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폰 아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폰 아헨은 1552년 쾰른에서 태어난 독일의 화가이다. 그는 안트베르펜에서 그림을 배우고, 이탈리아에서 유학하며 베네치아, 로마, 피렌체 등지에서 활동했다. 독일로 돌아와 아우크스부르크와 뮌헨에서 활동했으며, 1592년 프라하의 황제 루돌프 2세의 공식 화가로 임명되어 궁정 화가로 활동했다. 그는 초상화, 역사화, 종교화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으며, 후기 매너리즘 미술의 대표적인 화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루돌프 2세 황제의 초상화', '판과 셀레네', '터키 전쟁의 우화, 크론슈타트 전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스 폰 아헨
기본 정보
자화상
자화상
인물 정보
본명한스 폰 아헨
출생1552년
출생지쾰른
사망1615년3월 4일
국적독일
활동 분야
분야회화
영향
영향 받은 인물해당 정보 없음
영향을 준 인물해당 정보 없음

2. 생애

한스 폰 아헨은 쾰른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성은 아버지의 출생지인 독일 아헨에서 유래되었다.[19] 안트베르펜에서 훈련받은 초상화 화가 게오르크 예리히의 제자로 독일에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574년경 이탈리아로 떠나기 전, 쾰른 화가 길드에 가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8]

플랑드르 화가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랑에르처럼, 당시 많은 북유럽 예술가들처럼 폰 아헨도 이탈리아에서 오랜 기간을 보냈다. 1574년부터 1587년까지 베네치아에서 활동하며 네덜란드와 독일 예술가, 판화 제작자, 미술상 커뮤니티의 일원이었다. 그는 필사자로 활동하며, 앤트워프 출신의 플랑드르 화가이자 미술상인 가스파르 렘의 작업실에서 일했다. 렘은 폰 아헨이 모레트라는 예술가와 견습 과정을 거치도록 주선했는데, 여기에는 베니스 교회의 유명 작품을 복사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22] 1575년 로마로 간 폰 아헨은 고대 조각과 이탈리아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했다. 오토 판 베인, 요리스 호에프나겔, 파울과 마티스 브릴 형제, 한스 스페카르트, 요제프 하인츠 원로 등 로마에서 활동하는 북유럽 예술가들과 교류했다. 로마 예수회 모교회인 제수 교회의 ''예수탄생'' 위탁을 받기도 했다. 1582~1583년 피렌체에서 초상화로 명성을 얻어 메디치 가문의 의뢰를 받았다. 1585년 다시 베니스에 정착했다.[19]

1587년 독일로 돌아온 그는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부유한 푸거 가문의 초상화를 그렸고, 뮌헨에서 성 미카엘 교회를 위한 두 개의 제단화를 그렸다. 고향 쾰른을 방문하고 베니스로 돌아온 후, 1589년부터 뮌헨을 거주지로 선택했다.[19] 뮌헨에서 작곡가 올란도 디 라소의 딸 레지나와 결혼했다. 독일에서 귀족 가문의 초상화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적, 종교적 장면도 제작하여 폭넓은 명성을 얻었다.[23]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5세를 위해 여러 작품을 그렸다.

뮌헨에서 프라하 황실과 접촉, 1592년 황제 루돌프 2세의 공식 화가로 임명되었다. 폰 아헨은 자신의 거주지에서 일할 수 있는 실내 궁정 화가(''Kammermaler von Haus aus'')였기 때문에 프라하 궁정에 거주할 필요가 없었다.[24] 루돌프 2세는 당대 가장 중요한 예술 후원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림을 특히 소중히 여겨 프라하 화가 길드에 화가에게 길드 규칙을 면제하고, 연간 봉급을 지급하며, 그림을 더 이상 공예품이 아니라 ‘그림 예술’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선언하는 칙서를 발행했다.[25]

''루돌프 2세 황제의 초상화'', 1607년경


루돌프는 폰 아헨을 예술품 수집 고문이자 '외교관'으로 의존했다.[18] 그는 미술품 소장자들에게 여행하며 황제의 제안을 전달했다.[26] 1602년에는 브라운슈바이크, 볼펜뷔텔, 비텐베르크, 드레스덴을, 1603~1605년에는 인스브루크, 베니스, 토리노, 만토바, 모데나를 여행했다. 후기 여행의 목적은 황제의 미래 배필 초상화를 그리기 위한 것이었다.[27] 1605년 루돌프 2세는 그에게 기사 작위를 수여했다.[27] 폰 아헨은 1601년 또는 1597년 초에 프라하로 이주했다.[28]

''터키 전쟁의 우화, 크론슈타트 전투'', 1603-1604


1605년 루돌프 2세 몰락, 1612년 사망 후, 폰 아헨은 후계자 마티아스 1세에게 라우스니츠 영지를 받았다. 마티아스 황제는 1612년에 그를 드레스덴과 비엔나로, 1613년에는 아우크스부르크로, 1614년에는 다시 드레스덴으로 보냈다.[19] 폰 아헨의 제자로는 피터 이삭스(이탈리아), 안드레아스 포겔, 크리스티안 부흐너, 한스 크리스토프 슐러(프라하)가 있었다.[19] 1615년 프라하에서 사망했다.[18]

2. 1. 초기 생애와 이탈리아 유학 (1552년 ~ 1588년)

한스 폰 아헨은 1552년 쾰른에서 태어났다. 그의 성은 아버지의 출생지인 독일 아헨에서 유래되었다.[19] 안트베르펜에서 훈련을 받은 초상화가 게오르크 예리히(Georg Jerrigh)의 제자로 독일에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18] 1574년경,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기 전 쾰른 화가 길드에 가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8]

플랑드르 화가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랑에르처럼, 당시 많은 북유럽 예술가들과 마찬가지로 폰 아헨도 이탈리아에서 오랜 기간을 보냈다.[4] 1574년부터 1587년까지 베네치아에서 활동하며, 네덜란드와 독일의 예술가, 판화 제작자, 미술상 커뮤니티의 일원이었다. 그는 필사자로 활동하며, 앤트워프 출신의 플랑드르 화가이자 미술상인 가스파르 렘(Gaspar Rem)의 작업실에서 일했다. 렘은 폰 아헨이 모레트(Moretto)라는 예술가와 견습 과정을 거치도록 주선했다. 이 견습 과정에는 베니스 교회의 유명 작품을 복사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22]

1575년 로마로 이동하여 고대 조각과 이탈리아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했다. 오토 판 베인, 요리스 호에프나겔, 파울과 마티스 브릴 형제, 한스 스페카르트, 요제프 하인츠 원로 등 로마에서 활동하는 북유럽 예술가들과 교류했다.[19] 로마의 예수회 모 교회인 제수 교회의 ''탄생''을 위탁받았다.[19] 1582년 ~ 1583년 피렌체에서 초상화로 명성을 얻어 메디치 가문의 의뢰를 받았다. 1585년 다시 베네치아에 정착했다.[19]

2. 2. 독일에서의 활동 (1588년 ~ 1592년)

1587년(혹은 1588년) 독일로 돌아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부유한 푸거 가문의 초상화를 그렸다. 뮌헨에서 성 미카엘 교회를 위한 두 개의 제단화를 그리는 일을 맡았다. 고향 쾰른을 방문하고, 베니스로 돌아온 후 1589년부터 뮌헨을 자신의 거주지로 선택했다.[19] 뮌헨에서 작곡가 올란도 디 라소의 딸 레지나와 결혼했다. 독일에서 그는 귀족 가문의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적, 종교적 장면 또한 제작하여 폭넓은 명성을 얻었다.[23] 그는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5세를 위해 여러 작품을 그렸다.

2. 3. 프라하 궁정 화가 (1592년 ~ 1615년)

뮌헨에서 프라하의 황실과 접촉하게 되었다. 1592년 프라하에 거주했던 황제 루돌프 2세의 공식 화가로 임명되었다. 폰 아헨은 자신의 거주지에서 일할 수 있는 실내 궁정 화가(''Kammermaler von Haus aus'')였기 때문에 프라하 궁정에 거주할 필요가 없었다.[24] 루돌프 2세는 당대 가장 중요한 예술 후원자 중 한 명으로, 그림을 특히 소중히 여겼다. 그는 프라하 화가 길드에 화가에게 길드 규칙을 면제하고, 연간 봉급을 수여하며, 그림을 더 이상 공예품이 아니라 ‘그림 예술’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선언하는 칙서를 발행했다.[25] 이러한 특별 대우는 프라하를 주요 예술 중심지로 만들었다. 폰 아헨은 루돌프 2세의 예술품 수집 고문이자 외교관 역할도 수행했다.[18] 1605년 루돌프 2세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27] 1601년(혹은 1597년) 프라하로 이주하여[28] 신화와 우화 주제에 대한 많은 의뢰를 받았다.[23] 1605년 루돌프 2세가 몰락하고 1612년 사망한 후, 폰 아헨은 그의 후계자인 마티아스 1세에게 라우스니츠의 영지를 받았다. 1615년 프라하에서 사망했다.[18]

2. 4. 제자

피터 이삭스는 이탈리아에서, 안드레아스 포겔, 크리스티안 부흐너, 한스 크리스토프 슐러는 프라하에서 그의 제자였다.[19] 요제프 하인츠 역시 그의 제자였다.

3. 작품

한스 폰 아헨은 초상화, 역사 및 종교적 주제의 그림, 풍속화, 우의화를 제작한 다재다능한 예술가였다. 1600년경 프라하의 루돌프 2세 궁정에서 육성된 후기 매너리즘 미술 양식의 주요 대표자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작품 중 하나는 ''평화, 예술 및 풍요의 알레고리''이다.

그의 양식은 로마피렌체 매너리즘과 티치아노, 베로네세, 틴토레토와 같은 베네치아 거장,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는 북부 사실주의 전통에 가까운 이상화된 회화 양식 사이에서 나타난다.[4] 폰 아헨은 틴토레토와 미켈란젤로의 추종자들을 연구하여 자신만의 매너리스트 기법을 개발했다. 그는 경력 전반에 걸쳐 당시 독일의 미술계를 지배했던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랭거와 헨드릭 골치우스의 양식에 주된 영향을 받았다.



''판과 셀레네'', 1600-1605


아테나, 비너스와 주노


한스 폰 아헨은 직접 판화를 제작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그림은 루돌프 2세의 다른 궁정 화가들에 의해 많이 복제되었는데, 여기에는 볼프강 킬리안, 도미니쿠스 쿠스토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델러 가문의 구성원들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판화들은 그의 사후 곧 매너리즘 양식이 유행에서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5], 유럽 전역에서 그의 명성과 영향력에 기여했다.[3]

폰 아헨은 또한 궁정의 판화가들을 위해 독창적인 디자인을 제작했다. 그 예로, 《인류의 구원》(Salus generis humani)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판화 연작이 있다. 이 연작은 프라하 궁정에서 활동했던 플랑드르 판화가 아에기디우스 사델러가 새긴 13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0년에 제작된 이 판화는 한스 폰 아헨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그리스도의 생애 장면을 담고 있다. 중앙 구도는 1581–90년에 플랑드르 화가 요리스 호에프나겔이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를 위해 제작한 미사 경본(Missale romanum)의 삽화에서 유래한 상징적인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다.(현재는 빈의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15]

4. 주요 작품

제목제작 연도소장처비고
1600년경빈 미술사 박물관케레스와 바쿠스가 없으면 비너스는 꼼짝도 못한다[21]
1607년경빈 미술사 박물관
1600-1605
1603-1604
빈 미술사 박물관
--1598년알테 피나코테크독일어 원제: "Sieg der Wahrheit unter dem Schutze der Gerechtigkeit"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von Aachen, Hans, 1552–1615 https://artuk.org/di[...] 2020-03-01
[3] 웹사이트 Biography from the J. Paul Getty Museum http://www.getty.edu[...]
[4] 간행물 Aachen, Hans von. 2016-11-20
[5] 웹사이트 CODART page on the first large exhibition on the artist http://www.codart.co[...]
[6] 논문 'The Oltramontani Network in Venice - Hans von Aachen' Artefactum, Prague 2010
[7] 서적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Market House Books, Oxford and New York 1987
[8] 서적 'The School of Prague: Painting at the Court of Rudolf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9] 서적 'The Mercurial Emperor: The Magic Circle of Rudolf II in Renaissance Prague' Random House 2013-11-28
[10] 서적 'Princes and Artists, Patronage and Ideology at Four Habsburg Courts 1517–1633' Thames & Hudson, London 1976
[11] 간행물 Aachen, Hans von. 2009-02-09
[12] 문서
[13] 서적 Bollettino d'arte https://books.google[...] La Libreria dello Stato 1997
[14] 서적 Fiamminghi a Roma: 1508-1608 : atti del Convegno internazionale : Bruxelles, 24-25 febbraio 1995 https://books.google[...] Istituto poligrafico e Zecca dello Stato, Libreria dello Stato 1999
[15] 웹사이트 Salus generis humani http://www.metmuseum[...]
[16] 문서
[17] 웹인용 von Aachen, Hans, 1552–1615 https://artuk.org/di[...] 2020-03-01
[18] 웹사이트 Biography from the J. Paul Getty Museum http://www.getty.edu[...]
[19] 간행물 Aachen, Hans von. 2016-11-20
[20] 웹사이트 CODART page on the first large exhibition on the artist http://www.codart.co[...]
[21] 문서
[22] 논문 'The Oltramontani Network in Venice - Hans von Aachen' Artefactum, Prague 2010
[23] 서적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Market House Books, Oxford and New York 1987
[24] 서적 'The School of Prague: Painting at the Court of Rudolf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25] 서적 'The Mercurial Emperor: The Magic Circle of Rudolf II in Renaissance Prague' Random House 2013-11-28
[26] 서적 'Princes and Artists, Patronage and Ideology at Four Habsburg Courts 1517–1633' Thames & Hudson, London 1976
[27] 간행물 Aachen, Hans von. 2009-02-09
[28] 문서
[29] 서적 Bollettino d'arte https://books.google[...] La Libreria dello Stato 1997
[30] 서적 Fiamminghi a Roma: 1508-1608 : atti del Convegno internazionale : Bruxelles, 24-25 febbraio 1995 https://books.google[...] Istituto poligrafico e Zecca dello Stato, Libreria dello Stato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