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에 속지 마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운에 속지 마라》는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의 저서로, 현대인들이 무작위성을 간과하고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하는 인지 오류를 지적한다. 이 책은 생존 편향, 비대칭 분포 등 무작위성에 대한 다양한 인지 오류를 설명하며, 옵션 거래와 같은 사례를 통해 현실 세계의 불확실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포춘지 선정 '가장 훌륭한 책'에 선정되었으며, 금융 산업에 대한 비판이 정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업인을 소재로 한 책 - 천재들의 실패
저널리스트 로저 로웬스타인이 쓴 "천재들의 실패"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을 포함한 인재들이 운영한 헤지펀드 LTCM의 파산 과정을 통해 금융 시장의 위험 관리 중요성, 관련 인물,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과 평가를 다룬다. - 기업인을 소재로 한 책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는 로버트 기요사키가 쓴 자기 계발서로, 자산과 부채의 차이, 재정 교육, 현금 흐름의 중요성, 돈에 대한 올바른 사고방식 등 부자가 되기 위한 핵심 개념을 제시하며, 비판도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많이 판매되었다. - 과학 책 -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8권으로 이루어진 자연철학 논저로, 물질, 네 가지 원인, 잠재성과 실재성, 무한, 운동, 시간, 공간 등을 중심으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우주를 움직이는 최초의 동자의 존재를 논증하며 서구 과학과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과학 책 - 몽계필담
몽계필담은 북송 시대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신 과가 은퇴 후 저술한 책으로, 천문학, 수학, 지질학, 인쇄술, 나침반, 석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과 사회, 문화,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활판인쇄술과 나침반에 대한 세계 최고(最古)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2001년 책 - 루흐나마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집필한 《루흐나마》는 투르크멘 민족의 역사, 문화, 도덕, 윤리를 다루는 책으로, 교육 과정 필수 교재 지정 및 광범위한 개인 숭배 조장 등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나, 니야조프 사후 교육 과정에서 점차 제외되었다. - 2001년 책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이 집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한국 각 지역의 문화유산의 역사적 배경, 예술적 가치,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담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문학적 지침서로 평가받는 문화유산 답사기이다.
행운에 속지 마라 - [서적]에 관한 문서 | |
---|---|
도서 정보 | |
제목 | 행운에 속지 마라: 삶과 시장에서 우연의 숨겨진 역할 |
원제 | Fooled by Randomness: The Hidden Role of Chance in Life and in the Markets |
저자 | 나심 니컬러스 탈레브 |
언어 | 영어 |
시리즈 | 인세르토 |
장르 | 인류의 지식 통계학 철학 금융 |
출판사 | 랜덤하우스 |
국가 | 미국 |
출판일 | 2001년 |
페이지 수 | 316쪽 |
ISBN | 0-8129-7521-9 |
Dewey 십진분류법 | 123/.3 22 |
의회도서관 주제 표목 | HG4521 .T285 2005 |
OCLC | 60349198 |
이전 작품 | 없음 |
다음 작품 | 블랙 스완 |
![]() |
2. 논지
탈레브는 현대인들이 무작위성의 존재를 간과하고, 무작위적인 결과에 대해 비무작위적인 설명을 부여하려는 경향을 강하게 비판한다. 사람들은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하거나 세상을 실제보다 더 설명 가능한 것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그 밖에도 생존 편향, 비대칭 분포와 같은 무작위성에 대한 인지 오류를 다뤘다. 생존 편향은 성공한 사례만 보고 배우려 하고 실패 사례는 잊는 것을 말한다. 비대칭 분포는 현실의 많은 현상이 동전 던지기처럼 50:50 확률이 아니고, 반직관적인 분포를 가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99:1 확률로 거의 항상 이기지만 한 번 지면 모든 것을 잃는 도박이 있는데, 사람들은 "나는 이 도박에서 50번이나 이겼어."와 같은 말에 쉽게 속을 수 있다. 탈레브는 "옵션 거래자는 닭처럼 쪼아먹고 코끼리처럼 샤워실로 향한다."라고 비유했는데, 이는 옵션 거래자가 꾸준히 작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재앙이 닥치면 전 재산을 잃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2. 1. 인과관계 과대평가
사람들은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무작위로 형성된 구름을 보면서 코끼리나 다른 특정한 형상을 떠올리는 것은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한 결과이다. 사람들은 세상을 실제보다 더 설명 가능한 것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어서,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조차 설명을 찾으려고 한다.2. 2. 설명 가능성 과대평가
사람들은 세상을 실제보다 더 설명 가능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 아무런 의미가 없는 현상에서도 설명을 찾으려고 한다.[1] 또한,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하는데, 예를 들어 구름을 보면서 코끼리처럼 보이는 무작위로 형성된 구름이라고 이해하기보다 구름 속의 코끼리를 보려고 한다.[1]2. 3. 무작위성에 대한 인지 오류
탈레브는 현대인들이 무작위성의 존재를 간과하고, 무작위적인 결과를 비무작위적인 것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인과관계를 과대평가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구름을 보면서 코끼리(또는 다른 무언가)처럼 보이는 무작위로 형성된 구름이라고 이해하는 대신 구름 속의 코끼리를 본다.
- 세상을 실제보다 더 설명가능한 것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조차 설명을 찾는다.
이 외에도 생존 편향, 비대칭 분포와 같은 무작위성에 대한 인지 오류를 다루었다.
2. 3. 1. 생존 편향
탈레브는 현대인들이 무작위성을 간과하고, 무작위적인 결과를 비무작위적인 것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생존 편향은 성공한 사례(승자)만을 보고 배우려 하지만, 수많은 실패 사례(패자)는 잊어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에서는 동전 던지기처럼 50:50 확률이 아닌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99:1 확률로 거의 항상 이기지만 한 번 지면 모든 것을 잃는 도박이 있다. 사람들은 "나는 이 도박에서 50번이나 이겼어."와 같은 말에 쉽게 속을 수 있다. 탈레브는 "옵션 거래자는 닭처럼 쪼아먹고 코끼리처럼 샤워실로 향한다."라고 말한다. 이는 옵션 거래자가 옵션을 판매하여 꾸준히 작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재앙이 닥치면 전 재산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
2. 3. 2. 비대칭 분포
현실 세계의 많은 현상은 50:50 확률의 동전 던지기와 같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벤포드의 법칙처럼 비일반적이고 반직관적인 분포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1] 예를 들어, 99%의 확률로 이기지만 1%의 확률로 모든 것을 잃는 도박은 비대칭 분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 탈레브는 "옵션 거래자는 닭처럼 쪼아먹고 코끼리처럼 샤워실로 향한다."라고 표현했는데,[1] 이는 옵션 거래자는 옵션을 판매하여 꾸준히 작은 수익을 벌 수 있을지 몰라도, 일단 재앙이 닥치면 전 재산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2. 3. 3. 옵션 거래의 위험성
탈레브는 "옵션 거래자는 닭처럼 쪼아 먹고 코끼리처럼 샤워실로 향한다"라고 말한다.[1] 이는 옵션 매도자가 평소에는 옵션을 팔아 꾸준히 작은 수익을 얻는 것처럼 보이지만, 예측 불가능한 위험(검은 백조)이 닥치면 한 번에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이러한 비대칭 분포는 현실 세계에 많이 존재하며, 사람들은 "나는 이 도박에서 50번이나 이겼어"와 같은 말에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다.[1]3. 반응
《행운에 속지 마라》는 출간 이후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포춘은 이 책을 '역대 가장 훌륭한 책 75권' 중 하나로 선정했고,[7] USA 투데이는 책에서 제기된 금융 산업에 대한 비판이 정당하다고 평가했다.[8] 포브스는 이 책이 재미있고, 저자가 스스로를 내세우지 않으며 동시에 참을 수 없을 만큼 무례하지만 언제나 깊은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고 평가했다.[9] 더 뉴요커는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가톨릭 교회에 미친 영향처럼, 이 책이 월스트리트에 지혜를 가져다주었다고 평가했다.[11] 월스트리트 저널은 2008년 10월 유니버사 인베스트먼트(Universa Investment) 구매에 대해 "검은 백조를 얻었다"고 했는데, 이는 책에서 언급된 검은 백조를 암시한다.[10]
3. 1. 긍정적 평가
포춘지는 이 책을 '역대 가장 훌륭한 책 75권' 중 하나로 선정했다.[7] USA 투데이는 책에서 제기된 금융 산업에 대한 비판이 정당하다고 평가했다.[8] 포브스는 이 책이 재미있고, 저자가 스스로를 내세우지 않으며 동시에 참을 수 없을 만큼 무례하지만 언제나 깊은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고 평가했다.[9] 더 뉴요커는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가톨릭 교회에 미친 영향처럼, 이 책이 월스트리트에 지혜를 가져다주었다고 평가했다.[11]3. 2. 중립적 평가
포브스는 이 책이 재미있고, 자학적이며, 때로는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오만하지만, 항상 생각을 자극한다고 평가했다.[9]4. 판본
- 2001년, TEXERE에서 초판을 출간했다.
- 2004년, TEXERE에서 2판을 출간했다.
- 2005년, 랜덤하우스에서 소프트백판을 출간했다.
- 2005년, 수정 내용이 포함된 프랑스어판이 출간되었다.
- 이 책은 20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12] 5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 이후 펭귄 (소프트백, 2007년 5월), 랜덤하우스 (하드백, 2008년 10월)에서 개정판이 출시되었다.
5. 참고 문서
- 인지 편향의 목록
- 루딕 오류
- 파레이돌리아 – 무작위성에서 패턴을 인지하는 심리학적 현상
참조
[1]
웹사이트
The Smartest Books We Know
https://money.cnn.co[...]
Fortune
2005-03-21
[2]
뉴스
Does big data have us 'fooled by randomness'?
https://www.usatoday[...]
2013-08-28
[3]
뉴스
Nassim Taleb's 'Antifragile' Celebrates Randomness In People, Markets
https://www.forbes.c[...]
2013-08-28
[4]
뉴스
Book review : Fooled by randomness
https://www.newyorke[...]
2020-08-24
[5]
문서
fooled by randomness
http://www.fooledbyr[...]
[6]
간행물
Incerto
http://www.penguinra[...]
[7]
웹인용
The Smartest Books We Know
http://money.cnn.com[...]
Fortune
2005-03-21
[8]
뉴스
Does big data have us 'fooled by randomness'?
https://www.usatoday[...]
2013-08-28
[9]
뉴스
Nassim Taleb's 'Antifragile' Celebrates Randomness In People, Markets
https://www.forbes.c[...]
2013-08-28
[10]
뉴스
October Pain was Black Swan Gain
http://www.fooledbyr[...]
2013-08-28
[11]
뉴스
Book review : Fooled by randomness
https://www.amazon.c[...]
2013-08-28
[12]
문서
fooled by randomness
http://www.fooledby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