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것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단어 형성 방식이다. 합성어는 띄어쓰기, 하이픈, 붙여쓰기 등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며, 언어에 따라 합성어 형성 규칙과 분류가 다르다. 예를 들어, 독일어는 매우 긴 합성어를 만들 수 있으며, 한국어는 단어와 단어를 붙여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합성어는 대등, 종속, 융합 등 의미적 관계에 따라 분류되며, 내중심, 외중심, 겸합, 병치 합성어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맞춤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글 맞춤법 - 조선어 철자법
조선어 철자법은 북한에서 사용되는 한글 맞춤법으로, 형태주의 원칙에 따라 단어의 형태를 통일적으로 표기하며, 띄어쓰기는 단어 단위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형태론 - 첩어
첩어는 형태소의 반복 또는 유사 형태를 통해 복수, 강조, 반복 동작, 의미 축소, 신규 단어 형성, 어조 및 뉘앙스 부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여러 어족과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 형태론 - 어근
어근은 단어 의미의 핵심 형태소로서, 어미 없는 어간과 달리 최소 의미 단위이며, 인도유럽어족의 모음 교체, 셈어족의 자음 결합 등 언어별 특징을 보이고, 어원 연구의 중요 요소이자 범주 중립적 요소로 간주되며 언어 유형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합성어 | |
---|---|
언어학적 정보 | |
유형 | 어휘적 결합 |
구성 요소 | 둘 이상의 형태소 또는 어근 |
주요 분류 | 닫힌 복합어 (결합어) 열린 복합어 붙임 복합어 |
로마자 표기 | bokhap-eo |
설명 | |
정의 |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단어 또는 구 |
형태 | 닫힌 복합어: 단어들이 붙어 하나의 단어로 쓰임 (예: '눈사람') 열린 복합어: 단어들이 분리되어 쓰임 (예: '아이스 크림') 붙임 복합어: 단어들이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쓰임 (예: '반자동') |
의미 변화 | 구성 요소 단어의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됨 |
예시 | |
한국어 | 눈사람 (닫힌 복합어) 아이스 크림 (열린 복합어) 반자동 (붙임 복합어) |
독일어 | 도나우 증기선 운송 회사 선장 모자 (Donaudampfschifffahrtsgesellschaftskapitänsmütze) |
독일어 | 밴드웜 단어 (Bandwurmwörter) |
2. 합성어의 형성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말하며, 주로 어떠한 것과 어떠한 것이 합쳐져 어떠한 것을 글로 표기하거나 가리킬 때 사용된다. 이때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 사이는 붙여쓴다.
합성어는 복합어와 파생어 형성이 결합된 것으로, 여러 어근과 파생 접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영어의 ''black-eyed''는 ''black'', ''eye'', 그리고 '-ed'(…을 가진)로 구성되며, '검은 눈을 가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9] 이탈리아어 ''imbustare''는 ''in-''('안에'), ''busta''('봉투'), ''-are''(동사 접미사)로 구성되며, '봉투에 넣다'라는 의미를 지닌다.[10]
합성어 형성 규칙은 언어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르다.
굴절어에서는 합성어 구성 요소 간의 관계가 조격이나 다른 형태소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어 합성어 Kapitänspatentde는 어휘소 Kapitände(선장)과 Patentde(면허)가 '-s-'(소유격 접미사)로 연결되어 있다. 반대로, 히브리어 합성어인 בֵּית סֵפֶר|bet seferhe (학교)에서는 수식되는 것이 머리어이다.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책의 집"을 의미하며, בַּיִת|bayithe (집)이 구성 상태로 들어가서 בֵּית|bethe (집-의)이 된다.
교착어는 파생 형태소를 사용하여 매우 긴 단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합성어는 파생 형태소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독일어는 화합물의 언어, 특히 생화학 및 고분자의 경우, 독일어 규칙이 모든 명사 수식어를 마지막 어간으로 명사와 결합하는 것을 제안하기 때문에 길이가 사실상 무제한일 수 있는 매우 확장 가능한 합성어를 찾을 수 있다. 독일어 예로는 Farbfernsehgerätde (컬러 텔레비전), Funkfernbedienungde (무선 리모컨), Donaudampfschifffahrtsgesellschaftskapitänsmützede (원래는 F가 두 개만 있었음, 다뉴브 증기선 운송 회사 선장 모자)가 있는데, 더 길고 터무니없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Donaudampfschifffahrtsgesellschaftskapitänsmützenreinigungs|a|adeausschreibungsverordnungsdiskussionsanfang'' ("다뉴브 증기선 운송 회사 선장 모자 입찰 규정 논의 시작") 등이 있다.
핀란드어의 경우, 이론적으로 합성어의 길이에 제한이 없지만, 세 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드물다. 인터넷 속설에서는 때때로 lentokonesuihkuturbiinimoottoriapumekaanikkoaliupseerioppilasfi (비행기 제트 터빈 엔진 보조 정비사 부사관 학생)이 핀란드어에서 가장 긴 단어라고 제안하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증거는 많지 않고 일화적인 수준에 불과하다.[6]
기술 문서를 영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 특히 화학 용어의 경우 단어 길이에 이론적인 제한이 없기 때문에 합성어가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기술 문서를 스웨덴어로 번역할 때 "Motion estimation search range settings"는 rörelseuppskattningssökintervallsinställningarsv로 직접 번역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sökintervallsinställningar för rörelseuppskattningsv – "운동 추정을 위한 검색 범위 설정"과 같이 두 단어로 나뉘는 것이 가장 좋다.
게르만어족(을 포함한 영어)에서 합성어는 효과적으로 이름 공간(동음이의어 해소 맥락)을 주요 단어 앞에 붙여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축구"는 "발"이라는 맥락에서의 "공"이다. 추가된 맥락은 의미를 더 정확하게 만들 뿐, 주요 단어의 의미를 바꾸지 않는다. 따라서 "축구공"은 "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축구공"과 같이 잘 확립된 합성어는 언어의 어휘에서 특별한 의미를 얻었을 수 있다. 이것만이 "축구공"을 특정 종류의 공(명확히 둥근 물체, 댄스 파티가 아닌)으로, 그리고 그러한 공을 사용하는 게임으로 정의한다.
합성어는 그 자체로 단어로 이해되기 때문에, 다시 새로운 합성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의로 긴 단어를 만드는 것은 간단하다. 로망스어에서는 단어를 연결하는 대신 전치사를 사용하여 단어 관계를 지정하는 경우가 더 많다. 게르만어족에 속하는 영어는 합성어가 일반적으로 별도로 쓰여지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것은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독일어, 네덜란드어와 같은 다른 게르만어에서는 오류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철자법상의 관례일 뿐이다.
영어에서 합성어 사용에 관한 보편적으로 합의된 지침은 없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영어에서는 합성어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0] 최근에는 픽셀(picture element)이나 비트(binary digit)와 같이 단어의 음절을 따서 합성하는 방식으로 많은 단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를 음절 축약이라고 한다.
단어의 정의가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로, 복합어와 두 단어의 구별은 모호한 경우가 많다.
언어에 따라 복합어를 만드는 특별한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복합어임이 명확하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あめ(雨)」에 대한 「あま」는 복합어의 앞 성분에만 나타나는 형태이므로, 「あまもり」는 복합어이다. 또한 연탁은 합성어의 뒷 성분에만 나타나므로, 「たにがわ(谷川)」는 복합어임이 명확하다.
그러한 특징이 없더라도, 의미에 따라 복합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blackbird영어 (검은지빠귀 또는 검은지빠귀과 새)는 특정한 새를 가리키며, black bird가 임의의 검은 새를 가리키는 것과 다르기 때문에 복합어로 간주된다.
복합어의 구성 성분은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raspberry영어 (라즈베리)나 cranberry영어 (크랜베리)의 뒷부분 berry의 의미는 명확하지만, 앞부분 rasp나 cran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의식되지 않는다.
복합어를 만들 때, 원래 단순어의 어형을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변화 방식은 정해져 있다. 동사는 학교 문법에서 이른바 연용형이며, “~ます”의 “ます”를 제외한 부분이다. 사동동사는 이단 음(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 -i), 일단 동사(이단 동사)는 이단 또는 에단 음(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 영형태소)으로 끝난다. 형용사는 그 어간이며, “이”나 “쿠”를 제외한 부분이다. 명사의 경우는 그대로 사용된다.
단순어로도 사용될 수 있는 어근은 자유 형태소에 해당하고, 합성어의 일부로서만 사용되는 어근은 구속 형태소에 속한다. 동사나 형용사의 이른바 ‘어간’(어근)은 구속 형태소이다. 또한, 복합어의 앞 부분에서만 사용되는 명사 어근 (“비(あま)-”, “나무(こ)-” 등)이나, 뒷부분에서만 사용되는 어근 즉 연탁형도 구속 형태소이다.
3. 합성어의 분류
전치사와 명사로 이루어진 복합 전치사는 영어와 로망스어에서 흔히 볼 수 있다(예: 영어의 ''on top of'', 스페인어의 ''encima de'' 등). 힌디어는 단순한(즉, 한 단어로 된) 후치사가 적고, 대부분 단순 후치사 ''ke''에 특정 후치사가 뒤따르는 복합 후치사가 많다(예: ''ke pas'', "근처"; ''ke nīche'', "아래").
인도의 전통적인 문법학에서는 복합어를 4가지 유형(세분하면 6가지)으로 분류한다.[21]
병렬 관계는 구성 요소들이 동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말한다. 병렬 관계인 경우, 연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종속 관계는 구성 요소들이 동등하지 않고, 한쪽이 다른 한쪽에 종속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일본어에서는 거의 대부분 마지막에 나타나는 어근의 성질이 전체 단어의 품사를 결정한다).
복합동사는 두 개의 동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동사를 말한다. 일본어에서는 종류가 매우 많다.3. 1. 의미적 분류
합성어는 의미적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론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
유형 | 설명 | 예시 |
---|---|---|
내중심 합성어 | A+B는 특별한 종류의 B를 나타낸다 | 암실, 잡담 |
외중심 합성어 | A+B는 표현되지 않은 다른 의미 C의 특별한 종류를 나타낸다 | 빨간 머리, 허수아비 |
겸합 합성어 | A+B는 A와 B가 나타내는 것의 합계를 나타낸다 | 씁쓸한, 몽유병 |
병치 합성어 | A와 B는 동일한 지시 대상에 대한 서로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 | 수렵 채집인, 여종 |
3. 2. 통사적 분류
합성어는 결합하는 어근의 의미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대등 합성어''': 어근들이 대등하게 본래의 뜻을 유지하며 결합한 것이다. 결합 과정에서 한 어근의 형태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 예: 앞뒤, 마소, 똥오줌, 까막까치, 논밭, 팔다리, 여닫다, 뛰놀다, 높푸르다 등
- '''종속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꾸며주는 형태로 결합한 것이다.
- 예: 소나무, 물걸레, 손수건, 가죽신, 소고기, 국밥, 뛰어가다 등
- '''융합 합성어''': 두 어근이 결합하면서 원래의 뜻은 사라지고 새로운 하나의 뜻을 가지게 된 것이다.
- 예: 밤낮(늘), 춘추(나이), 바늘방석(앉아있기에 불안스러운 자리), 종이호랑이(겉보기에는 힘이 셀 것 같으나 실제로는 약한 것), 쑥밭(크게 파괴되어 못쓰게 된 것), 피땀(노력, 수고), 실마리(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 물불(어려움, 위험), 쥐뿔(아주 보잘것없는 것) 등
이러한 합성어의 분류는 다른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복합 명사는 띄어쓰기, 하이픈, 붙여쓰기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한 연어에서 더 강력한 의미적 결합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반영한다.[7]
종류 | 설명 | 예시 |
---|---|---|
띄어쓰기 (또는 열린 형태) | 단어들이 글에서 눈에 띄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 place name, ice cream |
하이픈 연결 | 단어들을 연결하는 데 하이픈이 사용된다. | place-name, hunter-gatherer |
붙여쓰기 (또는 닫힌 형태) | 쓰여질 때 공백이나 삽입된 구두점이 없다. | placename, scarecrow |
프랑스어에서는 전치사가 삽입된 형태로 복합 명사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튀르키예어에서는 소유격 접미사를 활용하여 복합 명사를 만든다.[8] 아랍어의 복합 명사 형성에는 두 가지 기준이 있다.[9]
인도유럽어족의 일부 언어에서는 동사와 목적어가 결합하여 명사가 되는 경우가 흔하며,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10] 영어에도 ''spoilsport'', ''killjoy''와 같은 동사-명사 합성어가 존재하며, ''breastfeeding'', ''finger-pointing''과 같이 동명사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11]
4. 한국어 합성어의 특징 및 예시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말하며, 주로 어떠한 것과 어떠한 것이 합쳐져 어떠한 것을 글로 표기하거나 가리킬 때 사용된다. 이때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의 사이는 붙여쓴다.
합성어는 문법상 매우 중요한데, 띄어쓰기 하나만으로 뜻하는 바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작은 아버지'는 그 모양이 작은 아버지를 뜻하며, '작은아버지'는 아버지의 남동생을 뜻하게 된다.
합성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대등 합성어''': 어근이 대등하게 본래의 뜻을 유지하는 것이다. 결합하면서 한 어근의 형태가 바뀔 때도 있다.
- 예) 앞뒤, 마소, 똥오줌, 까막까치, 논밭, 팔다리, 여닫다, 뛰놀다, 높푸르다 등
- '''종속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꾸미는 것이다.
- 예) 소나무, 물걸레, 손수건, 가죽신, 소고기, 국밥, 뛰어가다 등
- '''융합 합성어''': 두 낱말이 결합하면서 본래의 뜻은 사라지고, 새로운 하나의 뜻이 생겨나는 것이다.
- 예) 밤낮(늘), 춘추(나이), 바늘방석(앉아있기에 불안스러운 자리), 종이호랑이(겉보기에는 힘이 셀 것 같으나 실제로는 약한 것), 쑥밭(크게 파괴되어 못쓰게 된 것), 피땀(노력, 수고), 실마리(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 물불(어려움, 위험), 쥐뿔(아주 보잘것없는 것) 등
다음은 합성어 표기의 예시이다.
- ‘잿물을 덮지 아니한,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인 ‘질그릇’은, ‘질그릇을 만드는 흙’을 뜻하는 명사 ‘질’과, 명사 ‘그릇’이 결합한 합성어로 ‘질그릇’으로 표기한다: 질그릇(O), 질 그릇(X)
- ‘구름’과 ‘다리’가 합하여져 ‘구름다리’를 글로 표기할 때: 구름다리(O), 구름 다리(X)
- ‘돌’과 ‘다리’가 합하여져 ‘돌다리’를 글로 표기할 때: 돌다리(O), 돌 다리(X)
- ‘손’과 ‘가방’이 합하여져 ‘손가방’을 글로 표기할 때: 손가방(O), 손 가방(X)
- ‘솜’과 ‘사탕’이 합하여져 ‘솜사탕’을 글로 표기할 때: 솜사탕(O), 솜 사탕(X)
- ‘대한’과 ‘민국’이 합하여져 ‘대한민국’을 글로 표기할 때: 대한민국(O), 대한 민국(X)
이와 같이 단어와 단어가 합쳐져 어떠한 것을 글로 표기할 때에는 ‘붙여쓰기’로 표기한다.
5. 다른 언어의 합성어
굴절어에서는 합성어 구성 요소 간의 관계가 조격이나 다른 형태소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어 합성어 Kapitänspatent|카피텐스파텐트de는 어휘소 Kapitän|카피텐de (선장)과 Patent|파텐트de (면허)가 '-s-'(소유격 접미사)로 연결되어 있다. 라틴어 어휘소 paterfamilias|파테르파밀리아스la에는 어휘소 familia|파밀리아la (가족)의 고대 소유격 형태 familias|파밀리아스la가 포함되어 있다. 반대로, 히브리어 합성어인 בֵּית סֵפֶר|베트 세페르he (학교)에서는 수식되는 것이 머리어이다.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책의 집"을 의미하며, בַּיִת|바이트he (집)이 구성 상태로 들어가서 בֵּית|베트he (집-의)이 된다.
교착어는 파생 형태소를 사용하여 매우 긴 단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합성어는 파생 형태소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독일어에서는 매우 확장 가능한 합성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arbfernsehgerät|파릅페른제게레트de (컬러 텔레비전), Funkfernbedienung|풍크페른베디눙de (무선 리모컨) 및 Donaudampfschifffahrtsgesellschaftskapitänsmütze|도나우담프쉬프파르츠게젤샤프트카페텐스뮈체de (다뉴브 증기선 운송 회사 선장 모자)가 있다.
핀란드어의 경우, 이론적으로 합성어의 길이에 제한이 없지만, 세 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드물다. lentokonesuihkuturbiinimoottoriapumekaanikkoaliupseerioppilas|렌토코네수이흐쿠투르비니모토리-아푸메카니코알리웁세리오필라스fi (비행기 제트 터빈 엔진 보조 정비사 부사관 학생)이 핀란드어에서 가장 긴 단어라고 제안되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증거는 많지 않다.[6]
영어 기술 문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 합성어가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기술 문서를 스웨덴어로 번역할 때 "Motion estimation search range settings"는 rörelseuppskattningssökintervallsinställningar|뢸셀세웁스카트닝스쇠크인테르발스인스텔닝아르sv로 번역될 수 있다.
영어 복합 명사는 띄어쓰기, 하이픈, 붙여쓰기가 가능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형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종류 | 설명 | 예시 |
---|---|---|
띄어쓰기 (또는 열린 형태) | 단어들이 글에서 눈에 띄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 | place name, ice cream |
하이픈 연결 | 단어들을 연결하는 데 하이픈이 사용된다. | place-name, hunter-gatherer |
붙여쓰기 (또는 닫힌 형태) | 쓰여질 때 공백이나 삽입된 구두점이 없다. | placename, scarecrow |
프랑스어에서는 복합 명사가 종종 수식어 앞에 전치사 구성 요소가 삽입된 좌측 중심어로 형성되는데, ''chemin-de-fer'' '철도'(문자 그대로 '철의 길'), ''moulin à vent'' '풍차'(문자 그대로 '바람에 의해 작동하는 방앗간')와 같다.
튀르키예어에서 복합 명사를 형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yeldeğirmeni'' '풍차'(''yel'': 바람, ''değirmen-i'': 방앗간-소유격), ''demiryolu'' '철도'(''demir'': 철, ''yol-u'': 길-소유격)와 같다.
아랍어에는 두 가지 별개의 기준이 있다.[7] 첫 번째 기준은 첫 번째 요소가 정관사일 때 소유격 접미사 li-/la ‘~의’가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두 번째 기준은 첫 번째 요소 앞에 기수가 올 때 소유격 접미사 li-/la ‘~의’가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인도유럽어족에서 상당히 흔한 합성어의 한 유형은 동사와 그 목적어로 이루어지며, 사실상 간단한 동사절을 명사로 변형시킨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에서는 이러한 합성어가 2인칭 단수 명령형으로 활용된 동사와 명사(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rascacielos''('하늘을 긁다'라는 뜻), ''sacacorchos'' '코르크 따개'('코르크를 뽑다'라는 뜻) 등이 있다. 이탈리아어 ''grattacielo'' '마천루', 프랑스어 ''grille-pain'' '토스터'('빵을 굽다'라는 뜻) 등이 있다.
영어에도 ''spoilsport'', ''killjoy'', ''breakfast'', ''cutthroat'', ''pickpocket'', ''dreadnought'', ''know-nothing'' 등이 존재한다.
영어에서 흔한 또 다른 유형의 동사-명사(또는 명사-동사) 합성어는 동사의 논항이 통합되어 동사로 변환되고, 일반적으로 동명사로 변환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breastfeeding'', ''finger-pointing'' 등이 있다.
호주 원주민 언어인 징굴루어(파마-뉴응안어족)에서는 모든 동사가 "잠을 자다", "다이빙하다"와 같이 V+N 합성어이다.[8]
동사-동사 복합어는 절의 구조를 결정하는 두 개 이상의 동사가 함께 작용하는 연쇄이다.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직렬 동사'''에서는 종종 순차적인 두 가지 동작이 단일 절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에웨어 trɔ dzo|트로 조ee (돌리고 떠나다), 힌디어 जाकर देखो|자카르 데코hi (가서 보라) 등이 있다.
- '''복합 동사'''(또는 '복합술어')에서는 동사 중 하나가 주요 동사이며, 주요 의미와 논항 구조를 결정한다. 부차적인 동사는 종종 벡터 동사 또는 설명 동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시간성 또는 시상에서 미세한 차이를 제공하고 활용(시제 및/또는 일치 표지)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힌디어 निकल गया|니칼 가야hi는 "나가다 갔다"라는 뜻으로 '나갔다'를 의미하는 반면, निकल पड़ा|니칼 파라hi는 "나가다 떨어지다"라는 뜻으로 '떠났다' 또는 '튀어나왔다'를 의미한다.
- 에콰도르 고원에 거주하는 키추아어 기층 화자의 영향으로 스페인어에서 복합 동사가 혁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영어의 복합 동사에 해당하는 표현 (인터넷에서 가져온 예시):
- ''What did you '''go and do''' that for?''
- ''If you are not giving away free information on your web site then a huge proportion of your business is just '''upping and leaving'''.''
- ''Big Pig, she '''took and built''' herself a house out of brush.''
아랍어:
- معلمو الفيزياء|무알리무 알피지아ar '물리 교사들': معلمو|무알리무ar '교사들' + الفيزياء|알피지아ar '물리학'
- إبرة المخدر|이브라트 알무하디르ar '마취 바늘': إبرة|이브라트ar '바늘' + مخدر|무하디르ar '마취'
중국어 (번체/간체; 표준 중국어 병음/광둥어 예음):
- 學生/学生 '학생': 學 ''xué''/''hok6'' 배우다 + 生 ''shēng''/''sang1'' 생명체
- 太空/太空 '우주': 太 ''tài''/''taai3'' 크다 + 空 ''kōng''/''hung1'' 빈 공간
- 摩天樓/摩天楼 '마천루': 摩 ''mó''/''mo1'' 닿다 + 天 ''tiān''/''tin1'' 하늘 + 樓 ''lóu''/''lau2'' 건물 (2층 이상)
- 打印機/打印机 '프린터': 打 ''dǎ''/''daa2'' 치다 + 印 ''yìn''/''yan3'' 찍다/인쇄하다 + 機 ''jī''/''gei1'' 기계
- 百科全書/百科全书 '백과사전': 百 ''bǎi''/''baak3'' 백 + 科 ''kē''/''fo1'' (분야의) 학문 + 全 ''quán''/''cyun4'' 전체/완전한 + 書 ''shū''/''syu1'' 책
- 謝謝/谢谢 '감사합니다': 謝 ''xiè'' 감사하다의 반복
네덜란드어:
- arbeidsongeschiktheidsverzekering|아르베이종에스힉트헤이츠페르제커링nl '장애 보험': arbeid|아르베이트nl '노동' + ongeschiktheid|옹에스힉트헤이트nl '부적합' + verzekering|페르제커링nl '보험'
- rioolwaterzuiveringsinstallatie|리올바터르자위버링스인스탈라시nl '하수 처리장': riool|리올nl '하수구' + ''water'' '물' + zuivering|자위버링nl '정화' + installatie|인스탈라시nl '설비'

독일어:
- Wolkenkratzer|볼켄크라처de '마천루': Wolken|볼켄de '구름' + Kratzer|크라처de '긁는 도구'
- Eisenbahn|아이젠반de '철도': Eisen|아이젠de '철' + Bahn|반de '선로'
고대 그리스어:
- φιλόσοφος|필로소포스grc '철학자': φίλος|필로스grc '사랑하는' + σοφία|소피아grc '지혜'
- δημοκρατία|데모크라티아grc '민주주의': δῆμος|데모스grc '국민' + κράτος|크라토스grc '통치'
아이슬란드어:
- járnbraut|야운브뢰이트is '철도': járn|야운is '철' + braut|브뢰이트is '길' 또는 '방법'
- farartæki|파라르타이키is '차량': ''farar'' '여정' + ''tæki'' '장치'
이탈리아어:
- millepiedi|밀레피에디it '지네': mille|밀레it '천' + piedi|피에디it '발'
- ferrovia|페로비아it '철도': ferro|페로it '철' + via|비아it '길'
일본어:
- 目覚まし(時計)|메자마시 도케이일본어 '알람 시계': 目|메일본어 '눈' + 覚まし|사마시일본어 '깨우는 것' + 時計|도케이일본어 '시계'
- 오코노미야키: お好み|오코노미일본어 '선호' + 焼き|야키일본어 '요리'
한국어:
- 안팎 ''anpak'' '안과 밖': 안 ''an'' '안' + 밖 ''bak'' '밖' ('b' 음이 강화되어 'p'가 됨)
오지브웨어/아니시나베모윈:
- ''mashkikiwaaboo'' '강장제': ''mashkiki'' '약' + ''waaboo'' '액체'
- ''miskomin'' '산딸기': ''misko'' '빨간' + ''miin'' '열매'
스페인어:
- ciencia-ficción|시엔시아 픽시온es '공상 과학': ciencia|시엔시아es '과학', + ficción|픽시온es '소설'
- ciempiés|시엠피에스es '지네': cien|시엔es '백' + pies|피에스es '발'
타밀어:
- ''쳄모지''(고전 타밀어)에서 합성어에 대한 규칙은 톨카피얌과 난누와 같은 문법에 ''푸나르치''라는 이름으로 여러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합성어의 예로는 'kō'(왕) + '푸람'(외부)에서 온 கோபுரம்|코푸람ta이 있다.
- ''코툰타미즈''(비표준 타밀어)에서 다른 언어의 단어 부분이 타밀어로 변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예로 산스크리트어 ''rakta''(피)와 ''쳄모지'' ''azhuttam''(압력)에서 온 'ratta-azhuttam'(혈압)이 있다.
틀리초어/도그리브:
- ''dlòotsǫ̀ǫ̀'' '땅콩 버터': ''dlòo'' '다람쥐' + ''tsǫ̀ǫ̀'' '똥'
- ''eyakǫ̀'' '병원': ''eya'' '아픈' + ''kǫ̀'' '집'
게르만어족(을 포함한 영어)에서 합성어는 효과적으로 이름 공간(동음이의어 해소 맥락)을 주요 단어 앞에 붙여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축구"는 "발"이라는 맥락에서의 "공"이다.
합성어는 그 자체로 단어로 이해되기 때문에, 다시 새로운 합성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의로 긴 단어를 만드는 것은 간단하다. 이것은 로망스어와 대조되는데, 로망스어에서는 단어를 연결하는 대신 전치사를 사용하여 단어 관계를 지정하는 경우가 더 많다.
러시아어에서 합성어는 흔한 파생어의 한 유형이며, 합성되는 품사와 합성 방식 측면에서 여러 유형의 합성어가 존재한다.[12]
합성 명사는 교착식 합성어, 하이픈으로 연결된 합성어(стол-книга '접이식 테이블', 문자 그대로 '테이블-책', "책 모양의 테이블"), 또는 약어 합성어(두문자어들: колхоз '콜호즈')일 수 있다.
러시아어의 중복도 합성어의 원천이다.
상당수의 러시아어 단어는 이미 합성된 형태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되었는데, 수많은 "고전적 합성어" 또는 국제어가 포함된다: автомобиль '자동차'.
산스크리트어는 매우 풍부한 합성어 형성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7가지 주요 합성어 유형과 55가지에 달하는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13] 합성어 형성 과정은 생산적이므로, 산스크리트어의 모든 합성어를 사전에 나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세 단어로 이루어진 합성어가 더 빈번하지만, 산스크리트 문헌에서는 "페이지 전체에 걸쳐 있는" 긴 합성어도 드물지 않다.[13]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아래 하이픈은 읽기 쉽도록 개별 단어 경계를 보여주지만 원래 산스크리트어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 हिमालय (IAST Himālaya, hima-ālaya로 분해됨): 히말라야 산맥의 이름. 문자 그대로 "눈의 거처"를 의미한다.[14] 두 단어와 네 음절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 प्रवर-मुकुट-मणि-मरीचि-मञ्जरी-चय-चर्चित-चरण-युगल (IAST pravara-mukuṭa-maṇi-marīci-mañjarī-caya-carcita-caraṇa-yugala): 문자 그대로 "최고의 왕관의 보석에서 나오는 찬란한 광선의 무리가 덮인 두 발을 가진 자여"를 의미하며, 산스크리트 작품 빤차탄트라에서 유래했다.[13] 아홉 단어와 25음절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수화에서도 합성어는 생산적인 단어 형성 과정이다. 여러 수화에서 내포합성어와 외포합성어가 모두 기술되어 있다.[17]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는 두 개 이상의 명사로 구성되어 그 의미 범주를 나타내는 복합합성어 또는 드완드바(dvandva)도 많은 수화에서 정기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수화에서 '부모'를 나타내는 기호는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명사의 결합이다. 미국 수화에서 '아침 식사'를 나타내는 기호도 같은 개념을 따른다. '먹다'와 '아침'이라는 단어를 함께 표현하여 '아침 식사'라는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이것은 순차적 합성어의 예시이며, 수화에서는 한 손이 하나의 의미소를 나타내는 동안 다른 손이 동시에 다른 의미소를 나타내는 '동시' 합성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 수화에서 '주말'을 나타내는 기호는 '토요일' 기호의 한 손 버전과 '일요일' 기호의 한 손 버전을 동시에 표현하여 만들어진다.[17] 미국 수화에는 합성어와 쉽게 비교할 수 있는 또 다른 과정이 있다. 혼합어는 두 개의 형태소를 혼합하여 포트만토(portmanteau)라고 불리는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다.[18]
- 고전적 합성어
- 영어 합성어
- 독일어 합성어
- 산스크리트어 합성어
- 아랍어 합성어
단어의 정의가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로, 복합어와 두 개의 단어의 구별은 모호한 경우가 많다.
언어에 따라 복합어를 만드는 특별한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복합어임이 명확하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あめ(雨)」에 대한 「あま」는 복합어의 앞 성분에만 나타나는 형태이므로, 따라서 「あまもり」는 복합어이다. 또한 연탁은 합성어의 뒷 성분에만 나타나므로, 「たにがわ(谷川)」는 복합어임이 명확하다. 다른 언어의 예로는 고대 그리스어의 τετράγωνος|테트라고노스grc'네모난'은 τέσσαρες|테사레스grc '네'의 합성어 형태 τετρα-|테트라-grc와 γωνία|고니아grc'모서리'로 구성된 복합어이다. 또한 나우아틀어의 teohcalli|테오칼리nah'신전'은 teotl|테오틀nah '신'과 calli|칼리nah'집'의 복합어이지만, 앞 성분에서 어미 -tl|-틀nah이 사라진 것으로 보아 복합어임을 알 수 있다.
참조
[1]
서적
English Compounds and their Spell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03
[2]
서적
The Chicago manual of sty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Linguis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10-20
[4]
서적
Concis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웹사이트
open compound (noun)
https://www.merriam-[...]
2024-01-29
[6]
웹사이트
Seattle FinnFest '09
http://www.finnsnw.o[...]
[7]
학술지
Identifying N+N compounding in Modern Standard Arabic and Jordanian Arabic
https://onlinelibrar[...]
2018-02-27
[8]
논문
Jingulu Grammar, Dictionary and Texts
https://theswissbay.[...]
MIT
1992
[9]
사전
s.v.
https://www.oed.com/[...]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5-06
[10]
서적
Parasynthetic compounds: data and theory
Sergio Scalies, Irene Vogel
2010
[11]
웹사이트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 limpiaparabrisas
http://lema.rae.es/d[...]
Real Academia Española
2013-02-16
[12]
서적
Student Dictionary of Compound Words of the Russian Language
1978
[13]
학회발표논문
Sanskrit Compound Processor
Springer
[14]
웹사이트
Himalaya
2011-07-17
[15]
웹사이트
Sruti Krta Rama Stuti
http://www.stutimand[...]
Stutimandal.com
2011-07-01
[16]
웹사이트
Virudavali – Jagadguru Rambhadracharya
http://jagadgururamb[...]
Shri Tulsi Peeth Seva Nyas
2011-10-25
[17]
서적
Sign ''Gram'' Blueprint
De Gruyter
2019-02-19
[18]
웹사이트
Word formation: compounding and blending in sign language
https://www.handspea[...]
2022-10-25
[19]
학술지
Deaf Culture: Exploring Deaf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by Irene W. Leigh, Jean F. Andrews, and Raychelle L. Harris
http://dx.doi.org/10[...]
2017
[20]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English Sentence
http://nautil.us/iss[...]
2020-08-02
[21]
서적
言語学大辞典 術語編
三省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