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기역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기역학은 물체와 공기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17세기부터 시작되어 왔지만, 그 개념은 고대부터 활용되어 왔다. 아이작 뉴턴, 다니엘 베르누이, 레온하르트 오일러 등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19세기에는 풍동의 발명으로 실험적 연구가 가능해졌다. 20세기 초에는 라이트 형제의 동력 비행 성공과 함께 비행기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전산 유체 역학의 발달로 더욱 정교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공기역학은 유동 환경, 속도, 점성 효과에 따라 분류되며, 비행기, 자동차, 철도 차량 등 다양한 물체의 설계에 적용된다. 또한, 건축, 환경, 스포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기역학 - 항력
    항력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유체 저항력이며, 유체의 밀도, 물체의 속도, 기준 면적, 항력 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 공기역학 - 추력
    추력은 물체를 특정 방향으로 가속시키는 힘으로, 단위 시간당 운동량 변화율과 같으며, 프로펠러 회전, 제트 엔진 배기가스 분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고 이동 및 제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공기역학
공기역학
기본 정보
분야유체역학의 한 분야
연구 대상공기의 운동에 관한 연구
주요 관심사물체 주위의 공기 흐름
공기력
활용 분야항공
자동차
건축
스포츠
기상학
환경 공학
역사
초기 연구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
아리스토텔레스의 새의 비행에 대한 연구
르네상스 시대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행 연구
18세기뉴턴의 저항 이론 연구
19세기조지 케일리의 날개 연구
오토 릴리엔탈의 글라이더 연구
20세기 초라이트 형제의 동력 비행기 개발
주요 개념
공기력양력
항력
유체 흐름층류
난류
압력동압
정압
속도풍속
상대 속도
밀도공기 밀도
점성공기 점성
마하수아음속
천음속
초음속
극초음속
경계층점성 효과가 강한 얇은 공기층
연구 방법
실험풍동 실험
이론수치 해석 (전산 유체 역학)
이론적 해석
관찰실제 비행 관찰
유체 흐름 시각화
응용 분야
항공항공기 설계
날개 설계
프로펠러 설계
로켓 설계
자동차자동차 공력 성능 향상
자동차 디자인
경주용 자동차 설계
건축고층 건물 설계
바람 하중 고려
지붕 설계
스포츠운동 선수 장비 설계
운동 역학 연구
스포츠 공 설계
기상학기상 예측 모델 개발
바람의 흐름 분석
환경 공학대기 오염 확산 연구
풍력 발전 연구
대기질 관리

2. 역사

현대 공기역학은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했지만,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범선과 풍차를 통해 공기역학적 힘을 이용해 왔다.[3] 비행에 대한 이미지와 이야기는 기록된 역사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데, 고대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와 다이달로스 이야기가 그 예이다.[5] 아리스토텔레스아르키메데스연속체, 항력, 압력 기울기와 같은 기본적인 공기역학 개념을 제시하였다.[1]

항공 생산부의 공기역학 포스터


1960년대 이후 초음속극초음속 공기역학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면서, 공기역학자들의 목표는 유체 흐름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에서 나아가 유체 흐름과 상호 작용하는 차량을 설계하는 것으로 변화했다. 초음속 및 극초음속 조건에 맞는 항공기 설계뿐만 아니라, 기존 항공기 및 추진 시스템의 공기역학적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이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있다. 또한, 유동 난류와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에 대한 해석적 해의 존재와 유일성과 관련된 기본적인 공기역학 이론 문제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2. 1. 고대 및 17세기 이전

비행에 대한 기록은 역사 시대 이전부터 나타난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이카루스와 다이달로스 이야기일 것이다.[5] 아리스토텔레스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이들은 공기 저항(즉, 항력)과 같은 공기역학적 효과들을 관찰하기도 하였다.[1]

연속체, 항력, 압력 기울기의 기본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아르키메데스의 저술에 나타난다.[1]

2. 2. 17세기

아이작 뉴턴은 공기 저항 이론을 최초로 제시하여, 세계 최초의 공기역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6] 뉴턴은 저속 유동에서 항력이 물체의 크기, 유체의 밀도, 속도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2. 3. 18, 19세기

다니엘 베르누이는 1738년 자신의 저서 『Hydrodynamica』에서 압력, 밀도, 그리고 비압축성 유동의 유속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를 설명했는데, 이는 오늘날 베르누이 정리로 알려져 있으며, 공기역학적 양력을 계산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7] 1757년,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압축성 및 비압축성 유동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오일러 방정식을 발표했다. 오일러 방정식은 1800년대 전반에 걸쳐 점성의 영향을 통합하여 확장되었고, 그 결과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이 되었다.[8][9]

1799년, 조지 케일리 경은 최초로 비행의 네 가지 공기역학적 힘(중량, 양력, 항력, 추력)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했으며,[10][11] 그렇게 함으로써 다음 세기 동안 무거운 비행의 길을 제시했다. 1871년, 프랜시스 허버트 웬햄은 최초의 풍동을 건설하여 공기역학적 힘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했다. 항력 이론은 장 르 롱 달랑베르,[12] 구스타프 키르히호프,[13] 레이리 경에 의해 개발되었다.[14] 1889년, 프랑스 항공 엔지니어인 샤를르 르나르는 최초로 지속적인 비행에 필요한 동력을 합리적으로 예측했다.[15] 최초로 글라이더 비행에 큰 성공을 거둔 오토 릴리엔탈은 높은 양력과 낮은 항력을 생성하는 얇고 곡선형 익형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이었다.

2. 4. 20세기

라이트 형제풍동 실험과 글라이더 비행 경험을 바탕으로 1903년 12월 17일에 최초의 동력 비행에 성공했다.[22] 이들의 비행 성공은 비행사와 과학자 간의 협력을 증진시켜 현대 공기역학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프레더릭 W. 랜체스터, 마르틴 쿠타, 니콜라이 주코프스키는 유체 흐름의 순환과 양력 간의 관계를 밝히는 이론을 제시했다. 쿠타와 주코프스키는 2차원 날개 이론을 개발했다.

루트비히 프란틀은 얇은 익형 이론, 양력선 이론, 경계층 이론 등을 개발하여 현대 공기역학의 기초를 다졌다.

층류, 난류, 경계층의 개념


에른스트 마하는 마하 수 개념을 도입하고, 쉴리렌 촬영법(Schlieren photography)을 사용하여 초음속 유동을 연구했다.

쉴리렌 촬영법으로 가시화 한 충격파


맥쿼른 랭킨과 피에르 앙리 위고니오는 충격파 전후의 유동 특성에 대한 이론을 개발했다. 야코프 아케렛은 초음속 익형의 양력과 항력을 계산하는 초기 연구를 주도했다.[18] 시어도어 폰 카르만과 휴 레이터 드라이든은 천음속 개념을 도입하여 임계 마하 수 부근에서의 항력 증가 현상을 설명했다.

1935년 로마에서 열린 학회에서는 초음속 풍동 설계, 후퇴익(swept wing)의 필요성, 초음속 추진 등이 논의되었다. 1947년 벨 X-1 항공기가 음속 장벽을 돌파하면서 초음속 비행 시대가 열렸다.

2. 5. 냉전 시대 이후

냉전 덕분에 고성능 항공기는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였다. 이 시기에 복잡한 형상의 물체 주변의 유동 성질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산유체역학(CFD)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전산유체역학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전체 항공기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되기에 이르렀다.[1]

일부 예외는 있지만, '''극초음속(hypersonic)''' 공기역학은 196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기간 사이에 성숙되었다. 이제 공기역학자들의 목표는 ''유체 유동을 이해하는 것''에서 ''유체 유동과 적절히 상호작용하는 비행체를 만드는 것''으로 옮겨졌다. 예를 들어, 극초음속 유동의 거동은 이미 밝혀졌지만, 극초음속으로 비행하기 위한 스크램젯(scramjet) 비행체의 제작은 극히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을 뿐이다. 극초음속 비행체의 성공적인 개발과 더불어, 현존하는 항공기 및 추진 시스템의 공기역학적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공기역학에서의 새로운 연구들을 자극하게 될 것이다.[1]

3. 기본 개념

항공기가 수평 비행을 할 때, 가속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작용하는 힘


물체 주위의 공기 움직임(흔히 유동장이라고 함)을 이해하면 물체에 작용하는 과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 많은 공기역학 문제에서 관심 있는 힘은 비행의 기본적인 힘인 양력, 항력, 추력, 그리고 중력이다. 이 중 양력과 항력은 공기역학적 힘, 즉 고체 표면 위의 공기 흐름으로 인한 힘이다. 이러한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유동장이 연속체로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연속 유동장은 유속, 압력, 밀도, 온도와 같은 특성으로 특징지어지며, 위치와 시간의 함수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공기역학 실험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거나, 공기 흐름에서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 방정식을 시작으로 계산할 수 있다. 밀도, 유속, 그리고 점성은 유동장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아음속(저속) 공기역학은 음속보다 훨씬 낮은 속도의 유체 운동을 다룬다. 아음속 유동에는 여러 갈래가 있지만, 유동이 비점성, 비압축성, 비회전인 경우를 퍼텐셜 유동이라고 한다. 퍼텐셜 유동은 미분 방정식을 단순화하여 공기역학자에게 빠르고 쉬운 해결책을 제공한다.[21]

아음속 문제를 해결할 때, 공기역학자는 압축성의 영향을 고려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압축성은 유동에서 밀도 변화의 양을 나타낸다. 압축성의 영향이 작을 때는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비압축성 저속 공기역학 문제로 다룰 수 있다. 밀도가 변하면 유동을 압축성 유동이라고 한다. 공기 중에서는 마하수가 0.3(섭씨 16도에서 102m 또는 366km)을 초과하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압축성 효과를 무시한다. 마하수 0.3 이상에서는 압축성 공기역학을 사용해야 한다.

3. 1. 유동 분류

공기역학적 문제는 유동 환경, 유동 속도, 점성 효과 등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유동 환경: 외부 공기역학은 비행기 날개 주변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고체 물체 주변의 유동을 연구하는 반면, 내부 공기역학은 제트 엔진을 통과하는 유동과 같이 고체 물체 내부 통로를 통한 유동을 연구한다.
  • 유동 속도: 유동 속도는 아음속, 천음속, 초음속, 극초음속 유동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아음속 유동은 공기 속도장이 항상 국소 음속보다 낮은 유동장이다. 천음속 유동은 아음속 및 국소 유동 속도가 국소 음속보다 큰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 초음속 유동은 유동 속도가 모든 곳에서 음속보다 큰 유동이며, 극초음속 유동은 유동 속도가 음속보다 훨씬 큰 유동을 의미한다.
  • 점성: 점성은 유동의 마찰력과 관련이 있다. 점성 효과가 매우 작아서 근사 해에서 점성 효과를 안전하게 무시할 수 있는 비점성 유동과 점성을 무시하지 않는 점성 유동으로 나뉜다.


압축성 유동은 유동 내의 밀도 변화를 고려한다. 아음속 유동은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비압축성으로 이상화될 수 있다. 천음속초음속 유동은 압축성이며, 이러한 유동장에서 밀도 변화를 무시하는 계산은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3. 1. 1. 유동 환경을 기준으로 한 분류

외부 유동은 항공기양력항력 계산, 로켓 노즈(nose)에 형성되는 충격파 계산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고체 물체 '''주위의''' 유동을 연구하는 분야이다.[1] 내부 유동은 제트엔진 내부의 공기 유동, 환기용 덕트 내의 유동과 같이 고체 물체 내에 형성된 유로에서 흐르는 유동을 연구하는 분야이다.[1]

전산 모델링

3. 1. 2. 유동 속도를 기준으로 한 분류

유동의 속도와 음속의 비(=마하 수)를 사용하여 유동을 분류할 수 있다.

극초음속에 대한 기준은 학자마다 다른데, 극초음속이 되는 최소 마하 수로서 3~12까지의 다양한 값이 제시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5~8 정도를 사용한다.

3. 1. 3. 점성 효과를 기준으로 한 분류

어떤 유동에서는 '''점성''' 효과가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어서, 무시하여도 좋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비점성 유동'''이라고 한다. 점성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 경우를 점성 유동이라고 한다.[1]

3. 2. 연속체 가정

대부분의 공기역학 문제에서 기체는 불연속적인 분자적 특성을 무시하고 연속체로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을 통해 밀도 및 유속과 같은 유체 특성을 흐름 내 모든 곳에서 정의할 수 있다.[19]

연속체 가정의 타당성은 기체의 밀도와 해당 응용 분야에 따라 달라진다. 연속체 가정이 유효하려면 평균 자유 경로 길이가 해당 응용 분야의 길이 척도보다 훨씬 작아야 한다. 예를 들어, 많은 공기역학 응용 분야는 대기 조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를 다루는데, 여기서 평균 자유 경로 길이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이고 물체는 훨씬 더 크다. 이러한 경우 항공기의 길이 척도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며, 이는 평균 자유 경로 길이보다 훨씬 크다. 이러한 응용 분야의 경우 연속체 가정은 타당하다. 매우 높은 고도(예: 90km) 또는 저궤도의 위성에서 만나는 것과 같은 극도로 낮은 밀도의 흐름의 경우 연속체 가정은 덜 유효하다. 이러한 경우 통계 역학이 연속체 공기역학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 정확한 방법이다. 크누센 수는 통계 역학과 공기역학의 연속적 공식화 중에서 선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9]

3. 3. 보존 법칙

공기역학 문제는 유체역학의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여기에는 세 가지 보존 원리가 사용된다.

  • 질량 보존: 흐름 내에서 질량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는 원리이다. 이 원리는 질량 연속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 운동량 보존: 뉴턴의 제2법칙을 유체에 적용한 것이다. 흐름 내의 운동량은 점성력, 중력 등 외부 힘에 의해서만 변한다. 운동량 보존 원리는 벡터 방정식 또는 세 개의 스칼라 방정식(x, y, z 성분)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에너지 보존: 흐름 내에서 에너지가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으며, 에너지의 변화는 열전달 또는 일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원리이다.


이러한 보존 법칙들은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으로 표현되지만, 이 방정식은 해석적인 해가 알려져 있지 않아 전산 유체 역학 기법을 사용하여 풀린다.[20] 하지만 계산 비용이 높기 때문에, 점성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오일러 방정식을 사용하기도 한다.[20]

익형 주변의 다양한 유동 분석 유형

4. 물체에 미치는 영향

공기역학은 자동차, 비행기, 철도 차량 등 다양한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 물체가 공기 중에서 운동할 때, 반드시 공기 저항을 받아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준다.

공기역학에서 난류는 흐름의 속성이 무질서하게 변하는 특징을 지닌다. 여기에는 운동량 확산이 낮고, 운동량 대류가 높으며, 공간과 시간에 따라 압력과 유속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포함된다. 난류가 아닌 흐름을 층류라고 한다.[21]

자동차의 경우, 항력 계수를 줄이거나 다운포스를 높이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비행기의 날개양력을 얻거나, 방향 전환이나 감속을 위해 공기를 이용한다. 철도 차량은 증기기관차의 배연판, 1930년대의 유선형 디자인, 신칸센 전차 등에서 공기역학적 고려가 이루어졌다.[1]

4. 1. 자동차

자동차의 공기역학은 차량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주요 목표는 차량의 항력 계수를 줄이는 것이며, 승용차트럭을 포함한다. 항력 감소 외에 전반적인 다운포스 수준을 높이는 것도 목표인 경주용 차량에도 적용된다.[21]

  • '''저항 감소'''
  • 고속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는 속도가 높아질수록 강한 공기 저항을 받으므로, 효율적으로 공기를 후방으로 흘리도록 설계된다.
  • 최근의 시판차는 연비 향상을 목표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공력을 강하게 의식한 디자인이 되고 있다.
  • 기류의 박리(剥離)를 억제하는 볼텍스 제너레이터, 정류를 위한 스포일러 등도 사용된다. 이들은 와류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공력 성능을 보조할 수 있다.
  • 공기 유입 및 배출구 등도 전체 공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다운포스'''
  • 다운포스는 타이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고속 주행 시 차체 형상에 의해 발생한 양력을 상쇄하거나, 선회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모터스포츠에서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작은 공기 저항으로 큰 다운포스를 얻는 것이 중요한 설계 과제가 되고 있다.


자동차에 대한 지면 효과는 일반적으로 양력을 발생시키지만, 차체 하부를 성형하여 공기의 유속을 높여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은 공기 저항으로 강력한 다운포스를 얻을 수 있다.

다운포스량보다 공기 저항 감소를 중시하는 최고 속도 기록 도전 차량은 지면 효과를 피하거나, 활용하는 형태 모두 존재하며, 주최 측의 안전 규정이나 출전 차량의 설계 의도가 드러난다.

4. 2. 비행기

항공기의 날개는 공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날개에 부딪히는 공기를 이용하여 양력을 얻거나, 방향 전환이나 감속 방법의 하나로도 공기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대기권에 진입하기 전에 연료를 버리는 스페이스셔틀의 경우, 대기권에 진입한 스페이스셔틀의 주된 감속 방법은 공기 저항이다.[21]

4. 3. 철도 차량

증기기관차에서 굴뚝 양옆의 배연판으로 상승 기류를 만들어 배기가스를 여객차에서 멀리 보내는 것을 고려하였다.[1] 철도 차량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주행 성능에 미치는 공력 효과는 나타나기 어렵다.[1]

1930년대에 세계적으로 유선형이 유행하여 일본에서도 국철 52계 전차, 국철 C55형 증기기관차, 국철 EF55형 전기기관차, 국철 C53형 증기기관차, 국철 키하43000형 기동차에 유선형이 채용되었다.[1] 그러나, 최고 속도가 95km로 제한되었던 당시에는 실용상 효과가 거의 없었고, 커버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정비 점검이 어려운 등의 이유로 정비 현장에서는 싫어하여 커버가 있는 차량은 커버가 제거되었다.[1] 본격적으로 공력 효과가 있었던 것은 신칸센 0계 전차 이후의 신칸센 전차 뿐이다.[1]

5. 다른 분야에서의 공기역학

공기역학은 항공우주공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분야설명
자동차 공학모든 종류의 탈것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해양 공학바다를 항해할 때 힘과 모멘트를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부품 설계하드 드라이브의 헤드와 같은 많은 부품들을 설계하는 데 사용한다.
구조 공학대형 건물이나 교각을 설계할 때 바람에 의한 하중을 계산하기 위해 공탄성(aeroelasticity)과 함께 사용된다.
도시 계획 및 설계도시 공기역학을 통해 실외 공간의 편의성을 개선시키고, 도시 오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환경 공기역학대기의 순환을 연구한다.
내부 유로 공기역학난방 및 환기, 가스 배관, 자동차 엔진 등 세부적인 유동 패턴이 엔진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서 중요하다.


5. 1. 공학 설계

공기역학은 항공우주공학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모든 종류의 탈것 설계에도 중요한 요소이다. 바다를 항해할 때 힘과 모멘트를 예측하는 데에도 중요하며, 하드 드라이브 헤드와 같은 많은 부품 설계에도 사용된다.

구조공학에서 대형 건물이나 교각을 설계할 때에도 공기역학과 '''공탄성(aeroelasticity)'''을 사용하여 바람에 의한 하중을 계산한다. 도시 계획 및 도시 설계에서도 도시 공기역학을 사용하면 실외 공간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도시 오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환경 공기역학은 대기의 순환을 연구한다. 내부 유로 공기역학은 난방 및 환기, 가스 배관, 자동차 엔진 등 세부적인 유동 패턴이 엔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서 중요하다.

자동차 역사에서 공력은 항공 분야 지식을 도입하는 형태로 발전했지만, 최근에는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여 매우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고속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는 속도가 높아질수록 강한 공기 저항을 받으므로, 효율적으로 공기를 후방으로 흘리도록 설계된다. 최근 시판차는 연비 향상을 목표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공력을 강하게 의식한 디자인을 하고 있다. 기류의 박리(剥離)를 억제하는 볼텍스 제너레이터, 정류를 위한 스포일러 등도 사용된다. 이들은 와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공력 성능을 보조할 수 있다. 공기 유입 및 배출구 등도 전체 공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운포스는 타이어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고속 주행 시 차체 형상에 의해 발생한 양력을 상쇄하거나, 선회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모터스포츠에서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작은 공기 저항으로 큰 다운포스를 얻는 것이 중요한 설계 과제이다.

건축물, 교통수단 등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환풍기) 중 흡입식으로 크게 분류되는 것은 음압을 이용한다.

5. 2. 환경 설계

도시 공기역학은 도시 계획가와 설계자들이 옥외 공간의 편의성을 개선하거나 도시 오염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도시 미기후를 조성하기 위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환경 공기역학은 대기의 순환과 비행 역학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1]

5. 3. 스포츠

축구, 탁구, 크리켓, 야구, 골프와 같은 스포츠에서는 공기역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스포츠 선수들은 대부분 마그누스 효과를 이용하여 공의 궤적을 제어한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Frederick Fell, Inc. 1974
[2] 웹사이트 How the Stork Inspired Human Flight http://www.flyingmag[...] flyingmag.com 2020-06-00
[3] 웹사이트 Wind Power's Beginnings (1000 BC – 1300 AD) Illustrated History of Wind Power Development http://telosnet.com/[...] Telosnet.com 2011-08-24
[4] 서적 Aviation: Reaching for the Sky https://books.google[...] The Oliver Press, Inc. 1997
[5] 서적 The Metamorphoses Signet Classics 2001
[6] 서적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Book II 1726
[7] 웹사이트 Hydrodynamic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2008-10-30
[8] 논문 Memoire Sur les Lois du Mouvement des fluides 1827
[9] 논문 On the Theories of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in Motion https://archive.org/[...] 1845
[10] 웹사이트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 Sir George Cayley. http://www.centennia[...] 2008-09-10
[11] 웹사이트 On Aerial Navigation http://www.aeronauti[...] 1809-1810
[12] 서적 Essai d'une nouvelle theorie de la resistance des fluides 1752
[13] 논문 Zur Theorie freier Flussigkeitsstrahlen https://zenodo.org/r[...] 1869
[14] 논문 On the Resistance of Fluids https://zenodo.org/r[...] 1876
[15] 논문 Nouvelles experiences sur la resistance de l'air 1889
[16] 서적 Aerodynamics https://archive.org/[...] 1907
[17] 서적 Tragflügeltheorie Göttinger Nachrichten, mathematischphysikalische Klasse, 451–477 1919
[18] 논문 Luftkrafte auf Flugel, die mit der grosser also Schallgeschwindigkeit bewegt werden 1925
[19] 서적 A History of Aerodynamics and its Impact on Flying Machin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0] 서적 Understanding Aerodynamics: Arguing from the Real Physics https://play.google.[...] John Wiley & Sons 2012
[21] 서적 Low-speed aerodynamics: From wing theory to panel methods McGraw-Hill 1991
[22] 웹인용 Telegram from Orville Wright in Kitty Hawk, North Carolina, to His Father Announcing Four Successful Flights, 1903 December 17 http://www.wdl.org/e[...] 1903-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