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생선교자원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19세기 말 미국에서 시작된 학생들의 해외 선교 자원 운동이다. 1886년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에서 열린 컨퍼런스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개신교 부흥과 제국주의적 배경 속에서 해외 선교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SVM은 '현 세대에 세계 복음화'를 목표로 YMCA, YWCA 등과 협력하여 선교사를 모집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갈등, 선교 이론의 변화, 경쟁 단체의 등장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에큐메니컬 운동에 참여하면서 1966년 전국 학생 기독교 연맹의 세계 선교 위원회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6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일본 정교회
    일본 정교회는 1696년 시작되어 러시아 선교사 니콜라이 카삿킨에 의해 본격적으로 전파되었고, 1970년 자치권을 획득하여 현재 3개 교구, 약 1만 명의 신자를 두고 있다.
  • 선교 단체 -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선교 행정가, 저술가로서, 미국 장로교 선교회 비서로 해외 선교에 헌신하고 '예수의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하여 도덕 재무장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 신앙과 관련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 선교 단체 - 한국외항선교회
    한국외항선교회는 1974년 설립된 초교파적 선교기관으로, 국제 항구에 입항하는 외항 선원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복음의 역수출과 타문화권 선교, 민간 외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국내 주요 항만에서 다양한 사역을 펼치고 있다.
  • 선교사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선교사 - 방지일
    방지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에 활동한 장로교 목사이자 선교사로, 중국 선교, 신사참배 저항, 독립운동 지원, 한국 개신교 발전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학생선교자원운동
개요
학생 선교 자원 운동 로고
학생 선교 자원 운동 로고
설립 연도1886년
해체 연도1969년
유형초교파 학생 운동
목적해외 선교사 모집 및 훈련
슬로건우리 세대에 세계를 복음화하자.
창립자루터 위시어드
로버트 와일더
영향수천 명의 선교사 파송
해외 선교에 대한 관심 증대
학생 선교 운동 활성화
역사
창립 배경19세기 후반의 해외 선교 열풍과 학생 운동의 성장
주요 활동여름 캠프 및 컨벤션 개최
선교 관련 서적 출판
선교사 지망생 훈련
쇠퇴 원인세계 대전의 영향
선교에 대한 비판적 시각 증가
학생 운동의 변화
조직 및 구조
지도부총무, 서기, 재무 등으로 구성
회원해외 선교를 희망하는 대학생 및 졸업생
지부미국, 캐나다 등 주요 대학에 설립
유산
영향현대 선교 운동에 큰 영향
관련 단체여러 선교 단체 및 학생 운동 단체
자료 보관예일 대학교 도서관

2. 기원과 정착 (1886-1891)

19세기 말, 미국 사회는 서구 문명의 영향력이 커지고 제국주의적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비서구 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민족주의가 고조되었고, 미국 문명의 성공이 기독교에 기반한다는 믿음이 해외 선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2] 당시 개신교 해외 선교사들은 대중에게 영웅으로 여겨졌으며, 이들은 영적 종교를 우선시하면서도 기독교 문명을 신앙의 중요한 결과로 보았다.[2] 케네스 스콧 라투레트는 "미국의 기독교, 특히 개신교는 이 나라의 정신에 순응하는 방식이 뚜렷한 특징"이라고 언급했다.[3]

당시 미국 문화는 사업과 기업 중심의 팽창주의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성향을 띠었다. 이는 SVM의 재정 기록과 서신에서 기업과 선교 사업 간의 유사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학적 실증주의로의 전환은 SVM이 작업에 대한 통계적 증거를 강조하는 데 반영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해외 선교를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세계 정세는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개신교의 부가 증가하면서 기독교 재벌들은 해외 선교 사업에 거액을 기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제적 혼란, 도시화, 역사적 비평, 진화론의 부상, 자유주의와 부흥주의 간의 갈등 등은 미국의 종교적 이상주의를 위협하는 요소들이었다.[4] 시드니 알스트롬은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교회들이 해외 선교 붐을 통해 대결을 피하려 했다고 주장했다.[4] 로버트 핸디는 선교 사업을 1830년대 자발주의의 연장선으로 보았으며, 이는 교파 간의 협력을 통해 개신교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수단이었다.[5]

2. 1. 초기 학생 기독교 운동

18세기 초부터 학생 기독교 단체들이 존재했으며, 19세기 초에는 해외 선교가 주요 관심사로 부상했다. 1877년 YMCA 학생부가 설립되었고, 루터 D. 위샤드의 영향으로 해외 선교에 집중하게 되었다. 1880년 학내 간 선교 동맹이 설립되어 SVM과 YMCA의 활동이 통합되기 전까지 연례 회의를 개최했다.[26][27][21]

2. 2. 노스필드 컨퍼런스와 SVM의 탄생

Student Volunteer Movement영어 (SVM)은 1886년 매사추세츠 주 노스필드에서 열린 여름 학생 컨퍼런스에서 시작되었다. 이 컨퍼런스는 드와이트 L. 무디가 주최하였고, 아서 태판 피어슨, 로버트 와일더 등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31] 이 컨퍼런스에서 100명의 학생들이 해외 선교사로 헌신하기로 결의하면서, SVM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존 R. 모트도 이 운동의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2. 3. 초기 조직과 활동

1886년부터 1887년까지 로버트 와일더와 존 포먼은 북미 대학 167곳을 방문하여, 2,200명의 남녀 학생들에게 해외 선교사로 지원할 것을 권유했다.[11] 이들의 활동은 과도한 압박과 감정적 동요를 일으킨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가톨릭 정기 간행물인 '아메리카'는 초기 자원봉사자 모집 과정에서 도덕적 폭력까지 사용되었다고 묘사했다.[11]

1888년, 학생해외선교자원운동(SVM)은 "현 세대에 세계 복음화"를 슬로건으로 채택했다.[14] SVM은 YMCA, YWCA와 협력 관계를 맺고자 했으나, SVM은 여성과 대학원생을 포함하며 더 전문적인 목표를 가졌기 때문에 별도 조직으로 남았다.[14]

1891년, 클리블랜드에서 열린 제1회 국제 컨벤션은 SVM의 확고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16] 이 컨벤션은 "이번 세대에 세계 복음화"를 주제로 한 당시 최대 규모의 학생 컨퍼런스였다. 350개 기관에서 6,200명의 자원봉사자가 등록되었고, 320명이 해외로 파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16] 이 컨벤션을 통해 SVM은 선교 위원회를 위한 모집 기관이며, 파견 기관이 아니라는 점이 명확해졌다.[16]

3. 지속적인 성장

1891년 이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꾸준히 성장했지만, 여러 문제점과 위험 요소에 직면했다.[17] 1894년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제2차 국제대회에서 집행위원회는 SVM의 5가지 "문제점"과 5가지 "위험 요소"를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점과 위험 요소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SVM은 전쟁 이전 시대에 꾸준히 성장하여, 1898년(클리블랜드), 1902년(토론토), 1906년(내슈빌), 1910년(로체스터), 1914년(캔자스시티)에 정기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에는 존 W. 포스터, 헨리 모티머 듀런드, 제임스 브라이스 등 저명한 인물들이 연사로 참여했다. 1910년까지 4,338명의 자원봉사자가 해외로 출항했으며, 1906년부터 1909년까지 미국에서 출항한 선교사의 절반 이상이 SVM 출신이었다.[24] SVM의 활동은 1906년 평신도 선교 운동의 결성과 예일 호프 미션과 같은 국내 선교 프로젝트 설립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932년 미국의 "종교적 대공황"은 SVM의 재정 상황을 악화시켰다.[39] 제시 윌슨은 "재정적 상황 때문에, 우리는 현재 전체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혼란스러워 어떤 일에도 헌신하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경제난은 1930년대 말까지 이어졌고, SVM은 조직 재편과 재정 문제 해결 없이는 존속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3. 1. 문제점과 위험 요소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 지역 자원 봉사 단체에 대한 감독 및 통제 부족[17]
  • 졸업 후에도 선교지로 떠나지 못한 자원봉사자들과의 연락 유지 어려움
  • 신학대학원생 유지 어려움: 신학대학원에서는 "수업의 시작부터 끝까지, 교직원들의 가르침과 태도는 학생들이 모두 집에 머물 것이라는 추정"이 있었다고 한다.[17]
  • 자원봉사자들을 선교 단체와 연결하는 어려움
  • 재정적 장애


SVM의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았다.

  • 목적 선언 카드 관련 문제: 자원봉사자가 해외 선교사가 될 의사를 표시하는 3인치 x 5인치 크기의 카드(초기에는 "자원 봉사 서약"이라고 불렸으나, "자원 봉사 선언"으로 변경)는 부적절한 시기, 장소, 상황에서 사용될 위험이 있었다.
  • 운동 결과 과장: 많은 이들이 선언 카드에 서명했지만, 이후 운동과의 연락을 유지하지 않아 공식 회원 수가 감소했다.
  • "방해받은" 자원봉사자 증가: 건강, 가족, 재정 등의 이유로 해외 선교지로 갈 가능성이 낮은 자원봉사자들이 증가했다.
  • 자원봉사자와 비자원봉사자 간의 간극: 대학 캠퍼스 내에서 학생 자원봉사자와 종교적 성향의 비자원봉사자 간의 간극이 발생했다. 자원봉사자들이 우월한 태도를 취하고 일반 종교 단체와 분리된다는 비판을 받았다. 로버트 스피어는 "자원 봉사자와 기관의 나머지 학생들 사이에 뚜렷한 간극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자원 봉사 단체는 학생들과는 동떨어진 작은 원으로, 종종 학생들과의 공감대가 없습니다."라고 언급했다.[18]

3. 2. 선교 연구와 여성 참여 확대

이전 출력에서 주어진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원본 소스를 다시 검토한 결과, 요약에서 언급된 내용(1894년 교육부 설립, 선교 연구 수업 도입, 캠퍼스 내 선교 도서관 구축 장려, 여성 참여 확대 노력)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이 옳으며,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3. 3. 경쟁 운동과 신학적 논쟁

SVM은 다른 학생 기독교 운동과의 경쟁에 직면했고, 신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보수주의/자유주의 분열이 심화되면서, "현 세대에 세계 복음화"라는 슬로건은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

SVM은 초기에는 학생 선교 교육 및 모집 기관으로서 명확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전쟁 사이 기간 동안 그러한 기관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커졌다.[40]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에 SVM은 1) YMCA, YWCA, 교파 학생 활동 및 연합 운동을 포함한 일반 학생 기독교 운동, 2) 인터바시티 기독교 교제를 비롯한 보수적 학생 기독교 운동, 3) 주류 교파 선교 프로그램, 4) 이 시기 진화하는 선교 이론과 운동이 어떻게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하는 문제와 씨름해야 했다.[40]

1940년에 미국에서 설립된 학생 기독교 운동인 인터바시티 기독교 교제(IVCF)와의 관계는 SVM이 보수적인 기반에서 벗어나는 경로를 보여준다. SVM은 처음에는 IVCF의 목표에 공감했지만, IVCF가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했다.[46] 1951년 IVCF 선교 컨퍼런스에 파견된 SVM 대표는 IVCF와 SVM 간의 협력에는 역사적, 심리적, 신학적 차이, 그리고 IVCF의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라는 네 가지 장벽이 있다고 보고했다.[48]

SVM은 IVCF와의 화해를 모색했지만,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의 프로그램과 직접적인 경쟁 관계가 되었다. IVCF의 구성원이 아닌 IVCF의 지도부가 IVCF-SVM 협력을 가장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47]

선교 이론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 1949년 선언 카드 연구 위원회는 "나의 재능과 자원을 기독교 세계 선교에 사용하고, 그 요구에 비추어 나의 삶의 일을 기도하며 선택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뜻에 따라 나는 ... 국내 ...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라는 형식을 제안했다.[57]

1950년대가 진행되면서 SVM이 에큐메니컬 사업에 점점 더 많이 참여하게 되면서, SVM이 기존 선교 위원회 및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 봉사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매우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경우에만 학생 기독교 현장에 뚜렷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4. 새로운 시대에 직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SVM은 변화된 사회적, 종교적 환경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1930년대 미국의 "종교적 대공황"은 SVM의 재정난을 심화시켰고, 제시 윌슨은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전체 프로그램이 혼란스럽다고 인정했다.[39]

초기 SVM은 학생 선교 교육 및 모집 기관으로서 명확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전쟁 사이 기간 동안 그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1936년 윌미나 롤랜드는 많은 사람들이 SVM의 유용성이 끝났다고 생각하며, 해외 선교 위원회 서기들은 SVM이 사라져도 후보자 선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했다.[40] 1939년 감리교 지도자 H.D. 볼린저는 "SVM은 과거의 것이며, 이를 영속시킬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이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썼다.[41] 1940년 교파 지도자 회의에서는 SVM이 주요 위원회를 위해 거의 모집을 하지 않았으므로, 위원회가 자체적인 협력적 모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42]

이러한 상황에서 SVM은 안정적인 지도력 부재와 조직 개편의 어려움을 겪었다. 제시 윌슨 사임 이후 10년 동안 4명의 임시 또는 정식 사무총장이 활동했고, 총회는 1936년 더 작은 운영 위원회로, 1941년에는 다른 조직 체계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SVM은 미래 존속을 위한 대안을 모색해야 했다.

당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 일반 학생 기독교 운동(YMCA, YWCA, 교파 학생 활동 및 연합 운동)과의 관계

# 인터-바시티 기독교 교제를 비롯한 보수적 학생 기독교 운동과의 관계

# 주류 교파 선교 프로그램과의 관계

# 진화하는 선교 이론과 운동의 관계

미국 개신교에서는 다양한 선교 이론이 존재했다. 초기에는 개인 구원을 위한 복음화가 강조되었지만, 이후 교회 개척과 교육 사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해외 토착 교회가 부상하면서 에큐메니컬 공유 개념이 선교 활동의 정당성을 부여했다. 1932년 평신도 평가 위원회는 종교 간 발전을 포함하는 급진적인 선교 사업 개념을 제안했지만, 찰스 포먼은 "선교 위원회의 반응은 평신도 위원회의 선교 이론과 신학이 미국 선교의 그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평가했다.[54]

선교 활동이 기독교 문명 수출이 아닌 전 세계적 협력으로 여겨지면서, 해외 선교와 국내 선교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SVM은 해외 선교에 대한 집중을 정당화해야 했다. 1945년 SVM은 국내 선교 프로그램과 협력을 넘어 실제 모집 및 교육 활동에 참여하며, 명칭을 기독교 선교를 위한 학생 자원 운동으로 변경했다. 이는 국내외 선교의 구분이 쓸모없으며, 교회 사업은 하나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이었다.[55] SVM의 선언 카드는 세 가지 대안을 제공하도록 개정되었으나, 해외 선교 집중 약화 및 선교 사명 특별성에 대한 의문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다.[56]

선교 이론에 대한 논쟁은 SVM의 정체성 문제와도 연결되었다. 1950년대, SVM은 에큐메니컬 사업에 더 많이 참여하면서, 기존 선교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집중해야만 뚜렷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모두에게 동의를 얻지 못했고, SVM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은 더욱 커졌다.[57] SVM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아직 토착 교회가 강력하게 설립되지 않은 세계 곳곳의 "개척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8]

1960년대, SVM은 자유주의적 미국 개신교 내에서 확산된 선교 이론, 즉 비서구 세계에 대한 서구 교회의 개척 선교보다는 전 세계적인 교회의 협력을 강조하는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의 세계 선교 위원회 형태로 해산되었다.[5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SVM은 다른 학생 기독교 운동 및 개신교 선교 이론과의 관계를 정의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SVM은 1940년의 최저점에서 회복하여 거의 20년 동안 긍정적인 프로그램을 지속했다.

시드니 알스트롬을 비롯한 종교사학자들은 1950년대 말까지 이어진 미국 기독교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부흥을 묘사했다. 도시화, 교외화, 지리적 이동성, 경제적 풍요 속에서 적응 문제와 지위 불안이 존재했고, 교회는 가족 제도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했다. 냉전 시대 분위기는 종교적 신앙 부활의 최적 시기였고, 근본주의 신학은 지적으로 업데이트된 형태로 부활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SVM 지도자들은 운동 쇠퇴가 대학 캠퍼스 내 종교 관심 감소와 관련 있다고 지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복음주의 종교 부활로 SVM은 더 넓은 기반을 찾을 수 있었다. 1944년 이사회는 "운동은 완전한 복음주의 선교 메시지와 프로그램에 대한 헌신을 점점 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1946년, SVM의 선교사 공석 목록인 '기독교 지평'에는 거의 1,000개의 해외 공석이 포함되었다. SVM 홍보 자료는 "수백 명의 새로운 일꾼이 필요한 상황에서, 크고 작은 위원회 모두 즉각적인 필요를 충족할 후보자를 공급하고, 위원회가 인력을 선택할 수 있는 자원 봉사자의 꾸준한 흐름을 보장하는 교육 및 모집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SVM에 도움을 요청한다."고 주장했다.

1948년 4월 SVM 이사회 회의에서 재정 상황이 양호하고 캠퍼스 내 선교 관심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1951/1952년 운동 예산은 60400USD로, 전년도보다 10000USD 이상 높았고, 1941/1942년 예산의 6배였다. 1952/1953 학년도 동안 5개 교파에서 온 20명의 여행 직원이 44개 주 300개 이상 대학을 방문했다.

종교적 관심 증가와 경제 상황 개선으로 촉발된 부흥은 1950년대 중반 절정에 달했지만, SVM이 에큐메니컬 사업에 참여하고 모집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질문에 직면하면서 다른 형태를 취했다. 1955/1956 학년도 동안 21명의 여행 직원이 350개 캠퍼스를 방문했지만, 미국 학부 캠퍼스에는 500명의 학생 자원 봉사자만이 있었다. 1956/1957년 SVM 예산은 50000USD로 삭감되었다.

전국학생기독교연맹(National Student Christian Federation)이 세계 선교 위원회와 학생 자원 봉사자 친교 위원회를 구성한 후에도 선교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 자원 봉사자 지원은 계속되었다. 1962년 5월, 위원회 뉴스레터는 3,000명이 넘는 자원 봉사자 또는 예비 자원 봉사자에게 발송되었다고 보고되었다.

4. 1. 전후 상황과 복음주의의 변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의 신규 지원자 모집은 감소했지만, 휴전 직후 선교사 파견은 다시 증가했다. 그러나 교회 간 세계 운동의 실패는 미국 개신교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렸다.[58] 구 SVM의 복음주의는 더 이상 전후 세대 학생들에게 같은 매력을 주지 못했다.

4. 2. 보수주의/자유주의 분열 심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문명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면서 미국 학생들은 해외 선교와 국내 선교를 동일한 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55] 1920년 데모인의 "혁명가"들은 미국 내 상황도 기독교화가 시급한데, 굳이 선교사를 해외로 파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55]

선교 활동이 기독교 문명을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협력으로 여겨지면서 해외 선교와 국내 선교의 구분이 모호해졌다.[55] 1945년, 해외선교학생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은 기독교 선교를 위한 학생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Christian Missions)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국내외 선교의 구분이 불필요하며 교회의 사업은 하나라는 인식을 반영했다.[55]

이러한 변화와 함께, SVM의 선언 카드는 세 가지 선택지를 제공하도록 개정되었다.[56]

  • I.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
  • II. 선교 사명에 대한 추가적인 지침 추구
  • III. 기도, 헌금, 봉사를 통해 교회의 세계 선교 지원


그러나 이러한 선언 카드의 형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해외 선교에 대한 집중을 잃는 것을 우려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선교 사명에 대한 선택이 특별해야 하는 이유에 의문을 제기했다.[56]

선교 이론에 대한 논쟁은 SVM의 정체성 문제와도 연결되었다. 모든 기독교 학생이 선교적이어야 한다면, SVM의 회원 자격은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1952년, SVM 정책 위원회는 이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57]

1950년대, SVM은 에큐메니컬 사업에 더 많이 참여하면서, 기존 선교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집중해야만 뚜렷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모두에게 동의를 얻지 못했고, SVM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은 더욱 커졌다.[57] SVM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아직 토착 교회가 강력하게 설립되지 않은 세계 곳곳의 "개척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8]

1960년대, SVM은 자유주의적 미국 개신교 내에서 확산된 선교 이론, 즉 비서구 세계에 대한 서구 교회의 개척 선교보다는 전 세계적인 교회의 협력을 강조하는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의 세계 선교 위원회 형태로 해산되었다.[59]

4. 3. 학생들의 발언권 확대 요구

떠오르는 학생 세대는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의 운영과 정책에 더 많은 발언권을 요구했다.[42] 이에 SVM은 조직 구조를 개편하고, 학생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1936년에는 총회가 더 작은 운영 위원회로 대체되었고, 1941년에는 또 다른 조직 체계로 바뀌었다.[42]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주도적인 참여를 장려하고, 운동의 의사 결정 과정을 민주화하려는 시도였다.

5.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혼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사이에서 분열되었다. SVM 지도부는 보수적인 관점과 자유주의적인 관점 사이에서 갈등했다. 보수적인 지도자들은 개인의 복음주의적 신앙을 강조한 반면, 자유주의적인 지도자들은 사회적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1940년 미국에서 설립된 학생 기독교 운동인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에서 SVM이 보수적인 기반에서 벗어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SVM은 처음에는 IVCF의 목표에 공감했다. 1944년 SVM 사무총장 윈번 토마스는 "SVM이 IVCF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언급하며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46] 그러나 IVCF는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46]

1948년, SVM 이사회는 해외에서 많은 학생 자원 운동이 중요성을 잃고 있으며, 선교 교육 업무가 종종 IVCF 그룹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미래 정책 특별 위원회는 SVM이 장려하는 새로운 캠퍼스 선교 펠로우십이 근본주의 캠퍼스 그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SVM은 IVCF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과 경쟁 관계를 형성했다. 특히 IVCF 지도부는 IVCF-SVM 협력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47]

1951년, SVM의 번 로스먼은 IVCF와 SVM 간의 협력을 가로막는 네 가지 장벽을 제시했다.

장벽 종류내용
역사적 장벽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대한 IVCF의 반발과 제도 보존에 대한 열망
심리적 장벽흡연, 춤, 화장품에 대한 IVCF의 금기, 특정 형태의 종교적 전문 용어, 정치적, 경제적 보수주의에 대한 성향
신학적 차이(내용 없음)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IVCF는 기능을 독점적으로 간주하고, 교리적으로 순수하며, 성경에 충실하며, 보편성을 거의 배제한 채 거룩함을 강조[48]



이러한 분열은 SVM의 정체성과 방향에 대한 혼란을 야기했다.

5. 1. 보수적 요소의 이탈

보수적인 요소들은 점차 학생선교자원운동(SVM)에서 이탈하여, 별도의 단체를 형성하거나 신앙 선교 위원회에 합류했다.[48] 이들은 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반발하였고,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 같이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48]

SVM은 IVCF와의 협력을 모색했지만, IVCF는 SVM과의 협력에 소극적이었다.[47] IVCF는 SVM과 역사적, 심리적, 신학적 차이를 보였으며, 에큐메니컬 정신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48]

SVM은 IVCF에 대표를 파견하고 협력을 요청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49] 그러나 SVM이 에큐메니컬 학생 운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IVCF와의 협력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지게 되었다.[50] 이러한 보수적 요소의 이탈은 SVM의 재정적 어려움을 심화시키고, 운동의 존립 기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5. 2. 자유주의적 경향 강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쇠퇴기를 겪으며 중대한 기로에 서게 되었다. 보수와 진보 양쪽 모두에게 호소력을 가졌던 이전의 역할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웠고, 운동은 보수적 방향 또는 진보적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결국 SVM은 전국학생기독교연맹에 참여함으로써 더 진보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46]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순탄치만은 않았다. SVM의 상당수 구성원과 지도부는 이 시기 "Y"(YMCA로 추정)와 주요 교파 학생 운동의 복음주의가 약화되고 인도주의적 경향이 강화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SVM과, 보다 보수적인 학생 기독교 운동인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SVM은 IVCF의 목표에 공감하며 협력을 모색했다. 1944년 SVM 사무총장 윈번 토마스는 "SVM이 IVCF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언급하며 협력 의지를 표명했다.[46] 그러나 IVCF는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46]

1948년, SVM 이사회는 해외에서 많은 학생 자원 운동이 중요성을 잃고 있으며, 선교 교육 업무가 종종 IVCF 그룹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미래 정책 특별 위원회는 SVM이 장려하는 새로운 캠퍼스 선교 펠로우십이 근본주의 캠퍼스 그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SVM은 IVCF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과 경쟁 관계를 형성했다. 특히 IVCF 지도부는 IVCF-SVM 협력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47]

1951년, SVM의 번 로스먼은 IVCF와 SVM 간의 협력을 가로막는 네 가지 장벽을 제시했다.

장벽 종류내용
역사적 장벽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대한 IVCF의 반발과 제도 보존에 대한 열망
심리적 장벽흡연, 춤, 화장품에 대한 IVCF의 금기, 특정 형태의 종교적 전문 용어, 정치적, 경제적 보수주의에 대한 성향
신학적 차이(내용 없음)
에큐메니컬 정신의 부재IVCF는 기능을 독점적으로 간주하고, 교리적으로 순수하며, 성경에 충실하며, 보편성을 거의 배제한 채 거룩함을 강조[48]



로스먼은 IVCF 컨퍼런스 프로그램이 성경 공부와 예배를 강조했으며, 연사들은 일반적으로 보수 또는 신앙 선교 위원회를 대표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SVM은 IVCF에 계속 접근했다. 1953년 SVM 이사회는 더 큰 협력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고,[49] 인터바시티 선교 펠로우십이 SVM 4개년 계획 위원회 및 이사회에 대표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SVM은 에큐메니컬 학생 운동에 점점 더 참여하게 되었고, 이는 IVCF와의 협력 가능성을 사실상 제거했지만, IVCF 그룹의 펠로우십 정신을 계속 존경했다. 1956년 정책 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은 여전히 "캠퍼스에서 구상된 SVM 펠로우십 그룹의 발전이 SVM을 IVCF에 더 가깝게 이해시킬 수 있기를" 바랐다.[50]

요약하자면, SVM은 점차 자유주의적인 경향을 강화했지만, 여전히 보수적인 학생 구성원들의 지지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SVM의 정체성과 방향에 대한 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

6. 운동의 재정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1940년에 쇠퇴의 최저점에 도달했다. SVM은 존속을 위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자신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의해야 했다. 보수와 진보 양쪽 모두에게 수용될 수 있는 합의 운동으로서의 이전 역할은 더 이상 불가능했으며, SVM은 보수적 방향 또는 진보적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갈림길에 섰다.

SVM은 결국 전국학생기독교연맹에 참여함으로써 더 진보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SVM의 상당수 구성원과 지도부는 "Y"와 주요 교파 학생 운동의 복음주의 약화와 인도주의적 경향에 동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은 처음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었다.

SVM이 보수적 기반에서 벗어나는 과정은 1940년 미국에서 설립된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44년 2월, SVM 사무총장 윈번 토마스는 SVM이 IVCF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느낀다고 밝혔다.[46] 그러나 같은 해 10월 회의에서 IVCF가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언급되기도 했다.[46]

1948년, SVM 이사회는 해외에서 선교 교육 업무가 IVCF 그룹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고받았다. 미래 정책 특별 위원회는 SVM이 장려하는 새로운 캠퍼스 선교 펠로우십이 근본주의 캠퍼스 그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SVM은 IVCF와의 화해를 지속적으로 모색했지만,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과 직접적인 경쟁 관계를 형성했다. 1949년, SVM 여행 비서는 IVCF 지도부가 SVM과의 협력을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고했다.[47]

1951년, SVM 대표 번 로스먼은 IVCF와 SVM 간의 협력에 네 가지 장벽(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대한 IVCF의 반발, 흡연/춤/화장 등에 대한 IVCF의 금기, 특정 종교 용어 사용, 정치적/경제적 보수주의 성향, 신학적 차이, IVCF의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이 있다고 분석했다.[48]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SVM은 1953년 IVCF에 더 큰 협력을 요청하는 등 접근을 시도했다.[49] SVM은 에큐메니컬 학생 운동에 더 참여하면서 IVCF와의 협력 가능성은 사라졌지만, IVCF 그룹의 펠로우십 정신은 존경했다. 1956년, 정책 위원회 위원들은 SVM 펠로우십 그룹의 발전이 SVM을 IVCF에 더 가깝게 이해시킬 수 있기를 바랐다.[50]

미국 개신교에서는 개인 구원을 위한 복음화, 교회 개척과 교육 사업, 에큐메니컬 공유 등 다양한 선교 이론이 시기별로 우세했다. 1932년 평신도 평가 위원회는 종교 간의 발전을 포함하는 급진적인 선교 사업 개념을 제안했지만, 찰스 포먼은 미국 선교의 이론과 신학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54]

선교 활동이 기독교 문명 수출이 아닌 전 세계적인 협력 방식으로 여겨지면서, 해외 선교와 국내 선교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1920년 데스 모인에서는 미국 내 기독교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SVM은 해외 선교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1945년, SVM은 국내/해외 선교의 구분을 없애고 '기독교 선교를 위한 학생 자원 운동'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선언 카드에는 국내외 선교를 모두 포함하는 세 가지 대안이 제시되었다.[55] 그러나 이 형식은 해외 선교 집중 약화, 선교 사명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받았다.

1949년, 선언 카드 연구 위원회가 설립되어 새로운 형식을 제안했다. 1952년 회의에서 선교 이론, SVM 회원 자격 기반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57]

1950년대 SVM은 에큐메니컬 사업에 참여하면서, 기존 선교 위원회 및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 봉사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집중해야 뚜렷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커졌다. SVM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SVM이 교회 선교의 "개척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57년 SVM 뉴스레터는 공산주의와의 대결을 또 다른 "개척지"로 주목했다.[58]

SVM이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으로 합병된 후에도 선교 이론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었다. 1960년 뉴스레터에는 "적절한 선교 신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59] 1966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의 세계 선교 위원회 형태로 해산되었는데, 이는 비서구 세계에 대한 서구 교회의 개척 선교보다는 교회의 전 세계적인 에큐메니컬 협력을 강조하는 선교 이론 확산의 결과였다.

6. 1. 다른 기독교 운동과의 관계 재정립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YMCA, YWCA와 같은 일반 학생 기독교 운동,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 같은 보수적 학생 기독교 운동, 그리고 주류 교파 선교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노력했다.

1944년, 연합 학생 기독교 협의회(USCC)가 탄생하면서, SVM은 USCC의 선교 위원회 역할을 맡기로 합의했다.[46] 1959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맹(NSCF)에 통합되어 NSCF의 세계 선교 위원회가 되었다.

SVM은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를 통해 보수적인 기반에서 벗어나는 경로를 모색했다. 처음에는 펠로우십의 목표에 공감하며 협력을 시도했으나,[47] IVCF가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46]

1948년, SVM 이사회는 해외에서 선교 교육 업무가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 그룹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받았다. 미래 정책 특별 위원회는 SVM이 장려하는 새로운 캠퍼스 선교 펠로우십이 근본주의 캠퍼스 그룹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SVM은 IVCF와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모색했지만,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의 프로그램과 경쟁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IVCF 지도부는 IVCF-SVM 협력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47]

1951년, IVCF 선교 컨퍼런스에 파견된 SVM 대표 번 로스먼은 IVCF와 SVM 간의 협력에 네 가지 장벽이 있다고 분석했다.[48]

장벽 종류내용
역사적 장벽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대한 IVCF의 반발
심리적 장벽흡연, 춤, 화장 등에 대한 IVCF의 금기, 특정 종교 용어 사용, 정치적/경제적 보수주의 성향
신학적 차이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IVCF의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SVM은 IVCF에 계속 접근을 시도했다. 1953년, SVM 이사회는 IVCF에 더 큰 협력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49] 그러나 SVM이 에큐메니컬 학생 운동에 더 참여하게 되면서 IVCF와의 협력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VM은 IVCF 그룹의 펠로우십 정신을 존경했다. 1956년, 정책 위원회 위원들은 캠퍼스에서 구상된 SVM 펠로우십 그룹의 발전이 SVM을 IVCF에 더 가깝게 이해시킬 수 있기를 바랐다.[50]

6. 2. 교파 선교 프로그램과의 관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주요 개신교 교파의 선교 사업과의 관계를 재평가해야 했다. 전성기에 SVM은 교파 선교 위원회에 선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선교사를 선택할 수 있는 모집 인력을 제공하는 도구로 여겨졌다. 그러나 SVM의 광범위한 모집 시스템은 위원회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배출하기도 했다.[5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교파 선교 활동이 감소하면서 SVM의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쳤다. 1935년 E. 페이 캠벨은 제시 윌슨에게 선교 위원회의 재정 상태 때문에 지원을 받는 것이 어렵다고 썼다.[51]

1933년 SVM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일부 교파는 SVM을 계속 지원했지만, 다른 교파는 그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성공회, 감리교, 장로교 대표는 덜 열정적이었다.[52]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교파들이 자체 캠퍼스 학생 그룹을 개발하면서 SVM의 역할이 모호해졌다. 1953년 SVM 보고서에 따르면, 1930년대 후반 SVM은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해야 했다.[53]

SVM은 미국 기독교 교회 전국 협의회(NCCCUSA)가 1950년에 출현했을 때, 회원 부서로 참여했다. NCCCUSA는 SVM을 초교파 모집 기관으로 보았다. SVM은 1951년 기독교 교육부의 기독교 소명 합동 부서의 선교 서비스 부서가 되었고, 1959년에는 기독교 고등 교육 위원회의 선교 서비스 부서로서 NCCCUSA와 관련되었다.

6. 3. 선교 이론의 변화

SVM은 변화하는 선교 이론에 적응해야 했다. 초기에는 개인의 구원을 위한 복음화에 중점을 두었으나, 점차 교회 개척과 교육 사업으로 관심이 옮겨갔다. 이후 해외에서 토착 교회가 성장하면서, 선교 활동은 전 세계적인 에큐메니컬 협력의 방식으로 여겨지게 되었다.[5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SVM은 해외 선교에 대한 집중을 계속 정당화해야 했다. 1920년 데스 모인에서는 미국 내 상황도 기독교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SVM은 해외 선교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55]

1945년, SVM은 국내 선교와 해외 선교의 구분을 없애고, "기독교 선교"라는 포괄적인 개념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SVM은 '기독교 선교를 위한 학생 자원 운동'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선언 카드에 국내 선교와 해외 선교를 모두 포함시켰다.[55]

개정된 선언 카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선택지를 제공했다.

  • I.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II. 선교 사명에 대한 추가적인 지침을 구하려고 합니다.
  • III. 기도, 헌금, 일상적인 봉사를 통해 교회의 세계 선교를 지원할 것을 제안합니다.[56]


그러나 이러한 선언 카드의 형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일부는 해외 선교에 대한 집중을 잃는다고 우려했고, 다른 일부는 선교 사명에 대한 특별한 관심 자체가 필요하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모든 직업을 통해 교회의 선교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57]

1949년, 선언 카드 연구 위원회는 새로운 형식을 제안했다.

  • 나의 재능과 자원을 기독교 세계 선교에 사용하고, 그 요구에 비추어 나의 삶의 일을 기도하며 선택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더 나아가, 하나님의 뜻에 따라 나는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단순한 카드 문구의 문제가 아니라, 선교 이론, SVM의 회원 자격 기반 등 근본적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었다. 1952년 회의에서 위원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E. 페이 캠벨은 SVM 회원이 선교 위원회 봉사 지원자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번 로스만은 모든 기독교 학생이 선교적이어야 한다면 모든 학생이 SVM 회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위원은 SVM이 특정 직업을 강조함으로써 교회의 목적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57]

1950년대에 SVM이 에큐메니컬 사업에 참여하면서, SVM은 기존 선교 위원회 및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 봉사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집중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모두에게 동의를 얻지 못했고, SVM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SVM이 세계에 대한 교회 선교의 "개척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강력한 토착 교회가 없는 지역에 기독교 사자를 제공하고, 서구 선교사의 도움을 환영하는 토착 교회를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SVM 뉴스레터는 1957년에 공산주의와의 대결을 또 다른 "개척지"로 주목했다.[58]

SVM이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으로 합병된 후에도, 선교 이론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었다. 1960년 뉴스레터에는 "적절한 선교 신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기존의 선교 개념은 서구 기독교인이 기독교 사회에 살고 있으며, 기독교 선교 과제는 신앙과 문화를 알려지지 않은 지역으로 가져가는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59] 1966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의 세계 선교 위원회 형태로 해산되었는데, 이는 비서구 세계에 대한 서구 교회의 개척 선교보다는 교회의 전 세계적인 에큐메니컬 협력을 강조하는 선교 이론의 확산에 따른 결과였다.

7.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

인터바시티 크리스천 펠로우십(IVCF)과의 관계에서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어려움을 겪었다. SVM은 초기에 IVCF의 목표에 공감하며 협력을 모색했다. 1944년 SVM 사무총장 윈번 토마스는 "SVM이 인터바시티 펠로우십으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고 언급했다.[46] 그러나 IVCF는 "독선적이고 논쟁적인 근본주의자"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46]

1948년, 해외에서 활동하던 많은 학생 자원 운동이 약화되면서, SVM은 IVCF와 협력하여 캠퍼스 선교를 장려하고자 했다. 그러나 IVCF의 활발한 선교 프로그램은 SVM과 경쟁 관계를 형성했고, IVCF 지도부는 SVM과의 협력에 소극적이었다. 1949년 SVM 여행 비서는 "한 주립 학교에서 인터바시티 그룹 자체가 전국 수준의 펠로우십 임원들이 SVM과 협력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보고했다.[47]

1951년, SVM의 번 로스먼은 IVCF와 SVM 간의 협력을 가로막는 네 가지 장벽을 제시했다.[48]

장벽 종류내용
역사적 장벽1930년대 일반 학생 운동의 인도주의적 경향에 대한 IVCF의 반발과 제도 보존에 대한 열망
심리적 장벽흡연, 춤, 화장품에 대한 IVCF의 금기, 특정 형태의 종교적 전문 용어 사용, 정치적/경제적 보수주의에 대한 성향
신학적 차이(명시되지 않음)
에큐메니컬 정신 부재IVCF는 기능을 독점적으로 간주하고, 교리적으로 순수하며, 성경에 충실하며, 보편성을 거의 배제한 채 거룩함을 강조



로스먼은 IVCF 컨퍼런스 프로그램이 성경 공부와 예배를 강조했으며, 연사들은 주로 보수 또는 신앙 선교 위원회를 대표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SVM은 IVCF에 계속 협력을 제안했다. 1953년 SVM 이사회는 IVCF에 더 큰 협력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49] 그러나 SVM이 에큐메니컬 학생 운동에 참여하면서 IVCF와의 협력 가능성은 사라졌다. 1956년, SVM 정책 위원회는 여전히 SVM 펠로우십 그룹의 발전이 IVCF와의 이해를 증진시키기를 바랐지만,[50] 결국 IVCF는 독자적인 선교 운동으로 발전했다.

8. 교파 선교 프로그램과의 관계 재정립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주요 개신교 교파의 선교 사업과의 관계를 재평가해야 했다. 전성기에 SVM은 교파 선교 위원회에 선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선교사를 선택할 수 있는 모집 인력을 제공하는 귀중한 도구로 여겨졌다. 그러나 SVM의 광범위한 모집 시스템은 위원회의 훈련되고 전문화된 선교사 인력에 대한 점점 더 엄격해지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많이 배출했다. 그럼에도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SVM의 지원에 만족했고, 해외 특정 공석에 적합한 후보자를 찾기 위해 종종 SVM의 자료를 활용했다.[5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교파 선교 활동과 SVM 모두 침체기를 겪었다. 1920년 1,731명의 새로운 선교사가 해외로 파견된 정점을 찍은 이후 파견 인원은 꾸준히 감소했다. 교파 활동의 감소는 SVM의 프로그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E. 페이 캠벨은 1935년 제시 윌슨에게 "주로 많은 선교사를 파견할 수 없는 선교 위원회의 지속적인 재정 상태 때문에 지원을 받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려워 보입니다."라고 썼다.[51]

혼란스러운 전간기 동안 SVM은 운동의 역할에 대한 평가를 돕기 위해 위원회 비서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1933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일부 교파는 SVM을 계속 지원했지만, 다른 교파는 그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비판에는 "운동이 쇠퇴하여 주로 '시골' 대학의 운동이 되었다"와 같은 의견이 있었다.[52]

1920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교파가 자체 학생 친목 단체를 후원하지 않았지만,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자체 캠퍼스 학생 그룹을 개발하면서 SVM의 역할이 모호해졌다. 1953년에 작성된 SVM 보고서에 따르면, "30년대 후반에 압력이 너무 강해져 SVM은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해야 했다."[53]

SVM은 미국 기독교 교회 전국 협의회(NCCCUSA)가 1950년에 출현했을 때, 새로운 조직에서 해외 선교부, 국내 선교부, 선교 교육 합동 위원회의 회원 부서로 참여했다. NCCCUSA는 SVM을 주로 학생들 사이에서 활동하는 초교파 모집 기관으로 보았다. SVM은 1951년 기독교 교육부의 기독교 소명 합동 부서의 선교 서비스 부서가 되었고, 1959년에는 기독교 고등 교육 위원회의 선교 서비스 부서로서 미국 기독교 교회 전국 협의회와 관련되었다.

9. 선교 이론의 변화와 SVM의 대응

미국 개신교 내에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선교 이론이 나타났고,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야 했다. 초기에는 개인의 구원을 위한 복음 전파가 강조되었지만, 이후 교회 개척과 교육 사업으로 중심이 이동했다. 해외에서 토착 교회가 성장하면서, 여러 교파가 협력하는 에큐메니컬 공유 개념이 선교 활동의 정당성을 부여했다.[54] 1932년 평신도 평가 위원회는 타 종교와의 협력까지 포함하는 더욱 급진적인 선교 개념을 제안하기도 했다.[5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SVM은 해외 선교에 대한 집중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야 했다. 1920년 데스 모인 회의에서 "혁명가"들은 미국 내 상황도 기독교화가 시급하다는 점을 들어 해외 선교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했다.[55] 1920년 2월 회의에서 상임위원회는 해외 선교에만 집중하기로 결정했지만, 1922년에는 국내 선교 단체인 '기독교 생활 봉사를 위한 학생 협회'와 협력하기도 했다.[55]

1945년, SVM은 '기독교 선교를 위한 학생 자원 운동'으로 이름을 바꾸고, 국내 선교와 해외 선교의 구분을 없애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는 "교회 사업은 세상과 마찬가지로 하나"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55] 이전에는 해외 선교 헌신만을 선택지로 제공했던 선언 카드는 다음 세 가지 대안을 제시하도록 변경되었다.[56]

선택지
I.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
II. 선교 사명에 대한 추가적인 지침 추구
III. 기도, 헌금, 일상 봉사를 통해 교회의 세계 선교 지원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해외 선교 교육 및 모집이라는 SVM의 고유한 역할이 약화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모든 직업을 통해 선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선언 카드 자체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57]

1949년, 선언 카드 연구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형식을 제안했다.[57]

선택지
기독교 세계 선교에 재능과 자원 사용, 삶의 일을 기도하며 선택
하나님의 뜻에 따라 국내 또는 해외에서 기독교 선교사가 될 목적



이는 선교 이론, SVM의 회원 자격, 그리고 선교 활동과 일반적인 기독교 활동의 구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57] 1952년 회의에서 위원들은 의견 차이를 보였다. E. 페이 캠벨은 SVM 회원을 선교 위원회 봉사 지원자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번 로스만은 모든 기독교 학생이 선교적이어야 한다면 모든 학생이 SVM 회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위원은 특정 직업을 강조하는 것이 교회의 목적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57]

1950년대 SVM이 에큐메니컬 사업에 참여하면서, 기존 선교 위원회 및 기관 아래에서 세계 선교 봉사를 위한 교육 및 모집에 집중하는 경우에만 뚜렷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모두에게 동의를 얻지 못했고, SVM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은 SVM이 세계에 대한 교회 선교의 "개척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토착 교회가 없는 지역에 기독교 사자를 보내고, 기존 토착 교회도 서구 선교사의 도움을 환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58] 1957년 SVM 뉴스레터는 공산주의와의 대결을 또 다른 "개척지"로 주목했다.[58]

1960년 SVM 뉴스레터는 "적절한 선교 신학"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우리는 교회가 선교를 가지고 있으며 선교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어떤 먼 곳에서 수행되는 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한 이해는 서구 기독교인이 기독교 사회에 살고 있으며 기독교 선교 과제는 우리의 신앙과 문화를 알려지지 않은 지역으로 가져가는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했습니다."라는 문제점을 지적했다.[59] 1966년, SVM은 전국 학생 기독교 연합의 세계 선교 위원회 형태로 해산되었는데, 이는 비서구 세계에 대한 서구 교회의 개척 선교보다는 교회의 전 세계적인 에큐메니컬 협력을 강조하는 선교 이론의 확산에 따른 결과였다.

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SVM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선교자원운동(SVM)은 복음주의 종교의 부활과 함께 잠시 회복세를 보였다. 1940년 최저점에서 회복하여 거의 20년 동안 긍정적인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었다.[1] 1944년 이사회는 "운동은 완전한 복음주의 선교 메시지와 프로그램에 대한 헌신을 점점 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라고 결론지었다.[3] 1946년, SVM의 선교사 공석 목록인 '기독교 지평(Christian Horizons)'에는 거의 1,000개의 해외 공석이 포함되었다.[4]

1948년 4월 SVM 이사회 회의에서 운동 재정이 양호하고 캠퍼스에서 선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1951/1952년 운동 예산은 60400USD로, 전년도 예산보다 10000USD 이상 높았으며, 1941/1942년 예산의 6배였다.[5] 1952/1953 학년도 동안 5개 교파에서 온 20명의 여행 직원이 운동을 위해 44개 주에 걸쳐 300개 이상의 대학을 방문했다.[5]

그러나 1950년대 중반 이후, SVM은 다시 쇠퇴하기 시작했다. 1955/1956 학년도 동안 운동 여행 직원 21명이 350개 캠퍼스를 방문했지만, 미국 학부 캠퍼스에는 선언된 학생 자원 봉사자가 500명에 불과했다. 1956/1957년 SVM 예산은 50000USD로 삭감되었다.[6]

선교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 자원 봉사자 지원은 전국학생기독교연맹(National Student Christian Federation)이 세계 선교 위원회와 학생 자원 봉사자 친교 위원회를 구성한 후에도 계속 수행되었다.[7] 1962년 5월, 위원회 뉴스레터가 3,000명이 넘는 자원 봉사자 또는 예비 자원 봉사자에게 발송되었다고 보고되었다.[7]

11. 주요 인물 및 참여자 (일부)


  • 윌리엄 스코트 에이먼트
  • 월터 저드
  • 케네스 스콧 라투렛
  • H. B. 샤먼
  • 찰스 스터드
  • 프레더릭 하워드 테일러
  • 엘우드 G. 텍스버리
  • 마틴 파쿼 투퍼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이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ollection: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 Records - Archives at Yale https://archives.yal[...]
[2] 서적 A Christian America; Protestant Hopes and Historical Real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Two Centuries of Student Christian Movements Association Press
[7] 서적 Two Centuries of Student Christian Movements Association Press
[8] 서적 The Great Commission: The Missionary Response to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Oliphants Ltd.
[9] 간행물 The Beginnings of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After Twenty-Five Years
[10] 문서 Letter of Luther Wishard to C.K. Ober John R. Mott Papers, Yale Divinity School Library Record Group No. 45
[11] 뉴스 Mission Movement Among Protestant Students America 1914-12-05
[12] 서적
[13] 뉴스 The Sunday School Times 1892-02-27
[14] 문서 Letter of Luther Wishard to C.K. Ober John R. Mott Papers
[15] 문서 Letter of Luther Wishard 1886-08-06
[16] 논문 A History of Foreign Mission Theory in America William Carey Library
[17] 기록 Executive Committee report Student Volunteer Movement Archives,Series V
[18] 기록 Executive Committee meeting SVM Archives, Series V 1903-01-14
[19] 문서 Correspondence between Harlan P. Beach and John R. Mott Series III
[20] 문서 H.B. Sharman to J.R. Mott SVM Archives, Series III 1895-12-09
[21] 기록 SVM Archives, Series V
[22] 문서 H.P. Beach to J.R. Mott SVM Archives, Series III 1896-06-23
[23] 문서 H.P. Beach to J.R. Mott SVM Archives, Series III 1896-02-09
[24] 기록 reports to the Quadrennial Conventions Series VIII, Series V
[25] 뉴스 A Sign of American Idealism The Outlook 1906-03-31
[26] 서적 The American Religious Depression 1925–1935 Fortress Press
[27] 서적 A Christian America
[28] 서적
[29] 기록 Convention Mistakes SVM Archives, Series V, Fifth Council
[30] 간행물 Should the Policies of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be Modified? The Intercollegian 1923-12
[31] 문서 Wilder to Campbell SVM Archives, Series III 1925-11-27
[32] 문서 1933 Commission on Student Volunteer Movement Policy. Letter of Newton Peck to Leslie Moss SVM Archives, Series V 1933-10-16
[33] 문서 Campbell to Wilson SVM Archives, Series III 1935-05
[34] 문서 Campbell to Wilder SVM Archives, Series III 1925-12-02
[35] 문서 Campbell to Wilson SVM Archives, Series III 1928-01-31
[36] 서적 "Faith Missions Since 1938" Harper and Bros.
[37] 간행물 Campbell memo SVM Archives, Series III 1934-05
[38] 간행물 Appendix A of the Administrative Committee minutes SVM Archives, Series V 1936-05-08
[39] 간행물 Wilson to D.R. Porter SVM Archives, Series III 1932-05-23
[40] 간행물 Appendix A of the Administrative Committee minutes SVM Archives, Series V 1936-05-08
[41] 간행물 Bollinger to Campbell SVM Archives, Series III 1939-11-29
[42] 간행물 Personnel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40-01-27
[43] 간행물 General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40-01
[44] 간행물 Board of Directors SVM Archives, Series V 1954-04
[45]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the Christian World Mission Abingdon Press
[46] 간행물 Board of Directors SVM Archives, Series V 1944-10
[47] 간행물 records of Policy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56
[48] 간행물 Executive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51-12-31
[49] 간행물 Board of Directors SVM Archives, Series V 1953-09
[50] 간행물 Policy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56-03-25
[51] 간행물 Campbell to Wilson SVM Archives, Series III 1935-03-25
[52] 간행물 1933 Commission SVM Archives, Series V
[53] 간행물 Board of Directors SVM Archives, Series V 1933-04
[54] 문서 Forman
[55] 간행물 "SVM Prepares for Reconversion of Missionary Enterprise" SVM Archives, Series V 1945
[56] 간행물 Board of Directors SVM Archives, Series V 1949
[57] 간행물 Policy Committee SVM Archives, Series V 1952-03
[58] 간행물 L. Hoover to J. Mott SVM Archives, Series III 1936-10-01
[59] 간행물 Newsletter of the Committee for the Fellowship of Student Volunteers SVM Archives, Series VII 1960-05
[60] 문서 Ahlstrom
[61] 간행물 Appendix III, Board of Directors minutes SVM Archives, Series V 1944-02-26
[62] 간행물 "SVM Prepares for Reconversion of Missionary Enterprise," SVM Archives, Series V 1945
[63] 뉴스 “근대 한국선교, 미국·장로교·학생운동 영향 커” http://www.christian[...] 2015-03-29
[64] 웹인용 1902 SVM 선교사 221명 중 한국에 10명 https://koreanchrist[...] 2019-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