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협주곡 16번 (모차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노 협주곡 16번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이다. 독주 피아노, 플루트 1개, 오보에 2개, 바순 2개, 트럼펫 2개, 팀파니, 현악 합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악장으로 구성된다. 각 악장은 알레그로 아사이, 안단테, 론도: 알레그로 디 몰토이며, 양쪽 끝 악장에는 모차르트가 작곡한 카덴차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 세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7번 (모차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76년 잘츠부르크에서 로드론 가문을 위해 작곡한 세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7번은 세 대의 피아노, 오보에, 호른, 현악 5부로 편성된 3악장 구성의 협주곡이며, 1779년경 두 대의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편곡 버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24번 (모차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86년에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24번 C단조, K. 491은 빈에서 작곡된 세 개의 협주곡 중 마지막 작품이자 모차르트의 몇 안 되는 단조 협주곡 중 하나로, 초연 당시 모차르트가 직접 연주하고 지휘했으며 그의 협주곡 중 가장 많은 악기가 사용되었다. - 라장조 작품 - 남아프리카의 외침
'남아프리카의 외침'은 아프리칸스어 노래로,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였으나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현재는 '주여, 아프리카를 구원하소서'와 함께 새로운 국가의 일부로 사용되며 화해와 갈등의 복잡한 역사를 상징한다. - 라장조 작품 - 엘살바도르의 국가
엘살바도르의 국가는 1879년 대통령의 주도로 작사 및 작곡되었으며, 쿠데타 시기를 제외하고 1953년 의회의 승인을 받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스페인어 가사의 곡이다.
피아노 협주곡 16번 (모차르트) | |
---|---|
작품 정보 | |
제목 | 피아노 협주곡 16번 |
부제 | No. 16 |
![]() | |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조성 | D 장조 |
쾨헬 번호 | K. 451 |
작곡 연도 | 1784년 |
헌정 | (정보 없음) |
출판 | (정보 없음) |
악장 구성 | |
악장 | 세 악장 (알레그로 아싸이, 안단테, 알레그로 디 몰토) |
악기 편성 | 피아노, 오케스트라 |
2. 악기 편성
독주 피아노, 플루트 1, 오보에 2, 바순 2, 트럼펫 2, 팀파니, 현악 합주로 구성되어, 당시 모차르트 협주곡으로는 비교적 큰 규모의 편성을 보인다.
총 3악장으로, 연주 시간은 약 23분이다. 양쪽 끝의 악장에는 모차르트 자신이 작곡한 카덴차가 남아있다.
3. 악장 구성
라장조, 4분의 4박자, 협주적 소나타 형식.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1 "}
\relative c'' {
\version "2.18.2"
\key d \major
\tempo "Allegro assai"
\time 4/4
\tempo 4 = 140
r e r fis r fis r
r g r a r a r
<<{\stemUp
r b r cis r cis r
\repeat unfold 8 {d16} \repeat unfold 4 {e16} \repeat unfold 4 {fis16}
\repeat unfold 4 {g16} \repeat unfold 4 {a16} \repeat unfold 4 {b16} \repeat unfold 4 {cis16}
d2 d,4. r16 d'16
cis8 [r16 b16] a8 [r16 g16] fis8 [r16 e] d8 [r16 cis]
b2. r8 r16 b'16
a8 [r16 g] fis8 [r16 e] d8 [r16 cis] b8 [r16 a]
}
}
사장조, 2분의 2박자(알라 브레베), 론도 형식.
<< \new Staff
\relative c'' {
\version "2.18.2"
\key g \major
\tempo "Andante"
\time 2/2
\tempo 4 = 80
d8\p ^\markup {V1} (cis d dis e dis e d)
c! (b c cis) d8. (b16) d8-. r
g, (fis g gis) a (e'4\fp d8)
cis (b a b) g!4 (fis8) r
d'8\f (cis d dis e dis e d)
c! (b c cis) d8. (b16) d8-. r
g\p ^\markup {Fl} (d'4) b16. (gis32) a8 (e'4) c!16. (a32)
d8 b16. (g32) c8 a16. (fis32) g8 r r4
}
>>
라장조, 2분의 2박자, 론도 형식.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1 "}
\relative c'' {
\version "2.18.2"
\key d \major
\tempo "RONDEAU Allegro di molto"
\time 2/4
\tempo 4 = 140
\partial 8 a8\p d4. fis8 a4. fis8
e-. e-. fis16 (e dis e)
cis8-. cis-. d!16 (cis b cis)
d8-! d4 (fis8)
a8-! a4 (fis8)
e-! a4 (b16 gis) a4 r8 \bar ":|."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2 "} \relative c' {
\key d \major
\partial 8 r8
\set Staff.midiMinimumVolume = #0.2 \set Staff.midiMaximumVolume = #0.5
fis16\p a \repeat unfold 7 {fis16 a} \repeat unfold 8 {g16 a}
\repeat unfold 4 {fis16 a} \repeat unfold 4 {d,16 a'}
cis, e cis e cis e d b cis4 r8 \bar ":|."
}
>>
3. 1. 제1악장
알레그로(Allegro)・아사이(assai) 라장조, 4분의 4박자, 협주적 소나타 형식이다.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1 "}
\relative c'' {
\version "2.18.2"
\key d \major
\tempo "Allegro assai"
\time 4/4
\tempo 4 = 140
r e r fis r fis r
r g r a r a r
<<{\stemUp
r b r cis r cis r
\repeat unfold 8 {d16} \repeat unfold 4 {e16} \repeat unfold 4 {fis16}
\repeat unfold 4 {g16} \repeat unfold 4 {a16} \repeat unfold 4 {b16} \repeat unfold 4 {cis16}
d2 d,4. r16 d'16
cis8 [r16 b16] a8 [r16 g16] fis8 [r16 e] d8 [r16 cis]
b2. r8 r16 b'16
a8 [r16 g] fis8 [r16 e] d8 [r16 cis] b8 [r16 a]
}
}
3. 2. 제2악장
사장조 2/2박자(알라 브레베)의 론도 형식이다.
3. 3. 제3악장
론도: 알레그로(Allegro)・디(di)・몰토(molto), 라장조, 2/2박자, 론도 형식이다.
```score sound="1">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1 "}
\relative c'' {
\version "2.18.2"
\key d \major
\tempo "RONDEAU Allegro di molto"
\time 2/4
\tempo 4 = 140
\partial 8 a8\p d4. fis8 a4. fis8
e-. e-. fis16 (e dis e)
cis8-. cis-. d!16 (cis b cis)
d8-! d4 (fis8)
a8-! a4 (fis8)
e-! a4 (b16 gis) a4 r8 \bar ":|."
}
\new Staff \with { instrumentName = #"V2 "} \relative c' {
\key d \major
\partial 8 r8
\set Staff.midiMinimumVolume = #0.2 \set Staff.midiMaximumVolume = #0.5
fis16\p a \repeat unfold 7 {fis16 a} \repeat unfold 8 {g16 a}
\repeat unfold 4 {fis16 a} \repeat unfold 4 {d,16 a'}
cis, e cis e cis e d b cis4 r8 \bar ":|."
}
>>
참조
[1]
논문
'An Entirely Special Manner': Mozart's Piano Concerto No. 14 in E-flat, K.449, and the Stylistic Implications of Confrontation
2001-11-04
[2]
논문
Music Reviews
1994-12
[3]
논문
Mozart Rondo Finales with Changes of Meter and Tempo
Akadémiai Kiadó
[4]
논문
The Large-Scale Formal Role of the Solo Entry Theme in the Eighteenth-Century Concerto
Duke University Press
2000-Autumn
[5]
저널
'An Entirely Special Manner': Mozart's Piano Concerto No. 14 in E-flat, K.449, and the Stylistic Implications of Confrontation
https://archive.org/[...]
2001-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