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철은 탄소 함량이 낮고 슬래그를 포함하는 철의 일종이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 청동을 대체하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농기구, 무기, 건축 구조물, 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다. 19세기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으나, 1855년 베세머법 개발로 강철이 대량 생산되면서 쇠퇴했다. 현재는 문화재 복원, 장식품 제작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에펠탑과 같은 건축물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 합금 - 인바
인바는 약 36%의 니켈을 함유하여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철-니켈 합금으로, 정밀 기기, 항공우주 부품 등 치수 안정성이 중요한 분야에 활용되며, 기욤의 연구로 특성이 밝혀져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열팽창 계수 조절을 통해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 철 합금 - 네오디뮴 자석
네오디뮴 자석은 Nd₂Fe₁₄B 화합물 기반의 가장 강력한 영구 자석으로,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지만 열과 부식에 약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희토류 의존도 및 안전성 문제가 남아있다. - 합금 -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금속 합금으로, 의료,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니켈-티타늄 합금이 대표적이다. - 합금 - 액체 금속
액체 금속은 상온 또는 고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뛰어난 열 및 전기 전도성, 높은 표면 장력, 자기장 민감성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독성 및 반응성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다.
연철 | |
---|---|
개요 | |
![]() | |
![]() | |
![]() | |
![]() | |
종류 | 철 합금 |
탄소 함량 | 매우 낮은 탄소 함량 |
성질 | |
특징 | 단조 성형 용이 내식성 우수 |
탄소 함량 | 0.1% 미만 |
규소 함량 | 0.2% 미만 |
역사 | |
제조법 | 제련된 철을 두들겨 불순물 제거 |
용도 | 건축 장식 철도 기계 |
기타 | |
관련 용어 | 강철 주철 |
2. 역사
기원전 2000년 이전에는 청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기원전 2000년경부터 청동을 대신하여 연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중국, 인도 등에서 식량 증산을 위한 농기구로 이용하거나 전쟁 시 무기 및 갑옷 제조에 사용하였다. 19세기에는 건축 구조물에 이용되었으며, 20세기에는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골프채를 만드는 데에도 이용된다.
2. 1. 세계사
기원전 2000년 이전에는 청동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기원전 2000년경부터 연철이 청동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3세기, 중국과 인도 등지에서 농기구 및 무기 제조에 연철을 사용했다.[22] 19세기에는 건축 구조물 재료로 사용되었고, 20세기에는 장식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한나라(기원전 202년~기원후 220년) 시대에는 다관 파종기와 철제 쟁기 등 농업용 연철 도구가 발달했다.[22]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부터 용광로를 사용하여 연철을 생산했다.[23][24]

18세기 영국 셰필드에서 도가니를 사용한 주강 기술이 발명되었으나, 대형 구조물 제작에는 한계가 있었다. 1840년경, 영국에서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반사로를 이용한 패들법(Puddling process영어)이 개발되어 연철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이 방법은 마치 배를 젓는 패들을 움직이는 것과 비슷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1855년, 헨리 베세머가 베세머법을 개발하면서 강철 대량 생산 시대가 열리고 연철 생산은 쇠퇴했다.[9]
2. 2. 한국사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청동을 대신하여 연철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3세기에는 중국, 인도 등에서 식량 증산을 위한 농업용 도구로 이용되거나, 전쟁 시에 무기 및 갑옷 제조에 사용되었다.3. 제조
철광석을 저온에서 환원하여 직접 만드는 방법과 선철이나 고철을 원료로 하여 교련법 등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만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오늘날에는 기술 발달로 주로 후자가 사용된다. 해면철 제조법이나 크릅렌법과 같은 회전로를 이용한 저온환원법을 사용하면 철광석에서 직접 강을 얻을 수 있지만, 생산비가 비싸고 황이 빠지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어서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한다.
200px
높은 온도의 용광로에서 철을 만들면 반응 온도가 높아 탄소를 충분히 흡수하여 선철이 된다. 선철은 단단하고 부러지기 쉬워 단련 등의 가공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제강로에 넣어 탄소를 빼내어 강으로 만든다. 간접적인 연철 제조법에는 스웨덴에서 시작된 숯을 쓰는 방법과 영국의 H. 코트가 개발한 교련법이 있다. 교련법은 석탄을 연료로 하는 반사로 속에 선철을 넣고 뒤집어서 반죽하는 조작을 되풀이하여 연철 또는 연강을 만드는 방법이다. 1840년경 개발된 반사로는 고온의 연소 가스를 벽돌 천장에 쬐어 그 복사열과 연소 가스에 포함된 산소로 탄소를 연소시켜 제거했다. 탄소가 빠지면 철의 녹는점은 상승하고 점도가 높아진다. 선철의 녹는점은 1200°C이지만 탄소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철은 녹는점이 1500°C 이상이다. 반사로 측면에서 철 막대를 삽입하여 내부를 정성껏 저어 최종적으로 그 철 막대에 달라붙은 철을 꺼낸 것이 '''연철'''(wrought iron영어)이다. 이 방법을 패들법(Puddling process영어)이라고 하는데, 마치 배를 젓는 패들을 움직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초기의 연철은 슬래그 성분을 포함하는 순도가 낮은 것이었지만, 반사로 구조와 규모가 개량되어 순도가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강철은 베세머법이 도입된(1865년 이후) 직후부터 철도 레일에서 철을 대체하기 시작했다.[9] 1880년대까지는 질소 유입, 높은 탄소 함량, 과도한 인 함량 또는 과도한 온도로 인한 급속한 압연 등으로 인한 취성 강의 문제로 구조용으로는 철이 주로 사용되었다.[9] 1890년까지는 구조용으로 강철이 철을 대부분 대체했다.
1960년대에는 재활용으로 인해 강철 생산 가격이 하락했고, 아스톤 공정을 사용하더라도 연철 생산은 노동 집약적이었다. 연철 생산 비용은 저탄소강 생산 비용의 약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7] 미국의 마지막 연철 생산 공장은 1969년에 문을 닫았다.[7]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문을 닫은 공장은 영국 볼턴에 있는 토마스 월름슬리 앤 선스의 아틀라스 포지(Atlas Forge)로 1973년에 문을 닫았다. 1860년대 시대의 장비는 보존을 위해 아이언브리지 협곡 박물관 신탁의 블리스트 힐 부지로 이전되었다.[42] 현재 일부 연철은 문화재 복원 목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고철을 재활용하여 생산된다.
3. 1. 전통적인 제조 방법
연철은 철광석을 저온에서 환원하여 직접 만드는 방법(직접 제철법)과 선철이나 고철을 원료로 하여 간접적으로 만드는 방법(간접 제철법)이 있다. 오늘날에는 기술 발달로 주로 간접 제철법이 사용된다.3. 1. 1. 직접 제철법
해면철 제조법이나 크릅렌법과 같이 회전로를 이용한 저온환원법을 사용하면 철광석에서 직접 강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생산비가 비싸고 황(S)이 잘 빠지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어서, 오늘날에는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된다.[66]옛날에는 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장장이가 모루에 철재를 올려놓고 망치로 두드리는 것 외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형태나 크기가 제한되어 큰 것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예부터 “녹인 철로 탄소 함량이 적고 강인한 철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중세 시대에는 수력이 이 공정에 적용되었는데, 아마도 처음에는 풀무를 작동하는 데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블룸을 단조하는 데 사용되는 해머에 적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수력이 사용되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확실하다.[1] 이것은 직접 제철법의 정점이었다. 이 방법은 19세기 중반까지 스페인과 남부 프랑스에서 카탈루냐 제철소(Catalan Forges)로, 1775년까지 오스트리아에서 ''stuckofen''으로,[1] 그리고 영국 가스탕 근처에서는 1770년경까지 사용되었다.[27][28] 1880년대에는 뉴욕에서 열풍을 사용하여 여전히 사용되었다.[29] 일본에서는 전통적인 다마하가네 강철(주로 칼 제작에 사용됨) 생산에 사용되었던 구식 ''다타라'' 블루머리의 마지막이 1925년에야 사라졌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장인 검 제작자에게 강철을 공급하기 위해 소규모로 생산이 재개되었다.
연철은 원래 다양한 제련 공정을 통해 생산되었는데, 이러한 공정들은 모두 오늘날 "블루머리(bloomery)"로 불린다. 서로 다른 형태의 블루머리가 시대와 장소에 따라 사용되었다. 블루머리에는 숯과 철광석을 채운 후 불을 지폈다. 용광로 풍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블루머리의 온도를 철의 녹는점보다 약간 낮은 온도로 가열했다. 제련 과정에서 슬래그가 녹아서 빠져나가고, 숯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가 광석을 철로 환원시켜 철과 용융된 규산염 광물(슬래그)을 포함하는 다공질 덩어리(블룸(bloom)이라고 함)를 형성했다. 철은 고체 상태로 남아 있었다. 블루머리가 철을 녹일 만큼 충분히 뜨거워지면 탄소가 철에 용해되어 주철이 생성되었을 것이지만, 그것은 의도된 바가 아니었다. 그러나 블루머리의 설계는 철의 녹는점에 도달하기 어렵게 하고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했다.[1]
제련이 완료되면 블룸을 꺼내고 다시 공정을 시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광로와 같은 연속 공정이 아니라 배치 공정이었다. 블룸은 슬래그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이를 고형화하고 막대 모양으로 성형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단조해야 했다.[1]
3. 1. 2. 간접 제철법
연철은 철광석을 저온에서 환원하여 직접 만들거나, 선철이나 고철을 원료로 하여 간접적으로 만들 수 있다. 오늘날에는 기술 발달로 주로 후자의 방법이 사용된다. 간접적인 연철 제조법에는 스웨덴에서 시작된 숯을 쓰는 방법과, 영국의 H. 코트가 개발한 교련법이 있다.- 목탄철: 18세기 말까지 연철은 블루머리 제련법을 사용하여 목탄으로 광석에서 제련되었다. 정련로나 랭커셔 용광로를 사용하여 선철을 연철로 생산하기도 했다.
- 퍼들링 철: 퍼들링 공정은 연철을 대량 생산하는 최초의 공정이었다. 퍼들링 공정에서 선철은 반사로에서 정련되어 석탄이나 코크스의 황으로 인한 철의 오염을 방지했다. 1840년경 개발된 이 방법은, 고온의 연소 가스를 벽돌 천장에 쬐어 그 복사열과 연소 가스에 포함된 산소로 탄소를 연소시켜 제거하는 방식이었다. 탄소가 빠지면 철의 녹는점은 상승하고 점도가 높아진다. 용융된 선철을 수동으로 저어 대기 중의 산소에 철을 노출시켜 탄소를 제거했다. 1784년에 특허를 받았고 1800년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
- -
- 오레그라운드 철: 스웨덴 다네모라 광산의 철광석으로 만들어진 순도가 높은 봉철이다. 제강의 시멘테이션 공정을 위한 원료로 사용되었다.
- 단치히 철: 원래 그단스크에서 영국으로 수입된 철이지만, 18세기에는 동부 스웨덴산 철일 가능성이 높다.
- 숲 철: 영국의 딘 숲에서 채취한 철로, 적철석 광석을 사용하여 질긴 철을 생산하였다.
- 뤼크 철: 리에주에서 수입한 철.[15]
- 에임스 철: 북유럽에서 영국으로 수입된 철이다. 아미앵이 기원으로 추정되었지만, 플랑드르, 네덜란드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아 라인 계곡이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15]
- 보톨프 철: 비투프 또는 비톰산 철.[15]
- 세이블 철: 러시아 데미도프 가문의 표식이 새겨진 최고급 러시아 철 중 하나였다.[16]
오스몬드 제련법은 1203년에 개발된 최초의 간접 공정이었지만, 많은 지역에서 용광로 생산은 계속되었다. 이 공정은 용광로의 발달에 의존했는데, 중세 시대의 예는 스웨덴 라프히탄과 독일에서 발견되었다.
15세기, 용광로는 벨기에로 전파되어 개량되었고, 정련로도 함께 퍼져나갔다. 정련로는 주철을 재용융하고 탄소를 제거하여 블룸을 생산한 다음, 이를 단철로 단조했다.
정련 공정은 영국, 프랑스, 스웨덴 일부 지역에서는 왈론 공정만 사용되었다. 이 공정은 두 개의 다른 용광로를 사용했다. 1709년 아브라함 다비 1세가 용광로에 코크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초기에는 단철 생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750년대 후반부터 제철소들은 목탄 없이 판철을 생산하는 포팅 및 스탬핑(potting and stamping) 공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목탄 없이 연철을 생산하는 여러 공정이 고안되었는데, 그중 가장 성공적인 것은 퍼들링이었다. 이후 조셉 홀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개량되었다.
구스타프 에크만은 울버스턴의 목탄 제련소를 관찰했는데, 이는 스웨덴의 어떤 제련소와도 매우 달랐다. 1830년대에 스웨덴으로 돌아온 후, 그는 퍼들링 공정과 유사하지만 장작과 숯을 사용하는 공정을 실험하고 개발했으며, 이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베르그슬라겐에서 널리 채택되었다.[41][14]
3. 2. 현대적인 제조 방법 (애스턴 법)
1925년, 미국의 제임스 애스턴은 베세머 전로에서 용융된 강철을 액체 슬래그에 부어 연철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에서 강철의 온도는 약 1500°C이고, 액체 슬래그는 약 1200°C로 유지된다. 용융된 강철에는 다량의 용존 가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액체 강철이 더 차가운 액체 슬래그 표면에 닿으면 가스가 방출된다. 그러면 용융된 강철이 응고되어 약 1370°C의 다공성 덩어리가 된다.[35] 이 덩어리는 싱글링(shingling)과 압연(rolling)을 거쳐 완성된다.[35] 애스턴 법은 한 번에 3~4톤을 전환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유리했다.[35]하지만 이 방법은 여전히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생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용어 (영어)
wrought iron영어은 동사 "일하다"의 고어적인 과거분사형인 "wrought"에서 유래하며, 따라서 "단철"은 문자 그대로 "가공된 철"을 의미한다.[8] 단철은 상품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대장장이가 제조한 완제품인 철제품을 더 구체적으로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주철은 단철과 달리 잘 부서지며, 고온 또는 저온에서 가공할 수 없다.
17세기, 18세기, 19세기에는 단철이 그 형태, 원산지 또는 품질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불렸다.
- 봉형 철(Rod iron영어)—평철을 슬리팅 밀(slitting mill)에서 절단하여 못과 못의 원료로 사용했다.
- 환형 철(Hoop iron영어)—통의 띠에 적합하며, 봉형 철을 압연 다이를 통과시켜 만들었다.
- 판형 철(Plate iron영어)—보일러(boiler) 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판재.
- 흑철판(Blackplate)—판형 철보다 얇을 수도 있는 판재로, 주석도금강판(tinplate) 생산의 흑압연 단계에서 생산된다.
- 항해용 철(Voyage iron영어)—특정 무게의 막대기로 만들거나 절단한 좁은 평철로, 아프리카(Africa)에서 대서양 노예 무역(Atlantic slave trade)을 위한 상품이었다. 톤당 철괴 수는 1660년대 톤당 70개에서 1685년 톤당 75~80개, 1731년에는 "톤당 약 92개"로 점차 증가했다.[14]
- 목탄철 (Charcoal iron영어)— 18세기 말까지 연철은 블루머리 제련법을 사용하여 목탄으로 광석에서 제련되었다. 연철은 또한 용광로에서 생산된 선철을 정련로 또는 랭커셔 용광로를 사용하여 생산되었다. 그 결과 생성된 금속은 화학적 조성과 슬래그 함량 모두에서 매우 다양했다.
- 퍼들링 철 (Puddling iron영어)— 퍼들링 공정은 연철을 대량 생산하는 최초의 공정이었다. 퍼들링 공정에서 선철은 석탄이나 코크스의 황으로 인한 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로에서 정련된다. 용융된 선철을 수동으로 저어 대기 중의 산소에 철을 노출시켜 탈탄시킨다. 철을 저으면 연철 덩어리가 저어주는 막대(래블 암 또는 막대)에 의해 덩어리로 모이고, 이것들은 주기적으로 퍼들러에 의해 제거된다. 퍼들링은 1784년에 특허를 받았고 1800년 이후 널리 사용되었다. 1876년까지 영국에서만 연간 4000000ton 이상의 퍼들링 철이 생산되었다. 그 무렵 평로가 구조용으로 적합한 품질의 강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연철 생산은 감소하기 시작했다.
- 오레그라운드 철 (Oregrund iron영어)— 스웨덴의 다네모라 광산의 철광석에서 궁극적으로 만들어진 특히 순도가 높은 봉철. 가장 중요한 용도는 제강의 시멘테이션 공정을 위한 원료였다.
- 단치히 철 (Danzig iron영어)— 원래 그단스크에서 영국으로 수입된 철이지만, 18세기에는 그단스크에서 한때 수입되었던 동부 스웨덴산 철일 가능성이 더 높다.
- 숲 철 (Forest iron영어)— 영국의 딘 숲에서 채취한 철로, 적철석 광석을 사용하여 질긴 철을 생산하였다.
- 뤼크 철 (Lukens iron영어)— 네덜란드어로 "Luik"인 리에주에서 수입한 철.
- 에임스 철 (Ames iron영어) 또는 아미스 철 (Amis iron영어)— 북유럽에서 영국으로 수입된 또 다른 종류의 철. 그 기원은 아미앵으로 추정되었지만, 15세기에는 플랑드르, 나중에는 네덜란드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아 라인 계곡이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그 기원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 보톨프 철 (Botolf iron영어) 또는 부탈 철 (Butal iron영어)— 비투프(폴란드 폼메렐 지역) 또는 비톰(폴란드 실레시아 지역)산 철.
- 세이블 철 (Sable iron영어) (또는 구 세이블) — 러시아의 제철업자인 데미도프 가문의 표식(검은색 족제비)이 새겨진 철로, 최고급 러시아 철 중 하나였다.
5. 품질 및 결함 (영어)
; 강철
: "tough"라고도 불리며, 잘 부서지지 않아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혼합철
: 여러 종류의 주철을 섞어 만든 철이다.
; 최상급 철
: 19세기에 최고 품질로 여겨질 정도의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친 철이다.
; 마크 바 철
: 마크 바 협회 회원들이 제작하고 제작자의 상표를 품질 표시로 새긴 철이다.[17]
연철은 탄소 함량이 0.10% 미만이고 황, 인, 규소, 망간 등 불순물의 총 함량이 0.25% 미만이며, 슬래그 함량이 중량 기준 2% 미만인 상업용 철의 한 형태이다.[18][19]
연철은 황 함량이 과다하면 적열취약성 또는 고온취약성을 나타낸다. 붉은 열에서 구부리거나 가공하면 균열이 발생한다.[5] 고온취약성 철은 시장성이 없다고 여겨졌다.[1]
냉열취약성 철은 냉절삭(coldshear), 콜셔(colshire)라고도 하며, 인 함량이 과다하다. 차가운 상태에서는 매우 취성이 강하여 구부리면 균열이 발생한다.[5] 그러나 고온에서는 가공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냉열취약성 철은 못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졌다.
인은 철에 반드시 해로운 것은 아니다. 고대 근동의 대장장이들은 용광로에 석회를 첨가하지 않았다. 슬래그에서 산화칼슘이 없고, 제련 과정에서 인 함량이 높은 목재를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현대 철(0.02~0.03%)보다 더 높은 인 함량(일반적으로 0.3% 미만)을 유도했다.[1][20] 델리의 철주 분석 결과 철의 인 함량은 0.11%이다.[1] 연철에 포함된 슬래그는 내식성을 부여하기도 한다.
대량 생산되는 탄소강이 사용 가능했던 시대에 제조된 골동품 음악용 철사는 탄소 함량이 낮고 인 함량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상태에서 가공하면 취성이 발생하는 높은 인 함량의 철은 음악용 철사로 쉽게 가공될 수 있었다.[21] 당시에는 인이 철의 구성 요소로 쉽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철은 강으로 전환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정되었지만, 인장 성능 테스트에서는 우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21]
단조철의 슬래그 개재물 또는 스트링거는 다른 형태의 철 금속에는 없는 특성을 부여한다. 1평방인치당 약 250,000개의 개재물이 있다.[7] 신선한 파면은 높은 광택과 섬유질 외관을 가진 맑은 청색을 나타낸다.
단조철은 열처리를 통한 경화에 필요한 탄소 함량이 부족하지만, 강철이 드물거나 알려지지 않은 지역에서는 때때로 공구를 냉간 가공하여(따라서 냉간철) 경화시키기도 했다. 낮은 탄소 함량의 장점은 우수한 용접성이다.[7] 또한, 단조철 시트는 냉간 가공 시 강판만큼 많이 구부러지지 않는다.[43][44] 단조철은 용융 및 주조가 가능하지만, 슬래그 스트링거가 용융 시 사라지므로 생성물은 더 이상 단조철이 아니며 불순한 주조 베세머 강과 유사하다. 주철이나 강철을 사용하는 것보다 단조철을 용융 및 주조하는 데 공학적인 이점은 없으며, 두 가지 모두 더 저렴하다.[45][46]
철광석의 기원과 제철 방법의 차이로 인해 단조철은 다른 철 합금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거나 열등할 수 있다.[7][47][48][49] 내식성에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이 있다. Chilton과 Evans는 니켈이 풍부한 띠가 부식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50] 또한, 용융, 단조 및 적층 철에서 금속의 가공은 구리, 니켈 및 주석 불순물을 확산시켜 부식을 늦추는 전기화학적 조건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8] 슬래그 개재물은 부식을 고른 막으로 분산시켜 철이 피팅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슬래그 개재물은 부식의 경로가 된다.[51] 다른 연구에 따르면 단조철의 황은 내식성을 감소시키고,[49] 인은 내식성을 증가시킨다.[52] 염화물 이온 또한 단조철의 내식성을 감소시킨다.[49]
단조철은 연강과 같은 방식으로 용접할 수 있지만, 산화물 또는 개재물이 존재하면 결함이 있는 결과를 초래한다.[53] 이 재료는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매끄러운 강철보다 도금과 코팅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조철에 적용된 아연 도금 마감은 강철에 대한 동일한 마감보다 약 25~40% 더 두껍다.[7]
다른 특성 중에서 단조철은 적열에서 부드러워지며 쉽게 단조 및 단조 용접할 수 있다.[58] 일시적인 자석을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 없으며,[59][60] 연성, 전성 및 인성이 있다.[39]
6. 성질
연철은 탄소 함량이 0.10% 미만이고, 황, 인, 규소, 망간 등의 불순물 총 함량이 0.25% 미만이며, 슬래그 함량이 2% 미만인 상업용 철의 한 형태이다.[18][19]
연철은 슬래그 개재물(스트링거)이 있어 다른 철 금속에는 없는 특성을 가지는데, 1평방인치당 약 250,000개의 개재물이 존재한다.[7] 신선한 파면은 광택이 높고 섬유질 외관을 가진 맑은 청색을 띤다.
연철은 열처리를 통해 경화될 수 있는 탄소 함량이 부족하지만, 강철이 드물거나 알려지지 않은 지역에서는 냉간 가공을 통해 경화시키기도 했다. 낮은 탄소 함량 덕분에 용접성이 우수하다.[7] 또한, 냉간 가공 시 강판만큼 많이 구부러지지 않는다.[43][44] 용융 및 주조는 가능하지만, 슬래그 스트링거가 사라지므로 생성물은 더 이상 연철이 아니며 불순한 주조 베세머 강과 유사해진다. 주철이나 강철 대신 연철을 용융 및 주조하는 것은 공학적 이점이 없으며, 둘 다 더 저렴하다.[45][46]
철광석의 기원과 제철 방법의 차이로 인해, 연철은 다른 철 합금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거나 열등할 수 있다.[7][47][48][49] 내식성에 관한 여러 연구 결과가 있는데, 어떤 연구에서는 니켈이 풍부한 띠가 부식을 감소시키고,[50] 구리, 니켈, 주석 불순물을 확산시켜 부식을 늦추는 전기화학적 조건을 생성한다고 한다.[48] 슬래그 개재물이 부식을 고르게 분산시켜 철의 피팅(pitting)을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 반면, 슬래그 개재물이 부식 경로가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51] 황은 내식성을 감소시키고,[49] 인은 내식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2] 염화물 이온 또한 연철의 내식성을 감소시킨다.[49]
연철은 연강과 같은 방식으로 용접할 수 있지만, 산화물 또는 개재물이 존재하면 결함이 생길 수 있다.[53]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어 매끄러운 강철보다 도금과 코팅을 더 잘 유지한다. 예를 들어, 연철에 적용된 아연 도금 마감은 강철에 대한 동일한 마감보다 약 25~40% 더 두껍다.[7]
다음 표는 연철, 선철, 탄소강의 화학 성분을 비교한 것이다. 연철은 대부분의 망간, 황, 인, 실리콘이 슬래그 섬유에 포함되어 있어 일반 탄소강보다 더 순수하다.[39]
다음 표는 연철의 특성을 나타낸다.
연철은 적열에서 부드러워져 쉽게 단조 및 단조 용접이 가능하다.[58] 일시적인 자석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영구적으로 자화될 수는 없다.[59][60] 연성, 전성 및 인성을 가진다.[39] 인장강도보다는 연성이 연철의 품질을 측정하는 더 중요한 지표인 경우가 많다. 최고급 연철은 인장 시험에서 파괴되기 전 상당한 신장을 보인다. 인장강도가 높은 연철은 취성이 강하다.
1800년대 초 증기선 보일러 폭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자, 미국 의회는 1830년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지원했다. 프랭클린 연구소는 이 연구를 수행하여 보일러용 철의 강도를 시험했지만, 인장강도와 연성에 대한 오해로 인해 사고 감소에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5]
19세기 후반, 야금학자들이 철의 특성과 제조 공정을 더 잘 이해하게 되면서 증기 기관의 철은 강철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또한, 화관 보일러가 있는 구형 원통형 보일러는 더 안전한 수관 보일러로 대체되었다.[62]
7. 응용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연철은 청동을 대체하여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중국, 인도 등에서 농업 도구, 무기, 갑옷 제조에 사용되었다.[9] 19세기에는 건축 구조물에, 20세기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골프채를 만드는 데에도 이용된다.
1840년경에는 석탄을 사용한 반사로가 발명되어 연철을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방법은 패들법(Puddling process)이라고 불리며, 마치 배를 젓는 패들을 움직이는 것과 같았다. 가공이 용이한 연철은 강철의 대량 생산 방법이 발명되기 이전에는 널리 사용되었다.[9] 증기 동력의 롤러로 압연하여 군함의 부재, 철교, 빌딩의 철골, 철도레일 등을 만들었다. 1889년에 완공된 파리의 에펠탑은 연철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헨리 베세머 (Henry Bessemer)가 베세머법을 개발하여 강철의 대량 생산 기술이 확립되면서 연철의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9]
1960년대에는 재활용으로 인해 강철 생산 가격이 하락했고, 연철 생산은 노동 집약적이었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미국의 마지막 연철 생산 공장은 1969년에 문을 닫았고,[7]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문을 닫은 공장은 영국 볼턴에 있는 토마스 월름슬리 앤 선스의 아틀라스 포지(Atlas Forge)로 1973년에 문을 닫았다.[42] 현재 일부 연철은 문화재 복원 목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고철을 재활용하여 생산된다.
단조 철제 가구는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는 13세기 단조 철제 문이 있으며, 단조 철제 가구는 17세기에 영국에서 최고의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주철과 저렴한 강철로 인해 단조 철 제조는 점차 감소하여 영국에서는 1974년에 마지막 단조 철 공장이 문을 닫았다.
오늘날 사용 가능한 단조 철의 대부분은 재활용 재료로 만들어진다. 항구에서 건져 올린 오래된 다리와 닻 체인이 주요 원천이다. 단조 철의 높은 내식성은 규산질 불순물(철광석에 자연적으로 존재함), 즉 규산 제1철 때문이다.[64]
단조 철은 수십 년 동안 문과 울타리 산업 전반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단조 철" 문의 제조에는 연강이 사용된다.[65] 이는 진정한 단조 철의 가용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강철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 아연 도금할 수도 있지만, 단조 철은 그렇게 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etallurgy
Maney Publishing, for the Institute of Materials
[2]
뉴스
Wrought Iron{{snd}}Properties, Applications
https://www.azom.com[...]
AZoNetwork
2013-08-13
[3]
웹사이트
What is wrought iron?
https://mechanicalsi[...]
2018-10-31
[4]
웹사이트
What is wrought iron?
http://www.irongates[...]
2017
[5]
서적
American Iron 1607–1900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뉴스
Wrought Iron: A Patio Furniture dream
http://www.patioset.[...]
[7]
잡지
Clearing the Confusion Over Wrought Iron
https://avionmetalwo[...]
NOMMA
[8]
웹사이트
Wrought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9]
서적
A Nation of Steel: The Making of Modern America, 1865–1925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Puddle Cinder as a Blast Furnace Iron Ore
https://books.google[...]
[11]
서적
The useful metals and their alloys
https://books.google[...]
Houlston & Wright
[12]
서적
Engineering materials science: properties, uses, degradation and remediation
https://books.google[...]
Horwood Publishing
[13]
서적
Elements of Metallurgy and Engineering Alloys
https://books.google[...]
ASM International
[14]
서적
Baltic Iron in the Atlantic World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15]
정기간행물
England's Iron trade in the Fifteenth Century
[16]
서적
The Plow, the Hammer, and the Knout: an economic history of eighteenth century Rus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정기간행물
The marked bar association: price regulation in the Black Country wrought iron trade
[18]
서적
Marks' Standard Handbook for Mechanical Engineers
McGraw Hill
[19]
백과사전
[20]
웹사이트
Effect of Phosphorus on the Properties of Carbon Steels: Part 1
http://www.totalmate[...]
2007-10
[21]
학술지
Phosphorus in antique iron music wire
1987-05
[22]
서적
A Short History of China
Pocket Essentials
[2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Archaeometallurgy of the Asian Old World
https://books.google[...]
UPenn Museum of Archaeology
[25]
서적
The Craft of a Chinese Commentator: Wang Bi on the Laozi
[26]
서적
Wind, Water, Work: Ancient and Medieval Milling Technology
Brill
2006
[27]
서적
The travels through England ... during 1750, 1751, and later years
Camden Soc. n.s. 42, 1888
[28]
manuscript at Cardiff Central Library
The Chemical and Mineral History of Iron
[29]
정기간행물
Experimentation in 19th-century bloomery iron production: Evidence from the Adirondacks of New York
[30]
서적
History of the British Iron and Steel Industry from 450 BC to AD 1775
Routledge and Kegan Paul
[31]
정기간행물
The production of wrought iron in Finery Hearths
[32]
학술지
The Transition to Cort's Puddling Process
[33]
정기간행물
The Cranage brothers and eighteenth-century forge technology
[34]
서적
Henry Cort, The Great Finer
The Metals Society
[35]
서적
Engineering Materials
S. Chand
[36]
서적
The Iron and Steel Industry: a Dictionary of Terms
David and Charles
[37]
서적
The Manufacture of Iron, in All Its Various Branches
https://books.google[...]
H. C. Baird
[38]
서적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Metals
Institute of Metals
[39]
서적
The Making, Shaping and Treating of Steel
https://books.google[...]
Carnegie Steel Company
[40]
서적
The British Iron and Steel Industry
David and Charles
[41]
서적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Iron: The impact of British coal technology in 19th century Europe
Ashgate
[42]
정기간행물
Wrought iron again: the Blists Hill Ironworks officially opened
[43]
서적
Structur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
2008-02-22
[44]
서적
Inspection of the Materials and Workmanship Employed in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2-22
[45]
서적
The Useful Metals and Their Alloys, Including Mining Ventilation, Mining Jurisprudence, and Metallurg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Houlston and Wright
2008-02-20
[46]
서적
Handbook for Mechanical Engineers
https://books.google[...]
E. & F.N. Spon
2008-02-20
[47]
간행물
Reports of the Corrosion Committee's Field Tests
Iron and Steel institute
[48]
정기간행물
Dr. JP Chilton, 1929–2006
http://www.msm.cam.a[...]
Cambridge University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Metallurgy
2008-11-29
[49]
정기간행물
The Production,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Wrought Iron
http://www.archaeome[...]
2002-04-01
[50]
정기간행물
Journal of the Iron and Steel Institute
[51]
논문
The role of Slag Inclusions in the corrosion of wrought iron
University of Bradford
[52]
정기간행물
Delhi iron pillar and its relevance to modern technology
http://www.iisc.erne[...]
2003-01-25
[53]
서적
Kempe's Engineer's Year-Book
Morgan Brothers
[54]
서적
Machinery's Handbook
Industrial Press, Inc.
[55]
서적
Engineer to Win
MotorBooks / MBI Publishing Company
[56]
웹사이트
Solids and Metals – Specific Gravity
http://www.engineeri[...]
2008-02-20
[57]
서적
Iron as a Material of Construction: Being the Substance of a Course of Lectures Delivered at the Royal School of Naval Architecture, South Kensington
https://books.google[...]
E. & F.N. Spon
2008-02-20
[58]
서적
A Text-book of In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P. Blakiston, Son & Co.
2008-02-21
[59]
백과사전
Cyclopedia of Applied Electricity
https://books.google[...]
American Technical Society
2008-02-21
[60]
서적
Principles of Electric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Inc.
2008-02-21
[6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rowth of the steam engine
http://www.history.r[...]
1878-01-01
[62]
서적
A History of Industrial Power in the United States, 1730–19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63]
정기간행물
Metallurgical Report on the Iron Smelted for the Master Crafts Series
2010-09-09
[64]
서적
Industri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Krishna Prakashan Media
2019-07-22
[65]
웹사이트
Finding Out About Wrought Iron Fencing
https://www.lonestar[...]
Lone Star
2019-07-12
[66]
서적
よくわかる最新「鉄」の基本と仕組み
秀和システ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