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릉군은 동해에 위치한 섬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군이다.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신라 시대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한 이후 한국의 영토가 되었다.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고, 1900년 울도군으로 개편된 후 1906년 경상남도로, 1914년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1949년 울릉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79년 남면이 울릉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울릉읍, 서면, 북면의 1읍 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산업은 어업과 관광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주요 관광지이며, 꽁치, 명태, 오징어 등이 잡힌다. 울릉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며, 안양시 등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릉군 - 경상북도립울릉공공도서관
    경상북도립울릉공공도서관은 1974년 울릉군 공공도서관으로 개관하여 경상북도립울릉공공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디지털 서비스 확충 및 섬초롱도서관 개관 등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 울릉군의 역사 - 다케시마 사건
    다케시마 사건은 1836년 하마다 번에서 발생한 밀무역 사건으로, 재정난 해결을 위해 울릉도 등지에서 밀무역을 하던 관리와 상인들이 막부에 발각되어 처벌받고 번의 통치 가문이 교체되었으며, 현재 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일본 측의 영유권 주장 근거 및 한국 측의 반박 근거로 활용된다.
  • 울릉군의 역사 - 우산국
    우산국은 244년에 처음 기록이 등장하여 512년 신라에 복속되었고, 울릉도의 별칭으로 여겨지며, 대한민국 정부는 우산국의 영역을 울릉도와 독도로 보고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울릉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위치
대한민국에서의 위치
울릉군 지도
울릉군 지도
울릉군 행정 지도
울릉군 행정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울릉군
한글 표기울릉군
한자 표기鬱陵郡
로마자 표기Ulleung-gun
매큔-라이샤워 표기Ullŭng-gun
관할 국가대한민국
소속 광역 자치 단체경상북도
소속 지역영남 지방
방언경상도 방언
면적72.518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9,169 명
인구 밀도143.8 명/km²
전화 지역 번호+82-54-790~799
행정 구역1 , 2 면
군청 소재지울릉읍 도동2길 66 (도동리 206-1)
군목후박나무
군화동백꽃
군조흑비둘기
상징
울릉군 엠블럼
울릉군 엠블럼
울릉군 깃발
울릉군 깃발
정치
군수남한권 (국민의힘)
국회의원이상휘 (국민의힘, 포항시 남구·울릉군)
기타
공식 홈페이지울릉군청 공식 홈페이지

2. 역사

청동기시대 또는 철기시대 전기에 울릉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512년 신라 지증왕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정벌했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우릉도(芋陵島) 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했고,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여진족의 침입으로 농업이 황폐해지자 농기구를 지원했다.

1379년(고려 우왕 5년) 왜구가 침입했고, 1417년(조선 태종 17년)에는 주민들을 본토로 귀환시키고 강원도 관할로 두었다. 1614년(광해군 6년) 대마도주에게 왜인들의 울릉도 왕래 금지를 요구했다. 1693년(숙종 19년) 안용복과 일본 어부들의 충돌로 외교 분쟁이 발생했고, 1696년 안용복은 일본에서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받았다.

1882년(고종 19년) 울릉도 개척령이 반포되고, 1883년부터 주민 이주가 시작되었다. 1900년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개편하고 남면, 북면을 설치했다. 1906년 경상남도로 이속되면서 서면이 신설되었다.

1914년 경상북도로 이속되었고, 1915년 울릉도로 개편되었다가 1949년 울릉군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일시 점령되기도 했다. 1979년 남면이 울릉읍으로 승격되었고, 2000년 독도리가 분리되었다.

2. 1. 고대

청동기시대(기원전 1000~300년) 또는 철기시대 전기 (기원전 300년~1년)에 울릉도에 최초로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현포, 남서, 저동리에서 지석묘, 무문토기, 갈돌, 갈판 등이 발견되었다.[17]

512년(신라 지증왕 13년), 신라장군 이사부우산국을 정벌하였다.[17]

930년(고려 태조 13년), 우릉도(芋陵島) 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하였다.[17]

1018년(고려 현종 9년), 여진족의 침입을 받아 농업이 폐해지자, 이원구를 보내어 농기구를 하사하였다.[17]

1032년(고려 덕종 원년),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어 조공하였다.[17]

1157년(고려 의종 11년), 우릉도 주민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보내 조사케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17]

2. 2. 고려 시대

930년(고려 태조 13년) 우릉도(芋陵島) 주민이 조공을 하자 고려 조정은 이들에게 작위를 하사했다.[17]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여진족의 침입으로 농업이 폐허가 되자, 고려 조정은 이원구를 보내 농기구를 하사하며 백성들을 위로했다.[17] 1032년(고려 덕종 원년)에는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17]

1157년(고려 의종 11년), 고려 조정은 울릉도 주민을 본토로 이주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고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파견하여 현지 조사를 진행했지만, 실제 이주는 실행되지 못했다.[17] 1379년(고려 우왕 5년) 7월에는 왜구가 무릉도(武陵島)에 침입하여 보름 동안 머물다가 돌아가는 사건이 발생했다.[17]

2. 3. 조선 시대

512년 (신라 지증왕 13년), 신라 장군 이사부우산국을 정벌하였다.[17] 930년(고려 태조 13년) 우릉도(芋陵島) 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했다.[18] 1018년(고려 현종 9년) 여진족의 침입을 받아 농업을 폐하게 되자 이원구를 보내어 농기구를 하사하였다.[18] 1032년(고려 덕종 원년)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어 조공하였다.[18] 1157년(고려 의종 11년)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보내 우릉도 주민 이주를 조사케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18]

1379년(고려 우왕 5년) 7월, 왜구가 무릉도(武陵島)에 침입하여 보름을 머물다 돌아갔다.[17] 1417년(조선 태종 17년) 김인우를 안무사로 파견하여 주민들을 귀환시켰고, 강원도에서 울릉도를 관할하게 하였다.[18] 1614년(광해군 6년) 대마도주에게 울릉도에 왜인들의 왕래를 금지하는 금약을 준수하라는 서계를 보냈다.

1693년 (숙종 19년) 울릉도에서 안용복 일행과 일본 어부들의 충돌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외교 분쟁이 발생하였다. (안용복 1차 도일) 1694년(숙종 20년) 삼척첨사 장한상이 울릉도를 수토하였고, 1696년(숙종 22년) 안용복은 2차로 일본에 건너가 백기주(伯耆州) 태수와 담판,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받고 일본인의 출어, 벌채 금지 서계를 조선에 전달했다.

2. 4. 근현대

1882년(고종 19년) 이규원이 울릉도를 검찰한 후 울릉도 개척령이 반포되고, 전석규가 도장에 임명되면서 수토정책이 철폐되었다.[17] 1883년부터 울릉도 주민 이주가 시작되어 16호 54명이 이주하였다.[18] 1895년에는 삼척영장 겸임 도장제에서 전임 도장(島長)을 임명하였고, 도장을 도감(島監)으로 개칭하였다.

1900년에는 울릉도를 강원도 울도군(鬱島郡)으로 개편하고, 그 아래 남면(南面)과 북면(北面)을 두었다. 도감을 군수(郡守)로 개칭하였다.[19] 1903년에는 군청 소재지가 태하(台霞)에서 도동(道洞)으로 이전되었다. 1906년에는 울도군을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속하면서,[20] 남면 일부(남양동, 석문동, 통구미동, 남서동, 구암동) 및 북면 일부(태하동, 학포동)에 서면(西面)을 신설하여 3면이 되었다.

1914년에는 경상남도에서 경상북도로 이속되었으며,[21]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울도군 남면(南面) 도동/저동 일부/사동 일부, 신흥동/저동 일부, 옥천동/사동 일부/장흥동 일부남면도동, 저동, 사동
울도군 북면(北面) 천부동/석포동/나중동 일부, 나중동 일부, 현포동/평리동북면천부동, 나중동(羅重洞), 현포동
울도군 서면(西面) 통구미동/석문동/남양동/(남면)장흥동 일부, 남서동/구암동, 학포동/태하동서면남양동, 남서동, 태하동



1915년에는 경상북도 울도군을 울릉도(鬱陵島)로 개편하고 군청을 도청(島廳)으로, 군수를 도사(島司)로 개칭하였다. 1949년에는 경상북도 울릉군으로 개편하였다.[22]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가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79년에는 남면이 울릉읍으로 승격하였다.[23] 2000년에는 울릉읍 도동리 일부를 독도리로 분리하였다.

3. 지리

울릉군은 동해 중앙, 한국일본 사이에 위치한다. 포항항과 묵호항에서 울릉도독도로 가는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3]

3. 1. 지형

울릉도는 동해의 해저에서 분출한 마그마가 굳어서 형성된 화산섬이다. 울릉도는 형성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므로 화산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화산체의 약 2/3는 바다에 잠겨 있으며 해수면 위로 드러난 부분은 경사가 급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에는 칼데라 분지인 나리 분지가 있으며 나리 분지 내에는 알봉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이중 화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23] 섬 대부분이 험준한 산악 지대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고 해상에서는 특이하고 독특한 울릉도의 지형이 관찰된다.

중앙에는 울릉도가 우뚝 솟아 있다. 북부는 나리분지이며 주변에는 해수욕장이 많다. 한국의 고문헌에서도 알려진 "'''삼봉'''"(울릉도 최고봉인 성인봉(표고 984m)을 중심으로 서·남·동의 삼면에 걸쳐 있는 산맥)이 있으며, 빨강, 파랑, 흰색으로 물든 '''울릉군기'''에 상징적으로 그려져 있다.

3. 2. 기후

독도를 포함한 울릉도 부근 지역은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를 띤다. 연평균 기온은 약 12°C~13°C이며, 가장 더운 달인 8월 평균 기온도 24°C를 넘지 않아 여름에도 시원하다. 연중 85%가 흐리거나 눈비가 내려 비교적 습한 지역이다. 가장 추운 달인 1월 평균 기온은 1.7°C로 온난한 편이다. 울릉도 주변 지역은 안개가 많고 연중 흐린 날이 160일 이상이며, 비가 내리는 날은 150일 정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00mm~1500mm 정도이다. 겨울철 강수는 대부분 눈이 쌓인 적설 형태이며, 폭설이 자주 내린다. 울릉도의 바람은 서풍과 남풍 계열 출현 빈도가 높으며 연간 평균 풍속은 4.3m/s이다.[24]

울릉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온난 습윤 기후(''Cfa'')의 더 서늘한 변형에 속하며, 매우 따뜻하고 비가 많이 오며 습한 여름과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 일본해에 위치해 있어 겨울 강수량이 많고, 한국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이다. 해안 지역에서는 약 40cm, 내륙 지역에서는 1m에 가까운 적설을 기록하는 경우가 있으며, 1962년 1월 31일에 내륙 기상대에서 관측된 293.6cm의 적설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기록이다.

울릉도 기후 데이터 (1991~2020년 평균, 극값 1938년~현재)[14][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4.4°C5.6°C9.6°C15.1°C19.7°C22.5°C25.5°C26.9°C23.2°C18.8°C13.2°C7.2°C16°C
평균 기온 (℃)1.7°C2.5°C5.8°C11.1°C15.8°C19.1°C22.7°C23.8°C20°C15.4°C9.9°C4.3°C12.7°C
평균 최저 기온 (℃)-0.5°C0°C2.9°C7.8°C12.5°C16.5°C20.5°C21.7°C17.7°C13°C7.4°C1.9°C10.1°C
최고 기온 기록 (℃)14.9°C19.2°C21.8°C26.1°C30.8°C32.2°C34.6°C34.6°C32.4°C27.2°C23.2°C17.9°C34.6°C
최저 기온 기록 (℃)-11.6°C-13.6°C-9.9°C-2.7°C3.8°C7°C12.5°C14.7°C8.9°C0.7°C-5.9°C-9.6°C-13.6°C
강수량 (mm)117.4mm91.3mm76.4mm97.8mm108.5mm116.8mm175mm176.7mm173.6mm100.9mm116.9mm129.3mm1480.6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18.814.512.09.08.68.612.011.610.69.313.118.2146.3
평균 강설일수17.713.27.41.00.00.00.00.00.00.13.413.155.9
평균 상대 습도 (%)68.668.467.567.270.279.684.783.479.371.467.667.372.9
평균 일조시간102.0118.1180.5216.5238.5185.5165.1176.6163.7178.8132.0104.11961.4


4. 행정 구역

울릉군의 행정 구역은 1, 2으로 구성되며, 면적은 73.33km2이다.[27]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8,996명, 5,479가구이며, 전체 인구의 70.8%가 울릉읍에 거주하고 있다. 남녀의 성비는 1.24:1로, 인천광역시 옹진군(1.33:1) 다음으로 남초 현상이 심하다.[16]

읍·면한자면적
(km2)
인구세대
울릉읍鬱陵邑21.79km26,3713,851
서면西面27.19km21,345780
북면北面24.34km21,280848
총계73.33km28,9965,479





울릉군은 1읍 2면으로 나뉜다. 울릉읍은 4개의 법정리와 6개의 행정리로, 북면은 3개의 법정리와 8개의 행정리, 서면은 3개의 법정리와 5개의 행정리로 구성된다.

읍·면한글한자한글한자
울릉읍울릉읍鬱陵邑한국어도동리
* 도동1리
* 도동2리
* 도동3리
도동리
* 도동1리
* 도동2리
* 도동3리
道洞里한국어
* 道洞一里한국어
* 道洞二里한국어
* 道洞三里한국어
저동리저동리苧洞里한국어
사동리사동리沙洞里한국어
독도리독도리獨島里한국어
북면북면北面한국어천부리
* 천부1리
* 천부2리
* 천부3리
* 천부4리
천부리
* 천부1리
* 천부2리
* 천부3리
* 천부4리
天府里한국어
* 天府一里한국어
* 天府二里한국어
* 天府三里한국어
* 天府四里한국어
나리
* 나리
* 나리1리
* 나리2리
나리
* 나리
* 나리1리
* 나리2리
羅里한국어
* 羅里한국어
* 羅里一里한국어
* 羅里二里한국어
현포리현포리玄圃里한국어
서면서면西面한국어남양리
* 남양1리
* 남양2리
* 남양3리
남양리
* 남양1리
* 남양2리
* 남양3리
南陽里한국어
* 南陽一里한국어
* 南陽二里한국어
* 南陽三里한국어
남서리남서리南西里한국어
태하리태하리台霞里한국어


4. 1. 인구

울릉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9][30]

연도총인구
1949년14,688명
1955년15,565명
1960년17,910명
1966년22,016명
1969년22,667명
1972년24,648명
1975년29,479명
1978년24,968명
1981년18,943명
1984년17,941명
1987년16,845명
1990년15,642명
1993년12,385명
1996년11,199명
1999년10,664명
2002년9,929명
2005년9,237명
2008년10,120명
2011년10,623명
2014년10,448명
2015년10,223명
2016년10,115명
2017년9,951명
2018년9,920명
2019년9,752명
2020년9,521명
2021년9,035명
2022년9,013명


5. 섬

6. 정치 및 행정

울릉군에는 울릉경찰서포항남부소방서 울릉119안전센터 등 정부 기관이 있다.

6. 1. 군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2길 66 (도동리)에 울릉군청이 있다.[1]

6. 2. 울릉군수 및 지방선거

6. 3. 정부 기관

울릉경찰서

7. 경제

울릉군은 근해에서 꽁치, 명태(명란), 오징어 등이 잡히며, 주민들은 주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땅이 척박하여 보리와 옥수수 정도밖에 재배할 수 없다. 포항항 등과 여객선이 운항하며, 한국 본토에서 오는 관광객은 연간 20만 명 정도이다. 육지(한국 본토)와의 교통이 불편하여 슈퍼마켓이나 상점이 없고, 어업협동조합이 판매 체인점을 운영한다.

7. 1. 산업

울릉군은 근해에서 꽁치, 명태(명란), 오징어 등이 잡히며, 주민들은 주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땅이 척박하여 보리와 옥수수 정도밖에 재배할 수 없다. 포항항 등과 여객선이 운항하며, 한국 본토에서 오는 관광객은 연간 20만 명 정도이다. 육지(한국 본토)와의 교통이 불편하여 슈퍼마켓이나 상점이 없고, 어업협동조합이 판매 체인점을 운영한다.

7. 2. 관광

울릉군의 대표 관광지 독도


독도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이름은 독섬으로 한자화되면서 독도가 되었다고 전한다. 독도는 해저 약 2000m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대략 460만 년 전부터 약 25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울릉도(약 250만 년 전)보다 약 200만 년, 제주도(약 120만 년 전)보다는 약 340만 년 앞서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거친 바람과 파도에 꺾이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하고 있다.

  • '''풍혈'''


풍혈(風穴)은 한여름에도 서늘한 냉기가 나오는 곳으로, 봉래폭포를 찾는 사람들의 필수 코스 중 하나이다. 땅 밑을 흐르는 지하수의 찬 공기가 바위틈으로 흘러나와 항상 4°C를 유지하기 때문에, 여름철 온도가 24°C 이상 올라갈 때는 찬 공기로 느껴지며, 겨울철 대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때는 오히려 따듯한 느낌을 준다.[31]

  • '''행남산책로'''


도동부두 왼쪽 해안을 따라 만들어진 산책로이다. 자연동굴과 골짜기를 잇는 교량 사이로 펼쳐지는 해안 비경을 볼 수 있다.

경상북도 문화관광공사(http://tour.gb.go.kr/main.do) 추천 명소

관음도
독도
독도 및 해돋이지광광 케이블카
봉래폭포
죽도
태하향목 관광모노레일



근해에서 꽁치, 명태(명란), 오징어 등이 잡히며, 주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땅이 척박하여 보리와 옥수수 정도밖에 재배할 수 없다. 포항항 등과 여객선이 운항하며, 한국 본토에서 오는 관광객은 연간 20만 명 정도이다. 육지(한국 본토)와의 교통이 불편하여 슈퍼마켓이나 상점이 없고, 어업협동조합이 판매 체인점을 운영한다.

7. 3. 교통

여객선은 울릉도를 접근하는 가장 일반적인 교통수단으로 저동항에서 다음과 같은 곳으로 여객선을 운항한다.

  • 묵호항여객터미널
  • 대아고속여객선 (썬플라워호, 오션플라워호, 씨플라워호)
  • 울진후포항 여객터미널
  • 동해해상해운
  • 포항항여객터미널
  • 강릉항여객선터미널


차량 및 화물 승선은 포항항에서만 가능하며, 울릉도는 LPG와 수소충전소가 없으므로 LPG 차량(현대 넥쏘 - 수소차)은 입항이 되지 않는다. 단, 전기차는 입항이 가능하며 울릉도 도동항에서 독도를 운항하는 것은 오션플라워호와 씨플라워호 그리고 삼봉호, 씨스타호가 있으며, 정기 운행은 되지 않는다.[3]

울릉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은 총 4개이며 운영업체로는 무릉교통이 유일하다. 대부분 중형 차량이나 소형 차량으로만 운행한다.

울릉도의 도로는 울릉도 전체를 일주하는 울릉도 일주도로가 있다. 또한 독도에는 독도안용복길독도이사부길이 있으며 울릉군의 본섬에는 태하령길 등 여러 지선 도로도 존재한다.

울릉도 가두봉 인근의 바다를 매립하여 1,200m급 활주로를 건설한 뒤, 공항을 건설하여 향후 제트기가 취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칭 울릉공항 건설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2020년 11월 27일에 착공됐고,[32] 2026년 12월 개항 예정이다.

7. 4. 기타

울릉도 근해에서 꽁치, 명태(명란), 오징어 등이 잡히며, 주민들은 주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땅이 척박하여 보리와 옥수수 정도밖에 재배할 수 없다. 포항항 등과 여객선이 운항하며, 한국 본토에서 오는 관광객은 연간 20만 명 정도이다. 육지(한국 본토)와의 교통이 불편하여 슈퍼마켓이나 상점이 없고, 어업협동조합이 판매 체인점을 운영한다.

8. 문화

울릉군은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독도박물관 설립이 결정되었고, 1997년 8월 8일 개관하였다.

8. 1. 축제

한국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인 울릉군에서는 눈꽃축제가 열린다. 2007년 울릉도에는 많은 눈이 내렸는데, 해안가에는 42cm, 나리분지에는 105cm의 적설량을 기록했다.[4] 하지만 울릉군에서는 눈이 충분하지 않아 2006년 이전에는 축제를 개최하지 않았다.[5]

8. 2. 대중 가요

독도는 우리 땅

8. 3. 상징

8. 4. 독도박물관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독도박물관 설립이 결정되었고, 울릉읍이 부지를 제공하고 삼성문화재단이 건설한 시설에 이종학 초대 관장이 30여 년간 국내외에서 수집한 자료를 중심으로 독도의용수비대 동지회 자료 등을 더하여 1997년 8월 8일 국내 유일의 영토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부지 면적은 2441평, 건물 연면적은 484평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이다. 1998년 8월 8일 개관 1주년을 기념하여 독도박물관 표석과 야외 독도박물원이 조성되었다.

9. 교육

울릉군의 교육은 경상북도울릉교육지원청에서 담당한다.[32] 2020년 기준으로 울릉군에는 유치원 5개원, 초등학교 4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2020년 3월 1일에는 울릉군 내 4개 중학교를 통합하여 기숙형 중학교인 울릉중학교가 신설되었다.[33]

9. 1. 학교

학교명주소학급수비고
울릉고등학교울릉읍 울릉순환로 2368학급
울릉중학교울릉읍 사동2길 2196학급2020년 3월 1일에 울릉군 내 4개 중학교를 통합해 신설된 기숙형 중학교[33]
우산중학교울릉읍 저동길 54-2020년 2월 29일 폐교
울릉서중학교서면 남서길 52-2020년 2월 29일 폐교
울릉북중학교북면 천부길 74-7-2020년 2월 29일 폐교
울릉중학교 태하분교서면 태하2길 28-2010년 3월 1일 폐교
울릉초등학교울릉읍 도동길1726학급
남양초등학교서면 남양1길 585학급
저동초등학교울릉읍 봉래길128-36학급
천부초등학교북면 천부길 95-34학급
저동국민학교 와달분교울릉읍 저동리 249-4[34]-1981년 2월 28일 폐교
천부초등학교 석포분교북면 천부리 102[35]-1998년 2월 28일 폐교
태하초등학교 학포분교서면 학포길 133-11-1999년 9월 1일 폐교
남양초등학교 구암분교서면 울릉순환로 1580-2000년 2월 29일 폐교
남양초등학교 통구미분교서면 통구미1길 56-2000년 2월 29일 폐교
울릉초등학교 장흥분교울릉읍 사동리 238[36]-2000년 3월 1일 폐교
남양초등학교 태하분교서면 태하길 130-2012년 3월 1일 폐교
천부초등학교 현포분교북면 현포1길 38-2024년 2월 29일 폐교
울릉초등학교병설유치원울릉읍 도동길1721학급
남양초등학교병설유치원서면 남양1길 581학급
천부초등학교병설유치원북면 천부길95-31학급
현포분교 병설유치원북면 현포1길 38-
저동초등학교병설유치원울릉읍 봉래길128-31학급
도동유치원(사립)울릉읍 행남길 92학급


10.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Ulleung County Administrative District http://ulleung.go.kr[...] 2018-05-19
[3] 웹사이트 Mysterious island Ulleung do https://web.archive.[...] 2008-01-26
[4] 웹사이트 눈꽃축제 울릉 반갑다! 폭설 http://www.imaeil.co[...] 2008-01-01
[5] 뉴스 설국(雪國) 울릉도 2년째 눈 부족 '속타네'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8-01-14
[6] 웹사이트 울릉군 상징물 http://ulleung.go.kr[...] 2018-05-19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2] 법률 지방자치법 1949-07-04
[13]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4]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릉도(11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릉도(11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6]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7] 서적 고려사 세가 우왕 5년 1379-01-01 # 우왕 5년을 기준으로 추정
[18] 서적 세종실록 153권, 강원도 삼척 도호부 울진현 http://sillok.histor[...] 세종실록 지리지
[19] 뉴스 六郡移付 https://web.archive.[...] 대한매일신보 1906-09-28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1] 법률 지방자치법 1949-07-04
[22]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3] 서적 고등학교 한국지리 금성출판사 2015-01-01
[24] 웹사이트 울릉군의 기후 www.ulleung.go.kr/06[...] 2011-07-19
[2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릉도(11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릉도(11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7] 웹사이트 일반현황 - 위치/면적 https://web.archive.[...] 2018-05-15
[28] 법률 # 조례로 추정 독도리 신설과 관련된 조례안 2000-04-07
[29]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30] 웹사이트 주민등록인구통계
[31] 웹인용 울릉도 관광가이드 https://web.archive.[...] 2011-07-21
[32] 뉴스 울릉공항 착공, 2025년 문연다…“비행기 타고 울릉도 간다” https://news.kbs.co.[...]
[33] 웹사이트 # 울릉중학교 홈페이지를 참고한 내용으로 추정 울릉중학교 통합 및 신축 이전
[34] 기타 저동리 일부 지역 주소 정보
[35] 기타 도로명주소 미발급 정보
[36] 기타
[37] 뉴스 수능 전 지진, 끝나니 풍랑… 보름째 집 못가는 울릉도 수험생들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7-11-24
[38] 뉴스 ‘울릉 수능고사장 설치’ 학생 80% 반대 http://www.hidomin.c[...] 경북도민일보 2018-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