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도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도네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사용된 용어로, '쾌락'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도네를 고통과 함께 감정의 두 요소 중 하나로 보았으며, 덕 있는 삶의 결과로서의 쾌락은 좋은 것이라고 여겼다. 반면, 에피쿠로스 학파는 헤도네를 덕스러운 행위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쾌락으로, 테르프시스는 항상 덕스러운 쾌락으로 구분했다. 스토아 학파는 헤도네가 자연과 이성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헤도네 | |
---|---|
기본 정보 | |
그리스어 | ἡδονή |
로마자 표기 | hēdonḗ |
의미 | 쾌락 |
일본어 | ヘドネー |
관련 철학 | 쾌락주의 |
2. 아리스토텔레스의 헤도네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도네(ἡδονή)를 고통(lype)과 함께 파토스(pathe)의 두 요소 중 하나로 보았다.[3] 그는 파토스를 "사람들이 마음을 바꾸고 판단에 있어서 달라지며, 고통과 즐거움이 따르는 모든 감정"이라고 묘사했다.[4]
2. 1. 헤도네와 덕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도네(쾌락)가 사람의 성격을 드러내며, 미덕의 삶에서 비롯되는 쾌락은 좋은 것이라고 보았다.[5] 이는 헤도네를 "절대적으로 좋은 것"이라고 주장한 아리스티푸스와는 대조적이다.[6]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적절한 즐거움'(오이케이아 헤도네)을 회복의 과정으로 보았다.[7] 마르틴 하이데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헤도네를 해석하여, 즐거움은 영혼의 움직임이며 평온함이 거기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8]2. 2. 오이케이아 헤도네 (oikeia hēdonē)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적절한 즐거움, 즉 '오이케이아 헤도네(οἰκεία ἡδονή|오이케이아 헤도네grc)'를 언급하며, 이를 회복의 과정으로 보았다.[7]2. 3. 마르틴 하이데거의 해석
마르틴 하이데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헤도네를 영혼의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이로부터 평온함이 비롯된다고 보았다.[8]3. 에피쿠로스 학파의 헤도네
에피쿠로스 학파에서 헤도네는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다.
3. 1. 헤도네와 테르프시스(terpsis)
에피쿠로스 학파 철학에서 ''헤도네''는 덕스러운 행위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쾌락으로 묘사되는 반면, 또 다른 형태의 쾌락인 ''테르프시스''는 항상 덕스럽다.[9] 또 다른 에피쿠로스 학파의 해석에 따르면, ''헤도네''는 ''테르프시스''와 구분하여 일시적이며 유익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쾌락의 감정으로 언급되었다.[10]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에 따르면, 에피쿠로스는 ''헤도네''를 단지 육체적 쾌락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11]3. 2. 헤도네에 대한 다양한 해석
일부 에피쿠로스 학파 학자들은 ''헤도네''를 일시적이며 유익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쾌락으로 보았다.[10]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에서는 에피쿠로스가 ''헤도네''를 육체적 쾌락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고 설명한다.[11]4. 스토아 학파의 헤도네
스토아 학파는 '헤도네'를 부정적으로 보았다.[6] 이들은 헤도네가 자연과 이성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았으며, 감정이 과도하거나 자연적인 이성의 척도를 넘어서는 충동으로, 비합리성과 다른 악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했다.[12]
4. 1. 헤도네와 자연/이성
스토아 학파는 ''헤도네''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헤도네가 자연과 이성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6] 이는 감정이 본질적으로 과도하거나 자연적인 이성의 척도를 초과하는 과도한 충동이며, 다른 형태의 과도함과 마찬가지로 비합리성의 다른 악으로 이어진다는 철학적 입장에서 이해될 수 있다.[12]4. 2. 헤도네와 과도함
스토아 학파는 ''헤도네''를 자연과 이성에 어긋나는 과도한 충동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은 감정이 본질적으로 과도하거나 자연적인 이성의 척도를 넘어서는 것이며, 비합리성과 다른 악으로 이어진다는 철학적 입장과 연결된다.[6][12]5.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헤도네
현대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겪으면서 쾌락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Eros: from Hesiod's Theogony to late antiquity
Museum of Cycladic Art
[2]
웹사이트
Hedone
http://www.theoi.com[...]
2015-07-06
[3]
서적
The Virtuous Life in Greek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Ancient Anger: Perspectives from Homer to Gal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Heidegger and the Greeks: Interpretive Essay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6]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Abridged in One Volum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7]
서적
Tragic Pathos: Pity and Fear in Greek Philosophy and Trage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8]
서적
Interpreting Heidegger: Critical Ess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9]
서적
Epicurus and Democritean ethics : an archaeology of atarax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15-07-06
[10]
서적
Epicurus and Democritean Ethics: An Archaeology of Atarax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Epicurus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14 Edition)
2015-07-06
[12]
서적
Stoic Warriors: The Ancient Philosophy behind the Military Min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