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멩쿠부워노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멩쿠부워노 1세는 1755년 기얀티 협정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로부터 중부 자와의 절반을 지배하는 술탄으로 인정받아 욕야카르타 술탄국을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간섭에 반발하여 제3차 자와 전쟁에 참여하였고, 술탄 아궁 이후 자와 지역에서 두 번째로 '술탄' 칭호를 받았다. 그의 치세 동안 욕야카르타는 아요디아를 본뜬 도시로 건설되었으며, 슬하에 하멩쿠부워노 2세, 파쿠 알람 1세 등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정치 - 파푸아 분쟁
    파푸아 분쟁은 파푸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복잡한 이해관계를 가지며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네시아의 정치 - 판차실라 (정치 이념)
    판차실라는 인도네시아의 건국 이념이자 국가 철학으로, 수카르노에 의해 제시된 민족주의, 국제주의, 민주주의, 사회 복지, 신앙심을 포괄하는 다섯 가지 원칙을 의미하며, 사회 통합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 악용 및 이슬람 극단주의 충돌 등 논란도 있다.
  • 1717년 출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17년 출생 - 레 현종 (27대)
    레 현종은 정씨 세력의 영향력 아래 실권 없이 47년간 재위한 대월 레 왕조의 27대 황제로, 떠이선 농민 운동 이후 친정을 시도했으나 곧 사망했다.
하멩쿠부워노 1세
기본 정보
라덴 마스 수요노
라덴 마스 수요노
이름함응쿠부워노 1세
본명벤다라 라덴 마스 수요노
즉위명응아르사 달렘 삼페얀 달렘 힝캉 시누훈 강젱 술탄 함응쿠부워노, 세노파티 잉 응알라가 응압두르라만 사이딘 파나타가마 칼리파툴라, 힝캉 주메넹 카핑 I
로마자 표기Sri Sultan Hamengkubuwono I
출생
출생일1717년 8월 5일
출생지카르타수라
사망
사망일1792년 3월 24일
사망지족자카르타 왕궁 족자카르타
매장지아스타나 카수와르간, 이모기리, 족자카르타
통치
칭호스리 술탄 함응쿠부워노 1세
즉위술탄
재위 기간1755년 - 1792년
대관식1755년 3월 13일
종교이슬람
후계자술탄 함응쿠부워노 2세
가족
왕조마타람
아버지프라부 아망쿠라트 4세
어머니마스 아유 테자와티
배우자구스티 강젱 라투 켄차나 (사망: 1777년)
구스티 강젱 라투 카디파텐

2. 반란과 술탄위 획득

1746년 망쿠부미 왕자는 마스 사잇의 반란에 가담하여 제3차 자와 전쟁을 일으켰다. 1749년 파쿠부워노 2세가 사망하자, 망쿠부미는 욕야카르타 지역에서 스스로 '수수후난 파쿠부워노'라 칭하며 왕위에 올랐다. 이후 망쿠부미의 신왕국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지원을 받는 수라카르타 왕국이 대립하였다. 1754년 니콜라스 하르팅의 제안으로 망쿠부미와 협상을 진행했다. 1755년 망쿠부미는 술탄 아궁에 이어 두 번째로 술탄 칭호를 받고 '하멩쿠부워노'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욕야카르타 술탄국을 건국했다. 같은 해 기얀티 협정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하멩쿠부워노 1세를 중부 자와 절반을 지배하는 술탄으로 인정했다.[4]

2. 1.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간섭과 반발

1741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총독이 된 휘스타프 판 임호프는 수라카르타 왕국의 권력을 제한하고 자와에서 동인도회사의 이권을 극대화하려 했다. 판 임호프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와 내륙 지역을 속국화하고 자와 및 근해 도서의 항구를 전부 동인도회사 관할로 두는 것이었다.[2] 그러나 파쿠부워노 2세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계속 이권을 빼앗겼다. 결국 파쿠부워노 2세는 압박에 굴복하여 자와의 전 해안을 매년 에 임차 형식으로 동인도회사에 넘겼는데, 망쿠부미 왕자는 이에 강하게 반대하였다. 총독은 망쿠부미 왕자를 견제하고자 파쿠부워노 2세를 통해 지속적으로 방해 공작을 시도하였다. 견디다 못한 망쿠부미 왕자는 1746년 5월 마스 사잇의 반란 세력에 가담하였고, 자와 지역은 제3차 자와 전쟁에 돌입하였다.[3]

2. 2. 제3차 자와 전쟁과 술탄 즉위

1746년 5월, 망쿠부미 왕자는 마스 사잇의 반란 세력에 가담하였고, 자와 지역은 제3차 자와 전쟁에 돌입하였다.[3] 1747년 망쿠부미는 기병 2500명을 포함한 약 1만 3천 명의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고, 1748년에는 수라카르타를 공격하는 등 한동안 수라카르타 왕실을 직접적으로 위협했다.[3] 1749년 파쿠부워노 2세가 병사하자, 망쿠부미는 같은 해 12월 수라카르타 왕국 영내의 현 욕야카르타가 위치한 지역에서 추종자들에 의해 '수수후난 파쿠부워노(Susuhunan Pakubuwono)' 칭호를 받으며 왕위에 올랐다.[3]

이로 인해 망쿠부미의 신왕국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후원을 받는 수라카르타 왕국이 대립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재정적, 군사적으로 크게 위축된 동인도회사는 신왕국을 평정할 능력이 없었고, 신왕국은 지속적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3] 1750년 마스 사이드가 망쿠부미의 파티(Patih)가 되어 수라카르타를 공략하고 동인도회사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1754년 자와 북동부의 신임 사령관 니콜라스 하르팅은 망쿠부미의 신왕국에 자와를 분할해 주는 방안을 제시했고, 같은 해 4월부터 9월까지 망쿠부미와 하르팅 간의 협상이 이루어졌다.[4]

1755년 망쿠부미는 술탄 아궁 이후 구 마타람 술탄국 지역에서 두 번째로 '술탄(Sultan)' 칭호를 정식으로 받고 '하멩쿠부워노(Hamengkubuwono)' 칭호를 채택, 욕야카르타 술탄국을 열었다. 동인도회사 역시 1755년 2월 13일 기얀티 협정을 통해 망쿠부미를 수라카르타를 포함한 중부 자와의 절반을 지배하는 술탄 하멩쿠부워노 1세로 인정하였다. 하멩쿠부워노 1세는 신왕국의 수도를 아요디아를 본뜬 '욕야카르타'로 명명하였다.[4]

2. 3. 기얀티 협정과 욕야카르타 술탄국 건국

1741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총독 휘스타프 판 임호프는 수라카르타 왕국의 권력을 제한하고 자와에서 동인도회사의 이권을 극대화하려 했다.[2] 파쿠부워노 2세는 압박에 굴복하여 자와의 전 해안을 동인도회사에 임차 형식으로 넘겨주었는데, 망쿠부미 왕자는 이를 강하게 반대하였다. 총독은 망쿠부미 왕자를 견제하려 했고, 결국 1746년 5월 망쿠부미 왕자는 마스 사잇의 반란 세력에 가담하여 제3차 자와 전쟁이 발발했다.

1749년 파쿠부워노 2세가 사망하자, 망쿠부미는 같은 해 12월 현 욕야카르타 지역에서 추종자들에 의해 '수수후난 파쿠부워노' 칭호를 받고 왕위에 올랐다. 이로 인해 자와 지역에서는 망쿠부미의 신왕국과 동인도회사의 후원을 받는 수라카르타 왕국이 대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인도회사는 신왕국을 평정할 능력이 없었고, 신왕국은 지속적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3] 1754년 자와 북동부의 신임 사령관 니콜라스 하르팅은 망쿠부미의 신왕국에 자와를 분할해 주어 무마시키자는 의견을 냈고, 1754년 4월부터 9월까지 망쿠부미와 하르팅 간의 협상이 이루어졌다.

1755년 망쿠부미는 술탄 아궁 이후 마타람 술탄국 지역에서 두 번째로 '술탄(Sultan)' 칭호를 정식으로 받은 왕이 되어 '하멩쿠부워노(Hamengkubuwono)' 칭호를 채택하고 욕야카르타 술탄국을 열었다. 동인도회사 역시 1755년 2월 13일 기얀티 협정으로 망쿠부미를 중부 자와의 절반을 지배하는 술탄 하멩쿠부워노 1세로 인정하게 되었다. 하멩쿠부워노 1세는 신왕국의 수도를 아요디아를 본딴 '욕야카르타'라는 이름으로 명명하였다.[4]

3. 가족

하멩쿠부워노 1세는 여러 왕비와 후궁을 두었으며, 이들 사이에서 많은 자녀를 얻었다.[1] 왕비로는 수라카르타의 파쿠부워노 1세의 아들인 구스티 깐젱 라투 켄차나와 키아이 아젱 드레파유다의 딸 구스티 깐젱 라투 까디파텐이 있었다.[1] 후궁으로는 반다라 라덴 아유 틸라르사, 케두의 투멩궁 나타유다의 딸 반다라 라덴 아유 스렝가라, 반다라 마스 아유 탄다와티 등이 있었다.[1]

3. 1. 왕비


  • 구스티 깐젱 라투 켄차나[1]

: 반다라 팡에란 하랴 디파네가라의 딸이자, 수라카르타 파쿠부워노 1세의 아들이다.

  • 구스티 깐젱 라투 까디파텐[2]

: 키아이 아젱 드레파유다의 딸. 나중에 '구스티 깐젱 라투 하젱'이라는 칭호를 받은 태후이다.

3. 2. 후궁

Bendara Raden Ayu Tilarsa|반다라 라덴 아유 틸라르사jv[1]

Bendara Raden Ayu Srenggara|반다라 라덴 아유 스렝가라jv:[1] 케두(Kedu)의 투멩궁 나타유다의 딸이다.

Bendara Mas Ayu Tandhawati|반다라 마스 아유 탄다와티jv[1]

3. 3. 자녀

이름모친비고
구스티 라덴 마스 엔타구스티 깐젱 라투 켄차나깐젱 구스티 팡에란 아디파티 아놈 하멩쿠네가라 수디비야 라자푸트라 렌드라 잉 마타람이라는 칭호로 후계자에 임명되었으나 요절함.
구스티 라덴 아젱 인텐구스티 깐젱 라투 켄차나구스티 깐젱 라투 벤다라로 불림. 망쿠네가라 1세와 결혼했으나 이혼함.
깐젱 팡에란 하랴 항아베히반다라 라덴 아유 틸라르사출생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하멩쿠부워노 2세구스티 깐젱 라투 까디파텐하멩쿠부워노 2세로 즉위.
반다라 라덴 아유 다누쿠수마출생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족자카르타의 파티인 다누레자 1세의 장남인 깐젱 라덴 투멩궁 다누쿠수마와 결혼.
반다라 라덴 아유 랑가 프라위라디르자반다라 라덴 아유 스렝가라출생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마디운의 라덴 랑가 프라위라디르자 2세와 결혼.
반다라 팡에란 하랴 나타쿠수마반다라 라덴 아유 스렝가라출생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파쿠 알람 1세로 임명.
반다라 라덴 마스 하디위자야반다라 마스 아유 탄다와티반다라 팡에란 하랴 파눌라로 불리며 하멩쿠부워노 5세의 와킬 달렘으로 활동.


참조

[1] 웹사이트 Biografi singkat HB I https://www.kratonjo[...] kratonjogja.id 2019-06-19
[2] 서적 인도네시아사 (4판)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3] 서적 인도네시아사 (4판)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4] 서적 인도네시아사 (4판)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