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등산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과거에는 무진악, 무악 등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서석산으로 불리기도 했다.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12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지리적으로 소백산맥에 속하며, 서석대, 입석대, 삼존석 등의 기암괴석과 주상절리대가 특징이다. 삵, 수달 등 멸종 위기종이 서식하며, 문화 유적과 등산로, 방송 송신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동구의 지리 - 너릿재
너릿재는 동학농민운동, 화순 탄광 노동자 학살, 5.18 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아픔이 서린 장소이며, 1971년 너릿재 터널 개통 이후 옛길은 더 이상 도로로 사용되지 않는다.
무등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Mudeungsan |
한글 | 무등산 |
한자 | 無等山 |
지리 | |
위치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북구, 전라남도 화순군, 담양군 |
산맥 | 호남정맥 |
해발고도 | 1187m |
기타 | |
종류 | 국립공원 |
2. 이름
광주의 옛 이름인 무진주에 있는 산이라 하여 무진악 또는 무악이라 불렀고, 대개 큰 산이 그렇듯 무속과 연관하여 무덤산, 무당산이라고도 했다. 무등산은 대체로 바위가 아니라 흙으로 이루어진 산이지만, 정상 부근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바위가 웅장하며 아름답다. 그래서 고려 시대에는 서석산이라고 불렸다.[6] 불교 전래 후 부처가 세상 모든 중생과 견줄 수 없이 우뚝하다는 존칭으로 옛 이름과도 유사한 무등산(無等山)이라 부르게 되었다.[7] 다만, 이는 같은 우리말 이름에 대한 한자표기를 바꾸어 해석을 달리했을 뿐으로, 원지명은 광주의 고유지명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비롯한다. 무진(武珍)에서 珍은 오늘날에는 한자음으로 진으로 읽으나, 과거에는 새김으로 읽어 들, 돌로 발음하였고, 무등(無等)또한 유사한 음차표기이다. 이두표기로 水入伊란 지명도 있어서 방증된다. 무등산 주위를 순환하는 51.8km의 무돌길도 만들어졌다.
광주의 옛 이름인 무진주에 있는 산이라 하여 무진악 또는 무악이라 불렀고, 큰 산이 무속과 연관되어 무덤산, 무당산이라고도 불렸다. 무등산은 흙으로 이루어진 산이지만, 정상 부근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바위가 웅장하고 아름다워 고려 시대에는 서석산이라고 불렸다. 불교 전래 후 부처가 세상 모든 중생과 견줄 수 없이 우뚝하다는 존칭으로 옛 이름과도 유사한 무등산(無等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다만, 이는 같은 우리말 이름에 대한 한자표기를 바꾸어 해석을 달리했을 뿐으로, 원지명은 광주의 고유지명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비롯한다. 무등산 주위를 순환하는 51.8km의 무돌길도 만들어졌다. 무진(武珍)에서 珍은 오늘날에는 한자음으로 진으로 읽으나, 과거에는 새김으로 읽어 들, 돌로 발음하였고, 무등(無等)또한 유사한 음차표기이다. 이두표기로 水入伊란 지명도 있어서 방증된다.
광주의 옛 이름인 무진주에 있는 산이라 하여 무진악 또는 무악이라 불렀고, 무속과 연관하여 무덤산, 무당산이라고도 했다. 무등산은 대체로 흙으로 이루어진 산이지만, 정상 부근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바위가 웅장하며 아름답다. 고려 시대에는 서석산이라고 불렀다. 불교 전래 후 부처가 세상 모든 중생과 견줄 수 없이 우뚝하다는 존칭으로 옛 이름과도 유사한 무등산(無等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다만, 이는 같은 우리말 이름에 대한 한자 표기를 바꾸어 해석을 달리했을 뿐으로, 원래 지명은 광주의 고유 지명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비롯한다. 무진(武珍)에서 珍은 오늘날에는 한자음으로 진으로 읽으나, 과거에는 새김으로 읽어 들, 돌로 발음하였고, 무등(無等) 또한 유사한 음차 표기이다. 이두 표기로 水入伊란 지명도 있어서 방증된다. 따라서 무등산 주위를 순환하는 51.8km의 무돌길도 만들어졌다.
3. 역사
무등산의 도립공원 및 국립공원 지정 역사는 다음과 같다.날짜 내용 1972년 5월 22일 무등산 도립공원 지정[8] 1974년 4월 29일 공원기본계획 고시(전남고시 제61호) 1987년 9월 1일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 설치 1998년 9월 24일 무등산 보존과 이용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실패 2001년 12월 7일 공원기본계획 변경고시 2010년 12월 24일 무등산 국립공원 승격지정 건의(광주광역시 → 환경부) 2012년 12월 27일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환경부고시 제2012-252호) 2013년 1월 16일 ‘공원관리청의 직무위임·위탁에 관한 규정’ 개정 고시 (환경부 고시2013-4호) 2013년 3월 4일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동부사무소 설치[8] 2015년 12월 3일 군사 기지 철수 통보[8]
2012년 12월 27일 국립공원으로 승격될 당시 지정 면적은 75.425km2이다. 단, 광주호 일대와 소쇄원을 비롯한 가사문화권 지역은 주민과 지방정부의 반대로 제외됐다.
4. 지리
등산로인 옛길 1구간은 산수동오거리-(0.8km)-무등산 옛길 입구, 무등파크맨션 버스정류장-(0.7km)-잣고개-(0.1km)-동문지터-(1.7km)-청풍쉼터, 김삿갓 시비-(2.8km)-충장사-(1.7km)-원효봉 너덜겅-(0.9km)-무등산장, 원효사 일주문 구간이고, 옛길 2구간은 원효사-공원관리사무소-서석대에 이르는 구간이다. 무등파크맨션 앞의 좁은 골목길이 무등산 옛길 1구간의 입구이다. 잣고개까지는 가파른 산길이다. 잣은 성(城)의 고어로, 잣고개에는 무진고성이 있다. 잣고개를 내려서면 동문지터가 나온다. 동문지터로 가려면 찻길 하나를 건넌다.[22] 2구간 코스는 길이가 4.12km로, 오르는 데만 2시간 정도 걸린다. 공원관리사무소 뒷길로 들어서 주검동(쇠로 무기를 만들던 곳)과 충장공 유적지 옆을 지나 원효계곡 상류를 따라 군사작전도로와 만난다.[23]
무등산은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광주광역시, 화순군, 담양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8] 광주호 지역과 일부 문화재 구역은 지방 정부와 주민들의 반대로 국립공원에서 제외되었다.[10]
소백산맥은 무등산의 주요 산맥이다. 무등산은 지면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13.2°C로, 광주 시내보다 5°C 낮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500mm로, 광주 시내보다 200mm 이상 많다. 맑은 날은 연간 53일이다.[17]
4. 1. 경관
무등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가면 수십 길 높이의 북 모양 석조 수십 개가 울타리처럼 서 있는데, 이것이 서석대이다. 산허리 남쪽에는 입석대가 있고, 동쪽에는 수백 척 높이의 거석 세 개가 서 있는데, 이것이 삼존석이다. 그 부근에는 송하, 광석, 풍혈, 장추, 청학, 송광, 능암, 법화, 설법, 은신 등 10개의 석대가 있는데, 이 중 광석, 풍혈은 강봉의 입석과 함께 절경으로 꼽힌다.[22]
산의 동서 양편 사이에는 바위돌을 깎아 세운 듯 솟아 있는 석벽이 있다. 석벽 가운데에는 지공(指空) 너널이라는 천연 석실이 있는데, 지공과 뇌공(懶空)이라는 두 선사의 신비로운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원효, 증심, 규봉 등 신라의 고찰 세 곳이 있으며, 규봉암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명장이자 충신으로 알려진 충장공 김덕령 장군이 이곳에서 무예를 닦았으며, 산 곳곳에 유적이 많다. 특히 장군의 여러 기적을 보여주는 주검바위가 가장 유명하다.[22]
해발 1,187m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수직 절리 암석들이 돌기둥처럼 솟아 장관을 이룬다. 옥새 모양의 새인봉은 장불재 서쪽 능선에 병풍 같은 바위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우리, 기암괴석 등 61곳의 경관 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이 있다.[24]
4. 2. 주상절리대
무등산의 주상절리는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1][12]
5. 생태
소백산맥은 무등산의 주요 산맥이다. 무등산은 지면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13.2°C로, 광주 시내보다 5°C 낮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500mm로, 광주 시내보다 200mm 이상 많다. 맑은 날은 연간 53일이다.[17]
6. 문화
무등산에는 서석대, 입석대, 삼존석 등 다양한 바위들과 지공, 뇌공 두 선사의 전설이 깃든 지공 너덜, 신라의 오래된 절인 원효, 증심, 규봉 세 절, 임진왜란 때 활약한 조선의 명장 김덕령 장군이 무예를 닦았던 곳 등 다양한 문화 유산이 있다. 특히 한국전쟁 때 소실된 규봉암과 김덕령 장군의 기적을 담은 주검바위가 유명하다.[22]
무등산 옛길은 1구간과 2구간으로 나뉜다. 1구간은 산수동오거리에서 시작하여 무등산 옛길 입구, 잣고개, 동문지터, 청풍쉼터, 김삿갓 시비, 충장사, 원효봉 너덜겅을 거쳐 무등산장, 원효사 일주문에 이르는 길이다. 잣고개에는 무진고성이 있고, 동문지터로 가려면 찻길을 건너야 한다.[22] 2구간은 원효사에서 공원관리사무소, 서석대에 이르는 4.12km 구간으로, 오르는 데 2시간 정도 걸린다. 공원관리사무소 뒷길로 들어가 주검동과 충장공 유적지 옆을 지나 원효계곡 상류를 따라 군사작전도로와 만난다.[23]
6. 1. 문화재
무등산의 주상절리는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1][12]수달, 삵, 말똥가리, 원앙 등 멸종 위기 동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문화 유적도 다수 존재한다.[13]
6. 2. 주변 명소
서석대는 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가면 나타나며, 수십 개의 북 모양 석조가 울타리처럼 둘러싸고 있다. 산허리 남쪽에는 입석대가, 동쪽에는 세 개의 거석인 삼존석이 있다. 그 부근에는 광석, 풍혈 등 10개의 석대가 있는데, 강봉의 입석과 함께 절경으로 꼽힌다.[22]산 동서 양편에는 바위돌을 깎아 세운 듯한 석벽이 있고, 그 가운데에는 지공 너덜이라는 석실이 있다. 이곳은 지공과 뇌공 두 선사의 전설이 깃든 곳이다. 원효, 증심, 규봉 세 절은 모두 신라 시대의 오래된 절이며, 규봉암은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명장 김덕령 장군이 무예를 닦았던 곳으로, 산 곳곳에 유적이 많다. 특히 장군의 기적을 담은 주검바위가 유명하다.[22]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해발 1,187m)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장관을 이룬다. 새인봉은 장불재 서쪽 능선에 병풍 같은 바위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 기암, 괴석 등 61개소의 경관자원이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이 있다.[24]
무등산 주변 명소는 다음과 같다.
7. 등산
무등산에는 다양한 등산로가 있다. 옛길 1구간은 산수동오거리에서 무등산 옛길 입구, 잣고개, 동문지터를 거쳐 청풍쉼터, 김삿갓 시비, 충장사, 원효봉 너덜겅, 무등산장, 원효사 일주문으로 이어진다. 잣고개까지는 가파른 산길이며, 잣고개에는 무진고성이 있다. 잣고개를 내려서면 동문지터가 나온다.[22] 옛길 2구간은 원효사에서 공원관리사무소를 지나 서석대까지 4.12km 거리로, 오르는 데만 2시간 정도 걸린다. 공원관리사무소 뒷길로 주검동(쇠로 무기를 만들던 곳), 충장공 유적지 옆을 지나 원효계곡 상류를 따라 군사작전도로와 만난다.[23]
해발 1,187m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솟아 장관을 이룬다. 장불재 서쪽 능선에는 병풍같은 바위절벽으로 이루어진 새인봉이 있으며,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 기암, 괴석 등 경관자원 61개소가 있다.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이 보존되어 있다.[24]
7. 1. 정상 개방
1966년 군부대 주둔 이후 45년 만인 2011년 5월 14일에 무등산 정상 부근인 인왕봉과 지왕봉이 개방되었다. 정상인 천왕봉은 방공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서 개방되지 않았다. 장불재에서 군부대의 보안사항을 들은 뒤 신분 확인(신분증 지참)을 받고 부대를 출입할 수 있다.[25]개방은 2011년에는 연 2회(5월, 10월), 2012년에는 연 4회(4월, 7월, 10월, 11월) 시행되었다. 2014년에는 한 차례,[15] 2015년에는 세 차례 개방되었다.[16]
8. 방송 송신 시설
무등산에는 여러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디지털TV | ||||
---|---|---|---|---|
가상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물리채널 | 출력 |
CH 6-1 | KBC DTV | HLDH-DTV | CH 15 | 2.5kW |
CH 7-1 | KBS광주 DTV2 | HLAA-DTV | CH 18 | 2.5kW |
CH 9-1 | KBS광주 DTV1 | HLKH-DTV | CH 17 | 2.5kW |
CH 10-1 | EBS 1(지상파) | HLQL-DTV | CH 32 | 2.5kW |
CH 10-2 | EBS 2(지상파) | HLQL-DTV | CH 32 | 2.5kW |
CH 11-1 | 광주MBC DTV | HLCN-DTV | CH 14 | 2.5kW |
이들 디지털TV 방송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중북부 지역에서 시청 가능하다.
UHD | ||||
---|---|---|---|---|
가상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물리채널 | 출력 |
CH 6-1 | KBC 광주방송 UHDTV | HLDH-DTV | CH 53 | 5kW |
CH 9-1 | KBS광주 DTV1 | HLSA-UHDTV | CH 56 | 5kW |
CH 9-1 | KBS광주 DTV1 | HLKH-UHDTV | CH 52 | 5kW |
CH 11-1 | 광주MBC DTV | HLCN-UHDTV | CH 55 | 5kW |
UHD 방송 역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중북부 지역에서 시청 가능하다.
FM 라디오 | |||
---|---|---|---|
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89.7MHz | BBS광주불교방송 | HLDB-FM | 3kW |
90.5MHz | KBS광주 제1라디오 | HLKH-SFM | 5kW |
91.5MHz | 광주MBC FM4U | HLCN-FM | 5kW |
92.3MHz | KBS광주 음악FM | HLKH-FM | 5kW |
93.1MHz | 광주극동방송 | HLED-FM | 1kW |
93.9MHz | 광주MBC 라디오 | HLCN-SFM | 5kW |
95.5MHz | KBS광주 제2라디오(해피FM) | HLAA-SFM | 3kW |
96.5MHz | 국방FM | HLSE-FM | 0.5kW |
97.3MHz | TBN광주교통방송 | HLDM-FM | 3kW |
98.1MHz | 광주CBS 음악FM | HLEM-FM | 1kW |
98.7MHz | GFN광주영어방송 | HLSY-FM | 1kW |
99.3MHz | 광주국악방송 | HLEG-FM | 1kW |
99.9MHz | CPBC광주가톨릭평화방송 | HLDL-FM | 3kW |
101.1MHz | KBC MyFM | HLDH-FM | 5kW |
103.1MHz | 광주CBS 라디오 | HLCL-FM | 5kW |
105.3MHz | EBS FM | HLQL-FM | 3kW |
107.9MHz | wbs광주원음방송 | HLQN-FM | 1kW |
FM 라디오 방송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중북부 지역에서 청취 가능하다.
지상파 DMB | ||||
---|---|---|---|---|
방송국명 | 채널목록 | 호출부호 | 채널(주파수) | 출력 |
Honam MBC | myMBC TV | HLCN-TDMB | CH 8-A (181.280MHz) | 2kW |
U-KBS | KBS STAR | HLKH-TDMB | CH 8-B (183.008MHz) | 2kW |
HD KBS STAR | ||||
KBS HEART | ||||
KBS MUSIC | ||||
KBC u | KBC-SBSu | HLDH-TDMB | CH 8-C (184.736MHz) | 2kW |
JTV-mYTN |
지상파 DMB 방송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중북부 지역에서 시청 가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udeungsan National Park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6-01-17
[2]
서적
한국의 산 여행 (Travel Guide to Korean Mountains)
관동 상억연구회 (Kwandong)
[3]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Park Service
http://mudeung.knps.[...]
2013-11-03
[4]
웹사이트
무등산국립공원 - 정상개방으로 천왕봉과 하늘이 열리던 날
http://saygj.com/379[...]
광주광역시
[5]
웹사이트
무등산의 경관
http://geopark.gwang[...]
[6]
웹사이트
무등산
http://terms.naver.c[...]
2015-12-13
[7]
웹사이트
history of changing name
https://encykorea.ak[...]
[8]
웹사이트
산/사찰 - 무등산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무등산소개
http://www.mudeungsa[...]
[10]
뉴스
무등산 21번째 국립공원 됐다...24년만의 신규지정(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2-21
[11]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Jusangjeolli Cliff of Mudeungsan Mountain (무등산 주상절리대)
http://english.visit[...]
English.visitkorea.or.kr
2016-01-17
[13]
뉴스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천연기념물-보물 등 많아
http://www.polinews.[...]
2012-12-28
[14]
웹사이트
무등산 정상 45년만에 열린다
http://www.hani.co.k[...]
2015-12-13
[15]
웹사이트
Daum 카페
http://cafe.daum.net[...]
2015-12-21
[16]
웹사이트
11월7일 무등산 정상 개방
http://www.asiae.co.[...]
2015-12-21
[17]
웹사이트
무등산국립공원-자연환경
http://www.mudeungsa[...]
[18]
웹사이트
주변관광지
http://www.mudeungsa[...]
[19]
웹인용
무등산국립공원
http://www.knps.or.k[...]
2020-11-25
[20]
뉴스
무등산 21번째 국립공원 됐다…24년만의 신규지정(종합)
https://news.v.daum.[...]
[21]
웹인용
무등산도립공원
https://web.archive.[...]
2008-08-23
[22]
서적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23]
뉴스
신비에 묻혔던 … 무등산 속살 드러내다
http://life.joins.co[...]
중앙일보사
2009-06-15
[24]
웹사이트
국립공원-무등산국립공원,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ttp://mudeung.knps.[...]
[25]
웹인용
무등산 정상 45년만에 열린다
http://www.hani.co.k[...]
2012-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