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헨리 베서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베서머는 영국의 발명가로, 베세머 제강법을 개발하여 강철의 대량 생산 시대를 열었다. 그는 1813년 찰턴에서 태어나 금속 가공 기술을 익혔으며, 청동 분말 생산 공정 개발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베세머는 1850년부터 강철 제조법을 연구하여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베세머 제강법을 개발, 1856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철도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초기에는 품질 문제와 다른 발명가들의 기여를 완전히 인정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특허를 취득했으며, 1879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공학자 - 앨런 튜링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니그마 암호 해독에 기여하고 컴퓨터 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동성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잉글랜드의 공학자 - 리처드 트레비식
    리처드 트레비식은 고압 증기 기관 개발 및 철도 기관차 적용에 선구적인 역할을 한 영국의 발명가이자 광산 기사로, 최초의 증기 자동차 퍼핑 데빌과 세계 최초의 철도 기관차 페니다렌 호를 개발했으며 템스 터널 공사, 코니시 보일러 개발, 남미 광산 기술 컨설턴트 등 다양한 기술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금속공학자 - 혼다 고타로
    혼다 고타로는 KS강과 신KS강 개발로 일본 산업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재료과학자로, 도쿄대와 도호쿠대 교수 및 도호쿠대 총장을 역임했으며 혼다식 열저울 발명, 노벨 물리학상 후보 지명, 문화훈장 수훈, 일본 10대 발명가 선정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금속공학자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 야금학자, 인문주의자로, 광산 및 야금술에 관한 저서 『데 레 메탈리카』를 통해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광산학 발전에 기여하고 지질학과 광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위그노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위그노 - 드니 파팽
    드니 파팽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수학자, 발명가로서 압력솥의 원형인 증기 솥을 발명하고 증기 기관 개발에 기여했으며 안전밸브 발명, 공기압 동력 전달 장치와 외륜선 고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헨리 베서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서머 (1890년대)
본명헨리 베서머
출생1813년 1월 19일
출생지잉글랜드, 하트퍼드셔 주, 찰턴
사망1898년 3월 15일 (85세)
사망지잉글랜드, 런던
직업기술자, 발명가
알려진 업적강철 제조를 위한 베서머 공정 개발
수상
수상 내역앨버트 메달 (1872년)

2. 생애

헨리 베서머의 아버지 앤서니는 위그노 가정 출신으로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21세 무렵 파리로 이주했다.[5] 프랑스 혁명으로 파리를 떠나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금 목걸이 제작 공정을 발명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허트퍼드셔주 히친 근처 찰턴 마을에 작은 영지를 샀다.[6][7] 베서머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를 펀치커터로 고용했던 그의 대부 헨리 캐슬론이 그의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8]

헨리 베서머는 1813년 1월 19일 찰턴에서 태어났다. 학교를 졸업한 후 아버지의 공장에서 야금에 대해 배우며 일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헨리 베서머의 아버지 앤서니는 위그노 가정 출신으로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21세 무렵 파리로 이주했다.[5] 그는 파리 조폐국에서 근무하면서 대형 모델에서 강철 다이를 생산할 수 있는 메달 제작 기계를 발명했다. 26세에 광학 현미경 개량으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으로 파리를 떠나 영국으로 돌아왔으며, 영국에서 금 목걸이 제작 공정을 발명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헨리가 태어난 허트퍼드셔주 히친 근처 찰턴 마을에 작은 영지를 샀다.[6][7]

헨리 베서머는 1813년 1월 19일 찰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런던의 인쇄소에 금속 활자를 납품하는 금속 가공 공장을 경영하고 있었고, 헨리는 학교를 졸업한 후 그 공장에서 야금에 대해 배우며 일했다.

2. 2. 초기 발명

베서머는 금색 페인트 제조에 사용되는 청동 분말 생산 공정을 개발하여 첫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뉘른베르크산 청동 분말을 역설계하여 더 효율적인 생산 방식을 고안했다. 이 공정은 비밀로 유지되었으며, 그의 직계 가족만이 공장에 접근할 수 있었다.[9]

뉘른베르크 분말은 수작업으로 제조되어 런던에서 파운드당 5.6GBP에 소매되었지만, 베서머는 생산 비용을 반 크라운(2실링 6펜스, 0.125GBP) 즉, 약 1/40로 낮추었다.[9] 그는 이 페인트 판매 수익으로 다른 발명품을 추구할 수 있었다.

1848년, 베서머는 판유리의 연속 리본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특허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21]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용광로 설계 경험을 얻었고, 이는 훗날 베서머 제강법 개발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3. 베세머 제강법

베서머 전로


2010년 영국 셰필드의 켈햄 아일랜드 박물관에 있는 베서머 전로


헨리 베서머는 1850년부터 1855년까지 군수품 생산을 위한 저렴한 강철 제조 방법을 연구했으며, 그 결과 자신의 방법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10] 1856년 8월 24일, 베서머는 영국 과학진흥협회 회의에서 "연료 없이 연성철과 강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은 ''타임스''에 전문이 게재되었다. 베세머 제강법은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소를 사용하여 불순물을 태워 강철을 만드는 방법이다.[23]

제임스 네이스미스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연구해 왔으나, 특허를 꺼렸고 당시 자신의 방법에 몇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이었다. 베서머의 발표를 듣고 프로젝트를 포기했다. 베서머는 네이스미스의 노력을 인정하여 특허 가치의 3분의 1을 제공했지만, 은퇴를 앞둔 네이스미스는 이를 거절했다.[23]

주철과 연철에만 의존해 온 많은 산업은 강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철도 구조물은 주철의 위험성 때문에 많은 기술자와 설계자에게 심각한 문제였다. 1847년 5월의 디 다리 붕괴 사고, 1860년의 우튼 다리 붕괴 사고, 불 다리 사고와 같이 주철 보가 갑자기 무너지는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 1879년 테이 다리 붕괴 사고에서도 문제가 반복되었고, 모든 주철 아치교가 강철 구조물로 교체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연철 구조물은 훨씬 더 안정적이어서 고장이 거의 없었다.

베서머 제강법은 더 이상 상업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발명 당시에는 강철 생산 비용을 낮추어 주철과 연철을 대체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베서머는 대포 제작을 개선하려는 과정에서 강철 제조 문제에 주목하게 되었다.[13]

3. 1. 개발 배경

19세기 중반, 강철은 가격이 비싸고 생산량이 적어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산업 현장에서는 주로 주철과 연철이 사용되었는데, 주철은 부서지기 쉽고 연철은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철도 산업에서는 주철 레일의 파손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안전 문제가 심각했다. 디 다리 붕괴 사고(1847년 5월), 우튼 다리 붕괴 사고(1860년), 불 다리 사고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문제는 1879년 테이 다리 붕괴 사고에서도 반복되었고, 모든 주철 아치교가 강철 구조물로 교체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연철 구조물은 고장이 거의 없어 훨씬 더 안정적이었다.[13]

헨리 베서머는 군수품 생산에 필요한 강철 제조 비용을 낮추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1850년부터 1855년까지 연구를 통해 자신의 방법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22] 베서머는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베세머 제강법이라는 새로운 강철 제조법을 개발했다.[23] 1856년 8월 24일, 베서머는 영국 과학진흥협회 회의에서 "연료 없이 연성철과 강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은 ''타임스''에 전문이 게재되었다.[23]

3. 2. 베세머 공정



헨리 베세머는 1850년부터 1855년까지 군수품 생산에 필요한 저렴한 강철 제조 방법을 연구하여, 1855년에 자신의 제강법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10] 이 방법은 베세머 전로라고 불리는 특수한 용광로에 녹아있는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소를 이용해 불순물을 태워 강철을 만드는 방식이다.[23]

주철과 연철에만 의존하던 많은 산업 분야는 강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철도 구조물은 주철의 취약성 때문에 많은 기술자와 설계자에게 큰 문제였다. 1847년 디 다리 붕괴 사고, 1860년 우튼 다리 붕괴 사고 등 주철 보가 갑자기 무너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1879년 테이 다리 붕괴 사고에서도 반복되었고, 모든 주철 아치교가 강철 구조물로 교체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반면 연철 구조물은 훨씬 안정적이었고 고장이 거의 없었다.

베세머 제강법은 더 이상 상업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발명 당시에는 강철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어 주철과 연철을 대체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13]

베세머는 자신의 제강법에 대한 특허를 5명의 제철소 소유주들에게 허가했지만, 초기에는 고품질 강철을 생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4] 스웨덴의 제철소 소유주인 괴란 프레드리크 괴란손은 스웨덴의 순수한 목탄 선철을 사용하여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처음으로 이 공정으로 고품질 강철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로버트 포레스터 머싯은 딘 숲의 다크힐 제철소에서 수천 번의 실험을 통해, 철에서 거의 모든 탄소를 제거한 다음 탄소와 망간을 스피겔아이젠 형태로 정확한 양을 첨가함으로써 탄소의 양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완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단성을 높였다.[11][12]

베세머는 제조업체들에게 개선된 시스템을 채택하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거절당하고 결국 스스로 셰필드에 제철소를 세우고 강철 제조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생산량이 적었지만, 점차 사업 규모가 커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고, 일반적인 강철 거래업자들은 헨리 베세머 & 코(Henry Bessemer & Co.)가 톤당 10~15 영국 파운드화로 가격을 낮추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가격 경쟁은 빠르게 효과를 발휘했고, 특허권 사용 허가 신청이 쇄도하여 베세머는 자신의 공정 사용에 대한 로열티로 100만파운드을 훨씬 넘는 금액을 받았다.[13]

3. 3. 상용화와 논란

베세머는 자신의 제강법을 상용화하기 위해 여러 제철소에 라이선스를 제공했으나, 초기에는 품질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13] 괴란 프레드리크 괴란손은 순수한 목탄 용광로에서 생산된 주철을 사용하여 고품질 강철 생산에 성공했고, 이는 베세머가 더 순수한 철을 사용하도록 자극했다.[13] 그러나 베세머는 탄소의 양을 제어하기 어려워 제한적인 성공만을 거두었다.[13]

로버트 포레스터 머싯은 딘 숲의 다크힐 제철소에서 수천 번의 실험을 통해 철에서 거의 모든 탄소를 제거한 다음 탄소와 망간을 스피겔아이젠 형태로 정확한 양을 첨가하면 완제품의 품질과 가단성이 향상됨을 발견했다.[11][12]

베세머는 제조업체들에게 개선된 시스템을 채택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스스로 제철소를 세워 강철 제조를 시작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베세머의 회사는 톤당 10~15파운드의 가격으로 강철을 판매했고, 이는 특허권 사용 허가 신청 쇄도로 이어져 베세머는 100만 파운드가 넘는 로열티를 받았다.[13]

그러나 머싯은 아무것도 받지 못했고, 1866년 그의 딸 메리는 런던으로 가서 베세머를 만나 그의 성공이 아버지의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었다고 주장했다. 베세머는 머싯에게 연금 300파운드를 지급하기로 결정했고, 20년 이상 지급했다.

베세머의 제강법 특허는 여러 형태로 무효 소송이 제기되었지만, 베세머는 소송으로 비화시키지 않고 처리했다. 머싯의 특허 건만이 남았으나, 베세머는 머싯의 제법이 근본적인 것이 아니며 자신의 제법만으로도 강철 샘플을 제조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세머의 제강법을 사용할 때 머싯의 제법도 채용되는 것이 현실이었고, 머싯의 특허 성립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베세머는 머싯에게 매년 300파운드를 25년간 지급했다.[25][27]

4. 베세머 제강법의 영향

베서머 제강법은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주철을 대체할 수 있는 다량의 강철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여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56년 8월 24일 체르트넘에서 열린 영국 과학 협회 회합에서 베서머는 "The Manufacture of Iron Without Fuel"(연료가 필요 없는 강철 제조법)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제강법을 발표했고, 이 발표 전문은 타임스지에 게재되었다.[23] 베세머 제강법은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속의 산소 작용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다.[22]

당시 많은 산업 분야는 강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주철과 연철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철도, 철교, 선로 등은 주철의 불안정한 성질 때문에 많은 기술자와 설계자들이 골머리를 앓았다. 1847년 디이교 사고, 1860년 불교 사고, 1861년 우튼교 붕괴 등 주철제 교각이 갑자기 무너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1879년 테이교 붕괴라는 대형 참사도 발생했으며, 모든 주철제 철교가 강철제로 교체될 때까지 이와 같은 사고는 계속되었다. 반면 연철제 구조물은 주철보다 신뢰성이 높아 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4. 1. 산업 발전 기여

베서머는 1856년 8월 24일 체르트넘에서 열린 영국 과학 협회 회합에서 "The Manufacture of Iron Without Fuel"(연료가 필요 없는 강철 제조법)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제강법을 발표했다. 이 발표 전문은 타임스지에도 게재되었다.[23] 베세머 제강법은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속의 산소 작용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다.[22]

당시 많은 산업 분야는 강철 부족으로 인해 제약을 받고 있었고, 주철과 연철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철도의 철교와 선로는 주철의 불안정한 성질 때문에 많은 기술자와 설계자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1847년 5월 디이교 사고, 1860년 불교 사고, 1861년 우튼교 붕괴 등 주철제 교각이 갑자기 무너져 발생한 사고가 많았다. 1879년 테이교 붕괴라는 비극적인 사고도 발생했으며, 모든 주철제 철교가 강철제로 교체될 때까지 이와 유사한 사고는 계속되었다. 반면 연철제 구조물은 주철보다 신뢰성이 높아 사고가 거의 없었다.

베서머 제강법은 비록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주철을 대체할 수 있는 다량의 강철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 2. 제철 기술 발전



베서머는 1850년부터 1855년까지 저렴하게 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특허를 취득했다.[22] 1856년 8월 24일, 베서머는 체르트넘에서 열린 영국 과학 협회 모임에서 "The Manufacture of Iron Without Fuel"(연료가 필요 없는 강철 제조법)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 내용은 타임스지에도 전문이 게재되었다. 베세머 제강법은 용융된 선철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속의 산소 작용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강철을 제조하는 방식이다.[23]

당시 많은 산업 분야에서는 강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주철과 연철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철도, 철교, 선로 등에서 주철의 불안정한 성질 때문에 많은 기술자와 설계자들이 골머리를 앓았다. 1847년 5월 디이교 사고를 시작으로, 1860년 불교 사고, 1861년 우튼교 붕괴 등 주철제 교각이 갑자기 무너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1879년에는 테이교 붕괴라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고, 모든 주철제 철교가 강철제로 교체될 때까지 이와 같은 사고는 계속되었다. 연철제 구조물은 주철보다 신뢰성이 높아 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베세머 제강법은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주철을 대체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강철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서머는 원래 총 제조 방법을 개선하려던 중 제강업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5. 기타 발명 및 업적

베서머는 제강법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발명 활동을 펼쳤다. 1838년부터 1883년까지 129개가 넘는 특허를 획득했는데, 여기에는 군사 무기, 엠보싱 우표를 위한 이동식 금형,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추출하는 스크류 압출기, 그리고 철, 강철, 유리 분야의 발명품들이 포함된다.[15]

초기 발명 중 하나는 황동 분말을 사용하여 금색 도료를 만드는 것이었다. 6대의 증기 기관을 이용해 황동을 미세한 분말로 만들고, 이를 도료에 섞어 금색을 냈다. 당시 금색 도료는 뉘른베르크산이 유일했는데, 베서머는 이를 입수하여 연구, 복제 및 개량하여 저렴한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 그는 제조법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각 직원에게 담당 부분만 알려주는 방식을 택했다. 이러한 비밀 유지는 특허의 대체 수단으로 오랫동안 사용된 방법이다. 베서머는 독일산 황동 분말 가격의 약 40분의 1 수준으로 금색 도료를 판매하여 큰 이익을 얻었고, 이 수익으로 다른 발명을 계속할 수 있었다.[21]

1848년에는 창유리용 판유리를 띠 모양으로 제조하는 특허를 냈지만,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얻은 용광로 설계 경험은 훗날 강철 제조법 발명에 큰 도움이 되었다.

1868년, 베서머는 심한 뱃멀미를 겪은 후 뱃멀미 방지 증기선 'SS ''베서머'''를 설계했다. 이 배는 짐벌 위에 객실을 설치하여, 거친 바다에서도 객실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조타수가 수평계를 보면서 유압 시스템으로 객실을 조절하는 방식이었다. 베서머는 런던 덴마크 힐의 자택 정원에 모형과 시험용 선박을 설치했지만, 첫 항해에서 칼레 부두의 일부를 파괴하는 사고를 일으켜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고 폐선되었다.[15][28]

1857년에는 역회전 롤러를 사용한 금속 주조법 특허를 획득했는데, 이는 오늘날 연속 주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6. 평가 및 유산

헨리 베서머는 1879년 6월 26일 기사 작위를 받았고[29], 같은 해 왕립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30] 1872년에는 알버트 메달을 수상했다.

셰필드 켈럼 아일랜드 산업 유산 박물관에는 초기 베서머 전로가 전시되어 있다. 그의 출생지인 찰턴 근처의 히친과 셰필드 근교의 로더럼에는 베서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6. 1. 긍정적 평가

헨리 베서머는 과학에 대한 공헌으로 1879년 6월 26일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29][30] 1891년에는 스코틀랜드 공학자 및 조선자 협회 명예 회원으로 임명되었고,[16] 1894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국제 회원,[17] 1895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외국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8]

셰필드의 켈럼 아일랜드 산업 유산 박물관에는 베서머 전로의 초기 모델이 전시되어 있다. 그의 출생지인 찰턴 근처의 히친과 셰필드 근교의 로더럼에는 베서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1995년 히친 마을에 새로 조성된 도로는 베서머 클로즈(Bessemer Close)로 명명되었고, 로더햄의 베서머 웨이(Bessemer Way)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9년 셰필드 시내의 "더 파운틴(The Fountain)"이라는 선술집은 강철 도시(Steel City)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헨리 베서머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더 베서머(The Bessemer)"로 이름이 바뀌었다. 컴브리아주 워킹턴의 지역 위더스푼스 펍(Wetherspoons pub)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2년 설립된 재료, 광물 및 광업 연구소(IOM3)는 베서머가 1871년부터 1873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던 철강 연구소를 포함한 여러 기관이 합병하여 만들어졌다. 철강 연구소는 베서머 재임 기간 동안 베서머 금메달(Bessemer Gold Medal)을 제정했으며, IOM3는 현재까지도 매년 철강 산업에 대한 뛰어난 공로를 기리는 메달을 수여하며 베서머의 유산을 기리고 있다.

베서머 공정이 많이 사용된 미국에서는 8개의 도시 또는 마을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사실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베서머가 영국 정부로부터 더 높은 인정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해 영국 기술자들이 아쉬움을 표현하는 이유 중 하나였다.[19]

7. 서훈

헨리 베서머는 1879년 6월 26일 과학에 대한 공헌으로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31], 같은 해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Sir Henry Bessemer Inventor & Engineer http://www.lucidcafe[...] 2015-07-01
[2] 서적 Chemistry of New Materials Facts on File
[3] 뉴스 Sheffield https://www.britanni[...] 2019-02-25
[4] 뉴스 Made in Great Britain, Series 1, Steel https://www.bbc.co.u[...] 2019-03-28
[5] 저널 A. Bessemer's Specimen of Printing Types, 1830
[6] 뉴스 Charlton House in England, Hitchin https://web.archive.[...]
[7] 서적 The Chartered Mechanical Engine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Volume 12 https://books.google[...] 2018-10-08
[8] 저널 Sir Henry Bessemer's Connection with Printing https://books.google[...] 2019-02-11
[9] 잡지 Famous Inventors – Sir Henry Bessemer 1942-04
[10] 웹사이트 Kelly Pneumatic Iron Process https://www.acs.org/[...] 2024-01-20
[11] DNB
[12] 웹사이트 Coleford, Towns in the Forest Of Dean ForestWeb (fweb) – Virtual guide to the Royal Forest Of Dean http://www.fweb.org.[...] 2015-07-01
[13] EB1911
[14] 뉴스 Bessemer in Greenwich https://greenwichind[...] 2009-08-08
[15] 웹사이트 The Bessemer Saloon Steam-Ship http://www.history.r[...]
[16] 웹사이트 IESIS Institution of Engineers and Shipbuilders in Scotland http://www.iesis.org[...] 2015-07-01
[1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4-03-28
[18]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6-24
[19] NIE
[20] 웹사이트 Sir Henry Bessemer Inventor & Engineer http://www.lucidcafe[...]
[21] 잡지 Famous Inventors - Sir Henry Bessemer 1942-04
[2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allurgy of Iron and Steel John Wiley & Son Inc.
[2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allurgy of Iron and Steel John Wiley & Son Inc.
[24] 문서 autobiography
[25] 웹사이트 Robert Mushet http://www.fweb.org.[...]
[26] 서적 Man of Iron-Man of Steel
[27] 웹사이트 MANGANESE IN STEEL MAKING http://www.history.r[...]
[28] 웹사이트 The Bessemer Saloon Steam-Ship http://www.history.r[...]
[29] LondonGazette 1879-07-01
[30] FRS Bessemer; Sir; Henry (1813 - 1898)
[31] 저널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2016-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