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진강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 걸쳐 있는 강으로, 광양만으로 흘러든다. 고려 시대 왜구 침략 시 두꺼비가 울어 물리쳤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총 길이는 223.8km이며, 유역 면적은 4,911.9km²이다. 섬진강은 임실, 남원, 곡성 등 분지를 지나며, 섬진강댐, 섬진강 수력 발전소 등이 건설되어 수력 자원으로 활용된다.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된 데미샘을 포함하며, 보성강, 요천 등 여러 지류를 갖는다. 영남 지괴의 산악 지역을 흐르며, 하구에는 갯벌이 발달해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섬진강 유역은 강수량이 많아 유량이 풍부하며, 하구는 광양만에 갯벌을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하천 - 영산강
영산강은 대한민국 남서부를 흐르는 강으로, 담양군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를 관통하며 여러 지류를 이루고 하중도를 형성하며 흐른다. - 전라남도의 하천 - 삼포강
- 전북특별자치도의 하천 - 금강
금강은 전북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충남과 전북 경계를 따라 서해로 흐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송로이자 백제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현대에는 댐과 하굿둑이 건설되어 농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에 활용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하천 - 원평천
원평천은 정읍시에 위치한 교량으로,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상에 여러 개의 교량이 있으며, 신원평교 건설로 인해 구 도로 원평교의 통행량이 감소하였다. - 경상남도의 하천 - 수영강
수영강은 울주군 백운산에서 발원하여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과거 영천, 사천 등으로 불리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 설치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 경상남도의 하천 - 낙동강
낙동강은 경상북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으로, 다양한 습지와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지만 과거 수질 오염 사고를 겪기도 했다.
| 섬진강 | |
|---|---|
| 개요 | |
![]() | |
| 다른 이름 | 섬진강 (蟾津江, Seomjin River) |
| 위치 | 대한민국 |
| 발원지 | 팔공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백운면) |
| 하구 | 광양만 |
| 수계 | 남해로 흐르는 강 |
| 한국에서 몇 번째로 긴 강 | 7번째 |
| 대한민국에서 몇 번째로 긴 강 | 4번째 |
| 지리 | |
| 유역 |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
| 도시 | 진안군 정읍시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 곡성군 구례군 광양시 하동군 |
| 왼쪽 지류 | 보성강 |
| 관련 목록 | 한국의 강 |
| 길이 및 면적 | |
| 길이 | 212.3 km |
| 유역 면적 | 4,896.5 km² |
| 수문 정보 | |
| 평균 유량 | 670 m³/s |
| 기타 정보 | |
| 웹사이트 | 곡성 섬진강 이야기 |
2. 어원
섬진강은 현지에서 모래내, 두치 등으로 불렸는데, 이는 모래사장이 넓게 발달했기 때문이다.[7] 고려 우왕 때 왜구가 침략했다가 수만 마리의 두꺼비가 한꺼번에 울어 놀라 물러났다는 전설이 있는데, 여기서 섬진(蟾津, 두꺼비 나루)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고, 이것이 강 이름으로 굳어졌다. 섬진은 오늘날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에 있던 군사 요충지이다.[8]
섬진강 유역에는 임실, 남원, 곡성 등의 분지가 있으나 평지는 극히 드물다. 수력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여 섬진강댐, 섬진강 수력 발전소, 보성강 등에 유역 변경식 발전소가 있다. 섬진강의 길이는 223.8km, 유역 면적은 4911.9km2이다. 강이 좁고 물속에 바위가 많아 선박 운항에는 불편하여 가항 거리는 39km에 불과하다.[4]
3. 수역
3. 1. 발원지 데미샘
금남호남정맥의 산줄기인 팔공산 북서쪽 '천상데미(하늘에 오르는 봉우리)' 서쪽 기슭, 진안군 백운면 원신암마을 북쪽계곡 상추막이골에 섬진강 발원샘인 '데미샘'이 있다. 섬진강은 데미샘에서 남해 광양만까지 223km를 흘러가는 호남 지방의 젖줄기이고, 데미샘은 전국에서 네 번째로 긴 섬진강의 발원지로서 상징성을 지니고 있어 2016년 1월 5일 산림청장이 국가산림문화자산 제2015-0008호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으로 지정하였다.[9]
3. 2. 지류
섬진강 유역에는 임실, 남원, 곡성 등의 분지가 있으나 평지는 극히 드문 편이다. 수력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며, 섬진강 본류를 가로지르는 다목적댐인 섬진강댐과 유역 변경식 발전소인 섬진강 수력 발전소, 지류인 보성강 등에도 유역 변경식 발전소가 있다. 섬진강의 길이는 223.8km, 유역 면적은 4911.9km2이다. 강이 좁고 물속에 바위가 많아 선박이 다니는 데 불편해서 가항 거리는 39km에 불과하다.[4]
섬진강의 지류는 다음과 같다.
4. 지리
섬진강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여러 산악들 사이를 굽이굽이 흘러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남원, 구례, 순천과 같은 도시들이 섬진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다.[10]
4. 1. 지질 및 지형
섬진강은 영남 지괴의 일부를 이루는 산악 지역을 흐른다. 지질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기반암이 오랜 세월 변형된 변성암으로 편마암이 흔하다.[11] 산지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경사가 급한 편이지만[12] 하구에 이르러 경사가 완만해지면서 다양한 침식 지질 구조를 형성하고 습지가 발달해 있다.[13] 강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해 자연적인 소호는 발달하지 않았고 현재 있는 것은 모두 인공적인 저수지이다.[11]현대에 들어 댐 건설, 하천 직선화 토건 사업, 교량의 설치 등으로 바닥에 퇴적물이 쌓여 하상 변화율이 커졌다.[14] 1993년 주암댐 건설 이후 하구인 하동읍 지역은 유지 수량의 부족으로 황폐화되었다. 행정당국은 토사를 준설하고 쓰레기를 치우며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고 있으나 수량 부족의 원인인 댐이 있는 한 근본적인 치유가 되고 있지는 못하다.[15]
4. 2. 생태
섬진강의 생태권은 산악 지대 하천의 특성을 보이는 중상류와 갯벌이 발달하여 민물과 바닷물이 섞인 기수역을 형성하는 하구로 나눌 수 있다. 섬진강 중상류는 온대 기후대에 속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살고있고, 하구 기수역에는 멸종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996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16]5. 수문
섬진강 유역은 쓰시마 해류와 제주 해류, 그리고 남서쪽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풍상에 위치하여, 전국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상류 유역의 진안 고원에서도 1225mm의 강수량을 나타내는데, 이는 남서 방향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이 산지의 영향을 받는 지형성 강우에 의한 것이다. 동부 산악 지역에서도 1200mm~1300mm로 강수량이 많고, 하류 유역에서는 1400mm 이상의 강수량이 있어, 비교적 유량이 풍부한 하천이 되었다.
6. 하구
섬진강은 여수반도와 남해도에 의해 둘러싸인 광양만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퇴적물은 연안류에 휩쓸려 가지 않고 만 내에 넓게 퇴적된다. 퇴적물은 하구 앞에 늘어선 태인도, 금호도 등을 지나 만 중앙에 있는 묘도까지 광대한 갯벌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7. 역사
2020년 8월 9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귀석리 일대에서 제방이 붕괴되어 주변 농경지와 약 70가구의 마을이 침수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섬진강 [蟾津江]
http://100.naver.com[...]
2006-10-05
[2]
뉴스
(6th LD) 31 dead, 11 missing as heavy rain falls across S. Korea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0-08-09
[3]
뉴스
[Editorial] Central, local governments should marshal resources to aid communities ravaged by flooding
http://english.hani.[...]
2020-08-10
[4]
웹사이트
韓国、9年ぶりの最悪梅雨で死亡・行方不明50人…きょうはさらに台風まで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0-08-10
[5]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www.river.go.[...]
국토교통부
2019-08-11
[6]
웹사이트
전국 5대강의 수생태계 건강성은“양호”수준
http://eng.me.go.kr/[...]
[7]
뉴스
섬진강의 기원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09-02-01
[8]
간행물
하천 지명 유래 이야기 4 - 섬진강
http://www.riverlove[...]
[9]
간행물
산림청고시제2015-116호
http://gwanbo.mois.g[...]
산림청장
2016-01-05
[10]
보고서
지리산문화권등 5개 특정지역 지정을 위한 개발구상 수립연구 - 지리산문화권 편-
http://www.jthink.kr[...]
전북연구원
[11]
웹사이트
섬진강 유역현황
https://www.me.go.kr[...]
영산강유역환경청
[12]
웹사이트
섬진강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논문
한국의 지질유산 분포와 가치평가: 전라권
http://www.koreascie[...]
2019
[14]
논문
섬진강 순창-곡성 구간 하상지형 변화 원인 고찰
https://scienceon.ki[...]
[15]
뉴스
하동군 황폐한 섬진강 하구 살리기 본격 추진
http://www.gndomin.c[...]
경남도민신문
2019-04-11
[16]
웹사이트
섬진강 하구, 멸종위기종 8종 포함 996종 생물서식
https://www.korea.kr[...]
정책브리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