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케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핏케언어는 1789년 바운티호 반란 이후 핏케언 섬에 정착한 영국 반란군과 타히티 원주민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형성된 언어이다. 영어와 타히티어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영어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핏케언 섬에서 노퍽 섬으로의 이주를 거치며 노퍽어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나, 호주 정부의 언어 사용 제한 정책으로 쇠퇴 과정을 겪었다. 핏케언어는 핏케언 섬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문학 작품으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언어 - 노퍽어
노퍽어는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2004년 노퍽 아일랜드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핏케언 제도의 문화 - 핏케언 제도의 문장
- 핏케언 제도의 문화 - 핏케언 제도의 국가
핏케언 제도에는 공식 국가는 없으나, "We Hail Thee, Pitcairn"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핏케언어와 영어 가사로 핏케언 제도의 섬과 사람들을 노래한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비슬라마
비슬라마는 바누아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어로, 영어 어휘와 멜라네시아어 문법이 결합되었으며 19세기 피진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바누아투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고, 사전 출판을 통해 표준화되어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피진어
피진어는 19세기 초 서태평양에서 영어 기반으로 발생하여 상인과 노동자 사이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에서 공용어 지위를 갖게 된 언어이다.
핏케언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핏케언어 |
다른 이름 | 핏케언-노퍽어 |
모어 화자 수 | 약 400명 (2008년 기준) |
핏케언 제도 화자 수 | 36명 (2002년 기준) |
사용 국가 | 노퍽섬, 핏케언 제도, 뉴질랜드 |
언어 계통 | 영어-타히티어 혼성어 |
문자 | 로마자 (노퍽/핏케언 문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핏케언 제도 |
ISO 639-3 | pih |
IETF 언어 태그 | pih-PN |
글롯토로그 | pitc1234 |
링구아 목록 | 52-ABB-dd |
언어 생존력 | 취약 |
2. 역사
1789년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과 타히티인들이 핏케언 섬에 정착하면서 핏케언어가 형성되었다. 핏케언 섬에서 태어난 첫 세대는 비표준 영어와 접촉 언어를 혼합하여 사용했다.[1] 1830년대에 핏케언의 지역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교회와 학교에서 핏케언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
1856년, 핏케언 섬 주민 194명은 노퍽 섬으로 이주했고, 그곳 주민들은 핏케언어를 가정에서 계속 사용했다.[1] Norf'k는 핏케언어에서 파생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영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1914년 이후, 호주 정부는 공공장소에서 핏케언/노르크어 사용을 제한하려 했다.[1] 두 언어의 정확한 관계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 중인데, 일부는 차이가 미미하다고 보지만, 다른 일부는 Norf'k에 표준 영어가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본다.[1]
2. 1. 바운티 호 반란과 핏케언 정착
1789년 4월 28일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은 타히티에 들러 18명의 폴리네시아인(대부분 여성)을 데리고 외딴 핏케언 섬으로 가서 정착했다. 영어와 타히티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이 형성되어 영국 반란자들이 이전에 무인도였던 핏케언 섬으로 데려온 타히티 여성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1] 핏케언어는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다.[5] 지리적으로 반란자들은 서인도 제도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중 한 명은 카리브해 파토아의 전신을 구사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 명은 루이스 섬 출신의 스코틀랜드인이었다. 최소 한 명, 즉 지도자 플레처 크리스찬은 교육을 잘 받은 사람이었는데, 당시에는 말하기에 큰 차이를 만들었다. 조디어와 웨스트 컨트리 방언은 "whettles" (음식)과 같은 핏케언어 구절 및 단어와 명백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바운티 호의 선원들은 타히티어를 거의 몰랐고, 타히티 섬에서 데려온 사람들도 영어를 거의 몰랐다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양자 간의 거리를 좁힐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두 언어가 혼합되어 핏케언어가 되었다.
바운티 호의 선원들이 모두 같은 영어 방언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은 핏케언어 성립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었다. 어떤 사람은 서인도 제도 출신이었기 때문에 카리브해 억양의 말을 했고, 다른 사람은 스코틀랜드 출신이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억양이었다. 게다가 플레처 크리스찬은 성경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교양 있는 사람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핏케언어는 타인 강 유역 지방이나 서부 지방의 방언과 같은 어구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고 있다.
2. 2. 언어 형성 과정
1789년 4월 28일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은 타히티에 들러 18명의 폴리네시아인(대부분 여성)을 데리고 외딴 핏케언 섬으로 가서 정착했다. 영어와 타히티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어가 형성되어 영국 반란자들이 이전에 무인도였던 핏케언 섬으로 데려온 타히티 여성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1] 핏케언어는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다.[5] 지리적으로 반란자들은 서인도 제도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중 한 명은 카리브해 파토아의 전신을 구사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 명은 루이스 섬 출신의 스코틀랜드인이었다. 최소 한 명, 즉 지도자 플레처 크리스찬은 교육을 잘 받은 사람이었는데, 당시에는 말하기에 큰 차이를 만들었다. 조디어와 웨스트 컨트리 방언은 "whettles" (음식)과 같은 핏케언어 구절 및 단어와 명백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핏케언 섬에서 태어난 최초의 아이들은 주로 비표준 영어와 접촉 언어를 혼합하여 사용했다.[1] 1830년대에 핏케언의 지역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이 언어는 교회와 학교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 1856년, 핏케언 섬 주민 194명이 노퍽 섬으로 이주했고, 그곳의 많은 주민들이 핏케언어를 가정에서 계속 사용했다.[1]
바운티 호의 반란 이후, 플레처 크리스찬 일행이 타히티에서 19명의 타히티 섬 주민(성인 남녀 및 아이들)을 데리고 핏케언 섬에 표착하면서 핏케언 섬의 주민이 형성되었다. 바운티 호의 선원들은 타히티어를 거의 몰랐고, 타히티 섬 주민들은 영어를 거의 몰랐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해 두 언어가 혼합되어 핏케언어가 되었다.
바운티 호 선원들의 출신 배경이 다양했다는 점은 핏케언어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서인도 제도 출신은 카리브해 억양을 사용했고, 스코틀랜드 출신은 스코틀랜드 억양을 사용했다. 플레처 크리스찬은 성경을 소지한 교양 있는 사람이었다. 핏케언어는 타인 강 유역 지방이나 서부 지방 방언과 같은 어구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다.
2. 3. 다양한 영어 방언의 영향
1789년 4월 28일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은 타히티에 들러 18명의 폴리네시아인(대부분 여성)을 데리고 외딴 핏케언 섬으로 가서 정착했다. 영어와 타히티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어가 형성되어, 이전에 무인도였던 핏케언 섬으로 영국 반란자들이 데려온 타히티 여성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1] 핏케언어는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다.[5] 지리적으로 반란자들 중에는 서인도 제도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중 한 명은 카리브해 파토아의 전신을 구사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 명은 루이스 섬 출신의 스코틀랜드인이었다. 최소 한 명, 즉 지도자 플레처 크리스찬은 교육을 잘 받은 사람이었는데, 당시에는 말하기에 큰 차이를 만들었다. 조디어와 웨스트 컨트리 방언은 "whettles" (음식)과 같은 핏케언어 구절 및 단어와 명백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바운티 호의 반란 이후, 플레처 크리스찬 일행은 타히티로 돌아가 19명의 타히티 섬 주민(성인 남녀 외 아이들)을 데리고 핏케언 섬에 표착하면서 핏케언 섬의 주민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바운티 호의 선원들은 타히티어를 거의 몰랐고, 타히티 섬에서 데려온 사람들도 영어를 거의 몰랐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해 양자 간의 거리를 좁힐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두 언어가 혼합되어 핏케언어가 되었다.
바운티 호의 선원들이 모두 같은 영어 방언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은 핏케언어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어떤 사람은 서인도 제도 출신이었기 때문에 카리브해 억양의 말을 했고, 다른 사람은 스코틀랜드 출신이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억양이었다. 게다가 플레처 크리스찬은 성경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교양 있는 사람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핏케언어는 타인 강 유역 지방이나 서부 지방의 방언과 같은 어구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고 있다.
2. 4. 노퍽 섬으로의 이주와 언어 변화
1789년 4월 28일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은 타히티에 들러 18명의 폴리네시아인(대부분 여성)을 데리고 외딴 핏케언 섬으로 가서 정착했다. 영어와 타히티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어가 형성되어 영국 반란자들이 타히티 여성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1] 핏케언어는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다.[5] 지도자 플레처 크리스찬을 포함한 최소 한 명은 교육을 잘 받은 사람이었다. 조디어와 웨스트 컨트리 방언은 "whettles" (음식)과 같은 핏케언어 구절 및 단어와 명백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핏케언 섬에서 태어난 최초의 아이들은 주로 비표준 영어와 접촉 언어를 혼합하여 사용했다.[1] 1830년대에 핏케언의 지역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이 언어는 교회와 학교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 1856년, 핏케언 섬 주민 194명이 노퍽 섬으로 이주했고, 그곳의 많은 주민들이 핏케언어를 가정에서 계속 사용했다.[1]
2. 5. 핏케언어와 노퍽어의 관계
바운티호의 반란 이후, 영국 반란자들은 타히티에서 폴리네시아인들을 데리고 핏케언 섬에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영어와 타히티어를 바탕으로 한 피진어가 형성되었고, 이것이 핏케언어의 기원이 되었다.[1] 핏케언어는 다양한 영어 방언과 억양의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조디어와 웨스트 컨트리 방언의 영향이 컸다.[5]핏케언 섬에서 태어난 초기 아이들은 비표준 영어와 접촉 언어가 혼합된 언어를 사용했다.[1] 1830년대에 핏케언의 지역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교회와 학교에서 핏케언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 1856년, 핏케언 섬 주민들은 노퍽 섬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핏케언어를 가정에서 계속 사용했다.[1]
Norf'k는 주로 핏케언어에서 파생되었다.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 섬으로 이주하면서 핏케언어를 함께 가져갔기 때문이다.[1] 그러나 노퍽 섬은 호주, 뉴질랜드 등 영어 사용 국가와의 접근성이 더 좋았기 때문에, Norf'k는 핏케언어보다 영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핏케언 섬의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두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성을 비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핏케언어와 Norf'k의 정확한 관계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다. 일부 학자들은 두 언어의 차이가 미미하다고 보지만, 다른 학자들은 Norf'k에 표준 영어가 더 많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1]
3. 언어 특징
핏케언어는 영어와 타히티어가 섞여 만들어진 언어로, 다양한 영어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복수형 대명사 aklenpih은 일반적으로 uklunpih으로 표기되며 '우리'를 뜻한다. ('우리'는 wipih로 사용) hamipih는 '너와 나' / '너와 우리', 그리고 yolipih는 '너희들'을 의미한다.
''참고: 핏케언어의 철자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3. 1. 영어와 타히티어의 혼합
핏케언어는 영어와 타히티어가 섞여 만들어진 언어이다. 아래는 핏케언어와 한국어, 영어 표현을 비교한 표이다.핏케언어 | 한국어 | 영어 |
---|---|---|
Whata way ye? | 어떻게 지내? | How are you? |
About ye gwen? | 어디가니? | Where are you going? |
You gwen whihi up suppa? | 저녁을 요리할 건가요? | Are you going to cook supper? |
I nor believe. |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 I don't think so. |
Ye like-a sum whettles? | 음식 좀 드실래요? | Would you like some food? |
Do' mine. | 상관없어요. | I don't mind. |
Wa sing yourley doing? |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What are you doing? |
I se gwen ah big shep. | 저는 배로 갑니다. | I'm going to the ship. |
Humuch shep corl ya? | 배는 얼마나 자주 여기에 오나요? | How often does the ship come here? |
Cum yorley sulluns! | 얘들아! | Children! |
I se gwen ah nahweh. | 수영하러가요. | I'm going swimming. |
Gude | 좋다 | Good |
Lebbe! | 내버려 둬! | Leave it alone! |
You same as tingi! | 너는 거지야! | You are a beggar! |
What-thing that? / Wasing daa? | 저게 뭐에요? | What's that? |
Blue as a pai-pai | 고향을 매우 그리워하는 | Very homesick |
복수형 대명사는 보통 uklunpih으로 표기되는 aklenpih ('우리'. '우리'는 wipih로 사용), hamipih ('너와 나' / '너와 우리'), 그리고 yolipih ('너희들')가 있다.
''참고: 핏케언어의 철자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3. 2. 다양한 영어 방언의 흔적
핏케언어에는 다양한 영어 방언의 흔적이 남아있다. 다음은 핏케언어와 영어 표현을 비교한 표이다.핏케언어 | 영어 | 한국어 |
---|---|---|
Whata way ye? | How are you? | 어떻게 지내세요? |
About ye gwen? | Where are you going? | 어디 가세요? |
You gwen whihi up suppa? | Are you going to cook supper? | 저녁 식사 준비할 건가요? |
I nor believe. | I don't think so. |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
Ye like-a sum whettles? | Would you like some food? | 음식 좀 드시겠어요? |
Do' mine. | I don't mind. | 상관없어요. |
Wa sing yourley doing? | What are you doing? | 무슨 일 하세요? |
I se gwen ah big shep. | I'm going to the ship. | 저는 배에 갈 거예요. |
Humuch shep corl ya? | How often does the ship call here? | 배가 얼마나 자주 오나요? |
Cum yorley sulluns! | Come here, children! | 얘들아, 이리 와! |
I se gwen ah nahweh. | I'm going swimming. | 수영하러 갈 거예요. |
Lebbe! | Leave it alone! | 내버려 둬! |
Gude! | Good! | 좋아! |
You same as tingi! | You are a beggar! | 너는 거지야! |
What-thing that? / Wasing daa? | What's that? | 저게 뭐예요? |
Blue as a pai-pai | Very homesick | 고향을 매우 그리워하는 |
복수형 대명사 aklenpih은 일반적으로 uklunpih으로 표기되며 '우리'를 뜻한다. ( '우리'는 wipih로 사용), hamipih는 '너와 나' / '너와 우리', 그리고 yolipih는 '너희들'을 의미한다.
''참고: 핏케언어의 철자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3. 3. 음운 체계
제공된 자료는 핏케언어의 음운 체계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핏케언어의 간단한 회화 표현을 나열한 것이다. 따라서 '음운 체계' 섹션에 이 내용을 포함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음운 체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3. 4. 문법 구조
핏케언어와 한국어 표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핏케언어 | 한국어 |
---|---|
Whata way ye? | 어떻게 지내? |
About ye gwen? | 어디가니? |
You gwen whihi up suppa. |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
I nor believe? | 음식 좀 드실래요? |
Do' mine. | 상관없어요. |
Wa sing yourley doing? |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I se gwen ah big shep. | 저는 배로 갑니다. |
Humuch shep corl ya? | 배는 얼마나 자주 여기에 오나요? |
Cum yorley sulluns! | 애들아! |
I se gwen ah nahweh. | 수영하러가요. |
Gude | 좋다 |
4. 핏케언어 표현
핏케언어 | 한국어 |
---|---|
Whata way ye? | 어떻게 지내? |
About ye gwen? | 어디가니? |
You gwen whihi up suppa. |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
I nor believe? | 음식 좀 드실래요? |
Do' mine. | 상관없어요. |
Wa sing yourley doing? |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I se gwen ah big shep. | 저는 배로 갑니다. |
Humuch shep corl ya? | 배는 얼마나 자주 여기에 오나요? |
Cum yorley sulluns! | 얘들아! |
I se gwen ah nahweh. | 수영하러가요. |
Gude | 좋다 |
복수형 대명사 aklenpih은 일반적으로 uklunpih으로 표기되며 '우리'를 뜻한다. ( '우리'는 wipih로 사용), hamipih는 '너와 나' 또는 '너와 우리', yolipih는 '너희들'을 뜻한다.
핏케언어 | 한국어 |
---|---|
Wut a way ye? | 어떻게 지내세요? |
About ye gwen?pih | 어디 가세요? |
You gwen whihi up suppa?pih | 저녁을 요리할 건가요? |
I nor believe.pih | 그렇지 않다고 생각해요. |
Ye like-a sum whettles?pih | 음식을 좀 드시겠어요? |
Do' mine.pih | 괜찮아요. 신경 안 써요. |
Wa sing yourley doing?pih | 무슨 일 하세요? 무슨 일이세요? |
I se gwen ah big shep.pih | 저는 배에 갈 거예요. |
Humuch shep corl ya?pih | 배가 얼마나 자주 오나요? |
Cum yorley sulluns!pih | 얘들아, 이리 와! |
I se gwen ah nahweh.pih | 수영하러 갈 거예요. |
Lebbe!pih | 내버려 둬! |
Gude! | 좋아! |
You same as tingi! | 너는 거지야! |
What-thing that?/Wasing daa? | 저게 뭐에요? |
Blue as a pai-pai | 고향을 매우 그리워하는 |
''참고: 핏케언어의 철자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5. 핏케언어 기록
다음은 20세기 중반 피트케언에서 학교 교사로 일했던 외국인 A.W. 모버리와 피트케언의 10대 화자가 1951년에 나눈 대화에서 발췌한 내용이다.[1] 이 대화는 모버리가 녹음했고, 나중에 국제 음성 기호로 A.C. 김슨이 옮겼으며, 모버리가 영어로 번역했다.[8]
6. 핏케언어 문학
핏케언어에는 몇몇 시가 존재한다. 특히 메랄다 워렌의 시가 주목할 만하다.
참조
[1]
논문
Some notes on the ontology of Norf'k
https://www.scienced[...]
2011-07-01
[2]
논문
Pitkern and Norfolk revisi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
논문
Pitkern and Norfolk revisited
https://www.cambridg[...]
2003-07-14
[4]
논문
A Pitkern Word List
https://openresearch[...]
1998
[5]
서적
Pitkern-Norf'k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0-10-12
[6]
문서
Kallgard (1993) Pitcairnese
[7]
간행물
A Pitkern word list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1998
[8]
서적
The Pitcairnese Language
Andre Deutsch
[9]
문서
Mühlhäusler, Peter. "The History of writing Pitkern and Norf’k (talk given at the History Society in 2019)." p.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