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프 레나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프 레나르트는 1862년 헝가리 왕국 프레스부르크에서 태어난 독일계 물리학자이다. 음극선 연구를 통해 레나르트 창을 개발하고, 음극선이 전자의 흐름임을 밝혀냈다. 또한 광전 효과에 대한 실험을 진행, 빛의 파장과 전자의 에너지 관계를 규명했다. 레나르트는 190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나, 나치 정권 하에서 "독일 물리학" 운동을 주도하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배척하는 등 반유대주의적 행보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물리학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헝가리의 물리학자 - 유진 위그너
유진 위그너는 헝가리 태생의 미국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양자역학의 대칭성 이론 도입, 핵물리학 기여, 맨해튼 계획 참여 등의 공로로 196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과학철학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헝가리의 노벨상 수상자 - 커리코 커털린
커리코 커털린은 mRNA 기반 유전자 치료법과 백신 개발에 기여한 헝가리 출신 생화학자로, mRNA 면역 반응 감소 기술과 지질 나노입자 전달 기술을 개발하여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 헝가리의 노벨상 수상자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는 콜로이드 화학 연구와 초현미경 개발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출신 화학자로, 특히 유리 착색 연구와 금 하이드로졸 연구를 통해 콜로이드 입자의 특성을 밝히고 슬릿 초현미경을 개발하여 나노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2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필리프 레나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필리프 에두아르트 안톤 폰 레나르트 |
| 출생 | 1862년 6월 7일 |
| 출생지 | 브라티슬라바, 헝가리 왕국(1526–1867), 오스트리아 제국 |
| 사망 | 1947년 5월 20일 |
| 사망지 | 메셀하우젠(de), 미국 점령 지역, 연합군 점령하 독일 |
| 국적 | 헝가리(1862–1907), 독일(1907–1947) |
| 민족 | 헝가리계 독일인 |
| 학력 | |
| 모교 | 빈 대학교 부다페스트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 박사 지도 교수 | 로베르트 분젠 게오르크 헤르만 퀸케 |
| 박사 제자 | 에드워드 안드라데 발터 코셀 |
| 경력 | |
| 근무 기관 | 아헨 공과대학교 본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킬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
| 연구 분야 | |
| 분야 | 물리학 |
| 주요 업적 | 레나르트 창(Crookes tube#Lenard window) 음극선 도이체 피지크(Deutsche Physik) 그리드 제어(Triode#Precursor devices) 광전 효과 |
| 수상 | |
| 수상 내역 | 럼퍼드 메달(1896) 마테우치 메달(1896) 노벨 물리학상(1905) 프랭클린 메달(1932) |
| 칭호 | |
| 칭호 | 교수 |
| 기타 | |
![]() | |
2. 초기 생애와 교육
필리프 레나르트는 1862년 6월 7일 헝가리 왕국 프레스부르크(현재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포도주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4] 레나르트 가문은 17세기에 티롤에서 이주해 온 독일계였으며, 그의 부모는 독일어를 사용했다.[4]
레나르트는 1888년부터 음극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전의 음극선 연구는 금속 전극이 있는 원시적인 부분 진공 유리관에 고전압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접근과 연구가 어려웠다. 레나르트는 압력 차이를 견디면서 음극선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얇은 유리창에 작은 금속 창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하여 이 문제를 극복했다. 이 창은 '레나르트 창'으로 알려졌으며, '''레나르트 관'''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인광성 물질로 코팅된 종이 시트를 사용하여 광선을 편리하게 감지하고 그 강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10][37]
어린 시절 레나르트는 'Pozsonyi Királyi Katolikus Főgymnasium'(현재 감차)에서 공부했고, 자서전에 따르면 이 학교, 특히 교사 버질 클라트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6] 1880년 빈과 부다페스트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했다.[6] 1883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옮겨 로베르트 분젠 밑에서 공부하고, 헤르만 폰 헬름홀츠와 함께 베를린에서 한 학기를 보냈다. 게오르크 헤르만 퀸케 밑에서도 공부했으며[7] 188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8][9]
3. 물리학 연구 및 업적
레나르트는 음극선의 흡수가 음극선이 통과하는 물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또한 광선이 정상 밀도의 몇 인치의 공기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산란되는 것으로 나타나, 광선이 공기 분자보다 훨씬 작은 입자여야 함을 시사했다. 그는 조지프 존 톰슨의 연구를 확인했는데, 결국 음극선이 음전하를 띤 에너지 입자의 흐름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헬름홀츠를 따라 그것들을 전기의 양자 또는 짧게 양자라고 불렀으며, 톰슨은 입자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결국 전자가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다.[12][38]
레나르트는 크룩스관을 사용한 연구에서, 진공 중의 금속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생기는 방사선(광전 효과)이 음극선과 같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그 방사선의 에너지가 조사하는 빛의 세기와는 무관하지만,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강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37] 이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이 현상을 양자 효과로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음극선 에너지와 빛의 파장을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그 기울기는 플랑크 상수 h와 같다. 이는 수년 후 실험을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은 광전 효과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7]
레나르트는 1892년 처음으로 '레나르트 효과'(스프레이 대전 또는 폭포 효과)를 연구했다. 이 현상은 물방울이 공기역학적으로 분열될 때 전하가 분리되는 것이다.[16] 그는 빗방울의 크기와 모양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물방울을 몇 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풍동을 제작했다. 그는 큰 빗방울이 눈물 방울 모양이 아니라 햄버거 빵과 비슷한 모양임을 처음으로 발견했다.[17]
3. 1. 음극선 연구
레나르트는 물리학자로서 1888년부터 음극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전의 음극선 연구는 금속 전극이 있는 원시적인 부분 진공 유리관에 고전압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접근과 연구가 어려웠다. 레나르트는 압력 차이를 견디면서 음극선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얇은 유리창에 작은 금속 창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하여 이 문제를 극복했다. 이 창은 '레나르트 창'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레나르트 관'''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인광성 물질로 코팅된 종이 시트를 사용하여 광선을 편리하게 감지하고 그 강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10][37]
레나르트는 음극선의 흡수가 음극선이 통과하는 물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또한 광선이 정상 밀도의 몇 인치의 공기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산란되는 것으로 나타나, 광선이 공기 분자보다 훨씬 작은 입자여야 함을 시사했다. 그는 조지프 존 톰슨의 연구를 확인했는데, 결국 음극선이 음전하를 띤 에너지 입자의 흐름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헬름홀츠를 따라 그것들을 전기의 양자 또는 짧게 양자라고 불렀으며, 톰슨은 입자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결국 전자가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다.[12][38] 금속에서 광선의 흡수에 대한 그의 이전 실험과 함께, 전자가 원자의 구성 부분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은 레나르트가 원자가 대부분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정확하게 주장할 수 있게 했다. 그는 모든 원자가 빈 공간과 "다이나미드"라고 불리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다이나미드는 전자와 동일한 양의 양전하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다.
3. 2. 광전 효과 연구
레나르트는 크룩스관을 사용한 연구에서, 진공 중의 금속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생기는 방사선(광전 효과)이 음극선과 같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그 방사선의 에너지가 조사하는 빛의 세기와는 무관하지만,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강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37]
이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이 현상을 양자 효과로 설명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르면, 음극선 에너지와 빛의 파장을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그 기울기는 플랑크 상수 h와 같다. 이는 수년 후 실험을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은 광전 효과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7]
3. 3. 기상학 연구 (레나르트 효과)
레나르트는 1892년 처음으로 '레나르트 효과' ('''스프레이 대전''' 또는 '''폭포 효과''')를 연구했다. 이 현상은 물방울이 공기역학적으로 분열될 때 전하가 분리되는 것이다.[16]
그는 빗방울의 크기와 모양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물방울을 몇 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풍동을 제작했다. 그는 큰 빗방울이 눈물 방울 모양이 아니라 햄버거 빵과 비슷한 모양임을 처음으로 발견했다.[17]
4. "독일 물리학"과 나치 협력
레나르트는 "영국 물리학"이 독일의 아이디어를 훔쳤다고 맹렬히 비난했던 독일 민족주의자였다.[18][19][20] 나치 정권 하에서 그는 "독일 물리학(Deutsche Physik)"을 옹호하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포함한 "유대인 물리학"을 배척했다.[21] 그는 상대성 이론 비판을 주도하며, 나치 치하에서 아리아인 물리학의 수장이 되었다.[22]
그는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를 앙드레 마리 앙페르의 이름을 따서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며,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베버의 이름을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하이델베르크 연구소의 모든 기기 단위를 베버로 바꾸게 했다.[41] (참고로, 빌헬름 베버의 이름을 딴 "웨버"는 자속의 단위이다). 그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초기 당원이었으며, 나치 독일 시대에는 비과학적인 "독일 물리학"을 주창했다. 그는 "유대인 물리학"이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잘못된 학문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주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겨냥한 것이었다. 레나르트는 아돌프 히틀러의 과학 고문으로서, 나치의 독일 물리학 부문 대표를 역임했다.
1933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Great Men in science, a History of scientific progress"(과학의 위인들, 과학 발전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세계 각지의 대학에서 널리 읽혔다. 이 책에서 그는 과학자들을 모두 "아리아인 과학자"라고 주장했다.[24] 그러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나 마리 퀴리와 같은 20세기 과학자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5. 말년과 유산
레나르트는 193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이론 물리학 교수직에서 은퇴했다. 그는 그곳에서 명예 교수가 되었지만, 83세였던 1945년 연합군 점령 세력에 의해 직위에서 쫓겨났다. 헬름홀츠-김나지움 하이델베르크는 1927년부터 1945년까지 필리프 레나르트 슐레(Philipp Lenard Schule)로 불렸으나, 1945년 9월 미국 군정청의 명령에 따라 학교 이름을 변경했다.[25] 레나르트는 1947년 독일 메셀하우젠에서 사망했다.[25]
그는 연구 업적 외에도 뢴트겐이 X선 발견 시 레나르트 관을 사용했음에도 자신의 이름을 인용하지 않은 것에 격렬하게 분노하는 등 몇 가지 행동으로 악명을 남겼다.
레나르트는 독일 민족주의의 열렬한 신봉자로서, 독일의 아이디어를 훔쳤다며 영국의 물리학을 경멸했다. 또한, 전류의 단위로 프랑스 물리학자 앙드레 마리 앙페르의 이름을 딴 암페어를 사용하는 것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아, 그 대신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베버의 이름을 사용하도록 지시하여 하이델베르크 연구소의 모든 기기의 단위를 베버로 바꾸게 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41] (덧붙여, 빌헬름 베버의 이름을 딴 "웨버"는 자속의 단위이다). 그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초기 당원이었으며, 나치 독일 시대에는 비과학적인 "독일 물리학(Deutsche Physik)"을 제창하며, "유대인 물리학"은 사람을 현혹시키는 잘못된 학문이라고 무시했다. 이는 주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아돌프 히틀러의 과학 고문으로서, 나치의 독일 물리학 부문 대표가 되었다.
1933년에 출판한 "Great Men in science, a History of scientific progress"(과학의 위인들, 과학 발전의 역사)에서 과학자들에 대한 레나르트의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은 에드워드 안드라데의 서문과 함께 영어로 번역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세계 각지의 대학에서 널리 읽혔다. 레나르트가 아인슈타인이나 퀴리를 그 책에 포함시키지 않은 점에 대해 안드라데는 "이 저자처럼 개성이 강한 사람은 개인적인 판단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석했다. 1954년판 영어판 페이지 xix에는 다음과 같은 출판사의 주석이 있다.
> 레나르트 교수의 과학 선구자에 대한 연구는 깊은 지식과 훌륭한 균형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의 동시대 과학자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편견에 의해 판단이 흔들리는 경향이 있었다. 그가 살아있었다면, 최근 연구에 근거한 개정에 동의하지 않았을 것이다.
6.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Lénárd Fülöp (1862–1947)
http://www.sulinet.h[...]
[2]
서적
50 Years of X-ray crystallography
https://www.iucr.org[...]
International Union of Crystallography
1962-07
[3]
서적
Fifty Years of X-Ray Diffraction: Dedicated to the International Union of Crystallography on the Occasion of the Commemoration Meeting in Munich July 1962
https://link.springe[...]
Springer US
1962
[4]
서적
Naše národnostné menšiny
Fórum inštitút pre výskum menšín
[5]
문서
Neue deutsche biografie XIV, 1984 München
[6]
웹사이트
Fizikai Szemle; ELEKTRON ÉS ÉTERFIZIKA: LÉNÁRD FÜLÖP (1862–1947)
http://www.kfki.hu/f[...]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Physical Sciences Section
[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5
https://www.nobelpri[...]
2024-09-15
[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5
https://www.nobelpri[...]
2024-09-15
[9]
웹사이트
Lénárd Fülöp
http://www.mek.iif.h[...]
Mek.iif.hu
2013-07-13
[10]
간행물
Ueber Kathodenstrahlen in Gasen von atmosphärischem Druck und im äussersten Vacuum
https://zenodo.org/r[...]
[11]
웹사이트
The Right Chemistry: Discovery of X-ray changed medicine forever
https://montrealgaze[...]
2024-09-17
[12]
웹사이트
Lenard's Nobel lecture (1906)
https://www.nobelpri[...]
2023-07-07
[13]
간행물
Philipp Lenard and the Photoelectric Effect, 1889-1911
[14]
웹사이트
When science gets ugly – the story of Philipp Lenard and Albert Einstein
https://theconversat[...]
2015-06-16
[15]
웹사이트
Science Gets Political, Einstein Gets Fired in Nat Geo's 'Genius'
https://www.space.co[...]
2017-05-09
[16]
웹사이트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Glossary
http://amsglossary.a[...]
Amsglossary.allenpress.com
2013-06-25
[17]
웹사이트
Diameter of a raindrop
https://hypertextboo[...]
2019-08-19
[18]
서적
The Book Thieves: The Nazi Looting of Europe's Libraries and the Race to Return a Literary Inheritance
https://books.google[...]
Penguin
2017-02-07
[19]
서적
Weimar Culture and Quantum Mechanics: Selected Papers by Paul Forman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the Forman Thesi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
서적
Mathematician for All Seasons: Recollections and Notes, Vol. 2 (1945–1968)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2016-02-08
[21]
뉴스
How 2 Pro-Nazi Nobelists Attacked Einstein’s "Jewish Science"
https://www.scientif[...]
Scientific American
2021-01-30
[22]
웹사이트
Nobel prize 1905
https://www.nobelpri[...]
[23]
서적
Great men of science: a history of scientific progress
https://catalog.loc.[...]
The Macmillan Company
2023-10-03
[24]
서적
Totalitarian science and technology
Humanities Press
2005
[25]
웹사이트
Schulgeschichte
http://www.helmholtz[...]
Helmholtz-Gymnasium Heidelberg
2019-03-04
[26]
간행물
Prix La Caze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Astronomers unknowingly dedicated moon craters to Nazis
https://www.prospect[...]
2020-06-26
[28]
문서
14503
[29]
웹사이트
Genius – Chapter One
https://www.imdb.com[...]
imdb.com
2017-05-06
[30]
웹사이트
Lénárd Fülöp (1862-1947)
http://www.sulinet.h[...]
2010-10-19
[31]
서적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32]
서적
The Who's who of Nobel Prize winners
https://books.google[...]
Oryx Press
2009-06-06
[33]
뉴스
墓石には“宇宙の設計図”が刻まれた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
2020-02-28
[34]
웹사이트
Fizikai Szemle; ELEKTRON ÉS ÉTERFIZIKA: LÉNÁRD FÜLÖP (1862-1947)
http://www.kfki.hu/f[...]
ハンガリー科学アカデミー, Physical Sciences Section
2010-10-19
[35]
서적
The undergrowth of science: delusion, self-deception, and human frailty
https://books.google[...]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36]
웹사이트
Lénárd Fülöp
http://www.mek.iif.h[...]
[37]
논문
Ueber Kathodenstrahlen in Gasen von atmosphärischem Druck und im äussersten Vacuum
[38]
웹사이트
Lenard's Nobel lecture (1906)
http://nobelprize.or[...]
[39]
웹사이트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Glossary
http://amsglossary.a[...]
[40]
웹사이트
Diameter of a Raindrop - the Physics Handbook
http://hypertextbook[...]
[41]
서적
矢野健太郎著『アインシュタイン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