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222] 1929년 봄, 그는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의 방문 교수였다.[224][225]

2. 3. 가족

1937년, 디랙은 물리학자 유진 위그너의 여동생이자 이혼녀[226]인 마르기트 위그너Margit Wigner[227]와 결혼했다.[228] 디랙은 마르기트의 두 자녀인 유디트Judith와 가브리엘Gabriel을 마치 자신의 자식처럼 키웠다.[229] 폴과 마르기트 디랙은 또한 메리 엘리자베스Mary Elizabeth와 플로렌스 모니카라Florence Monica는 두 딸을 두었다.[230]

맨시Manci로 알려진 마르기트는 1934년에 고향 헝가리에서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그녀의 오빠를 방문했고 애넥스(Annex)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하던 중 "옆 테이블에서 외롭게 보이는 남자"를 만났다.[231] 디랙을 만나 그 영향을 받은 한국인 물리학자인 김영서Y. S. Kim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맨시가 우리가 존경하는 폴 디랙을 잘 돌본 것은 물리학계를 위해서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디랙은 1939년-1946년에 1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랙이 정상적인 연구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맨시가 그밖의 모든 것을 담당했기 때문이다."[231]

디랙은 여성에게 관심이 없어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지낼 것이라고 여겨졌다.[183] 마르기트 부인이 1960년대에 조지 가모프(George Gamow)와 안톤 카프리(Anton Capri)에게 이야기한 바에 따르면, 디랙은 방문객에게 그녀를 소개할 때, "제 아내가 된 위그너의 여동생을 소개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1984년 플로리다주(Florida) 탈라해시(Tallahassee)에서 사망하여 같은 지역의 로즈론 묘지(Roselawn Cemetery)에 매장되었다. 2002년에 사망한 마르기트 부인도 함께 매장되어 있다.

|thumb|디랙 부부의 묘비

2. 4. 성격

디랙은 그의 동료들에게서 과도할 만큼 논리적이며, 과묵한 사람으로 기억되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그의 동료들은 농담 삼아 1시간에 1마디를 말한다는 "1 디랙" 단위를 정의하였다.[232] 닐스 보어가 논문을 쓰면서 디랙에게 마지막 문장을 어떻게 끝내야 할 지 모르겠다고 불평하자, 디랙은 "난 학교에서 끝에 뭐라고 쓸 지 결정하지 않은 문장은 시작하지도 말라고 배웠다네."라고 대답했다.[233] 그는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시에 대한 관심을 비판하기를: "과학의 목적은 어려운 것들을 더 간단한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시의 목적은 간단한 것들을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 둘은 양립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234]

디랙은 자신의 일기에서 대학원에 있는 동안에는 자신의 연구에만 집중하고 있었으며, 일요일에만 연구를 중지하고 혼자 산책을 즐겼다고 썼다.[235]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디랙이 1929년 학회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났을 때, 하이젠베르크는 여자들과 즐겁게 환담을 하며 춤을 추던 인기남이었지만, 디랙은 조금만 서로 말하는 것에도 고통을 느끼는 괴짜였다. 디랙은 자기 동료에게 '왜 그렇게 춤을 추나?' 하고 물었는데, 하이젠베르크는 '괜찮은 여자들과 함께 하는건 즐거운 일이라네.' 하고 대답했다. 디랙은 잠시 생각하더니, '하이젠베르크, 어떻게 여자들이 괜찮다는 걸 미리 알 수 있나?' 하고 대답했다.[236]

마르기트 디랙은 1960년대에 조지 가모프와 안톤 카프리에게 남편이 한 집 방문객에게 "이제 아내가 된 위그너의 여동생을 소개하도록 허락해 주세요."라고 했다고 말했다.[237][238]

디랙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는 그가 젊은 리처드 파인만을 학회에서 처음 만났을 때, 긴 침묵 끝에 "나는 한 방정식이 있다네. 자네도 역시 하나 있는가?"라고 했다.[239]

그가 한 학회에서 강연을 한 뒤 한 동료가 손을 들어 말하기를: "나는 칠판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방정식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긴 침묵 후, 사회자가 디랙에게 질문에 답하고 싶은지를 물었고, 디랙은 "그건 질문이 아니었고, 논평이었다."라고 대답했다.[240][241]

디랙은 또한 겸손한 성격으로도 유명했다. 그는 그가 제일 먼저 기술했던 양자역학적 연산자의 시간 변화 방정식을 "하이젠베르크 운동 방정식"이라고 불렀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반정수 스핀 입자에 대해서는 페르미-디랙 통계학, 정수 스핀 입자에 대해서는 보스-아인슈타인 통계학이라고 한다. 디랙은 만년에 강의를 하면서 항상 전자를 "페르미 통계학"이라고 불렀다. 그는 후자를 "보즈 통계학"이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로서 "대칭성"을 위해서라고 설명했다.[242]

알코올은 전혀 마시지 않았다.[184] 과학 소설(SF)을 좋아해서, "2001년 우주 여행"은 영화관에서 세 번이나 보았다고 한다.[185] 또한, 유명해지는 것을 극도로 피했다고 전해지며, 노벨상이 결정되었을 때는 유명해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수상을 거절하려고 했다. 그때,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만약 노벨상을 거절한다면, 노벨상을 받았을 때보다 훨씬 더 유명해질 것입니다"라고 설득한 결과, 마지못해 상을 받았다고 전해진다.[186]

1984년 플로리다주(Florida) 탈라해시(Tallahassee)에서 사망하여 같은 지역의 로즈론 묘지(Roselawn Cemetery)에 매장되었다. 2002년에 사망한 마르기트 부인도 함께 매장되어 있다.

2. 5. 종교에 대한 견해

하이젠베르크는 1927년 솔베이 회의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막스 플랑크의 종교에 관한 관점을 회고하며, 볼프강 파울리, 디랙이 그 안에 함께 있었다고 회고한다. 디랙은 대화에서 종교의 정치적인 측면을 비판하였으며, 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는 이 비판의 명확한 점을 좋아했고, 이를 나중에 디랙에게 알렸다고 한다.[243] 디랙은 종교가 현실에서 아무런 근거도 없이 잘못된 주장의 뒤죽박죽이며, 신의 바로 그 아이디어는 인간의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날, 우리가 너무나 많은 자연적 과정을 이해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또한 전능하신 신의 가정이 왜 신이 그토록 많은 불행과 불의, 부자에 의한 가난한 자에 대한 착취, 그리고 그 밖의 모든 참상을 허락하는지에 대한 그런 비생산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244] 디랙은 종교가 국가가 희망의 꿈으로 소강상태에 빠지도록 하여 국민에게 자행되고 있는 부당함을 잊게 하는 아편의 일종이며, 국가와 교회 사이의 긴밀한 동맹이 맺어진 이유라고 설명했다.[244]

하이젠베르크의 견해는 관대했다. 카톨릭 신자로 자란 파울리는 처음에는 침묵을 지켰으나 마침내 그의 의견을 묻자 "글쎄, 우리 친구 디랙은 한 종교를 가지고 있고, 그 가이드 원칙은 '신은 없고 폴 디랙은 그의 선지자이다.'이네요."라고 했고, 디랙을 비롯해 모두가 웃음을 터뜨렸다.[245][246]

인생의 말기에, 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디랙의 관점은 덜 신랄했다. 1963년 5월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 실린 기사에서, 디랙은 근본적인 물리적 법칙이 커다란 아름다움과 힘의 수학 이론의 관점에서 묘사되고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꽤 높은 수준의 수학이 필요하다는 것이 자연의 근본적인 특징 중 하나인 것 같다고 썼다. 그는 아마도 하나님은 매우 높은 위계의 수학자이고, 우주를 구성할 때 매우 진보된 수학을 사용했다고 묘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247]

1971년, 디랙은 한 학회에서 신의 존재는 과거에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248] 그는 생명의 시작은 극도로 어려울 수 있으며, 모든 행성 중에 단 한 곳에서만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생명의 시작에 적합한 물리적 조건을 10-100 정도로 어림짐작하며, 그러한 조건하에서 생명의 시작은 불가능했음이 거의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디랙은 물리적 법칙이 매우 낮은 확률로 생명을 시작하기 때문에 맹목적 우연만으로 생명의 시작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면, 반드시 신이 있을 것이라고 결론내렸다.[249] 디랙은 확실한 견해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신에 대한 질문에 과학적으로 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술했다.[249]

한편, 디랙은 철학자들이 과학과는 다른 일상 언어로 "존재"나 "우주"를 이야기하려 한다고 보았다. 그는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최고의 논객으로 이름을 날리던 비트겐슈타인을 포함한 철학자들이 양자파동함수와 불확정성 원리에 대해 엉뚱한 말만 한다고 여겨, 철학자들에 대한 불신을 넘어 혐오감을 느꼈다. 디랙은 비과학적인 일상 언어를 아무리 사용해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3. 경력

1925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양자역학 공식화를 접한 디랙은 양자역학에서의 역학 변수 간 교환자와 고전역학에서의 푸아송 괄호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였다.[250] 몇 주 후, 디랙은 이 수학적 형태가 고전 역학의 푸아송 괄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을 깨달았다.[96] E. T. 위태커의 《해석 역학》을 통해 푸아송 괄호에 대한 이해를 넓힌[97] 디랙은 교환 법칙을 따르지 않는 동역학 변수를 기반으로 한 양자 이론을 개발했다.[98]

1926년에는 에르빈 슈뢰딩거가 제안한 파동역학과 행렬역학 사이의 등가성을 슈뢰딩거와 독립적으로 증명했다. 디랙 괄호를 사용한 그의 새로운 공식화는 정준 양자화의 새롭고 명확한 방식으로 양자화 규칙을 얻을 수 있게 해주었다.[99] 이 연구로 디랙은 케임브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53]

또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는 입자의 통계역학페르미-디랙 통계엔리코 페르미와 독립적으로 고찰했다.[99] 디랙은 입자계의 파동 함수가 입자 교환에 대해 대칭(반대칭)인 것이 보스-아인슈타인 통계(페르미-디랙 통계)를 만족하는 것과 대응됨을 밝혔다. 이 통계는 반도체 전도와 같은 분야에 적용된다.[253]

1928년에는 전자의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기술하는 디랙 방정식을 고안했다. 이 방정식에서 유도되는 전자의 음의 에너지 상태에 대해 디랙의 바다라는 해석을 제안, 반입자의 존재를 예언했다. 1932년 칼 데이비드 앤더슨이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실험적으로 발견하여 반입자의 존재가 실증되었다.

디랙의 델타 함수는 초함수 이론으로 발전했고,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스피너 등 새로운 개념을 활용했다. 자기 단극자(모노폴)의 존재가 전하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고 주장했다.

1933년 양자역학에서 라그랑주량에 관한 논문을 발표, 리처드 파인만의 경로 적분 공식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111][122]

양자역학에 관한 통찰을 브라-켓 기호로 기술한 저서 『양자역학』(원제: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은 명저로 알려져 있다.

1928년, 디랙은 전자파동 함수에 대한 상대론적 운동 방정식으로 디랙 방정식을 제안했다.[256][103] 이는 볼프강 파울리의 비상대론적 스핀 시스템 연구와는 독립적으로 발견한 2×2 스핀 행렬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255][102] 디랙은 이 연구를 통해 전자의 반입자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했으며, 디랙 바다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다.[257][104] 양전자는 1932년 칼 앤더슨에 의해 관찰되었다.[257] 디랙 방정식은 또한 양자 스핀의 기원을 상대론적 현상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했다.[104]

엔리코 페르미의 1934년 베타 붕괴 이론에서 페르미온(물질)이 생성되고 파괴되어야 할 필요성은 디랙 방정식을 스핀 ħ/2를 갖는 임의의 점입자에 대한 "고전적" 장 방정식으로 재해석하게 했다. 이는 반교환자를 포함하는 양자화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1934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에 의해 (양자) 장 방정식으로 재해석된 디랙 장 방정식은 모든 기본 물질 입자(오늘날 쿼크렙톤)를 정확하게 묘사하며, 맥스웰 방정식, 양-밀스 이론, 아인슈타인 방정식만큼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하다. 디랙은 양자 전기 역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1930년대 초 진공 편광(vacuum polarisation)의 개념을 도입했다.[257] 이 연구는 줄리언 슈윙거, 리처드 파인먼, 도모나가 신이치로, 프리먼 다이슨 등 차세대 이론가들이 양자 전기역학을 공식화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디랙은 수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디랙의 델타 함수는 수학에서 초함수 이론으로 발전했고,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스피너 등 새로운 수학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론을 구성했다. 나아가, 파동 함수의 위상에 관한 고찰과 단일 전하에 대응하여 단일 자하가 있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하여, 양자역학의 틀 안에서 단극 자하를 갖는 입자, 자기 단극자(모노폴)의 기술을 고안하고, 자기 단극자의 존재가 전하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의 고찰은 수학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생각된 섬유 다발의 수학과 본질적으로 동일했다.

1931년에 디랙은 우주 내의 단일 자기 홀극(magnetic monopole)의 존재가 전하의 양자화를 설명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제안했다.[260][107] 1975년[261], 1982년[262] 및 2000년에[263][264][265] 흥미로운 결과가 자기 모노폴의 탐지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현재까지 그 존재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108] 디랙은 자기 단극자를 다룬 논문에서 물리학에서의 수학적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디랙이 생각한 소립자로서의 모노폴은 부정적이지만, 대통일 이론에서 양자장의 배치로서 모노폴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자기 단극 탐색 참조)

디랙은 중력장을 양자화하여[42][111] 양자 중력의 기초를 마련했다.[109] 1959년 린다우 회의 강연에서 중력파가 "물리적 의미"를 갖는지 논의했고,[110] 1964년에는 중력파가 잘 정의된 에너지 밀도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11] 또한, 1959년 강연에서 "중력자"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며 중력장의 에너지가 양자 단위로 나타나야 한다고 언급했다.[112][113]

디랙은 1962년 논문에서[114][115] 디랙 막과 디랙-본-인펠트 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끈 이론을 예측한 것으로 여겨진다.[116][117] 그는 역학적 제약이 있는 양자장의 일반 이론을[118][119] 개발, 이는 게이지 이론초끈 이론의 기초를 형성한다.[116][42][120]

디랙은 1932년부터 1969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루카시안 수학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267] 1937년에는 큰 수 가설에 기반한 추측적인 우주론적 모델을 제안했다.[13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가스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농축 우라늄에 대한 중요한 이론 및 실험 연구를 수행했다.[267] 그는 1941년에 분리 작업 단위(SWU)를 도입했다.[137]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원자폭탄 연구 및 제작을 위한 영국의 프로그램인 튜브 얼로이 프로젝트에도 기여했다.[138][22]

디랙의 양자 전기 역학(QED)에는 무한한 자기 에너지를 포함하는 항이 있었다. 재규격화라고 알려진 해결책이 개발되었지만, 디랙은 이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다.[139] 그는 1975년에 "이른바 '좋은 이론'은 방정식에 나타나는 무한대를 임의적인 방식으로 무시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는 상황에 매우 불만족합니다. 이것은 단지 타당한 수학이 아닙니다. 타당한 수학은 양이 작을 때 무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무한히 크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말했다.[139][268] 그가 재규격화를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그의 연구는 점점 주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토모나가 신이치로, 슈윙거 그리고 파인만은 이 방법을 마스터하여 전례 없는 정확도를 가진 QED를 만들어냈고, 노벨 물리학상 수상이라는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140]

1950년대에 더 나은 QED를 찾던 중, 폴 디랙은 그가 1949년 캐나다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약 조건에 대한 해밀토니안 이론을 개발했다.[141][142][270] 디랙은 또한 슈윙거-토모나가 방정식을 슈뢰딩거 표현으로 나타내는 문제를 해결했고,[272] 스칼라 메손 장(스핀 제로 파이온 또는 유사 스칼라 메손), 벡터 메손 장(스핀 원 로 메손), 그리고 전자기장(스핀 원 무질량 보손, 광자)에 대한 명시적인 표현을 제시했다.

제약 조건 시스템의 해밀토니안은 디랙의 많은 걸작 중 하나이다. 이는 곡선 시공간에서도 유효한 해밀토니안 이론의 강력한 일반화이다. 해밀토니안에 대한 방정식은 상태가 고려되는 표면의 각 점에 대해 g_{rs}, p^{rs}로 설명되는 6개의 자유도만 포함한다. g_{m0} (''m'' = 0, 1, 2, 3)은 g^{r0}, ( -{g^{00}} ) ^{-1/2} 변수를 통해서만 나타나며, 운동 방정식에서 임의의 계수로 나타난다.

표면 x^0 = 상수의 각 점에 대해 네 개의 제약 조건 또는 약한 방정식이 있다. 그 중 세 개 H_r는 표면에서 사차원 벡터 밀도를 형성한다. 네 번째 H_L는 표면에서 3차원 스칼라 밀도이다. ''H''L ≈ 0; ''Hr'' ≈ 0 (''r'' = 1, 2, 3)

1950년대 후반, 그는 자신이 개발한 해밀토니안 방법을 적용하여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해밀토니안 형태로 제시했고[144][145][273][274] 중력의 양자화 문제를 기술적으로 완성하고 살람과 드윗에 따르면 다른 물리학과 더 가깝게 만들었다. 1959년에는 미국 물리학회 뉴욕 회의에서 "중력장의 에너지"에 대한 초청 강연을 하기도 했다.[146][275] 1964년에는 곡선 시공간의 양자화를 포함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의 제약 조건 동역학을 다루는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런던: 아카데믹)를 출판했다. 그는 또한 1967년 ICTP/IAEA 트리에스테 현대 물리학 심포지엄에서 "중력장의 양자화"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랙이 예시바 대학교에서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양자장 이론에 대해 강연한 내용은 1966년 Belfer Graduate School of Science, Monograph Series Number, 3으로 출판되었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의 폴 디랙 흉상


1969년, 디랙은 나이(67세)로 인해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직에서 은퇴해야 했다.[147] 은퇴 전에 그는 마이애미 대학교(University of Miami) 코럴 게이블스의 새로 설립된 이론 연구 센터(Center for Theoretical Studies)의 방문 교수직을 제안받았고 이를 수락했다.[148] 1970년 9월에는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탈라해시의 방문 교수직도 수락하여 가족과 함께 탈라해시로 이주했다. 그는 1972년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정교수직을 수락했다.[92][149]

디랙은 생애 마지막 12년 동안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에 관한 단편집을 포함하여 6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152] 그의 마지막 논문(1984년) "양자장 이론의 불충분성"에는 양자장 이론에 대한 그의 최종 판단이 담겨 있다. "이러한 재규격화 규칙은 놀랍도록 지나치게 실험과 잘 일치한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따라서 이러한 작동 규칙이 정확하다고 말한다. 나는 그것이 적절한 이유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결과가 우연히 관측과 일치한다고 해서 이론이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말로 끝맺는다. "나는 이론에 도입할 해밀토니안을 찾는 데 수년을 보냈지만 아직 찾지 못했다. 나는 할 수 있는 한 계속 연구할 것이며, 다른 사람들도 그러한 방향으로 따라올 것이라고 희망한다."[153][279]

1975년 디랙은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5회에 걸친 강연을 했고, 이후 이 강연 내용은 "물리학의 방향"(1978년)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이 책의 인세를 디랙 강연 시리즈 설립을 위해 대학교에 기증했다. 이론 물리학 발전을 위한 실버 디랙 메달(Silver Dirac Medal for the Advancement of Theoretical Physics)은 이 강연을 기념하기 위해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수여된다.[154]

1927년 브뤼셀에서 열린 솔베이 회의. 당대 최고의 물리학자들이 모였다. 디랙은 가운데 줄의 중앙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뒤에 앉아 있다.


1942년 더블린 고등연구소에서 디랙(앞줄 왼쪽에서 세 번째), 에이먼 드 발레라(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 에르빈 슈뢰딩거(앞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

3. 1. 양자 이론

1925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양자역학 공식화를 접한 디랙은 양자역학에서의 역학 변수 간 교환자와 고전역학에서의 푸아송 괄호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였다.[250] 랄프 파울러는 하이젠베르크의 논문을 디랙에게 보냈고, 디랙은 이 논문에서 하이젠베르크가 설정한 수학적 관계에 주목했다.[96] 몇 주 후, 디랙은 이 수학적 형태가 고전 역학의 푸아송 괄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을 깨달았다.[96] E. T. 위태커의 《해석 역학》을 통해 푸아송 괄호에 대한 이해를 넓힌[97] 디랙은 교환 법칙을 따르지 않는 동역학 변수를 기반으로 한 양자 이론을 개발했다.[98]

1926년에는 에르빈 슈뢰딩거가 제안한 파동역학과 행렬역학 사이의 등가성을 슈뢰딩거와 독립적으로 증명했다. 디랙 괄호를 사용한 그의 새로운 공식화는 정준 양자화의 새롭고 명확한 방식으로 양자화 규칙을 얻을 수 있게 해주었다.[99] 이 연구로 디랙은 케임브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53]

또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는 입자의 통계역학페르미-디랙 통계엔리코 페르미와 독립적으로 고찰했다.[99] 디랙은 입자계의 파동 함수가 입자 교환에 대해 대칭(반대칭)인 것이 보스-아인슈타인 통계(페르미-디랙 통계)를 만족하는 것과 대응됨을 밝혔다. 이 통계는 반도체 전도와 같은 분야에 적용된다.[253]

1928년에는 전자의 상대론적 양자역학을 기술하는 디랙 방정식을 고안했다. 이 방정식에서 유도되는 전자의 음의 에너지 상태에 대해 디랙의 바다라는 해석을 제안, 반입자의 존재를 예언했다. 1932년 칼 데이비드 앤더슨이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실험적으로 발견하여 반입자의 존재가 실증되었다.

디랙의 델타 함수는 초함수 이론으로 발전했고,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스피너 등 새로운 개념을 활용했다. 자기 단극자(모노폴)의 존재가 전하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고 주장했다.

1933년 양자역학에서 라그랑주량에 관한 논문을 발표, 리처드 파인만의 경로 적분 공식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111][122]

양자역학에 관한 통찰을 브라-켓 기호로 기술한 저서 『양자역학』(원제: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은 명저로 알려져 있다.

3. 2. 디랙 방정식

1928년, 디랙은 전자파동 함수에 대한 상대론적 운동 방정식으로 디랙 방정식을 제안했다.[256][103] 이는 볼프강 파울리의 비상대론적 스핀 시스템 연구와는 독립적으로 발견한 2×2 스핀 행렬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255][102] 디랙은 이 연구를 통해 전자의 반입자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했으며, 디랙 바다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다.[257][104] 양전자는 1932년 칼 앤더슨에 의해 관찰되었다.[257] 디랙 방정식은 또한 양자 스핀의 기원을 상대론적 현상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했다.[104]

엔리코 페르미의 1934년 베타 붕괴 이론에서 페르미온(물질)이 생성되고 파괴되어야 할 필요성은 디랙 방정식을 스핀 ħ/2를 갖는 임의의 점입자에 대한 "고전적" 장 방정식으로 재해석하게 했다. 이는 반교환자를 포함하는 양자화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1934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에 의해 (양자) 장 방정식으로 재해석된 디랙 장 방정식은 모든 기본 물질 입자(오늘날 쿼크렙톤)를 정확하게 묘사하며, 맥스웰 방정식, 양-밀스 이론, 아인슈타인 방정식만큼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하다. 디랙은 양자 전기 역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1930년대 초 진공 편광(vacuum polarisation)의 개념을 도입했다.[257] 이 연구는 줄리언 슈윙거, 리처드 파인먼, 도모나가 신이치로, 프리먼 다이슨 등 차세대 이론가들이 양자 전기역학을 공식화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디랙은 수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디랙의 델타 함수는 수학에서 초함수 이론으로 발전했고,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스피너 등 새로운 수학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론을 구성했다. 나아가, 파동 함수의 위상에 관한 고찰과 단일 전하에 대응하여 단일 자하가 있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하여, 양자역학의 틀 안에서 단극 자하를 갖는 입자, 자기 단극자(모노폴)의 기술을 고안하고, 자기 단극자의 존재가 전하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의 고찰은 수학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생각된 섬유 다발의 수학과 본질적으로 동일했다.

3. 3. 자기 홀극

1931년에 디랙은 우주 내의 단일 자기 홀극(magnetic monopole)의 존재가 전하의 양자화를 설명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제안했다.[260][107] 1975년[261], 1982년[262] 및 2000년에[263][264][265] 흥미로운 결과가 자기 모노폴의 탐지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현재까지 그 존재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108] 디랙은 자기 단극자를 다룬 논문에서 물리학에서의 수학적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디랙이 생각한 소립자로서의 모노폴은 부정적이지만, 대통일 이론에서 양자장의 배치로서 모노폴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자기 단극 탐색 참조)

3. 4. 중력 및 끈 이론

디랙은 중력장을 양자화하여[42][111] 양자 중력의 기초를 마련했다.[109] 1959년 린다우 회의 강연에서 중력파가 "물리적 의미"를 갖는지 논의했고,[110] 1964년에는 중력파가 잘 정의된 에너지 밀도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11] 또한, 1959년 강연에서 "중력자"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며 중력장의 에너지가 양자 단위로 나타나야 한다고 언급했다.[112][113]

디랙은 1962년 논문에서[114][115] 디랙 막과 디랙-본-인펠트 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끈 이론을 예측한 것으로 여겨진다.[116][117] 그는 역학적 제약이 있는 양자장의 일반 이론을[118][119] 개발, 이는 게이지 이론초끈 이론의 기초를 형성한다.[116][42][120]

3. 5. 케임브리지 대학교 및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디랙은 1932년부터 1969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루카시안 수학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267] 1937년에는 큰 수 가설에 기반한 추측적인 우주론적 모델을 제안했다.[13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가스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농축 우라늄에 대한 중요한 이론 및 실험 연구를 수행했다.[267] 그는 1941년에 분리 작업 단위(SWU)를 도입했다.[137]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원자폭탄 연구 및 제작을 위한 영국의 프로그램인 튜브 얼로이 프로젝트에도 기여했다.[138][22]

디랙의 양자 전기 역학(QED)에는 무한한 자기 에너지를 포함하는 항이 있었다. 재규격화라고 알려진 해결책이 개발되었지만, 디랙은 이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았다.[139] 그는 1975년에 "이른바 '좋은 이론'은 방정식에 나타나는 무한대를 임의적인 방식으로 무시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는 상황에 매우 불만족합니다. 이것은 단지 타당한 수학이 아닙니다. 타당한 수학은 양이 작을 때 무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무한히 크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말했다.[139][268] 그가 재규격화를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그의 연구는 점점 주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토모나가 신이치로, 슈윙거 그리고 파인만은 이 방법을 마스터하여 전례 없는 정확도를 가진 QED를 만들어냈고, 노벨 물리학상 수상이라는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140]

1950년대에 더 나은 QED를 찾던 중, 폴 디랙은 그가 1949년 캐나다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약 조건에 대한 해밀토니안 이론을 개발했다.[141][142][270] 디랙은 또한 슈윙거-토모나가 방정식을 슈뢰딩거 표현으로 나타내는 문제를 해결했고,[272] 스칼라 메손 장(스핀 제로 파이온 또는 유사 스칼라 메손), 벡터 메손 장(스핀 원 로 메손), 그리고 전자기장(스핀 원 무질량 보손, 광자)에 대한 명시적인 표현을 제시했다.

제약 조건 시스템의 해밀토니안은 디랙의 많은 걸작 중 하나이다. 이는 곡선 시공간에서도 유효한 해밀토니안 이론의 강력한 일반화이다. 해밀토니안에 대한 방정식은 상태가 고려되는 표면의 각 점에 대해 g_{rs}, p^{rs}로 설명되는 6개의 자유도만 포함한다. g_{m0} (''m'' = 0, 1, 2, 3)은 g^{r0}, ( -{g^{00}} ) ^{-1/2} 변수를 통해서만 나타나며, 운동 방정식에서 임의의 계수로 나타난다.

표면 x^0 = 상수의 각 점에 대해 네 개의 제약 조건 또는 약한 방정식이 있다. 그 중 세 개 H_r는 표면에서 사차원 벡터 밀도를 형성한다. 네 번째 H_L는 표면에서 3차원 스칼라 밀도이다. ''H''L ≈ 0; ''Hr'' ≈ 0 (''r'' = 1, 2, 3)

1950년대 후반, 그는 자신이 개발한 해밀토니안 방법을 적용하여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해밀토니안 형태로 제시했고[144][145][273][274] 중력의 양자화 문제를 기술적으로 완성하고 살람과 드윗에 따르면 다른 물리학과 더 가깝게 만들었다. 1959년에는 미국 물리학회 뉴욕 회의에서 "중력장의 에너지"에 대한 초청 강연을 하기도 했다.[146][275] 1964년에는 곡선 시공간의 양자화를 포함한 비선형 동역학 시스템의 제약 조건 동역학을 다루는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런던: 아카데믹)를 출판했다. 그는 또한 1967년 ICTP/IAEA 트리에스테 현대 물리학 심포지엄에서 "중력장의 양자화"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디랙이 예시바 대학교에서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양자장 이론에 대해 강연한 내용은 1966년 Belfer Graduate School of Science, Monograph Series Number, 3으로 출판되었다.

1969년, 디랙은 나이(67세)로 인해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직에서 은퇴해야 했다.[147] 은퇴 전에 그는 마이애미 대학교(University of Miami) 코럴 게이블스의 새로 설립된 이론 연구 센터(Center for Theoretical Studies)의 방문 교수직을 제안받았고 이를 수락했다.[148] 1970년 9월에는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탈라해시의 방문 교수직도 수락하여 가족과 함께 탈라해시로 이주했다. 그는 1972년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정교수직을 수락했다.[92][149]

탈라해시에서 보낸 그의 시간에 대한 당시 기록들은 그가 여름 더위를 힘들어하고 케임브리지로 피신하는 것을 좋아했던 것을 제외하면 행복했다고 묘사한다.[150] 그는 매일 1마일 정도 걸어서 출근했고 근처 두 호수(실버 레이크와 로스트 레이크)에서 수영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주로 집에서 일하고 강의와 세미나를 하는 것 외에는 집에서 일했던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때보다 더 사교적이었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는 보통 동료들과 점심을 먹은 후 낮잠을 잤다.[151]

디랙은 생애 마지막 12년 동안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에 관한 단편집을 포함하여 6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152] 그의 마지막 논문(1984년) "양자장 이론의 불충분성"에는 양자장 이론에 대한 그의 최종 판단이 담겨 있다. "이러한 재규격화 규칙은 놀랍도록 지나치게 실험과 잘 일치한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따라서 이러한 작동 규칙이 정확하다고 말한다. 나는 그것이 적절한 이유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결과가 우연히 관측과 일치한다고 해서 이론이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말로 끝맺는다. "나는 이론에 도입할 해밀토니안을 찾는 데 수년을 보냈지만 아직 찾지 못했다. 나는 할 수 있는 한 계속 연구할 것이며, 다른 사람들도 그러한 방향으로 따라올 것이라고 희망한다."[153][279]

1975년 디랙은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5회에 걸친 강연을 했고, 이후 이 강연 내용은 "물리학의 방향"(1978년)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이 책의 인세를 디랙 강연 시리즈 설립을 위해 대학교에 기증했다. 이론 물리학 발전을 위한 실버 디랙 메달(Silver Dirac Medal for the Advancement of Theoretical Physics)은 이 강연을 기념하기 위해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수여된다.[154]

4. 유산

폴 디랙의 사망 직후, 여러 기관에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상과 기념 사업을 시작했다. 1975년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진행한 5개의 강의는 《물리학의 방향(Directions in Physics)》(1978)으로 출판되었으며, 그는 이 책의 로열티를 기부하여 이론물리학의 발전을 위한 은 디랙 매달이 제정되도록 했다.[294]

영국의 물리학 연구소(Institute of Physics)는 "이론(수학 및 계산 포함) 물리학에 대한 탁월한 공헌"에 대해 폴 디랙 메달을 수여한다.[295][171] 첫 수상자는 스티븐 호킹(1987), 존 스튜어트 벨(1988), 로저 펜로즈(1989)였다. 국제 이론 물리 센터(ICTP)는 매년 디랙의 생일(8월 8일)에 ICTP의 디랙 메달을 수여한다.[296][172]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의 디랙-헬만 상은 1997년에 FSU 연구원들의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하기 위해 제정되었다.[297][173] 1989년 12월에 문을 연[298][174]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의 폴 A. M. 디랙 과학 도서관은[299][175]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논문이 보관되어 있다.[299][175] 도서관 외부에는 가브리엘라 볼로바스Gabriella Bollobás에 의한 그의 동상이 있다.[300][176]

플로리다주 탤러해시의 이노베이션 파크에 있는 국립 고자기장 시험소가 위치한 거리는 폴 디랙 드라이브(Paul Dirac Drive)로 명명됐다. 그의 고향인 브리스톨뿐만 아니라 옥스포드셔(Oxfordshire)의 디드코트(Didcot)에도 그의 이름을 딴 도로인 디랙 플레이스(Dirac Place)가 있다.[301][177]

BBC는 그의 기리기 위하여 한 영상 코덱을, 디랙이라고 명명했다. 1983년에 발견된 소행성은 디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02][179] 고급 컴퓨팅을 활용한 분산 연구(The Distributed Research utilising Advanced Computing) DiRAC와 디랙 소프트웨어(Dirac (software))은 그의 명예를 기리어 명명되었다.

5. 수상

디랙은 "새로운 생산적 형태의 원자 이론을 발견한 공로"로 에르빈 슈뢰딩거와 함께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97][2] 1939년에는 로열 메달을, 1952년에는 코플리 메달막스 플랑크 메달을 모두 수여받았다. 1930년에 왕립학회의 펠로우로 선출되었고,[195][159][41] 1938년 미국철학학회 회원,[284][160] 1948년에 미국 물리학회의 명예 펠로우, 1949년 미국국립과학원 회원,[285][161] 1950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286][162] 1971년 물리학 연구소 명예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1969년에 개최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을 받았다.[287][288][163][164] 디랙은 1973년 메리트 훈장의 멤버가 되었고, 이전에는 자신의 첫째 이름이 불리는 것을 원하지 않아서 기사 작위를 거절했다.[236][289][77][165]

6. 저서


  •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1930): 이 책은 디랙 자신이 크게 발전시킨 현대 형식주의를 이용한 양자역학의 개념을 요약하고 있다. 책 말미에 그는 또한 자신이 개척한 전자의 상대론적 이론(디랙 방정식)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 저술은 당시 양자역학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저작물을 참조하지 않는다.
  •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 (1966): 이 책의 대부분은 구부러진 시공간의 양자역학을 다룬다.
  • ''Lectures on Quantum Field Theory'' (1966): 이 책은 해밀턴 형식주의를 이용한 양자장론의 기초를 제시한다.
  • ''Spinors in Hilbert Space'' (1974): 미국 플로리다주 코럴게이블스(Coral Gables)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1969년 주어진 강의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실제 힐베르트 공간 형식주의를 시작으로 스피너의 기본적 측면을 다룬다. 디랙은 "페르미온 변수의 수가 무한하다면 페르미온 변수만으로 시작하는 이론에서 자동으로 나타나는 보손 변수를 가지고 있다. 전자와 연결된 이러한 보손 변수가 있어야만 한다..."라는 예언적인 말로 결론을 맺는다.
  •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1975): 이 69페이지 저술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을 요약한다.
  • '''양자역학의 원리''' (1930): 이 책은 디랙 자신이 크게 발전시킨 현대적인 형식주의를 사용하여 양자역학의 아이디어를 요약하고 있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그가 개척한 상대론적 전자 이론( 디랙 방정식)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 저술은 당시에 이용 가능했던 다른 양자역학 관련 저술들을 참조하지 않는다.
  • '''양자역학 강의''' (1966): 이 책의 상당 부분은 곡면 시공간에서의 양자역학을 다룬다.
  • '''양자장 이론 강의''' (1966): 이 책은 해밀토니안 형식주의를 사용하여 양자장 이론의 기초를 세운다.
  • '''힐베르트 공간에서의 스피너''' (1974): 1969년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행한 강의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실수 힐베르트 공간 형식주의로 시작하여 스피너의 기본적인 측면을 다룬다. 디랙은 "우리는 페르미온 변수의 수가 무한하다면, 오직 페르미온 변수로만 시작하는 이론에서 보손 변수가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자와 관련된 그러한 보손 변수가 존재해야만 한다..."라는 예언적인 말로 결론을 맺는다.
  • '''일반 상대성 이론''' (1975): 이 69페이지 분량의 저술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요약한다.
  • 『일반상대성이론』(江沢洋 역), 도쿄도서, 1977년 1월. 신판 1985년 12월. ISBN 4-489-00154-1.
  • 『일반상대성이론』(江沢洋 역), 치쿠마쇼보 〈치쿠마가쿠게이문고〉, 2005년 12월. ISBN 4-480-08950-0.
  • 『현대물리학강의』(有馬朗人, 松瀬丈浩 공역), 배풍관, 1985년 9월. ISBN 4-563-02167-9.
  • 『디랙 현대물리학강의』(岡村浩 역), 치쿠마쇼보 〈치쿠마가쿠게이문고〉, 2008년 2월. ISBN 978-4-480-09132-1.
  • 『힐베르트 공간의 스피놀』(喜多秀次 역), 요시오카쇼텐 〈물리학총서 52〉, 1986년 10월. ISBN 4-8427-0182-X. ISBN 4-8427-0000-9 (set).
  • 『양자역학』(仁科芳雄 외 역), 이와나미쇼텐, 1936년.
  • 『양자역학』(朝永振一郎 외 공역), 이와나미쇼텐, 1954년.
  • 『양자역학 제4판』공역, 이와나미쇼텐, 1968년. ISBN 4-00-006123-2.
  • 『양자역학 제4판 개정판』공역, 이와나미쇼텐, 2017년. ISBN 9784000061513.

참조

[1] 논문 On cosmic radiation and the creation and annihilation of positrons and electrons https://www.reposito[...] University of Cambridge
[2] 웹사이트 Harish-Chandra http://mathshistory.[...]
[3] 서적 The Role of Gravitation in Physics: Report from the 1957 Chapel Hill Conference Edition Open Access
[4] 논문 Contributions to quantum field theory http://idiscover.lib[...] University of Cambridge
[5] 서적 The Scientific 100: A Ranking of the Most Influential Scientists, Past and Present https://archive.org/[...] Carol Publishing Group
[6] 서적 Images of Twentieth Century Physics https://books.google[...] Jawaharlal Nehru Centre for Advanced Scientific Research
[7] 서적 Pauli and the Spin-Statistics Theorem https://archive.org/[...] World Scientific Publishing
[8] 학술지 How Dirac's Seminal Contributions Pave the Way for Comprehending Nature's Deeper Designs 2022
[9] 서적 Physical Chemistry: Multidisciplinary Applications in Society https://books.google[...] Elsevier
[10] 웹사이트 Dr. Strange https://www.american[...] 2017-02-06
[11] 웹사이트 Quantum Field Theory > The History of QFT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2023-10-22
[12] 웹사이트 Discovering the positron https://timeline.web[...] 2023-10-23
[13] 웹사이트 Paul Dirac: the purest soul in physics https://physicsworld[...] 2023-10-16
[14] 웹사이트 Dirac, Einstein and physics https://physicsworld[...] 2023-10-22
[15] 학술지 Quantised singularities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https://royalsociety[...] 1931
[16] 학술지 P. A. M. Dirac and the discovery of quantum mechanics https://pubs.aip.org[...] 2011
[17] 간행물 Paul Dirac and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https://mprl-series.[...]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2023-10-23
[1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3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2013-04-04
[19] 웹사이트 Paul Dirac: The Mozart of Science https://www.ias.edu/[...] 2024-05-08
[20] 학술지 Paul A. M. Dirac's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https://faculty.wash[...] 2006
[21] 웹사이트 Tube Alloys directorate (act. 1941–1945) https://www.oxforddn[...] 2023-10-25
[22] 논문 Paul Dirac: The Atomic Centrifuge and the Tube Alloys Project https://diginole.lib[...] Florida State University 2020
[23] 웹사이트 Anti-matter and madness https://amp.theguard[...] 2023-10-24
[24] 학술지 Gas Centrifuge Theory and Development: A Review of U.S. Programs 2009-06-26
[25] 학술지 Remembrances of Dirac https://pubs.aip.org[...] 2010
[26] 서적
[27] 학술지 A new basis for cosmology https://royalsociety[...] 1938-04-05
[28] 학술지 Paul Dirac and the Magic of Large Numbers https://academic.oup[...] 2014
[29] 학술지 Dirac's large number hypothesis: A journey from concept to implication https://www.worldsci[...] 2019
[30] 학술지 The large numbers hypothesis in cosmology https://www.worldsci[...] WORLD SCIENTIFIC 2022
[31] 학술지 The Born–Infeld vortices induced from a generalized Higgs mechanism 2016-04-01
[32] 웹사이트 Biographical and Research Highlights https://www.damtp.ca[...] 2024-06-21
[33] 서적
[34] 서적 The Quantum Univers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학술지 Paul Dirac: a physicist of few words 2009-05-20
[36]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The Strangest Man: The Hidden Life of Paul Dirac, Quantum Genius https://cerncourier.[...] 2023-10-22
[38] 학술지 P.A.M. Dirac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General Relativity https://www.worldsci[...] 2004
[39]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40]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41] 학술지 Paul Adrien Maurice Dirac. 8 August 1902 – 20 October 1984
[42] 웹사이트 Paul Dirac: a genius in the history of physics http://cerncourier.c[...] 2002-08-15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49]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학술지 The Suppressed Drawing: Paul Dirac's Hidden Geometry https://www.jstor.or[...] 2000
[61] 서적
[62] 서적
[63] 문서 1851 Royal Commission Archives
[64] 서적
[65]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30
[66]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s://pages.hep.wi[...]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20-09-30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harvard
[72] 웹사이트 Wigner's Sisters http://ysfine.com/di[...]
[73] harvard
[74]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3-04-04
[75] harvard https://books.google[...]
[76] harvard
[77] 뉴스 Anti-matter and madness https://www.theguard[...] 2009-02-01
[78] harvard
[79] harvard
[80] harvard
[81] 뉴스 A quantum leap into oddness https://www.theglobe[...] 2009-10-17
[82] harvard
[83] 서적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4] 서적 Niels Bohr's Times: In Physics, Philosophy, and Polit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85] harvard
[86] harvard
[87] harvard https://books.google[...]
[8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the Physicist's Picture of Nature http://blogs.scienti[...] 1963-05-00
[89] harvard
[90] harvard
[91] harvard
[92] 웹사이트 Paul Dirac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3-12-31
[93] 서적 Paul Dirac: The Man and his Work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harvard
[95] harvard
[96] harvard
[97] 저널 Whittaker's analytical dynamics: a biography https://doi.org/10.1[...] 2014-05-01
[98] 뉴스 Paul Dirac: a genius in the history of physics http://cerncourier.c[...] 2002-08-15
[99] 저널 On the Theory of Quantum Mechanics
[100]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저널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https://www.nature.c[...] 1964-07-00
[102] 서적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 저널 The Quantum Theory of the Electron 1928-02-01
[104] 노벨상강연 Theory of Electrons and Positrons https://www.nobelpri[...] 1933-12-12
[105] 저널 A New Notation for Quantum Mechanics
[106] 논문 Mathematical surprises and Dirac's formalism in quantum mechanics
[107] 논문 Quantised Singularities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108] 논문 Status of Searches for Magnetic Monopoles https://www.annualre[...] 2015-10-19
[109] 논문 Canonical Quantum Gravity https://www.imperial[...] Imperial College London 2021
[110] 뉴스 Black Holes - Topic https://mediatheque.[...] 2023-11-02
[111] 논문 A short biography of Paul A. M. Dirac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Dirac delta function http://www.tandfonli[...] 2013
[112] 서적
[113] 논문 A short biography of Paul A. M. Dirac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Dirac delta function http://www.tandfonli[...] 2013
[114] 논문 An extensible model of the electron https://royalsociety[...] 1962-06-19
[115] 웹사이트 membrane in nLab https://ncatlab.org/[...] 2024-06-19
[116] 서적
[117] 논문 Dirac in 20th century physics: a centenary assessment https://ufn.ru/en/ar[...] 2003-09-01
[118] 논문 Generalized Hamiltonian Dynamics 1950
[119] 논문 The Hamiltonian Form of Field Dynamics 1951
[120]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I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21] 논문 Some Observations on the Early History of Equilibrium Statistical Mechanics http://link.springer[...] 2003
[122] 서적 From Classical to Quantum Fields Oxford University Press
[123] 논문 A Remarkable Representation of the 3 + 2 de Sitter Group https://pubs.aip.org[...] AIP Publishing 1963
[124] 논문 DBI in the IR https://dx.doi.org/1[...] 2020
[125] 논문 Coupled oscillators, entangled oscillators, and Lorentz-covariant harmonic oscillators https://iopscience.i[...] 2005-12-01
[126] 서적 Towards Quantum Gravity Springer 2000
[127] 논문 The Electron Wave Equation in De-Sitter Space https://www.jstor.or[...] 1935
[128] 논문 Weisskopf-Wigner decay of excited oscillator states https://opg.optica.o[...] 1998-04-27
[129] 서적
[130] 논문 Classical Theory of Radiating Electrons https://royalsociety[...] 1938-08-05
[131] 논문 Stabilization of radiation reaction with vacuum polarization https://doi.org/10.1[...] 2014-04-01
[132] 서적 Fermi's Golden Rul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Oxford 2022-05-26
[133] 서적 Reviews in Fluorescence 2006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Inc. Springer e-books
[134] 서적 Useful Applications of the RHVT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1-11
[135] 서적 https://books.google[...]
[136] 간행물 Gas Centrifuge Theory and Development: A Review of US Programs https://www.research[...] 2009-06
[137] 논문 SWU for You and Me 2009-06-13
[138] 웹사이트 Tube Alloys directorate (act. 1941–1945) https://www.oxforddn[...] 2023-10-25
[139] 서적
[140] 서적
[141] 논문 Generalized Hamiltonian Dynamics https://www.cambridg[...] 1950
[142] 논문 The Hamiltonian Form of Field Dynamics https://www.cambridg[...] 1951
[143] 서적 Tributes to Dirac Adam Hilger 1987
[144] 논문 The theory of gravitation in Hamiltonian form https://royalsociety[...] 1958-08-19
[145] 논문 Fixation of Coordinates in the Hamiltonian Theory of Gravitation https://journals.aps[...] 2020-10-16
[146] 논문 Energy of the Gravitational Field https://journals.aps[...] 1959-03-20
[147] 서적 Simply Dirac https://pressbooks.p[...] Simply Charly 2016-04-29
[148] 논문 Dirac Receives Miami Center Oppenheimer Memorial Prize https://pubs.aip.org[...] 1969-04
[149] 웹사이트 How Paul Dirac's legacy brought a student from Nepal to FSU https://news.fsu.edu[...] 2024-07-29
[150] 웹사이트 Paul Dirac https://www.famoussc[...] 2021-10-13
[151] 서적 Paul Dirac: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52] 서적 Proceedings of the Dirac Centennial Symposium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3
[153] 서적 Paul Dirac: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54] 웹사이트 Dirac Medal award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3-04-04
[155] MathGenealogy
[156] MacTutor Biography
[157] 뉴스 Freeman J. Dyson (1923–2020), Scientist and Writer, Who Dreamt Among the Stars, Dies at 96 https://www.ias.edu/[...]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20-02-28
[158] 서적 Belief in God in an Age of Science
[159] 웹사이트 Nobel Bio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4-01-27
[16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16
[161] 웹사이트 Paul A. Dirac http://www.nasonline[...] 2023-05-16
[162]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s://www.amacad.o[...] 2023-05-16
[163] 서적 Winners, the blue ribbon encyclopedia of award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1982
[164] 논문 Dirac Receives Miami Center Oppenheimer Memorial Prize 1969-04
[165] harvnb
[166] 논문 Nobel laureates are almost the same as us https://www.nature.c[...] 2019-04-18
[167] 웹사이트 Dirac takes his place next to Isaac Newton https://web.archive.[...] Florida State University 2013-04-04
[168] 서적 Bristol Plaques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6
[169] 웹사이트 Paul Dirac http://www.dirac.ch/[...] Gisela Dirac 2013-04-04
[170] harvnb https://books.google[...]
[171] 웹사이트 The Dirac Medal http://www.iop.org/a[...] Institute of Physics 2007-11-24
[172] 웹사이트 The Dirac Medal http://www.ictp.it/a[...] 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 2013-04-04
[173] 웹사이트 Undergraduate Awards https://web.archive.[...] Florida State University 2013-04-04
[174] 웹사이트 Remodelled Dirac Science Library Opened at FSU http://grahamfarmelo[...] Graham Farmelo 2015-10-12
[175] 웹사이트 Paul A.M. Dirac Papers http://purl.fcla.edu[...] Florida State University 2021-03-18
[176] 서적
[177] 웹사이트 Dirac Place, Didcot OX11 8TL https://www.google.c[...] Google Maps
[178] 뉴스 Bristol's Cotham school scores exam results to outshine famous alumni https://www.theguard[...] 2015-01-29
[179] 웹사이트 5997 Dirac (1983 TH)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5-01-09
[180] 서적 反物質はいかに発見されたか ディラックの業績と生涯 丸善
[181] 서적 すごい物理学講義 河出文庫
[182] 서적 量子の海、ディラックの深淵 天才物理学者の華々しき業績と寡黙なる生涯 早川書房
[183] 서적 量子の海、ディラックの深淵 天才物理学者の華々しき業績と寡黙なる生涯 早川書房
[184] 서적 量子の海、ディラックの深淵 天才物理学者の華々しき業績と寡黙なる生涯 早川書房
[185] 서적 量子の海、ディラックの深淵 天才物理学者の華々しき業績と寡黙なる生涯 早川書房
[186] 서적 The Nobel Prize: A History of Genius, Controversy, and Prestige Arcade Publishing 2001-10-03
[187] 논문 On cosmic radiation and the creation and annihilation of positrons and electrons https://www.reposito[...] University of Cambridge
[188] 웹사이트 Harish-Chandra http://mathshistory.[...]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189] 웹사이트 Paul Dirac https://mathgenealog[...]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190] 서적 The Role of Gravitation in Physics: Report from the 1957 Chapel Hill Conference Edition Open Access
[191] 논문 Contributions to quantum field theory http://idiscover.lib[...] University of Cambridge
[192] 웹사이트 Nobel Bio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4-01-27
[193] 서적
[194] 저널 Graham Farmelo. The Strangest Man: The Hidden Life of Paul Dirac, Mystic of the Atom
[195] 저널 Paul Adrien Maurice Dirac. 8 August 1902 – 20 October 1984
[196] 서적 Images of Twentieth Century Physics Jawaharlal Nehru Centre for Advanced Scientific Research
[19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3 The Nobel Foundation
[198] 서적
[199] 서적 https://books.google[...]
[200] 서적 https://books.google[...]
[201] 웹사이트 Paul Dirac: a genius in the history of physics http://cerncourier.c[...] Cern Courier 2002-08-15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https://books.google[...]
[208] 서적 https://books.google[...]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Mehra 1972
[212] 서적 Kragh 1990
[213] 서적 Farmelo 2009
[214] 서적 Farmelo 2009
[215] 서적 Mwhra 1972
[216] 서적 Farmelo 2009
[217] 서적 Farmelo 2009
[218] 서적 Farmelo 2009
[219] 웹사이트 https://galison.scho[...]
[220] 서적 Farmelo 2009
[221] 서적 Farmelo 2009
[222] 문서 1851 Royal Commission Archives
[223] 서적 Farmelo 2009
[224]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5]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s://pages.hep.wi[...] 2020-09-30
[226] 서적 Farmelo 2009
[227] 서적 Farmelo 2009
[228] 서적 Farmelo 2009
[229] 서적 Farmelo 2009
[230] 서적 Farmelo 2009
[231] 웹사이트 Wigner's Sisters https://web.archive.[...] 2008-03-03
[232] 서적 Farmelo 2009
[233]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www-history.m[...] 2013-04-04
[234] 서적 Mehra 1972
[235] 서적 Kragh 1990
[236] 뉴스 Anti-matter and madness (URL 없음) The Guardian 2009-02-01
[237] 서적 Gamow 1955
[238] 서적 Capri 2007
[239] 서적 Zee 2010
[240] 뉴스 A quantum leap into oddness The Globe and Mail 2009-10-17
[241] 서적 Farmelo 2009
[242] 서적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43] 서적 Niels Bohr's Times: In Physics, Philosophy, and Polity Clarendon Press
[244] 서적 Heisenberg 1971
[245] 서적 Heisenberg 1971
[246] 서적 Farmelo 2009
[247] 논문 The Evolution of the Physicist's Picture of Nature http://blogs.scienti[...] 1963-05-01
[248] 서적 Kragh 1990
[249] 웹사이트 폴 디랙 https://ko.wikipedia[...]
[250] 서적 Farmelo 2009
[251] 논문 Whittaker's analytical dynamics: a biography 2014-05-01
[252] 뉴스 Paul Dirac: a genius in the history of physics http://cerncourier.c[...] 2002-08-15
[253] 논문 On the Theory of Quantum Mechanics 1926-01-01
[254] 서적 Paul Adrien Maurice Dira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01-01
[255] 서적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6] 논문 The Quantum Theory of the Electron 1928-02-01
[257] 웹사이트 Paul Dirac
[258] 논문 A New Notation for Quantum Mechanics 1939-01-01
[259] 논문 Mathematical surprises and Dirac's formalism in quantum mechanics 2000-01-01
[260] 논문 Quantised Singularities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1931-01-01
[261] 논문 Evidence for Detection of a Moving Magnetic Monopole 1975-08-25
[262] 논문 First Results from a Superconductive Detector for Moving Magnetic Monopoles https://semanticscho[...] 1982-05-17
[263] 뉴스 Magnetic Monopoles Detected in a Real Magnet for the First Time https://www.scienced[...] 2009-09-04
[264] 논문 Dirac Strings and Magnetic Monopoles in Spin Ice Dy2Ti2O7 2009-09-03
[265] 논문 Measurement of the charge and current of magnetic monopoles in spin ice 2009-10-15
[266]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I World Scientific 2019-01-01
[267] 논문 Gas Centrifuge Theory and Development: A Review of US Programs 2009-06-01
[268] 서적 Kragh 1990
[269] 서적 Schweber 1994
[270] 논문 1950-01-01
[271] 논문 The Hamiltonian Form of Field Dynamics 1951-01-01
[272] 서적 Tributes to Dirac Adam Hilger 1987-01-01
[273] 논문 1958-01-01
[274] 논문 Fixation of Coordinates in the Hamiltonian Theory of Gravitation https://journals.aps[...] 1959-05-01
[275] 논문 Energy of the Gravitational Field https://journals.aps[...] 1959-03-20
[276] 웹사이트 Paul Dirac https://www.famoussc[...]
[277] 서적 Paul Dirac: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1-01
[278] 서적 Proceedings of the Dirac Centennial Symposium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3-01-01
[279] 서적 Paul Dirac: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1-01
[280] 웹사이트 Paul Dirac https://mathgenealog[...]
[281] 웹사이트 Paul Dirac https://mathshistory[...] University of St Andrews
[282] 뉴스 Freeman J. Dyson (1923–2020), Scientist and Writer, Who Dreamt Among the Stars, Dies at 96 https://www.ias.edu/[...] IAS 2020-02-28
[283] 서적 Belief in God in an Age of Science
[28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16
[285] 웹사이트 Paul A. Dirac http://www.nasonline[...] 2023-05-16
[286] 웹사이트 Paul Adrien Maurice Dirac https://www.amacad.o[...] 2023-05-16
[287] 서적 Winners, the blue ribbon encyclopedia of award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1982
[288] 간행물 Dirac Receives Miami Center Oppenheimer Memorial Prize https://doi.org/10.1[...] 1969-04-01
[289] 문서 Farmelo 2009
[290] 웹사이트 Dirac takes his place next to Isaac Newton https://web.archive.[...] 1997-04-27
[291] 서적 Bristol Plaques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6
[292] 웹사이트 Paul Dirac http://www.dirac.ch/[...] 2013-04-04
[293] 문서 Farmelo 2009
[294] 웹사이트 Dirac Medal awards https://web.archive.[...] 2013-04-12
[295] 웹사이트 The Dirac Medal http://www.iop.org/a[...] 2007-11-24
[296] 웹사이트 The Dirac Medal http://www.ictp.it/a[...] 2013-04-04
[297] 웹사이트 Undergraduate Awards https://web.archive.[...] 2013-04-12
[298] 웹사이트 Remodelled Dirac Science Library Opened at FSU http://grahamfarmelo[...] 2015-02-22
[299] 웹사이트 Paul A.M. Dirac Papers http://purl.fcla.edu[...] 2021-03-18
[300] 문서 Farmelo 2009
[301] 웹사이트 Dirac Place, Didcot OX11 8TL https://goo.gl/maps/[...]
[302] 웹사이트 5997 Dirac (1983 TH) http://ssd.jpl.nasa.[...] 2015-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