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원군은 고구려 시대부터 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며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궁예가 후삼국 시대에 수도로 삼기도 했다. 현재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각각 철원군이 존재하며,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분단되었다. 철원은 철원평야를 포함한 지리적 특성과 함께, 한반도에서 추운 지역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 철의 삼각지대
    철의 삼각지대는 한국 전쟁 중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전략적 요충지로서, 1951년부터 1953년까지 여러 고지전이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간에 치러졌다.
  • 철원군 - 철원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원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위치하며, 북부는 산지, 남부는 평야 지형이고 임진강이 흐르며 군사분계선과 접하며, 과거 태봉의 수도였으나 현재는 농업이 주 산업이고 1읍 36리로 구성되어 있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철원군
지도
기본 정보
한자 표기鐵原郡
로마자 표기Cheorwon-gun
행정 구역 변천
이전 소속 국가대한제국
소속 도강원도
1914년 행정구역 변경김화군 일부 편입
포천군 일부 편입
평강군 일부 편입
역사
고대고구려 영역 모성군
신라 영역 편입 철성군
고려 시대철주로 개칭
조선 시대철원군으로 개칭
강원도 소속
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 강원도 철원군
광복 이후 38선 이북 지역으로 소련군정 관할
한국 전쟁한국 전쟁 격전지
휴전 이후 남북 분단
일부 지역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관할, 일부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관할
교통
철도경원선 (현재는 대부분 구간 폐선)

2. 역사

고구려 때 철원 또는 모을동비(毛乙冬非)라 불렸고, 신라 경덕왕 때 철성(鐵城)으로 개칭되었다. 신라 말 혼란기에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하기도 했다. 태봉이 한때 수도로 삼았다.

고려 건국 후 철원으로 고쳐졌고, 1018년에는 동주(東州)로 개칭되었다. 1254년에는 주(州)에서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310년 철원부(鐵原府)로 복귀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어 인근 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강원도에 속했다.

1412년도호부(都護府)로 됨.
1434년경기도에서 강원도로 이관.
1444년경기도(京畿道)에서 강원도로 이관.
1895년 5월 26일춘천부 철원군이 됨 (23부제).
1896년 8월 4일강원도 철원군이 됨.



1914년 4월 1일 경기도 삭녕군 내문면, 인목면, 마장면이 철원군에 편입되었다.[8] 1917년 서변면이 철원면으로, 어운동면이 어운면으로 각각 개칭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철원면이 철원읍으로 승격하였다.

일제강점기 철원군은 경원선이 관통하였고, 철원역에서 금강산전기철도가 분기하여 금강산 관광의 거점이 되었다. 철원읍에는 경성지방법원 철원지청, 철원중학교, 철원고등여학교, 종방 공장이 있었으며, 강원도 북부 지역의 교통·행정·농상공업 중심지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철원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45년 9월, 철원읍이 소비에트 민정청의 강원도 인민위원회 소재지가 되어 철원시로 승격되었다가, 1946년 9월 5일 함경남도 원산시, 안변군, 문천군이 북강원도에 편입되면서 강원도 인민위원회가 원산시로 이전하고 철원읍이 군으로 환원되었다.[9]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읍, 갈말면, 동송면, 신서면, 묘장면, 어운면과 인목면 남반부, 북면 유정리·홍원리, 내문면 독검리를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특히 양측이 휴전 협상을 위해 유리한 상황을 확보하려 했던 전쟁 말기에 철원·김화·평강을 잇는 지역은 “철의 삼각지대”라 불리며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휴전협정 후,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북측남측에 같은 이름의 군이 존재한다.

철원의 노동당 청사 폐허

2. 1. 고대

고구려 때 철원 또는 모을동비(毛乙冬非)라 불렸다. 신라 경덕왕 때 철성(鐵城)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 신라 말 혼란기에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하기도 했다.

2. 2. 후삼국 시대

궁예가 세운 태봉이 한때 수도로 삼았다.[6]

2. 3. 고려 시대

신라 말 혼란기에 궁예태봉을 세우고 철원(鐵圓)에 수도를 두었다. 고려 건국 후 철원으로 고쳐졌고, 1018년에는 동주(東州)로 개칭되었다. 1254년에는 주(州)에서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310년 철원부(鐵原府)로 복귀하였다.

2. 4. 조선 시대

고려 건국 후 철원으로 고쳐졌고, 이어 동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어 인근 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강원도에 속했다.[6][7]

1412년도호부(都護府)로 됨.
1434년경기도에서 강원도로 이관.
1444년경기도(京畿道)에서 강원도로 이관.
1895년 5월 26일춘천부 철원군이 됨 (23부제).
1896년 8월 4일강원도 철원군이 됨.


2. 5.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경기도 삭녕군 내문면, 인목면, 마장면이 철원군에 편입되었다.[8] 1917년 서변면이 철원면으로, 어운동면이 어운면으로 각각 개칭되었으며, 1931년 4월 1일 철원면이 철원읍으로 승격하였다.

일제강점기 철원군은 경원선이 관통하였고, 철원역에서 금강산전기철도가 분기하여 금강산 관광의 거점이 되었다. 철원읍에는 경성지방법원 철원지청, 철원중학교, 철원고등여학교, 종방 공장이 있었으며, 강원도 북부 지역의 교통·행정·농상공업 중심지였다.

;1914년의 행정구역[10]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현재
읍·면
어운동면
(於雲洞面)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철원군강산리, 중강리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중강리
동송면
(東松面)
[11]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
갈말면
(葛末面)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일부, 토성리 일부, 문혜리, 군탄리 일부, 군탄리 일부, 지포리 일부, 지포리 일부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문혜리, 군탄리, 신철원리, 지포리, 강포리
북면
(北面)
홍원리 일부, 유정리 일부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유정리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일부, 홍원리 일부철원군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삼사리
묘장면[12]
(畝長面)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독검리 일부? ,삼사리 일부?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가단리
서변면
(西邊面)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내문면
(乃文面)
독검리 일부독검리
마방리, 내문리, 창동리, 반석리, 독검리 일부, 오동리철원군마방리, 내문리, 오동리, 반석리, 독검리
마장면
(馬場面)
밀암리, 립석리, 왕피리, 장포리, 남원리, 대전리밀암리, 립석리, 신진리, 마장리, 남원리, 대전리
인목면
(寅目面)
검사리, 신현리 일부, 승양리, 갈현리 일부, 덕산리 일부, 도밀리 일부검사리, 송현리, 가승리, 갈현리, 도밀리
신현리 일부, 갈현리 일부, 덕산리 대부분, 도밀리 일부연천군
신서면
신현리, 갈현리, 덕산리, 도밀리
신서면
(新西面)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2. 6. 분단 이후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철원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45년 9월, 철원읍이 소비에트 민정청의 강원도 인민위원회 소재지가 되어 철원시로 승격되었다가, 1946년 9월 5일 함경남도 원산시, 안변군, 문천군이 북강원도에 편입되면서 강원도 인민위원회가 원산시로 이전하고 철원읍이 군으로 환원되었다.[9]

철원군은 고성군과 마찬가지로 남북으로 분단된 군이다. 김화읍이 대표적인데, 기존 김화읍 일부가 북한의 강원도(북측) 김화군이 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읍, 갈말면, 동송면, 신서면, 묘장면, 어운면과 인목면 남반부, 북면 유정리·홍원리, 내문면 독검리를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어운면, 묘장면, 북면, 인목면, 내문면, 마장면의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다.[13] 이북5도위원회에서 임명하는 6개 면이 관할하는 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리의 수리(里)비고
어운면(於雲面)5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
동송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묘장면(畝長面)4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
철원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북면(北面)6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
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내문면(乃文面)6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
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마장면(馬場面)6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
전 지역 미수복
인목면(寅目面)6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
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 신서면에 편입



한국 전쟁 당시, 특히 양측이 휴전 협상을 위해 유리한 상황을 확보하려 했던 전쟁 말기에 철원·김화·평강을 잇는 지역은 “철의 삼각지대”라 불리며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휴전협정 후,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북측남측에 같은 이름의 군이 존재한다.

3. 지리

조선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경기도와 접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드물게 평지인 철원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이 평야는 주변을 높은 산맥이 둘러싼 현무암 대지이며, 평탄하고 물도 풍부하여 곡창지대로 알려져 있었다.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군사분계선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인간의 개발이 미치지 못한 군사분계선 부근은 철새의 도래지로도 유명하다.

3. 1. 기후

북한 국경에 인접한 철원은 한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으로, 한겨울에는 -20°C 이하로 떨어지는 일이 드물지 않다.[5]

  • 최고기온 극값 38.4°C (2018년 8월 1일)[5]
  • 최저기온 극값 -29.2°C (2001년 1월 16일)[5]


'''철원의 평균기온과 강수량'''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기온(℃)-5.3-2.63.410.416.020.723.724.018.511.24.2-2.310.2
최고기온(℃)0.83.89.817.622.326.128.028.924.818.618.63.416.2
최저기온(℃)-10.9-8.6-2.53.310.115.920.220.013.34.9-1.2-7.64.7
강수량(mm)21.8mm25.1mm41.9mm53.4mm108.9mm134mm376.6mm304.8mm143.8mm45.9mm56.2mm23.3mm1335.7mm


4.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10]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현재
읍·면
어운동면
(於雲洞面)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철원군강산리, 중강리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중강리
동송면
(東松面) [11]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
갈말면
(葛末面)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일부, 토성리 일부, 문혜리, 군탄리 일부, 군탄리 일부, 지포리 일부, 지포리 일부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문혜리, 군탄리, 신철원리, 지포리, 강포리
북면
(北面)
홍원리 일부, 유정리 일부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유정리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일부, 홍원리 일부철원군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삼사리
묘장면[12]
(畝長面)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독검리 일부? ,삼사리 일부?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가단리
서변면
(西邊面)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내문면
(乃文面)
독검리 일부독검리
마방리, 내문리, 창동리, 반석리, 독검리 일부, 오동리철원군마방리, 내문리, 오동리, 반석리, 독검리
마장면
(馬場面)
밀암리, 립석리, 왕피리, 장포리, 남원리, 대전리밀암리, 립석리, 신진리, 마장리, 남원리, 대전리
인목면
(寅目面)
검사리, 신현리 일부, 승양리, 갈현리 일부, 덕산리 일부, 도밀리 일부검사리, 송현리, 가승리, 갈현리, 도밀리
신현리 일부, 갈현리 일부, 덕산리 대부분, 도밀리 일부연천군
신서면
신현리, 갈현리, 덕산리, 도밀리
신서면
(新西面)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4. 1. 대한민국 철원군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이다. 4읍 7면(그 중 1읍 7면은 김화군에서 편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어운면, 묘장면, 북면, 인목면, 내문면, 마장면의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다.[13] 광복 당시 면적은 841km2였고, 군청 소재지는 철원읍 사요리였다. (현재 철원군청 소재지는 갈말읍 신철원리) 이북5도위원회에서 임명하는 6개 면이 관할하는 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

리의 수리(里)비고
어운면(於雲面)5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동송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묘장면(畝長面)4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철원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북면(北面)6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내문면(乃文面)6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마장면(馬場面)6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전 지역 미수복
인목면(寅目面)6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 신서면에 편입



1932년~1945년 철원군 지도. 녹색 선은 이후 군사분계선. 파란색으로 표시된 세 지역은 삭녕군에서 편입된 지역


1931년 철원읍 승격 이후, 다음과 같은 읍면이 설치되었다.

  • 철원읍
  • 동송면·갈말면·어운면·북면·내문면·마현면·인목면·무장면·신서면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원군

철원군은 고성군과 마찬가지로 남북으로 분단된 군이다. 김화읍이 대표적인데, 기존 김화읍의 일부가 북한의 강원도(북측) 김화군이 되었다.[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으로, 1읍 36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의 남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과 경기도 연천군에 접해 있다.

1914년의 행정 구역과 현재의 행정 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현재
읍·면
어운동면
(於雲洞面)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철원군강산리, 중강리
북면
(北面)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일부, 홍원리 일부철원군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삼사리
묘장면[12]
(畝長面)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독검리 일부? ,삼사리 일부?
내문면
(乃文面)
마방리, 내문리, 창동리, 반석리, 독검리 일부, 오동리철원군마방리, 내문리, 오동리, 반석리, 독검리
마장면
(馬場面)
밀암리, 립석리, 왕피리, 장포리, 남원리, 대전리밀암리, 립석리, 신진리, 마장리, 남원리, 대전리
인목면
(寅目面)
검사리, 신현리 일부, 승양리, 갈현리 일부, 덕산리 일부, 도밀리 일부검사리, 송현리, 가승리, 갈현리, 도밀리


5. 출신 인물

참조

[1]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wikisource:고종실록 32년 [...] 1895-05-26
[2]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웹사이트 철원군 (鐵原郡)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3-05-30
[4] 웹사이트 철원군 (鐵原郡)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3-05-30
[5] 웹사이트 大韓民国気象庁 http://www.kma.go.kr[...]
[6]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 1895-05-26
[7]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8]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9] 서적 강원도 인민위원회, 강원도재판소, 강원도검(江原道檢) 소재지 변경 결정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46-09-05
[10]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1] 기타 동송면의 구성
[12] 기타 무장면과 묘장초등학교
[13] 웹사이트 이북5도위원회 - 미수복강원도 철원군 조직 http://www.ibuk5d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