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리 전초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리 전초기지는 1953년 6월 한국 전쟁 중 중국 인민지원군과 미군 간에 벌어진 전투의 주요 무대였다. 1953년 6월 10일,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이 120문의 포병 지원을 받아 미군 15연대 K중대를 공격하여 진지를 점령했다. 이튿날 미군은 반격을 통해 진지를 탈환했으나, 인민지원군의 재공격으로 다시 진지를 빼앗겼다. 이후 치열한 공방전이 이어졌고, 진지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으며, 16일 미군은 그리스 대대에 방어를 인계했다. 18일에도 인민지원군의 공격이 있었으나 격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리 전초기지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해리 전초기지 전투
전체6.25 전쟁
해리 전초기지 지도
해리 전초기지 지도
날짜1953년 6월 10일 ~ 1953년 6월 18일
장소강원도 철원군 이갈리 (철의 삼각지대)
결과그리스군 승리
교전 세력
유엔군: 제15보병연대
: 스파르타 대대
중공군제221사단
지휘관
유엔군: 유진 라이딩스
: 요르요스 쿠마나코스
중공군쉬샨첸
관련 정보

2. 전투

1953년 6월 10일 21시 30분, 중국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의 6연대와 5연대의 두 개 소대는 120문의 포병 지원[1]을 받아 해리 전초기지를 방어하는 미군 15연대 K중대에 공격을 개시하였다.[2] 10분 후, 측면을 우회한 한 소대가 미군 진지를 돌파하였고, 22시 정면 공격한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돌파, 전투 시작 50분 만에 진지를 장악하였다.

다음 날 3시 20분, 미군은 E중대와 C중대, 그리고 중전차 중대의 한 소대를 투입하여 반격을 개시하여 진지를 탈환하였다.[2] 인민지원군은 1연대와 4연대를 동원하여 다시 공격을 감행하고 진지를 재탈환하였고, 미군은 B중대를 추가로 투입하였다.[2] 이후 양측은 치열하게 교전하였고, 진지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13일, 221단의 8, 9연대의 각 일부 6개 소대가 다시 고지를 점령하였으나 15일 최종적으로 철수하였다. 미군 3사단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30여 대의 차량으로 증원 병력을 수송하였으나, 인민지원군의 로켓포병의 공격을 받았다. 16일, 미군은 진지의 방어를 그리스 대대에 인계하였다.[1] 6월 18일 아침, 중인민지원군(PVA)은 자정 무렵에 돌아와 자신들의 포병과 박격포 사격을 뚫고 북동쪽과 북서쪽에서 해리 전초기지를 공격하였다. 인민지원군은 격퇴되어 철수하였으나, 여전히 그 지역에 머물렀다.[3]

2. 1. 중국 인민지원군의 공격 (1953년 6월 10일)

1953년 6월 10일 21시 30분, 중국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의 6연대와 5연대의 두 개 소대는 120문의 포병 지원[1]을 받아 해리 전초기지를 방어하는 미군 15연대 K중대에 공격을 개시하였다.[2] 10분 후, 측면을 우회한 한 소대가 미군 진지를 돌파하였다. 22시, 정면으로 공격한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돌파하였다. 전투 시작 50분 후,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장악하였다.

2. 1. 1. 인민지원군의 초기 공세

1953년 6월 10일 21시 30분, 중국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의 6연대와 5연대의 두 개 소대는 120문의 포병 지원[1]을 받아 해리 전초기지를 방어하는 미군 15연대 K중대에 공격을 개시하였다.[2] 10분 후, 측면을 우회한 한 소대가 미군 진지를 돌파하였다. 22시, 정면으로 공격한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돌파하였다. 전투 시작 50분 후,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장악하였다.

2. 2. 미군의 반격과 진지 탈환 (1953년 6월 11일)

1953년 6월 11일 새벽 3시 20분, 미군은 E중대와 C중대, 그리고 중전차 중대의 한 소대를 투입하여 반격을 개시하였고, 해리 전초기지를 탈환하였다.[2]

2. 3. 중국 인민지원군의 재공세와 치열한 교전

1953년 6월 10일 21시 30분, 중국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의 6연대와 5연대의 두 개 소대는 120문의 포병 지원[1]을 받아 해리 전초기지를 방어하는 미군 15연대 K중대에 공격을 개시하였다.[2] 10분 후, 측면을 우회한 한 소대가 미군 진지를 돌파하였고, 22시 정면 공격한 인민지원군이 진지를 돌파, 전투 시작 50분 만에 진지를 장악하였다.

다음 날 3시 20분, 미군은 E중대와 C중대, 그리고 중전차 중대의 한 소대를 투입하여 반격을 개시하여 진지를 탈환하였다.[2] 인민지원군은 1연대와 4연대를 동원하여 다시 공격을 감행하고 진지를 재탈환하였고, 미군은 B중대를 추가로 투입하였다.[2] 이후 양측은 치열하게 교전하였고, 진지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13일, 221단의 8, 9연대의 각 일부 6개 소대가 다시 고지를 점령하였으나 15일 최종적으로 철수하였다. 미군 3사단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30여 대의 차량으로 증원 병력을 수송하였으나, 인민지원군의 로켓포병의 공격을 받았다. 16일, 미군은 진지의 방어를 그리스 대대에 인계하였다.[1] 6월 18일 아침, 인민지원군(PVA)은 자정 무렵에 돌아와 자신들의 포병과 박격포 사격을 뚫고 북동쪽과 북서쪽에서 해리 전초기지를 공격하였다. 인민지원군은 격퇴되어 철수하였으나, 여전히 그 지역에 머물렀다.[3]

2. 4. 인민지원군의 추가 공격과 미군의 방어 (1953년 6월 13일 ~ 18일)

1953년 6월 13일, 중국 인민지원군 제221사단의 8, 9연대의 각 일부 6개 소대가 다시 고지를 점령하였으나 15일 최종적으로 철수하였다.[1] 미군 제3보병사단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30여 대의 차량으로 증원 병력을 수송하였으나, 인민지원군의 로켓포병의 공격을 받았다. 6월 16일, 미군은 진지의 방어를 그리스 대대에 인계하였다.[1] 6월 18일 아침, 인민지원군은 자정 무렵에 돌아와 자신들의 포병과 박격포 사격을 뚫고 북동쪽과 북서쪽에서 해리 전초기지를 공격하였으나 격퇴되어 철수하였으나, 여전히 그 지역에 머물렀다.[3]

3. 전투 이후

참조

[1] 서적 中国人民解放军陆军第二十四集团军军史 北京 1986
[2]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Outposts http://www.koreanwar[...] Korean War Educator 2014
[3] 웹사이트 George Pagomenos http://www.ophsa.org[...] 2006-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