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는 네덜란드의 항해사이자 천문학자로, 1595년 네덜란드 최초의 동인도 항해에 참여하여 남반구 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했다. 그는 지도 제작자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 수학과 천문학을 배웠으며, 플란시우스의 지시로 남반구 하늘 지도를 제작했다. 항해 중 마다가스카르에서 프레데릭 데 호트만 등의 도움을 받아 천문 관측을 수행했으며, 1596년 자바 섬 인근에서 사망했다. 케이서르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플란시우스는 12개의 새로운 남반구 별자리를 발표했고, 이 별자리들은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다. 케이서르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가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 빌럼 바런츠
빌럼 바런츠는 북동 항로를 탐험하다가 노바야제믈랴에서 조난당해 사망했지만, 그의 탐험은 북극 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 페트뤼스 플란시우스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는 플랑드르 출신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 개혁파 교회 목사로서, 항해술 발전에 기여하고 남쪽 하늘 별자리 연구와 새로운 별자리 도입,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설립 기여 등 지도 제작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10648번에 그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 네덜란드의 탐험가 - 빌럼 바런츠
빌럼 바런츠는 북동 항로를 탐험하다가 노바야제믈랴에서 조난당해 사망했지만, 그의 탐험은 북극 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탐험가 - 헨드릭 브라우어르
헨드릭 브라우어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장이자 총독으로서 브라우어르 항로 개척, 일본과의 관계 개선, 아유타야 왕국과의 무역 관계 확립,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분쟁 해결 노력, 태평양 탐험 지원, 칠레 발디비아 재점령 원정 등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 인도양 탐험가 - 헨드릭 브라우어르
헨드릭 브라우어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장이자 총독으로서 브라우어르 항로 개척, 일본과의 관계 개선, 아유타야 왕국과의 무역 관계 확립,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분쟁 해결 노력, 태평양 탐험 지원, 칠레 발디비아 재점령 원정 등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 인도양 탐험가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 |
다른 이름 | 페트루스 테오도루스 |
출생 | |
출생일 | 1540년경 (추정) |
출생지 | 엠덴, 동프리지아 백국 |
사망 | |
사망일 | 1596년 9월 11일 |
사망지 | 순다 해협, 동인도 |
직업 | |
직업 | 천체 지도 제작자, 항해사 |
알려진 업적 | 남반구의 별자리 지도 제작 |
2. 탐험 및 별 관측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는 1595년 4월 2일 코르넬리스 더하우트만이 이끄는 네덜란드 최초의 동인도 항해("Eerste Schipvaart")에 수석 항해사 겸 키잡이 조장으로 참여했다.[10][11][1][2] 그는 지도 제작자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서 수학과 천문학을 배웠으며, 플란시우스는 케이서르에게 남반구 하늘의 지도를 제작하도록 지시했다.[10][11][1][2][7][8]
함대는 마다가스카르에서 신선한 물품을 조달하며 몇 달 동안 머물렀는데, 이 시기에 케이서르는 프레데릭 데 호트만과 베흐터 빌렘스조온의 도움을 받아 대부분의 천문 관측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항해 중 괴혈병과 각기병으로 많은 선원이 사망했다.[1][7]
1596년, 케이서르는 반탐에 도착하기 전 항해 중 사망했으며,[7] 1597년 8월 14일, 프레데릭 데 호트만을 포함한 생존자들이 테르셀로 돌아왔고, 항해 중 수집된 케이서르의 과학적 관측 자료는 플란시우스에게 전달되었다.[3][7]
2. 1. 초기 생애
2. 2. 동인도 항해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는 1595년 4월 2일 코르넬리스 더하우트만이 이끄는 네덜란드 함대의 수석 항해사 겸 키잡이 조장으로 텍셀을 출발하여 동인도 제국을 향한 네덜란드의 첫 항해에 참여했다.[10][11] 그는 지도 제작자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 수학과 천문학을 배웠으며, 플란시우스는 케이서르에게 남반구 하늘을 지도로 제작하도록 지시했다.[10][11]항해 도중 마다가스카르에 장기간 정박하면서, 케이서르는 프레데릭 더하우트만 등의 도움을 받아 남반구 하늘을 관측했다.[1][2] 괴혈병으로 인해 많은 선원이 사망했지만, 생존자들은 마다가스카르에서 회복과 수리를 위해 몇 달 동안 머물렀다.[1][7] 마다가스카르를 떠난 후, 배는 수마트라를 거쳐 자바의 반탐에 도착했다.[1] 무역 협상은 포르투갈 측의 선동이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악화되었고, 선원들은 순다 해협을 건너 수마트라에서 식수와 기타 물품을 구해야 했다.[1]
케이서르는 1596년 9월 13일, 자바 섬 인근에서 사망했다.[10] 1597년 8월 14일,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을 포함한 81명의 생존자가 텍셀로 돌아왔고, 항해 중에 수집된 모든 과학적 관측은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 넘겨졌다.[3]
2. 3. 별자리 관측 및 기록
케이서르는 지도 제작자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서 수학과 천문학을 배웠다. 네덜란드 동인도 원정을 주도한 플란시우스는 케이서르에게 당시 대부분 미지의 영역이었던 남반구의 하늘을 지도화하도록 지시했다.[1][2][10][11] 마다가스카르에서 선원들이 회복과 수리를 위해 몇 달 동안 섬에 머무를때, 케이서르는 프레데릭 데 호트만과 베흐터 빌렘스조온의 도움을 받아 대부분의 천문 관측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1597년 8월 14일, 프레데릭 데 호트만을 포함한 81명의 생존자가 테르셀로 돌아왔고, 항해 중에 수집된 모든 과학적 관측은 페트뤼스 플란시우스에게 넘겨졌다.[3] 케이세르와 하우트만의 관측 결과로부터 플란시우스는 현대에도 이어지는 남천의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발표했다. 별자리의 대부분은 16세기에 항해자들이 남반구에서 조우한 새로운 동물이나 사물(극락조, 카멜레온, 큰부리새, 날치)에 의해 명명되었다.[10] 이것들은 1597년 후반에 요도쿠스 혼디우스(Jodocus Hondius, 네덜란드어: 요스트 데 혼트 Joost de Hondt)가 제작한 플란시우스의 지구본에 기록되었다. 빌렘 얀스존 블라우는 이것들을 1602년에 제작한 지구본에 복사했고, 1603년에도 하우트만의 두 번째 항해 동안의 관측에 기초하여 지구본을 제작했다. 요한 바이어는 전천성도 『우라노메트리아』를 제작하면서 남천의 별자리를 플란시우스 등의 지구본에서 인용하여 "페트루스 테오도리의 성도에서"라고 명기했지만, 이 제작물들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남천의 별자리를 고안한 것이 바이어라고 오해받았다.
3. 케이서르의 별자리
탐험의 관찰을 바탕으로 페트루스 플란시우스는 1597년 말에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출판한 천구의를 제작했는데, 이 천구의는 현대 천문학자들이 확립한 표준 별자리로 받아들여진 남쪽 하늘의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보여주었다. 이 별자리들의 대다수는 16세기 탐험가들이 마주친 다양한 동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예: 극락조, 카멜레온, 투칸, 날치).[4] 빌렘 얀스존 블라우는 1602년 지구본에 이 별자리들을 복사했고, 동인도로의 두 번째 항해에서 데 호트만이 관찰한 내용을 추가하여 1603년에 새로운 지구본을 제작했다. 요한 바이어는 그의 영향력 있는 1603년 성도집인 ''우라노메트리아''에 이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포함시켰고, 그 공을 "페트루스 테오도리"(피터르 케이서르)에게 돌렸지만,[4] 이전 출판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이어는 종종 이 별자리들을 처음 소개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5]
케이서르와 하우트만의 관측 결과로부터 플란시우스는 현대에도 이어지는 남천의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발표했다. 별자리의 대부분은 16세기에 항해자들이 남반구에서 조우한 새로운 동물이나 사물(극락조, 카멜레온, 큰부리새, 날치)에 의해 명명되었다. 이것들은 1597년 후반에 요도쿠스 혼디우스(네덜란드어: 요스트 데 혼트 Joost de Hondt)가 제작한 플란시우스의 지구본에 기록되었다. 빌렘 얀스존 블라우는 이것들을 1602년에 제작한 지구본에 복사했고, 1603년에도 하우트만의 두 번째 항해 동안의 관측에 기초하여 지구본을 제작했다. 요한 바이어는 전천성도 『우라노메트리아』를 제작하면서 남천의 별자리를 플란시우스 등의 지구본에서 인용하여 "페트루스 테오도리의 성도에서"라고 명기했지만, 이 제작물들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남천의 별자리를 고안한 것이 바이어라고 오해받았다.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는 케이서르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9]
3. 1. 별자리 목록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가 도입하고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출판한 천구의에 처음으로 나타난 별자리들은 다음과 같다. 이 별자리들은 16세기 탐험가들이 마주친 새로운 동물이나 사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5] 빌렘 얀스존 블라우는 1602년 지구본에 이 별자리들을 복사했고, 요한 바이어는 그의 성도집인 ''우라노메트리아''에 이 별자리들을 포함시켰다.[4][5]이 별자리들은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페트루스 테오도리"(피터르 케이서르)의 공로로 기록되었으나, 이전 출판물에 대한 언급이 없어 바이어가 처음 소개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4][5]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는 케이서르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6][9]
3. 2. 별자리 도입의 의의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서르가 도입한 별자리들은 당시 유럽 중심의 천문학 지식을 확장하고, 남반구 하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4][5][9] 케이서르와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의 관측을 바탕으로 페트루스 플란시우스는 남쪽 하늘의 12개 새로운 별자리를 발표했는데, 이는 현대 별자리의 일부가 되었다. 이 별자리들은 극락조, 카멜레온, 큰부리새, 날치 등 16세기 탐험가들이 남반구에서 마주친 동물이나 사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5][9]이 별자리들은 1597년 말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제작한 천구의에 처음 기록되었고, 빌렘 얀스존 블라우는 1602년과 1603년에 제작한 지구본에 이 별자리들을 복사하여 넣었다. 요한 바이어는 1603년 출간한 성도집 《우라노메트리아》에 이 새로운 남쪽 별자리들을 수록하면서 그 공을 "페트루스 테오도리"(피터르 케이서르)에게 돌렸지만, 이전 출판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바이어가 이 별자리들을 처음 소개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4][5]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는 케이서르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6][9]
4. 유산 및 기념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Pietkeyser)는 케이서르를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12] 그의 업적은 현대 천문학에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4. 1. 소행성 피트케이서르
소행성 10655 피트케이서르(Pietkeyser)는 케이서르를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12]4. 2. 한국과의 관계
5.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1917-03
[2]
서적
Star Tales
http://www.ianridpat[...]
Lutterworth
1988
[3]
문서
Dekker 1986 p. 441
[4]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Springer
2009
[5]
웹사이트
Johann Bayer's Southern Star Chart
http://www.ianridpat[...]
2021-08-25
[6]
웹사이트
10655 Pietkeyser (9535 P-L)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2-07-12
[7]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https://articles.ads[...]
2013-05-05
[8]
서적
Star Tales.
http://www.ianridpat[...]
Lutterworth
1988
[9]
웹사이트
10655 Pietkeyser (9535 P-L)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5-05
[10]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http://articles.adsa[...]
2014-12-28
[11]
서적
Star Tales
http://www.ianridpat[...]
Lutterworth
1988
[12]
웹인용
10655 Pietkeyser (9535 P-L)
http://ssd.jpl.nasa.[...]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제트추진연구소
2014-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