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여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여울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역으로, 1993년 10월 30일 3호선 양재역 ~ 수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 이름은 인근 지명인 '학여울'에서 유래했으며, '학'과 '여울'의 합성어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1개이다. 주변에는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마르코니역 (로마 지하철)
마르코니역은 로마 지하철 B선의 역으로, 승객 편의 시설과 자동 매표기를 갖추고 있으며, 마르코니 다리와 로마 트레 대학교 인근에 위치한다.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학여울역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학여울역 |
로마자 표기 | Hangnyeoullyeok |
한자 표기 | 鶴여울驛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2동 514-3, 남부순환로 지하 3104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93년 10월 30일 |
노선 정보 |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
역 번호 | 346 |
이전 역 | 345 대치 |
다음 역 | 대청 347 |
역간 거리 | 대치역 0.8km, 대청역 0.9km |
노선 길이 | 지축 기점 31.3 km, 대화 기점 50.5 km |
시설 정보 |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구조 | 지하역 |
승객 정보 | |
일일 승객 수 (2012년) | 6,007명 (3호선) |
일일 승하차객 (2015년) | 6,529명 |
일일 승차객 (2015년) | 3,219명 |
기타 |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단말기 코드 | 0336 |
![]() | |
![]() |
2. 역사
1993년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수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이 시작되었다.[1]
2005년 1월 1일 :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이름을 바꾸었다.[2]
2. 1. 역명 유래
대동여지도에는 이 곳의 지명이 학탄(鶴灘)이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며, 이 ‘탄’(灘)을 한글로 푼 '''학여울'''이라는 지명을 역명으로 사용하였다. ‘학여울’은 ‘학’과 ‘여울’의 합성어로, 두 단어 사이에 ㄴ이 첨가되면서 ‘학’의 ㄱ 받침이 ㄴ의 영향을 받아 ㅇ으로 바뀌기 때문에, 역명의 표준어 발음은 ['''하겨울력''']이 아닌 ['''항녀울력''']이다.[9] 로마자 표기도 'Hangnyeoul'로 되어 있다. 이는 색연필의 표준어 발음이 [새견필]이 아닌 [생년필]인 것과 같은 원리이다.“한여울(ハンニョウル)”이라는 역 이름은 대동여지도에 기록된 이 역 부근의 옛 지명인 “학탄(鶴灘/ハクタン)”의 “탄(灘)”을 순우리말로 바꾼 것이다.[6] 서울교통공사의 공식 표기에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학(學)”은 순우리말이 아니라 한자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역 이름 한여울은 철자 그대로 읽으면 “하겨울”(ハギョウル)로 읽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항녀울”(ハンニョウル)로 읽는다. 역 이름은 한자어인 “학”과 순우리말인 “여울”로 이루어진 합성어이기 때문에, 합성어의 두 번째에 해당하는 “여울”의 발음은 음의 연쇄에 의해 “녀울”이 된다.[7] “학-녀울”에서 종성 ㄱ 뒤에 초성 ㄴ이 올 경우 종성 ㄱ은 초성 ㄴ과 동화되어 ㅇ이 된다(비음화). 그래서 실제 발음은 “항녀울”(ハンニョウル)이 된다.
일본어 공식 표기는 한때 “ハギョウル”이었지만, 현재는 “ハンニョウル”로 수정되었다.
2. 2. 연혁
3. 역 구조
학여울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1개가 있다.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홈도어 시스템(풀스크린 타입)이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지하 4층에 1곳, 화장실은 지하 4층 개찰구 밖과 지하 1층에 각각 1곳씩 있다. 지하 2층에는 주차장이 있으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가 1곳뿐인 이유는 역 주변에 상하수도관과 가스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노숙자가 출입구 주변에 머무를 수 있다는 우려와 역 자체의 수요를 고려했기 때문이다.[4] 다만, 일부 인근 주민들은 출구를 늘려달라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4]
3. 1. 승강장
학여울역은 섬식 승강장 구조로, 오른쪽 문이 열린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2. 시설
대합실승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