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포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포항은 울릉도 북면에 위치한 어항이다. 동쪽의 촛대암 그림자가 바다에 비치는 모습에서 유래하여 현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과거 우산국의 도읍지로 추정되며, 태풍 시 인근 어선들의 피항지 역할을 한다. 1973년 기본시설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계획을 조정하여 정비되었으며, 2009년 어항 정비 계획이 고시되었다. 어항 구역은 특정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며, 주변에는 노인봉과 어업무선중계소 송신탑이 위치해 있다. 현포항은 오징어, 도미, 꽁치 등의 어장이 형성되어 외래어선의 입출항이 잦고, 주변에 송곳산, 나리분지, 성인봉 등의 관광지가 있다. 인근 해상에서는 용오름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릉군의 어항 - 저동항
    울릉군 울릉읍 저동에 위치한 저동항은 과거 저포라 불렸으며, 태풍 시 피항지 역할, 오징어 주요 거래, 촛대바위와 조위관측소 위치, 죽도 조망, 독도 박물관 및 죽도 관문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울릉군의 어항 - 태하항
    울릉도 서쪽에 위치한 태하항은 울릉도 개척 시 최초로 사람들이 닿았던 곳으로, 빼어난 자연 경관과 다양한 천연기념물, 낚시터로 유명하며, 오징어, 꽁치 등의 해산물이 잡히는 어항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현포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현포항
현포항
현포항
유형국가어항
주소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
지정일1971년 12월 21일
관리청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울릉군수

2. 연혁

동쪽 죽암에 있는 촛대암 그림자가 바다에 비치면 바닷물이 검게 보여, 행정동명을 정할 때 검다는 의미의 한자 '흑(黑)'과 뜻이 같은 '현(玄)' 자를 따서 현포(玄圃)라고 이름 지었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이곳에는 촌락기지 7개소, 석불, 석탑 등이 있었으며, 석실고분 40여 기가 발견되었다.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이곳이 고대 우산국의 도읍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포항은 태풍으로 강한 남서풍이 불 때 인근 조업선뿐만 아니라 천부항, 저동항에 정박 중인 어선들도 피항하는 중요한 항구이다. 항만 개발을 위해 1973년 기본시설계획을 수립하였고, 1988년에는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후 1995년 기본시설에 대한 계획을 조정하였다.

3. 어항 구역

현포항의 어항 구역은 다음과 같다.


  • '''수역''': 서쪽 돌출부 끝에서 정북 방향으로 400m 떨어진 해상 지점, 이 지점에서 정동 방향으로 900m 떨어진 해상 지점, 그리고 마지막 지점에서 정남 방향으로 육지와 만나는 지점을 차례로 이은 선 안의 공유수면[1]
  • '''육역''':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 456-12 번지 외 8필지 (상세 내역은 생략)[2]

4. 어항 정비 계획

2009년 9월 14일 현포항에 대한 어항정비계획이 고시되었다.[3] 정비계획 물량은 다음과 같다.


  • 북방파제 보강 1식
  • 동방파제 보강 1식
  • 방사제 100m
  • 보조방파제 70m
  • 화물부두 85m
  • 선양장 15m
  • 준설 7000m3

5. 항해 정보

항해 시 목표물로는 항구 뒤편의 노인봉(높이 277m)이 눈에 잘 띄며, 어업무선중계소 송신탑도 좋은 목표물이 된다. 해안은 자갈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0m 등심선은 해안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해저 경사는 급한 편이다. 주변에 항해에 위험이 될 만한 요소는 없으나, 서쪽과 북동쪽에는 인공어초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방파제 기부에서 정북 방향으로 해양심층수 취수관이 설치되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 지역 부근 바다에서는 대기와 기층이 불안정할 때 거대한 적란운이 발생하여 해상에서 기둥이나 깔대기 모양의 구름이 드리워지며 소용돌이가 생기는 용오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6. 주변 관광

현포항 주변으로는 송곳산, 나리분지, 성인봉 등 다양한 관광지가 분포해 있다. 또한 현포항 앞바다에는 코끼리가 코를 물속에 담그고 물을 마시는 모양을 한 공암(코끼리바위)이 있다. 울릉도 바다에서는 날씨가 불안정할 때 거대한 구름(적란운) 속에서 강한 소용돌이가 바다까지 기둥이나 깔때기 모양으로 내려오는 용오름 현상이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4]

참조

[1]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2]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3] 간행물 국가어항개발계획 농림수산식품부 2009-09-25
[4] 웹사이트 동해어업관리단 자료 http://eastship.mif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