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향기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기풀은 유럽과 시베리아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목초로 재배되기도 한다. 환북극 온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지에도 외래종으로 분포한다. 높이는 20~50cm이며, 잎은 3~6mm 너비로 편평하고, 5~7월에 꽃이 핀다. 건조 시 쿠마린과 벤조산 성분으로 인해 바닐라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씨앗을 뿌려 재배하며, 산성 토양에서 잘 자란다. 일본에서는 목초로 도입되었으나 생산성이 낮고 다른 목초의 생육을 저해하여 잡초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풀아족 - 향모속
    향모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산향모와 향모를 포함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여러 하위 종 및 주요 종, 기타 종으로 분류된다.
  • 갈풀아족 - 갈풀속
    갈풀속은 벼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전 세계 습지나 물가에 분포하며 종자 및 영양 번식을 하고, 사료나 드라이플라워 등으로 활용되지만, 일부 종은 가축 중독이나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향기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nthoxanthum odoratum
Anthoxanthum odoratum
분류
식물계
문계급 없음속씨식물
강계급 없음외떡잎식물
아강계급 없음닭의장풀군
이네목
이네과
하르가야속
하르가야
학명Anthoxanthum odoratum L.
학명이명Xanthonanthos odoratum (L.) St.-Lag.
일반 정보
영어 이름Sweet vernal grass

2. 분포

유럽시베리아가 원산으로 목초로 많이 심는다. ''향기풀''은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널리 도입되어 귀화되었으며 현재 분포는 환북극 온대 지역에 걸쳐 있다.[6] 영국에서는 10km² 수준에서 어디에나 존재한다.[6]

유럽이 원산지이다.[7] 하지만,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외래종으로 이입 분포한다.[7]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초기홋카이도[7] 목초로서 도입되었으며[8], 그 후 홋카이도 뿐만 아니라 일본 각지로 확대되었다.[7]

3. 특징

향기풀은 짧은 수명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건조되었을 때 특히 강한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향기는 쿠마린, 배당체, 벤조산 성분 때문이며, 신선한 건초에서 바닐라 향이 살짝 나는 듯한 냄새가 난다.[3]

향기풀은 광산 오염 지역에서 준동소적 종분화를 겪고 있다.[4][5]

3. 1. 형태

향기풀은 높이가 20-50cm이고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향기가 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은 나비 3-6mm이고 편평하며 잎혀는 길이 2-4mm이다. 꽃은 5-7월에 피고 꽃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4-7cm이다. 가지는 거칠고 흔히 털이 있으며, 작은이삭은 1개의 꽃으로 되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고 끝이 가락같이 뾰족하며 1-3맥이 있다. 또한 중륵 윗부분에 잔돌기와 더불어 털이 있다. 퇴화한 작은 꽃의 호영은 까락이 있고 겉에 갈색 털이 붙어 있다.[2]

향기풀은 높이 70cm까지 자라는 뭉치를 이룬다. 잎은 짧고 넓으며, 폭 3mm에서 5mm이고,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 털이 있다.[2] 늦봄과 초여름, 즉 계절 초기에 꽃이 피며, 꽃 이삭은 4cm에서 6cm 길이이고, 6mm에서 10mm의 빽빽한 작은 이삭은 타원형이며, 어릴 때는 상당히 어두울 수 있다. 하위 소영화는 돌출된 까끄라기를 가지고 있다. 엽설은 길이가 5mm까지 되고, 둔하며, 측면에 털이 달린 가장자리가 있다.

건조되었을 때 향기가 특히 강하며, 이는 쿠마린, 배당체, 벤조산에 기인한다. 신선한 건초바닐라 향이 살짝 나는 냄새가 나며, 씨앗 머리는 밝은 노란색이다.[3] 줄기의 길이는 25cm에서 40cm이며, 폭 3mm에서 5mm 정도의 짧은 잎이 달려 있다. 초여름에는 6mm에서 10mm의 작은 이삭으로 덮인 4cm에서 6cm의 꽃이 핀다.

3. 2. 생태

'''향기풀'''은 짧은 수명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70cm까지 자라는 뭉치를 이룬다. 잎은 짧고 넓으며, 폭은 3mm에서 5mm이고,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 털이 있다.[2] 늦봄과 초여름, 즉 계절 초기에 꽃이 피며, 꽃 이삭은 4cm에서 6cm 길이이고, 빽빽한 작은 이삭(6mm~10mm)은 타원형이며, 어릴 때는 상당히 어두울 수 있다. 하위 소영화는 돌출된 까끄라기를 가지고 있다. 엽설은 길이가 5mm까지 되고, 둔하며, 측면에 털이 달린 가장자리가 있다.

건조되었을 때 향기가 특히 강하며, 이는 쿠마린, 배당체, 벤조산에 기인한다. 신선한 건초바닐라 향이 살짝 나는 냄새가 난다. 씨앗 머리는 밝은 노란색이다.[3]

'''향기풀'''은 광산 오염 지역에서 준동소적 종분화를 겪고 있다.[4][5] '''향기풀'''은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널리 도입되어 귀화되었으며 현재 분포는 환북극 온대 지역에 걸쳐 있다.[6] 영국에서는 10km² 수준에서 어디에나 존재한다.[6] 봄부터 가을에 걸쳐 경작된 토지에 씨앗을 뿌리면 4~5일 만에 발아한다. 산성 사질 토양을 선호한다. 상업용 목초로서는 생산성이 낮지만, 다른 목초가 자라기 어려운 산성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일본에는 목초로 도입되었지만, 목초로서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목초로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그런데 향기풀에 함유된 쿠마린에는 알레로파시 작용이 있다. 목초지에 향기풀이 침입하면 향기풀의 알레로파시 작용으로 인해 다른 목초의 발아와 생육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오히려 일본의 목초지에서는 잡초로 인식되고 있다.

4. 재배

봄부터 가을까지 경작된 토지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며, 4~5일 만에 발아한다. 사질양토와 산성 조건(낮은 pH)을 선호한다. 농업용 목초로서 수확량은 낮지만, 다른 목초가 자라기에는 너무 산성인 토지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4. 1. 한국에서의 이용 및 문제점

향기풀은 대한민국에서는 목초로 사용되지 않으며, 일본에서 목초로 도입되었으나 생산성이 낮아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향기풀에 함유된 쿠마린은 알레로파시 작용을 일으켜 다른 목초의 발아와 생육을 저해한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목초지에 침입한 향기풀을 잡초로 인식하고 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Anthoxanthum odoratum https://www.brc.ac.u[...] 2021-04-02
[2] 서적 Grasses of the British Isles, BSBI Handbook N0. 13 Botanical Society of the British Isles (now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09
[3] 웹사이트 BSBI Description http://www.bsbi.org.[...] 2010-12-10
[4] 웹사이트 Parapatric speciation http://evolution.b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7-04-03
[5] 간행물 Evolution in closely adjacent plant populations X: long-term persistence of prereproductive isolation at a mine boundary
[6] 웹사이트 Anthoxanthum odoratum https://www.brc.ac.u[...] Biological Records Centre and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21-10-09
[7] 웹사이트 ハルガヤ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18-02-18
[8] 웹사이트 我が国の生態系等に被害を及ぼすおそれのある外来種リスト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12-01
[9] 웹사이트 草地雑草『ハルガヤ』の低減対策 https://www.hro.or.j[...]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