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나라당 (200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나라당 (2006년)은 2012년 3월 자유평화당이 당명을 변경하여 결성된 정당이다. 이 당명은 2012년 2월까지 새누리당이 사용했던 것으로, 새누리당은 당명 변경에 반발했다. 한나라당은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0.85%의 정당 득표율을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으며, 이후 새한나라당 등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국민주의 - 범아시아주의
    범아시아주의는 아시아 국가들의 연대와 공동 발전을 목표로 19세기 말 일본에서 시작된 사상 및 운동으로, 초기에는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표방했으나 일본 제국주의 팽창의 이데올로기로 변질되었고, 현대에는 아시아적 가치 재해석과 함께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 범국민주의 - 범아프리카주의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인과 디아스포라의 연대 및 통합을 추구하는 이념이자 운동으로, 공통된 유산을 강조하며 노예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을 통해 형성되었고 아프리카 탈식민화 운동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소셜 미디어, 아프로센트리즘, 힙합 문화 등을 통해 연대와 정체성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지속되고 있다.
  • 2006년 설립된 정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2006년 설립된 정당 - 국가재건친박연합
    국가재건친박연합은 2012년 2월 29일 당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제19대 총선에서 의석 획득에 실패하고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한나라당 (2006년)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약칭영남신당 (2012년 1월 4일 ~ 2012년 3월 5일)
개명 전자유평화당 (2006년 10월 10일 ~ 2012년 1월 4일)
영남신당자유평화당 (2012년 1월 4일 ~ 2012년 3월 5일)
배경색한나라당2012
창당2006년 10월 10일
등록 취소2012년 4월 12일
피병합영남신당 창당준비위원회
후계 정당새한나라당, 희망한나라당
대표이태희
이념보수주의
범한국주의
정치 스펙트럼중도우파~우파
기타
중앙선관위 등록중앙선관위 등록

2. 역사

자유평화당은 2010년 지방 선거에 후보를 냈으나 모두 낙선했다.[3] 2012년에는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당)의 초대 당대표였던 이용휘가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영남신당과 합당해 영남신당자유평화당(약칭:영남신당)이 되었다.[3] 3월 5일에는 한나라당(The Hannara Party)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4]

이 당명은 새누리당이 2012년 2월까지 사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한나라당'의 탄생에 반발했다.[5] 아시아경제는 영남신당의 명칭 변경을 "총선을 앞두고 영남권에서 유권자를 혼란시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지지도를 일부 흡수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풀이했다.[6] 이에 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에 대해 "도둑 심보"라고 말했다. "길에 굴러다니는 걸 주운 우리보다 버리고나서 아쉬워하는 그들이 더 웃기다"며 "새누리당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략적으로 당명을 바꾸지 않았나. 버릴 땐 언제고 이제는 ‘한나라당'이 좋다는 것인지 황당하다"고 말했다.[7]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민주당이나 새누리당을 제치고 1당도 가능하다. 이번 한나라당은 기존의 영남 중심의 정당이나 악습과 폐습에서 벗어난 완벽한 당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8]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의 정당득표에서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0.85%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당법에 의거 대한민국 제20대 총선까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새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희망한나라당' 창당을 시사했다.[9]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가 만든 새한나라당 창당준비위원회는 활동기한 만료로 10월달에 해산이 되자 이태희 대표는 재차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 2013년 4월 15일 새한나라당(New Hannara Party)를 결성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녹색당·진보신당·청년당이 낸 대한민국 정당법의 등록취소 조항과 당명 사용금지 조항에 대해 2014년 1월 28일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2월 8일 한나라당으로 명칭을 변경 (영문명은 The Grand National Party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2. 1. 창당과 당명 변경

자유평화당은 2010년 지방 선거에 후보를 냈으나 모두 낙선했다.[3] 2012년에는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당)의 초대 당대표였던 이용휘가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영남신당과 합당해 영남신당자유평화당(약칭:영남신당)이 되었다.[3] 3월 5일에는 한나라당(The Hannara Party)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4]

이 당명은 새누리당이 2012년 2월까지 사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한나라당'의 탄생에 반발했다.[5] 아시아경제는 영남신당의 명칭 변경을 "총선을 앞두고 영남권에서 유권자를 혼란시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지지도를 일부 흡수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풀이했다.[6] 이에 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에 대해 "도둑 심보"라고 말했다. "길에 굴러다니는 걸 주운 우리보다 버리고나서 아쉬워하는 그들이 더 웃기다"며 "새누리당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략적으로 당명을 바꾸지 않았나. 버릴 땐 언제고 이제는 ‘한나라당'이 좋다는 것인지 황당하다"고 말했다.[7]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민주당이나 새누리당을 제치고 1당도 가능하다. 이번 한나라당은 기존의 영남 중심의 정당이나 악습과 폐습에서 벗어난 완벽한 당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8]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의 정당득표에서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0.85%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다.[9] 아울러 대한민국 정당법에 의거 대한민국 제20대 총선까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새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희망한나라당' 창당을 시사했다.[9]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가 만든 새한나라당 창당준비위원회는 활동기한 만료로 10월달에 해산이 되자 이태희 대표는 재차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 2013년 4월 15일 새한나라당(New Hannara Party)를 결성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녹색당·진보신당·청년당이 낸 대한민국 정당법의 등록취소 조항과 당명 사용금지 조항에 대해 2014년 1월 28일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2월 8일 한나라당으로 명칭을 변경 (영문명은 The Grand National Party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2. 2. 2012년 총선과 등록 취소

2010년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에서는 후보를 냈으나 모두 낙선했다. 2012년에는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당)의 초대 당대표였던 이용휘가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영남신당과 합당해 영남신당자유평화당(약칭:영남신당)이 되었다.[3] 이어서 3월 5일에는 한나라당(The Hannara Party)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4]

이 당명은 새누리당이 2012년 2월까지 사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한나라당'의 탄생에 반발했다.[5] 아시아경제는 영남신당의 명칭 변경을 "총선을 앞두고 영남권에서 유권자를 혼란시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지지도를 일부 흡수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풀이했다.[6] 이에 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에 대해 "도둑 심보"라고 말했다. "길에 굴러다니는 걸 주운 우리보다 버리고나서 아쉬워하는 그들이 더 웃기다"며 "새누리당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략적으로 당명을 바꾸지 않았나. 버릴 땐 언제고 이제는 ‘한나라당'이 좋다는 것인지 황당하다"고 말했다.[7]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민주당이나 새누리당을 제치고 1당도 가능하다. 이번 한나라당은 기존의 영남 중심의 정당이나 악습과 폐습에서 벗어난 완벽한 당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8]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의 정당득표에서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0.85%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당법에 의거 대한민국 제20대 총선까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새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희망한나라당' 창당을 시사했다.[9]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가 만든 새한나라당 창당준비위원회는 활동기한 만료로 10월달에 해산이 되자 이태희 대표는 재차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 2013년 4월 15일 새한나라당(New Hannara Party)를 결성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녹색당·진보신당·청년당이 낸 대한민국 정당법의 등록취소 조항과 당명 사용금지 조항에 대해 2014년 1월 28일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2월 8일 한나라당으로 명칭을 변경 (영문명은 The Grand National Party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2. 3. 총선 이후

2012년에는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당)의 초대 당대표였던 이용휘가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영남신당과 합당해 영남신당자유평화당(약칭:영남신당)이 됐으며[3], 3월 5일에는 한나라당(The Hannara Party)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4]

이 당명은 새누리당이 2012년 2월까지 사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한나라당'의 탄생에 반발했다.[5] 아시아경제는 영남신당의 명칭 변경을 "총선을 앞두고 영남권에서 유권자를 혼란시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지지도를 일부 흡수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풀이했다.[6] 이에 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에 대해 "도둑 심보"라고 말했다. "길에 굴러다니는 걸 주운 우리보다 버리고나서 아쉬워하는 그들이 더 웃기다"며 "새누리당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략적으로 당명을 바꾸지 않았나. 버릴 땐 언제고 이제는 ‘한나라당'이 좋다는 것인지 황당하다"고 말했다.[7]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민주당이나 새누리당을 제치고 1당도 가능하다. 이번 한나라당은 기존의 영남 중심의 정당이나 악습과 폐습에서 벗어난 완벽한 당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8],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의 정당득표에서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0.85%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당법에 의거 대한민국 제20대 총선까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새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희망한나라당' 창당을 시사했다.[9]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가 만든 새한나라당 창당준비위원회는 활동기한 만료로 10월달에 해산이 되자 이태희 대표는 재차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 2013년 4월 15일 새한나라당(New Hannara Party)를 결성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녹색당·진보신당·청년당이 낸 대한민국 정당법의 등록취소 조항과 당명 사용금지 조항에 대해 2014년 1월 28일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2월 8일 한나라당으로 명칭을 변경 (영문명은 The Grand National Party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2. 4.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과 당명 회복

2010년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에서는 후보를 냈으나 모두 낙선했다. 2012년에는 한미준(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당)의 초대 당대표였던 이용휘가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한 영남신당과 합당해 영남신당자유평화당(약칭:영남신당)이 되었다.[3] 이어서 3월 5일에는 한나라당(The Hannara Party)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4]

이 당명은 새누리당이 2012년 2월까지 사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한나라당'의 탄생에 반발했다.[5] 아시아경제는 영남신당의 명칭 변경을 "총선을 앞두고 영남권에서 유권자를 혼란시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갖고 있는 지지도를 일부 흡수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풀이했다.[6] 이에 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에 대해 "도둑 심보"라고 말했다. "길에 굴러다니는 걸 주운 우리보다 버리고나서 아쉬워하는 그들이 더 웃기다"며 "새누리당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정략적으로 당명을 바꾸지 않았나. 버릴 땐 언제고 이제는 ‘한나라당'이 좋다는 것인지 황당하다"고 말했다.[7]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민주당이나 새누리당을 제치고 1당도 가능하다. 이번 한나라당은 기존의 영남 중심의 정당이나 악습과 폐습에서 벗어난 완벽한 당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8]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의 정당득표에서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0.85%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당법에 의거 대한민국 제20대 총선까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는 '새한나라당', 이용휘 대표최고위원은 '희망한나라당' 창당을 시사했다.[9]

한나라당 이태희 대표가 만든 새한나라당 창당준비위원회는 활동기한 만료로 10월달에 해산이 되자 이태희 대표는 재차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 2013년 4월 15일 새한나라당(New Hannara Party)를 결성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녹색당·진보신당·청년당이 낸 대한민국 정당법의 등록취소 조항과 당명 사용금지 조항에 대해 2014년 1월 28일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후 2월 8일 한나라당으로 명칭을 변경 (영문명은 The Grand National Party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3. 비판 및 논란

3. 1. 당명 사용 논란

2012년 3월 자유평화당은 당명을 한나라당으로 변경하였다.

3. 2. 극우적 성향 논란

4. 주요 선거 기록

(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2012년19대 총선300(246/54)01.1%



선거대표지역구정당 명부의석 수순위상태
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
2012년이태희4540.000181,8220.85008위원외 정당



실시년도선거광역자치단체장기초자치단체장광역자치의회의원기초자치의회의원
비율비율비율비율
2010년
(자유평화당)
5회 지방 선거0/160/2280/7620/2888


4. 1. 국회의원 선거

2012년에 실시된 19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을 얻지 못했다. 득표율은 1.1%였다.

실시년도선거국회정원당선자 현황
(지역구/비례대표)
득표율
2012년19대 총선300(246/54)01.1%



2012년 총선에서 이태희 대표는 지역구에서 454표(0.00%)를 얻었고, 정당 명부에서는 181,822표(0.85%)를 득표하여 8위를 기록, 원외 정당이 되었다.

선거대표지역구정당 명부의석 수순위상태
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
2012년이태희4540.000181,8220.85008위원외 정당


4. 2. 지방선거

한나라당은 2010년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에 자유평화당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하였으나,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회의원, 기초자치의회의원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5. 역대 정당 당원

wikitext

5. 1. 자유평화당 시절 당원

wikitext

분류:자유평화당 당원

참조

[1] 뉴스 '한나라당' 재등장… "새누리당, 도둑놈 심보"…로고도 파란색 http://news.naver.co[...]
[2] 뉴스 영남신당, 한나라당으로 당명 변경 ‘논란’ http://news2.cnbnews[...]
[3] 뉴스 영남신당‘틈새전략’통할까 http://www.yeongnam.[...]
[4] 뉴스 영남신당 자유평화당, 한나라당으로 당명 변경 논란 http://www.tvreport.[...]
[5] 뉴스 ‘한나라당 부활?’, 영남신당 당명변경에 새누리당 ‘전전긍긍’ http://news.sportsse[...]
[6] 뉴스 영남신당, 한나라당으로 개명…황당한 새누리당 http://www.asiae.co.[...]
[7] 뉴스 ‘한나라당’ 재등장… “새누리당, 도둑놈 심보”…로고도 파란색 http://news.khan.co.[...]
[8] 간행물 http://weekly.khan.c[...]
[9] 뉴스 '한나라당' 결국 분당 국면으로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