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남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정맥은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 중 하나로, 호남 지방을 동서로 가르는 역할을 한다. 서쪽은 평야 지대, 동쪽은 산간 지대로, 농경, 산업, 생활 문화권에 차이를 발생시켰다. 주요 산으로는 내장산, 무등산, 조계산, 백운산 등이 있으며, 금남호남정맥을 포함하여 16개 구간으로 나뉜다. 산경표에는 웅치, 사자산, 내장산, 무등산, 조계산, 백운산 등이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금남호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금남호남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산경표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산경표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호남정맥
개요
이름호남정맥 (湖南正脈)
위치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주요 연결 산맥백두대간
분기점장수의 영취산
연결북쪽: 금남호남정맥으로 이어짐
남쪽: 영산기맥, 낙안기맥, 고흥지맥, 여수지맥 등으로 갈라짐
지리
주요 봉우리고흥 팔영산 (591m)
조계산 (884m)
백운산 (1,279m)
존제산 (703m)
무등산 (1,187m)
내장산 (715m)
추월산 (731m)
강천산 (584m)
방장산 (742.8m)
고성산 (606m)
문수산 (622m)
도솔산 (1,123m)
영취산 (1,076m)
장군봉 (734m)
마이산 (686m)
복룡산 (686m)
운장산 (1,126m)
특징호남 지방의 주요 산줄기를 형성
섬진강, 만경강, 동진강 등의 발원지
국립공원 및 도립공원 다수 위치
문화 및 역사
관련 문화등산 및 트레킹 코스로 활용
다양한 사찰 및 문화 유적 위치
기타 정보
참고 자료산경표
오마이뉴스 - 100대 명산, 호남정맥
블랙야크 명산 100 - 호남정맥

2. 지리적 특징

호남정맥은 한반도 남부의 호남 지방을 동서로 나누는 산줄기이다. 서쪽은 해안 평야 지대, 동쪽은 남원을 중심으로 한 산간 지대로, 농업, 산업, 생활 문화권에 큰 차이를 보인다.

장흥용두산에서 하동의 섬진강 하구까지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산줄기는, 지리산에서 김해의 낙동강 하구까지 이어지는 낙남정맥과 함께 한반도 남부 해안 지방의 동일한 생활 문화권역을 형성하게 했다.[1]

호남정맥에는 곰재, 만덕산, 경각산, 오봉산, 내장산, 백암산, 추월산, 산성산, 설산, 국수봉, 무등산, 천운산, 두봉산, 용두산, 제암산, 일림산, 방장산, 존제산, 백이산, 조계산, 희아산, 동주리봉, 백운산 등이 연결되어 있다.[1]

2. 1. 주요 산 목록

호남정맥의 주요 산 목록
구간주요 산비고
1~3구간영취산 - 장안산 - 밀목치 - 수분령 - 팔공산 (전북) - 성수산 - 마이산 - 부귀산 - 가죽재국도 제26호선 통과
4~5구간가죽재 - 주화산 - 모래재 - 곰티 - 슬치 - 갈미봉(540 m) - 경각산(659 m) - 불재 - 오봉산(513m) - 묵방산(538m) - 성옥산(388m)금남호남정맥에서 금남정맥 분리, 익산포항고속국도 통과, 순천완주고속국도, 국도 제17호선, 전라선 통과, 지방도 제749호선 통과, 모악지맥 분기
6구간성옥산 - 왕자산(442m) - 고당산(641m) - 개운치 - 추령국도 제29호선, 국지도 제49호선 통과, 구 국지도 제49호선 통과
7~9구간추령 - 내장산(763m) - 백암산(741m) - 추월산(731m) - 용추봉(584m) - 오정자재 - 산성산(603m) - 봉황산(235m) - 괘일산(441m) - 연산(508 m) - 만덕산(575m) - 수양산(591m) - 유둔재영산기맥 분기, 병풍지맥 분기, 지방도 제792호선 통과, 무이지맥 분기, 통명지맥 분기, 지방도 제887호선 통과
10~11구간유둔재 - 북산(778m) - 무등산(1187m) - 안양산(853m) - 별산(690m) - 묘치고개 - 돗재 - 태악산(524m) - 두봉산(630m) - 개기재 - 계당산(580m) - 예재/고치 - 봉화산(476m) - 고비산(416m) - 군치산(412m) - 곰치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2호선 통과, 지방도 제822호선 통과, 국지도 제58호선 통과, 국도 제29호선, 경전선 통과, 지방도 제839호선 통과
12~13구간곰치 - 바람재 - 가지산(510m) - 용두산 - 제암산(807m) - 사자산 - 일림산(667m) - 한치(297m) - 활성산(465m) - 봇재 - 봉화산(475m) - 그럭재 - 대룡산(420m) - 오도치땅끝기맥 분기, 사자지맥 분기,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77호선 통과, 국도 제2호선, 경전선 통과, 지방도 제845호선 통과
14~16구간오도치- 방장산(536m) - 석거리재 - 백이산(582m) - 고동산(709m) - 조계산(884m) - 접치 - 노고치 - 문유산(688m) - 송치 - 갓거리봉(688m) - 백운산(1228m) - 쫓비산(536m) - 매치 - 국사봉(445m) - 망덕산(197m) - 백운산고흥지맥 분기,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7호선 통과, 호남고속국도, 국도 제22호선 통과, 지방도 제857호선 통과, 국도 제17호선, 전라선 통과, 여수지맥 분기, 경전선 통과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는 산은 다음과 같다.


  • 웅치(熊峙)
  • 사자산(獅子山)
  • 운주산(雲住山)
  • 칠보산(七寶山)
  • 내장산(內藏山)
  • 백암산(白岩山)
  • 추월치(秋月峙)
  • 금성산(金城山)
  • 만덕산(萬德山)
  • 무등산(無等山)
  • 천운산(天雲山)
  • 화악산(華岳山)
  • 가야산(伽倻山)
  • 금화산(金華山)
  • 금전산(金錢山)
  • 조계산(曹溪山)
  • 동리산(洞裏山)
  • 송현(松峴)
  • 계족산(鷄足山)
  • 백운산

2. 2. 산경표 기록

wikitext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는 산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이름
웅치(곰재)
사자산
운주산
칠보산
내장산
백암산
추월치
금성산
만덕산
무등산
천운산
화악산
가야산
금화산
금전산
조계산
동리산
송현
계족산
백운산


3. 교통로

호남정맥은 여러 고개와 재를 통과하며, 이 곳을 통해 도로와 철도가 지나간다. 대표적으로 가죽재는 국도 제26호선, 곰티는 익산포항고속국도, 슬치는 순천완주고속국도, 국도 제17호선, 전라선이 통과한다.[1]

3. 1. 주요 교통로

고개/재지나는 도로 및 기타 시설
가죽재국도 제26호선
곰티익산포항고속국도
슬치순천완주고속국도, 국도 제17호선, 전라선
불재지방도 제749호선
개운치국도 제29호선, 국지도 제49호선
추령과거 국지도 제49호선
오정자재지방도 제792호선
유둔재지방도 제887호선
묘치고개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2호선
돗재지방도 제822호선
개기재국지도 제58호선
예재/고치국도 제29호선, 경전선
곰치지방도 제839호선
봇재국도 제18호선, 국도 제77호선
그럭재국도 제2호선, 경전선
오도치지방도 제845호선
석거리재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7호선
접치호남고속국도, 국도 제22호선
노고치지방도 제857호선
송치국도 제17호선, 전라선
매치경전선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