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전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전라선은 익산에서 여수엑스포까지 총 180.4km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13년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이리(현 익산)와 전주 간 협궤철도 부설을 허가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37년 순천-여수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이 완성되었으며, 해방 이후 여순사건, 6.25 전쟁 등의 영향으로 역사가 소실되기도 했다. 1981년 전주 도심 구간 이설, 1989년부터 시작된 노선 재포설 및 복선화 사업을 통해 1999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1년 복선 전철화 및 KTX 운행이 시작되면서 고속화 시대를 열었다. 현재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익산, 전주, 남원, 순천, 여수엑스포 등 5개 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전라선은 '무늬만 고속철도'라는 비판과 함께 고속철도 건설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 전라남도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전라남도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은 게이오 전철의 노선으로 도쿄도 시부야역과 무사시노시 기치조지역을 연결하며 17개 역으로 구성, 급행 및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된다.
  • 193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오사카 최초이자 일본 최초의 정부 운영 지하철 노선으로, 에사카역에서 나카모즈역까지 20개의 역을 잇는 24.5km의 노선이며,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선과 직결 운행하고, 10량 고정 편성 운용과 여성 전용 차량을 운영한다.
전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전라선
고유 이름전라선(全羅線)
고유 이름 (언어)ko
노선 색상0066b3
노선 종류중형 철도, 여객/화물 철도
광역철도, 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지역전라북도
전라남도
시작 지점익산
끝 지점여수엑스포
역 개수30
개통 시기1914년 - 1936년 사이 단계별 개통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 (km)180.4
선로 구성복선 (익산 - 여천)
단선 (여천 - 여수엑스포)
궤간1,435 mm
전철화교류 25 kV 60 Hz 가공 전차선
속도230km/h (최대)
노선 정보 (한국어)
한국어 이름전라선
한자 이름全羅線
로마자 표기Jeollaseo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Chŏllasŏn
주요 정보
노선 종류간선 철도
국가대한민국
노선 상태영업 중
기점익산역 (전라북도 익산시)
종점여수엑스포역 (전라남도 여수시)
역 개수31
개통일1914년 10월 17일 (이리~전주)
1930년 12월 20일 (순천~여수)
1931년 10월 15일 (전주~남원)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
1936년 12월 16일 (곡성~순천)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에스알SRT열차만 운행
전라선철도익산 - 신리간 BTL 및 유지 보수
영업 거리180.4 km
노선 번호309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구성2 (익산 - 여천)
1 (여천 - 여수엑스포)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ATP
영업 최고 속도익산 - 여수엑스포 200 km/h (KTX)
익산 - 여수엑스포 150 km/h (일반열차)
설계 최고 속도230 km/h
노선도
전라선의 위치

2. 역사

전라선은 1914년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이리~전주 구간을 협궤철도로 개통하면서 시작되었다.[19] 1927년 조선총독부에 인수되어 표준궤로 개량되었고, 경전북부선으로 불리다가 1937년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라선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

1948년 여순사건과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인해 일부 역사가 소실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24] 1981년에는 전주시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역이 이전하고, 동산~북전주 구간은 북전주선으로 분리되었다.[22]

1990년대부터는 선로 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위한 복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이 단계적으로 추진되었다.[22] 2011년에는 KTX 운행이 시작되면서 전라선 고속화 시대가 열렸다.[32]

2. 1. 일제강점기

1913년 1월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철도 부설면허를 받아 1914년 2월 자본금 30만 원으로 회사를 설립한 후, 60만 원으로 증자해 본사를 전주시에 두었다. 1914년 5월 토목공사에 착수해 같은 해 10월에 준공하고, 1914년 10월 17일 이리 ~ 전주 구간이 여객 운송을 개시하였다. 또한 화물 등 일반 운송업무는 같은 해 12월 1일부터 시작하였다.[19] 본선 철도 시설의 총 건설비는 1927년 기준으로 55만 3천 원[20]이었다. 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90만 원에 매수해 경전북부선으로 개칭하고, 표준궤로 개궤하였다. 그 당시 철도 종사원 수는 112명이었고 기관고 1개소, 정차장 7개소와 차량은 기관차 6량, 객차 18량, 화물차 53량 등이었다. 1926년 1일 1리 평균 수입은 51원으로, 사설철도 가운데 영업실적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936년개운역, 현재는 이설됨


그 이후 1929년 4월 18일 표준궤로 개궤하는 공사에 착공해 역사 등을 전면 신축하거나 개축했다. 개축 건조물 중 특이한 것은 익산역의 근대식 사옥 건물 구조와는 대조적으로 전주역사를 한옥 양식으로 세운 점이다. 1931년 10월 1일 전주 ~ 남원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1933년 10월 5일 남원 ~ 곡성, 1936년 12월 16일 곡성 ~ 순천 구간 등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순천 ~ 여수항 구간은 이미 개통된 남조선철도 소속 광려선[21]을 조선총독부가 1936년 9월 매수해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 광려선 인수와 함께 익산 ~ 여수항 구간을 전라선으로 개칭해 1937년 3월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8년 여순사건으로 압록역이 소실되었고,[24]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남원역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24] 1981년 전주 시내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역이 신축 이전되었고, 동산-북전주 구간은 북전주선으로 분리되었다.[22]

1990년대부터 선로 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위한 복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이 추진되었다.[22] 1989년 11월 18일 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 등 64.3km 구간을 1단계 구간으로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22] 이후 잔여구간을 2단계 구간으로 1998년 6월 12일 착공하였다.[22] 1단계 구간은 1999년 5월 18일 완공되었고, 2단계 압록~구례구 8.9km 구간은 2001년 12월 27일 단선 이설 후 2002년 10월 15일 복선화로 완공되었다. 임실~금지 49.4km 구간은 2004년 8월 31일 추가 완공되었다.

2008년 1월 1일 군산선이 장항선으로 편입되면서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2010년 10월 동운~순천 간 일부 구간(2.35km)이 지하로 이설되면서 순천 시내를 통과하도록 변경되어 복선화되었다. 2011년 4월 5일 순천~여수 구간 선로 이설로 덕양역, 여천역이 이전되고 신풍역, 미평역, 만성역이 폐역되었다. 2011년 10월 5일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4년 6월 1일부터 ITX-새마을도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4년 8월 18일부터 남원, 여천역 KTX 정차 횟수가 증가하였다.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익산역에서 호남고속선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KTX 진행 방향이 변경되었고 상행 10회, 하행 10회 등 이전보다 2편성 증가하였다. 열차 번호 순서도 재배치되었고 KTX-1이 일 상행 3편성, 하행 3편성 투입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를 통해 종점인 여수엑스포역까지 정차역 변수에 따라 2시간 40분에서 3시간 7분가량 소요된다.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KTX는 상행 14회, 하행 14회로 이전보다 4편성 증가하였고 증편된 4편성 가운데 2편성은 서대전역 경유 열차로 신설되었다.

2018년 현재 전라선 내 정차역은 11개 역이며,[23] 이 중 KTX 정차역은 익산-전주-남원-곡성-구례구-순천-여천-여수엑스포 등 8개 역이다. 전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익산-전주-남원-순천-여수엑스포 5개 역이다. 누리로도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2018년 8월 30일 상행열차를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서울을 오가는 전라선 경유 열차는 현재 여수엑스포-수서/용산/행신 열차지만, 예전에는 용산을 출발해 순천에서 여수 대신 경전선으로 진입하여 진주로 가는 야간 무궁화호 1편성도 있었다.

'''연혁'''

  • 1948년 11월 7일: 여순사건으로 압록역 소실(11월 8일 가역사 준공).
  • 1950년 7월 8일: 한국 전쟁으로 남원역 소실.
  • 1955년 9월 1일: 신풍역을 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 여객 및 소화물취급 개시.
  • 1956년 7월 27일: 남원역사 준공.
  • 1965년 6월 21일: 봉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오수역관리)
  • 1966년 10월 11일: 상동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67년 6월 7일: 산성역을 임시승강장으로 개업.
  • 1969년 10월 5일: 현재의 덕양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덕진역을 민수용 무연탄도착취급역 지정
  • 1975년 5월 1일: 덕진역을 민수용 무연탄도착취급역 지정 취소.
  • 1981년 5월 25일: 전라선의 전주도심구간 이설사업으로 동산 ~ 신리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산업단지의 화물 출입을 위하여 동산 ~ 북전주 구간은 북전주선으로 명칭변경. 전주역 신축 이전.
  • 1989년 11월 18일: 전라선 1단계 구간 선형개량 공사 착공(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의 64.3km)[24]
  • 1997년 6월 1일 : 춘포역 배치간이역으로 격하[25]
  • 1998년 6월 12일: 전라선 2단계 구간 선형개량 공사 착공(임실 - 금지, 압록 - 구례구의 58.3km)
  • 2011년 10월 1일 - 여수역의 역명을 여수엑스포역으로 변경.
  • 2011년 10월 5일 -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전 구간에서 KTX 운행 개시.
  • 2012년 5월 1일 - 고속화 사업 완료.

2. 3. 복선 전철화 및 고속화

1990년대 선로 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위해 신리-임실, 금지-압록, 구례구-동순천 등 64.3km 구간을 1단계로, 잔여 구간을 2단계로 나누어 복선화 공사가 진행되었다.[22] 1단계 구간은 1999년 5월 18일에 완료되었고,[26] 2단계 압록-구례구 구간(8.9km)은 2001년 12월 27일 단선 이설 후 2002년 10월 15일 복선화되었다. 임실-금지 구간(49.4km)은 2004년 8월 31일 추가 완공되었다.[27]

전주시 부근에서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인 모습


2004년 10월 8일, 동순천-순천 구간(2.9km) 복선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었고, 순천-여수 구간(33.7km) 복선전철화 공사도 착공되었다. 2011년 4월 5일 순천-여수 구간 선로 이설로 덕양역, 여천역이 이전되고 신풍역, 미평역, 만성역이 폐역되었다. 2011년 10월 5일 익산-여천 구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고[31] KTX 운행이 시작되면서 전라선 고속화 시대가 열렸다.[32]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KTX 운행 경로가 익산역에서 호남고속선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운행 횟수가 상·하행 각 10회로 증가하였다.[33]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KTX 운행 횟수가 상·하행 각 14회로 늘어났고, 증편된 열차 중 일부는 서대전역을 경유한다.

2018년 현재 전라선 KTX 정차역은 익산, 전주, 남원, 곡성, 구례구, 순천, 여천, 여수엑스포 등 8개 역이며, 전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익산, 전주, 남원, 순천, 여수엑스포 5개 역이다. 2023년 9월 1일부터 ITX-마음SRT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3년 7월 15일, 집중호우로 인해 일부 구간이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 작업을 통해 정상 운행되고 있다.

3. 노선 정보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호남선과 분기하여 전주, 남원, 순천을 거쳐 여수엑스포역에 이르는 철도 노선이다. 총 길이는 180.4km이며, 익산역 - 여천역 구간(170.9km)은 복선이다.[1] 전 구간이 교류 25kV, 60Hz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최고 운전 속도는 KTX 200km/h, 일반열차 150km/h이다.[1]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1] 1981년에는 전주역이 시가지에서 북동쪽 외곽으로 이전했다.[1] 최근에는 전철화 및 선형 개량을 통해 고속 운행이 가능해졌다.[1]

2011년 10월 5일부터 KTX 운행이 시작되어 용산역 - 여수엑스포역 간 운행 시간이 3시간 40분으로 단축되었고, 2012년 5월 1일에는 고속화 사업 완료로 3시간 23분까지 단축되었다.[1] 여수세계박람회 기간에는 열차가 증편 운행되기도 했다.[1]

3. 1.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KTX
SRT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선 용산역 방면익산Iksan益山0.00.0●●●●호남선
장항선
호남고속선전북특별자치도익산시동익산Dongiksan東益山2.82.8||||익산삼각선삼례Samnye參禮10.813.6|▲|●완주군동산Dongsan東山4.017.6||||북전주선전주시전주Jeonju全州7.925.5●●●●신리Sin-ri新里9.434.9||||완주군죽림온천Jungnim oncheon竹林溫泉5.140.0||||무인역관촌Gwanchon館村9.049.0||||임실군임실Imsil任實4.053.0|||▲봉천Bongcheon鳳泉6.359.3||||무인역오수Osu獒樹4.363.6|||▲서도Seodo書道5.969.5||||남원시산성Sanseong山城6.475.9||||무인역남원Namwon南原3.679.5●●●●주생Jusaeng周生5.885.3||||무인역옹정Ongjeong甕井3.088.3||||무인역금지Geumji金池3.191.4||||곡성Gokseong谷城5.797.1▲●▲●전라남도곡성군압록Amnok鴨綠11.5108.6||||구례구Guryegu求禮口8.8117.4▲▲●●순천시봉덕Bongdeok鳳德3.6121.0||||무인역괴목Goemok槐木5.2126.2||||무인역개운Gaeun開雲8.2134.4||||무인역동운Dongun東雲3.2137.6||||무인역순천Suncheon順天8.0145.6●●●●경전선성산Seongsan星山5.2150.8||||전경삼각선무인역율촌Yulchon栗村6.2157.0||||여수시덕양Deogyang德陽8.6165.6||||여천선여천Yeocheon麗川5.3170.9▲●●●여수엑스포Yeosu-Expo麗水EXPO9.5180.4●●●●


3. 2. 지선 노선

전라선에는 총 2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북전주선동산역북전주역1.7
여천선덕양역적량역11.6



'''북전주선'''은 동산역북전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본래 전라선 본선 구간에 해당되었으나, 1981년 5월 25일 동산역 ~ 신리역 구간이 이설되면서 전주산업단지 화물 출입을 위해 동산 ~ 북전주 구간을 존치시킨 것이다.

'''여천선'''은 덕양역적량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여수국가산업단지로 이어지는 화물 전용 노선이다.

4. 운영 현황

전라선은 호남 지방에서 인구가 많고 산업단지가 밀집한 지역을 연결하여 여객 및 화물 수요가 많은 편이다. 2011년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는 병행하는 고속도로가 없어 철도 이용객이 더욱 많았다.[35]

2023년 기준 전라선의 열차 통과량은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익산 - 동산18318155745
동산 - 순천17418157646
순천 - 여천18016152134
여천 - 여수엑스포6016150031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에 따른 전라선 이용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1000000000000000
통일(통근)330,709299,433260,924248,412191,758228,000263,561275,31200000000
무궁화호2,360,0192,490,2912,299,8012,135,0732,016,6202,146,4562,096,1542,083,1402,217,8632,158,1042,253,1722,263,4872,820,2022,516,1542,438,3132,356,354
새마을호348,296362,697327,004295,113318,822344,182340,486361,153377,729398,950445,262433,937269,819207,392287,812320,643
KTX미개통137,116826,339864,5351,001,4351,491,138
건설6,2798,2619,1749,926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71,39986,76173,18257,137
합계3,116,7033,247,4432,970,0852,745,6612,527,2002,718,6382,700,2012,719,6052,595,5922,557,0542,698,4342,834,5403,916,3603,588,0813,727,5604,168,135


4. 1. 열차 운행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앞서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전라선에 한국 고속철도 서비스를 도입했다.[10] 2011년 10월 5일부터 KTX 운행을 시작하여 용산역 - 여수엑스포역 구간을 3시간 40분에 연결했다. 2012년 5월 1일에는 고속화 사업 완료에 따라 최고 3시간 23분으로 단축되었다. 전라선 구간 내 KTX 최고 속도는 230km/h이다.

ITX-새마을용산역에서 전주역까지 최소 3시간 28분, 순천역까지 4시간 33분, 여수역까지 5시간 15분이 소요된다.[13] 무궁화호는 정차역 수에 따라 익산~여수 구간을 최소 2시간 30분에서 최대 4시간 만에 주파한다.[13]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개최된 2012 여수세계박람회 기간에는 열차가 증편되었고, KTX 중 하행 1편은 최고 속도 3시간 2분으로 운행되었다.

4. 2. 교통량

전라선은 호남 지방에서 인구가 많고 산업단지가 밀집한 지역을 연결하여 여객 및 화물 수요가 많은 편이다. 2011년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는 병행하는 고속도로가 없어 철도 이용객이 더욱 많았다.[35] 2023년 기준 전라선의 열차 통과량은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익산 - 동산18318155745
동산 - 순천17418157646
순천 - 여천18016152134
여천 - 여수엑스포6016150031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에 따른 전라선 이용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1000000000000000
통일(통근)330,709299,433260,924248,412191,758228,000263,561275,31200000000
무궁화2,360,0192,490,2912,299,8012,135,0732,016,6202,146,4562,096,1542,083,1402,217,8632,158,1042,253,1722,263,4872,820,2022,516,1542,438,3132,356,354
새마을348,296362,697327,004295,113318,822344,182340,486361,153377,729398,950445,262433,937269,819207,392287,812320,643
KTX미개통137,116826,339864,5351,001,4351,491,138
건설6,2798,2619,1749,926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71,39986,76173,18257,137
합계3,116,7033,247,4432,970,0852,745,6612,527,2002,718,6382,700,2012,719,6052,595,5922,557,0542,698,4342,834,5403,916,3603,588,0813,727,5604,168,135


5. 문제점 및 개선 노력

2011년 복선 전철화와 KTX 운행에도 불구하고, 전라선은 속도 제한과 기존 선로 활용으로 인해 '무늬만 고속철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전라선 권역 지방자치단체장들은 고속철도 건설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37]

5. 1. '무늬만 고속철도' 비판

2011년 10월 5일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5월 1일 고속화되었으나, 최고 속도가 230km/h로 제한되고 기존 선로를 활용하는 구간이 많아 새마을호와 비슷한 중저속으로 운행하면서 '무늬만 고속철도'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3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선 권역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나섰다.[37]

5. 2.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요구

1990년 이리에서 여수까지 잇는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계획이 경부고속철도와 호남, 동서고속철도에 이어 4번째로 수립되었다.[36] 2011년 10월 5일 전라선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5월 1일 고속화되어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다.

그러나 230km/h까지만 운행이 가능하고 기존 선로로 운행하기 때문에 새마을호와 비슷한 중저속으로 운행하면서 '무늬만 고속철도'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선권 지자체장들은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37]

참조

[1] 웹사이트 전라지방 - 교통∙통신체계의 발달 http://www.land.go.k[...] Land Portal 2010-12-04
[2] 웹사이트 안전제일 철도에서 위험천만 돌밭길로? http://www.ohmynews.[...] OhmyNews 2010-12-04
[3]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2010-11-27
[4] 웹사이트 여수 율촌역 http://www.sunchonne[...] Sunchonnet.com 2010-12-04
[5] 웹사이트 전라선 복선화 16년간의 대장정, 한국철도 지도를 바꾸다! http://railnews.kora[...] Korail 2010-11-04
[6] 웹사이트 From the coal transportation hub to the four-season leisure and sports gateway - Gohan Station (Jeongseon-gun, Gangwon-do). http://www.investkor[...] InvestKorea 2010-11-04
[7] 웹사이트 전라선 복선전철화 http://www.krnetwork[...]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0-10-24
[8] 간행물 Korea's railways face a bright future http://www.railjourn[...] 2010-08-29
[9] 웹사이트 지역 현안 사업 http://mayor.yeosu.g[...] Mayor of Yeosu's office 2010-11-12
[10] 간행물 South Korea's growing network http://www.railwayga[...] 2010-08-29
[11] 웹사이트 순천~여수 복선전철 http://www.krnetwork[...]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0-10-24
[12]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09-02
[13] 웹사이트 Booking https://web.archive.[...] Korail 2010-10-28
[14] 뉴스 https://web.archive.[...] 2010-05-12
[15] 뉴스 여수엑스포 SOC 사업, 속도 낸다 http://news.chosun.c[...] 2011-02-17
[16] 일반
[17] 일반
[18] 일반
[19] 일반
[20] 일반
[21] route
[22] 뉴스 1998년 완공될 전라선 직선화 작업 https://news.kbs.co.[...] 1994-09-18
[23] route
[24] 뉴스 철도청, 전라선 직선화 착공 https://imnews.imbc.[...] 1989-11-28
[25]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26] 뉴스 전라선 1단계 개량구간 개통 https://news.kbs.co.[...] 1999-05-18
[27] 뉴스 철도청, 전라선 개량사업 완료 https://n.news.naver[...] 2004-08-09
[2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29] 뉴스 전라선철도 여천터널 5.9㎞ 관통 https://news.mt.co.k[...] 2007-01-24
[30] 뉴스 서울~문산, 서울~포천 고속도로 민자사업 추진 https://n.news.naver[...] 국정브리핑 2007-03-30
[31] 뉴스 전라선 복선전철 개통…서울~여수 KTX 3시간대 https://www.mbn.co.k[...] MBN 2011-10-05
[32] 뉴스 전라선 고속화...여수엑스포 가기 편하다! https://www.ytn.co.k[...] YTN 2012-04-30
[33] 뉴스 여수~서울 호남고속철 개통 관광업 '맑음' 의료업 '흐림' http://www.jnilbo.co[...] 전남일보 2015-04-03
[3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35]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36] 뉴스 전라선 고속전철 건설 계획, 오는 2008년 완공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0-08-09
[37] 뉴스 "전주에 KTX 전용선 놓이나".. 신규 철도망 시급 https://www.youtube.[...] 전주MBC 2020-11-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