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진어는 19세기 초 서태평양에서 영어 기반으로 발생하여 상인들 사이에서 사용된 교통어이다. 블랙버딩(노동력 착취)으로 인해 멜라네시아 노동자와 유럽 감독관 사이의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20세기 초에도 플랜테이션 언어로 지속되었다. 20세기 중후반에는 확산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에서 공용어 지위를 갖게 되었다. 현재 표준화된 정서법은 없지만, 음운, 문법, 표현 등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로몬 제도의 언어 - 동파푸아어족
    동파푸아어족은 파푸아뉴기니와 솔로몬 제도 일대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묶은 가설 어족으로, 언어 간의 유연 관계에 대한 증거 부족과 하위 어족의 유효성 논란이 있으며, 옐레웨스트뉴브리튼어족 등을 포함하고 술카어 등의 고립된 언어도 존재한다.
  • 솔로몬 제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비슬라마
    비슬라마는 바누아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어로, 영어 어휘와 멜라네시아어 문법이 결합되었으며 19세기 피진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바누아투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고, 사전 출판을 통해 표준화되어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톡 피신
    톡 피신은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는 영어 기반 크리올 언어로, 멜라네시아 언어와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현재 많은 사람들의 제1언어가 되었으며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한다.
피진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피진어
사용 국가솔로몬 제도
ISO 639-3pis
Glottologpiji1239
Linguasphere52-ABB-cd
언어학적 정보
언어 계통크레올어
영어 기반 크레올
태평양
멜라네시아 피진
사용 인구
제1 언어 사용자 (1999년)24,400명
제2 언어 사용자 (1999년)300,000명
제2 언어 사용자 (2022년)670,000명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2. 역사

19세기 초, 비치라마르로 알려진 영어 기반의 피진이 서태평양으로 퍼져 나갔다. 이는 포경 산업, 침향 무역, 해삼 무역과 관련된 상인들 사이에서 사용된 교통어였다.[2][3] 1863년부터 1906년까지 블랙버딩은 퀸즐랜드, 사모아, 피지, 뉴칼레도니아의 사탕수수 농장 노동력 거래에 사용되었다. 호주 농장주들은 로열티 제도, 길버트 제도뱅크스 제도, 뉴헤브리디스 제도와 산타크루스 제도, 뉴아일랜드와 뉴브리튼에서 노동자를 모집했다. 이 기간 동안 약 1만 3천 명의 솔로몬 제도 사람들이 퀸즐랜드로 이주하였다.[4]

농장에서는 피진어가 사용되었고, 멜라네시아 노동자들과 유럽 감독관들 사이에서 공용어가 되었다. 솔로몬 제도 사람들이 계약이 끝나거나 강제로 본국 송환되었을 때, 그들은 피진어를 솔로몬 제도에 가져왔다.[5] [6]

1900년대에도 블랙버딩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플랜테이션 언어는 계속 사용되었다. 노동력 이동의 변화는 사모아 플랜테이션 피진과 뉴기니 토크 피신, 비스라마, 솔로몬 피진과 같은 다른 플랜테이션 피진과 오세아니아 피진들 사이에 차이를 만들었다.[1]

1901년에는 약 1만 명의 태평양 도서 주민들이 호주에서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7] 1901년 태평양 도서 주민 노동자법은 호주 의회가 약 7,500명의 태평양 도서 주민들을 강제 추방하는 데 사용된 수단이었다. 1911년까지 약 3만 명의 솔로몬 제도 주민들이 퀸즐랜드, 피지, 사모아, 뉴칼레도니아에서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8] 교회와 선교사들이 피진어를 사용하면서 피진어 확산에 기여했다.

팍스 브리타니카와 솔로몬 제도의 현지 농장 시스템의 등장으로 피진어 사용이 재개되었고, 솔로몬 제도에서 퍼지기 시작했다. 또한 더 많은 솔로몬 제도의 언어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도시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는 이 언어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공식적인 지위는 없지만 현재 이 언어는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이다.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임에도 불구하고, 피진어는 표준화된 정서법과 문법에 대한 국가 정부의 노력이 거의 없이 구어로만 사용되는 언어로 남아 있다. SITAG와 같은 기독교 단체에서 표준화 노력이 이루어졌다. 1978년 부분 사전, 2002년 피진어 완전 사전, 철자 목록, 그리고 문법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있다. 피진어는 형식적인 문장 구성의 세부 사항에 관계없이 메시지 전달에 주력하는 매우 유연한 언어로 남아 있다. 피진어로 번역된 성경 또한 피진어의 일부 측면을 표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9]

2. 1. 19세기 초: 피진 영어의 기원

19세기 초, 비치라마르로 알려진 영어 기반의 피진이 서태평양으로 퍼져 나갔다. 이는 18세기 말 포경 산업, 1830년대 침향 무역, 1850년대 해삼 무역과 관련된 상인들 사이에서 사용된 교통어였다.[2][3]

2. 2. 19세기 중후반: 블랙버딩과 플랜테이션 노동

블랙버딩은 1863년부터 1906년까지 퀸즐랜드, 사모아, 피지, 뉴칼레도니아의 사탕수수 농장 노동력 거래에 사용되었다. 거래 초기에 호주 농장주들은 1860년대 초 로열티 제도, 1860년대 중반 길버트 제도뱅크스 제도, 1870년대 초 뉴헤브리디스 제도와 산타크루스 제도, 그리고 1879년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뉴아일랜드와 뉴브리튼에서 노동자를 모집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약 1만 3천 명의 솔로몬 제도 사람들이 퀸즐랜드로 이주하였다.[4]

농장에서는 (카나카) 피진어가 사용되었고, 멜라네시아 노동자들(그들이 불린 대로 카나카)과 유럽 감독관들 사이에서 공용어가 되었다. 솔로몬 제도 사람들이 계약 종료 후 솔로몬 제도로 돌아왔을 때, 또는 노동 거래 기간(1904년)이 끝나 강제로 본국 송환되었을 때, 그들은 피진어를 솔로몬 제도에 가져왔다. 오늘날 노인들은 귀국 후 여러 해 동안 전직 퀸즐랜드 노동자들이 들려준 이야기를 아직도 기억한다.[5] [6]

2. 3. 20세기 초: 플랜테이션 언어의 지속과 변화

1900년대에도 블랙버딩(흑인 노예 유인)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플랜테이션(농장) 언어는 계속 사용되었다. 노동력 이동의 변화하는 성격으로 인해 사모아 플랜테이션 피진과 뉴기니 토크 피신, 비스라마, 솔로몬 피진과 같은 다른 플랜테이션 피진과 오세아니아 피진들 사이에 차이가 생겼다.[1]

2. 4. 20세기 중후반: 확산과 변화

1901년에는 약 1만 명의 태평양 도서 주민들이 호주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퀸즐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부의 사탕수수 산업에 종사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7] 1901년 태평양 도서 주민 노동자법은 호주 의회가 약 7,500명의 태평양 도서 주민들을 강제 추방하는 데 사용된 수단이었다.

1911년까지 약 3만 명의 솔로몬 제도 주민들이 퀸즐랜드, 피지, 사모아, 뉴칼레도니아에서 계약 노동자로 일했다.[8] 교회와 선교사들이 피진어를 사용하면서 피진어의 확산에 기여했다.

팍스 브리타니카(Pax Britannica)와 솔로몬 제도의 현지 농장 시스템의 등장으로 피진어의 사용이 재개되었고, 이 언어는 그 나라에서 퍼지기 시작했다. 또한 더 많은 솔로몬 제도의 언어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20세기 내내 피진어는 계속 확산되었다. 마시나 통치(Maasina Rule)와 제2차 세계 대전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도시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는 이 언어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공식적인 지위는 없지만 현재 이 언어는 그 나라의 공용어이다.

2. 5. 21세기: 표준화 노력과 현황

솔로몬 제도의 공용어임에도 불구하고, 피진어는 표준화된 정서법과 문법에 대한 국가 정부의 노력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구어로만 사용되는 언어로 남아 있다. SITAG와 같은 기독교 단체에서 표준화 노력이 이루어졌다. 1978년 부분 사전(Simons and Young 1978), 2002년 피진어 완전 사전(Jourdan 2002), 철자 목록(Beimers 2010), 그리고 문법에 대한 완전한 설명(Beimers 2009)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피진어는 형식적인 문장 구성의 세부 사항에 관계없이 메시지 전달에 주력하는 매우 유연한 언어로 남아 있다. 피진어로 번역된 성경 또한 피진어의 일부 측면을 표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9]

3. 음운

피진어는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지만, 음운 체계에서 여러 차이를 보인다. 영어와 피진어의 발음 차이, 그리고 피진어 내에서의 발음 변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발음

영어와 피진어의 발음 차이를 보여주는 표는 다음과 같다.

영어 발음 (IPA)피진 발음 (IPA)피진어 예시영어 어원
ch –s –tisapis, seapis, maspis (hamaspis)선생님, 의자, 얼마나 (얼마나 많이?)
si –siospis교회
sh –s –sotpis, buspis, masinpis짧은, 덤불, 기계
th –s –maospis
t –torowepis, torowempis, atingpis, andanitpis던지다, 버리다, 내가 생각한다, 아래에
th –t –bratapis, baratapis, bropis형제
d –deswanpis, diswanpis, this wanpis이것
r –narapis, narawanpis또 다른, 또 다른 하나
z –s –resapis면도칼
-er –a –matapis, madapis (mamipis), soapis, faeapis문제, 어머니, 통증, 아픔, 불
or; ir/er – ;o; a/e – ; /bonpis, bonempis, bonepis, fastaempis, festimepis (festaempis)태어나다, 태우다, 태어난, 처음으로



위 표는 Wateha'a,[8] Jourdan,[10] 및 Mugler[11]의 IPA 표기를 참고하여 재구성되었다.

3. 2. 발음 변이

몇몇 자음 음소는 발음 변이를 보이는데,[12] 이는 부분적으로 화자의 개인적 언어적 배경, 즉 그들이 집에서 사용하는 모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음소피진어영어
b, vkabis|카비스pis, kavis|카비스pis먹을 수 있는 채소
f, bfutbol|풋볼pis, butbol|붓볼pis축구
f, psamfala|삼팔라pis, sampala|삼팔라pis약간의
p, bputeto|푸테토pis, buteto|부테토pis감자
r, l, draes|라에스pis(드물게), daes|다에스pis(드물게)
v, wvolkeno|볼케노pis, wolkeno|월케노pis화산
j, s, zjam|잠pis, sam|삼pis, zam|잠pis점프
f, hfaea|파에아pis, haea|하에아pis



몇몇 변이 사례는 단순히 일반적인 음절 끝에서의 유성 자음의 무성화(세계 언어에서 흔한 변화) 때문이다.

음소피진어영어
b, pkrab|크랍pis, krap|크랍pis
d, thed|헫pis, het|헷pis머리
g, kpig|픽pis, pik|픽pis돼지
v, ffaev|파에브pis, faef|파에프pis다섯



다른 경우는 오세아니아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비음화와 유성음을 연관짓는 습관을 반영한다.

음소피진어영어
b, mbkabis|카비스pis, kambis|캄비스pis먹을 수 있는 채소
d, ndridim|리딤pis, rindim|린딤pis읽다
g, nggdigim|디김pis, dinggim|딩김pis파다
w, ngwwoa|워아pis, ngwoa|응워아pis전쟁


4. 문법

피진어는 영어와 비교했을 때 타동사에 접미사 형태의 추가적인 형태소를 갖는다. 영어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형태소가 'VERB + him' 또는 'VERB + them'처럼 들린다. 접미사는 -mpis, -impis, 및 -empis을 통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피진어에서 '사랑하다'는 lavempis이다.[16] '집을 짓다'는 'bild-im haos', '교복을 사다'는 'pe-im skul yuniform', '너를 가게 하다'는 'let-em yu go'와 같이 표현한다.

솔로몬 제도 피진어로 영어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중간과 끝에 모음을 추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솔로몬 제도의 대부분 언어와 마찬가지로 피진어에는 자음 군집과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없다. 따라서 피진어 화자들은 영어 단어를 피진어 문법에 맞추기 위해 자음 사이와 단어 끝에 모음을 추가한다. 추가되는 모음은 대개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business'는 피진어 화자의 연령과 방언에 따라 *bisinis|비지니스pis 또는 *bisinisi|비지니시pis가 된다.[17] 'Work'는 waka|와카pis이다.

4. 1. 대명사

colspan=2 |단수이중삼중복수
1인칭배타적mi|미pismitufala|미투팔라pismitrifala|미트리팔라pismifala|미팔라pis
포괄적iumitufala|유미투팔라pisiumitrifala|유미트리팔라pisiumifala|유미팔라pis, iumi|유미pis
2인칭iu|유pisiutufala|유투팔라pisiutrifala|유트리팔라pisiufala|유팔라pis
3인칭hem|헴pistufala|투팔라pistrifala|트리팔라pisol|올pis, olketa|올케타pis, ota|오타pis


4. 2. 타동사 접미사

영어와 비교했을 때, 피진어의 타동사는 접미사 형태의 추가 형태소를 갖는다. 영어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형태소가 'VERB + him' 또는 'VERB + them'처럼 들린다. 접미사는 -mpis, -impis, 및 -empis을 통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피진어에서 '사랑하다'는 lavempis이다.[16]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ild-im haos: '집을 짓다'
  • pe-im skul yuniform: '교복을 사다'
  • let-em yu go: '너를 가게 하다'

4. 3. 삽입 모음

솔로몬 제도 피진어로 영어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중간과 끝에 모음을 추가하는 언어 현상이 발생한다. 솔로몬 제도의 대부분 언어와 마찬가지로 피진어에는 자음 군집과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없다. 따라서 피진어 화자들은 영어 단어를 피진어 문법에 맞추기 위해 자음 사이와 단어 끝에 모음을 추가한다. 추가되는 모음은 대개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business'는 피진어 화자의 연령과 방언에 따라 *bisinis|비지니스pis 또는 *bisinisi|비지니시pis가 된다.[17] 'Work'는 waka|와카pis이다.

5. 표현


  • Tanggio tumas fo helpem mi|탕기오 투마스 포 헬펨 미|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pis
  • No wariwari. Hem oraet nomoa.|노 와리와리. 헴 오라엣 노모아|괜찮아요. 괜찮습니다.pis
  • Hem!|헴|바로 그거야!, 그게 맞아!pis
  • Hem na ya!|헴 나 야|짜잔!, 그랬죠!pis
  • Iu naesbola tumas!|이우 나에스볼라 투마스|정말 아름다우세요!pis
  • Mi karange!|미 카란게|와! [미쳤어!]pis
  • Mi dae nau!|미 다에 나우|죽겠어! (놀라움이나 충격을 표현할 때 사용)pis
  • Tu konman!|투 콘만|거짓말쟁이/사기꾼!pis
  • Iu karange?|이우 카란게|미쳤어요?pis
  • Diswan hem bagarap.|디스완 헴 바가랍|이것(물건)이 고장났어요.pis
  • Mi no save pem.|미 노 사베 펨|살 여유가 없어요.pis
  • Iu save gud tumas pijin!|이우 사베 구드 투마스 피진|피진을 아주 잘 이해하시네요!pis
  • Iu save tumas!|이우 사베 투마스|정말 많이 아시네요!pis
  • Mi no save.|미 노 사베|몰라요 또는 못해요.pis
  • Lukim iu!|루킴 이유|안녕! (다시 만나요!)pis
  • Bro blo' mi / sista blo' mi|브로 블로 미 / 시스타 블로 미|내 형제/내 자매 (상대방에게 존중하는 표현)pis
  • Diswan hemi bulsit blo' waitman nomoa.|디스완 헤미 불싯 블로 와이트만 노모아|이건 그냥 백인들의 헛소리야.pis
  • Mi garem soa, mi go long nambanain.|미 가렘 소아, 미 고 롱 남바나인|다쳤고, 병원에 가고 있어요.pis (Nambanain|남바나인|'Number Nine'은 호니아라의 주요 병원 이름이었다.pis)[15]
  • Hemi dae finis.|헤미 다에 피니스|이미 죽었어요.pis
  • Hamas pipol save fitim insaet lo' trak blo' iu?|하마스 피폴 사베 피팀 인사에트 로 트락 블로 이유|당신의 트럭/자동차/밴에 몇 명이나 탈 수 있나요?pis
  • !Nomoa nao!|노모아 나오|절대 안 돼!pis[14]

5. 1. 인사말

Aftanun olketa!|아프타눈 올케타|모두 좋은 오후 보내세요!pis

Nem blo mi Charles|넴 블로 미 찰스|제 이름은 찰스입니다.pis

Hao nao (iu)?|하오 나오 이유|잘 지내세요?pis (Iu hao?|이우 하오|잘 지내세요?pis)

Wat na nem blo iu?|왓 나 넴 블로 이유|이름이 무엇입니까?pis

Iu blo wea?|이우 블로 웨아|어디 출신입니까?pis

Mi hapi tumas fo mitim iu.|미 하피 투마스 포 미팀 이유|만나서 반갑습니다.pis

Wanem nao lanus iu save?|와넴 나오 라누스 이유 사베|어떤 언어를 할 수 있습니까?pis

5. 2. 응답

Mi olraet nomoapis = '괜찮습니다'

Mi gut (nomoa)pis = '좋습니다'

Oraet nomoapis = '괜찮습니다'

Ma iu (yu) hao?pis = '그리고 당신은 어떻습니까?'

Tanggio tumaspis = '대단히 감사합니다'

5. 3. 질문


  • Wea nao ples blong/blo iu?pis = '당신의 거주지는 어디입니까?' (즉, '주소가 어디입니까?')
  • Iu stap lo wea distaem?pis =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 Wanem nao datwan?pis (pointing to an object) = '저것은 무엇입니까?'
  • Hamas nao bae hem kostem mi fo sendem wanfala erogram go lo' Japanpis = '이 편지를 일본으로 보내는 데 얼마나 비용이 들까요?'
  • Hu nao bae save helpim mifala weitim diswan rabis?pis = '이 난장판을 치우는 데 누가 도와줄 수 있을까요?'
  • Wea nao mi bae save paiem fea fo plen?pis = '어디서 비행기 표를 살 수 있을까요?'
  • Hamas pipol save fitim insaet lo trak blo' iu?pis = '당신의 트럭/차/밴에 몇 명이나 탈 수 있습니까?'
  • Iu garem pikinini?pis – Nomoa.pis = '자녀가 있습니까? – 없습니다.'

예/아니오 질문에서는 억양만으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질문은 물음표 사이에 있을 수 있다.

  • ?Solomon Aelan hemi barava gudfala kandre, ia man?pis = '솔로몬 제도는 정말 좋은 나라죠, 그렇지 않나요?'[14]

5. 4. 일반 표현


  • Tanggio tumas fo helpem mipis =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No wariwari. Hem oraet nomoa.pis = '괜찮아요. 괜찮습니다.'
  • Hem!pis = '바로 그거야!', '그게 맞아!'
  • Hem na ya!pis = '짜잔!', '그랬죠!'
  • Iu naesbola tumas!pis = '정말 아름다우세요!'
  • Mi karange!pis = '와!' [미쳤어!]
  • Mi dae nau!pis = 죽겠어! 하지만 놀라움이나 충격을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Tu konman!pis = '거짓말쟁이/사기꾼!'
  • Iu karange?pis = '미쳤어요?'
  • Diswan hem bagarap.pis = '이것(물건)이 고장났어요.'
  • Mi no save pem.pis = '살 여유가 없어요.'
  • Iu save gud tumas pijin!pis = '피진을 아주 잘 이해하시네요!'
  • Iu save tumas!pis = '정말 많이 아시네요!'
  • Mi no save.pis = '몰라요' 또는 '못해요'
  • Lukim iu!pis = '안녕!' (다시 만나요!)
  • Bro blo' mi / sista blo' mipis = '내 형제/내 자매' (상대방에게 존중하는 표현)
  • Diswan hemi bulsit blo' waitman nomoa.pis = '이건 그냥 백인들의 헛소리야.'
  • Mi garem soa, mi go long nambanain.pis = '다쳤고, 병원에 가고 있어요.' (Nambanainpis 'Number Nine'은 호니아라의 주요 병원 이름이었습니다)[15]
  • Hemi dae finis.pis = '이미 죽었어요.'
  • Hamas pipol save fitim insaet lo' trak blo' iu?pis = '당신의 트럭/자동차/밴에 몇 명이나 탈 수 있나요?'
  • !Nomoa nao!pis = '절대 안 돼!'[14]

참조

[1] 웹사이트 Pijin, a Language of Solomon Island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08-10-12
[2] 서적 Beach-la-Mar: The Jargon or Trade Speech of the Western Pacific https://books.google[...]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11
[3] 논문 Beach-la-Mar, the Jargon of the Western Pacific 1911
[4] 서적 Processes of Language Contact: Studies from Australia and the South Pacific Fides 2000
[5] 논문 From Fisin to Pijin: Creolization in Process in the Solomon Islands
[6] 논문 Legitimacy of Solomon Island Pijin http://notebooks.dru[...] 1996
[7] 웹사이트 A History of South Sea Islanders in Australia http://www.humanrigh[...] 2008-10-12
[8] 서적 The Beginners Pijin Handbook RAMSI
[9]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Government Celebrates Pijin Bible Release http://www.wycliffe.[...] 2014-10-08
[10] 서적 The Pacific and Australasia Mouton de Gruyter 2008
[11] 웹사이트 English in the South Pacific http://www.vanuatu.u[...] 2013-04-19
[12] 서적 Pijin Blong Yumi: A Guide to Solomon Islands Pijin Solomon Island Christian Association Publications Group 1978
[13] 서적 Pacific Languages in Education Bluebird Printery 1996
[14] 서적 Pidgin phrasebook Lonely Planet Publications 1999
[15] 서적 Living Tradition: A Changing Life in Solomon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16] 학회발표 Glimpses of the Linguistic Situation in Solomon Islands https://journals.lub[...] 2011
[17] 논문 Nativization and Anglicization in Solomon Islands Pijin 1989
[18] 웹사이트 Pijin at Ethnologue (18th ed.,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