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찌민 루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찌민 루트는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으로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한 군사 보급로이다. 험준한 산악 지형과 정글을 통과하는 이 길은, 초기에는 인력과 자전거, 소달구지를 이용했으나, 점차 트럭 수송 체계로 발전했다. 미국은 호찌민 루트를 차단하기 위해 대규모 폭격 작전을 펼쳤지만, 북베트남은 이를 극복하고 파이프라인과 트럭 릴레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급을 지속했다. 1975년 북베트남의 승리로 베트남 전쟁이 종결될 때까지 호찌민 루트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 -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은 1965년 미국군의 베트남 북부 폭격에 반대하며 결성된 일본의 시민 단체로, 반전 운동과 미일안보조약 반대 시위를 주도했으나 1974년 해산되었다.
  • 베트남 전쟁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호찌민 루트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치민 루트, 1967년
호치민 루트, 1967년
다른 이름Đường Trường Sơn (베트남어)
Đường mòn Hồ Chí Minh (베트남어)
위치라오스 동남부
종류병참 시스템
건설1959년–1975년
사용1959년–1975년
통제PAVN
주둔5,000–60,000명
과거 지휘관Võ Bẩm
Phan Trọng Tuệ
Đồng Sỹ Nguyên
Hoàng Thế Thiện
작전 및 전투
주요 작전 및 전투북베트남의 라오스 침공
배럴 롤 작전
스틸 타이거 작전
타이거 하운드 작전
코만도 헌트 작전
캄보디아 전역
람손 719호 작전
호치민 작전
레프트 잽 작전
오너러블 드래곤 작전
다이아몬드 애로우 작전
코퍼 계획
피분폴 작전
사야시라 작전
베드락 작전
따오 라 작전
블랙 라이언 작전

2. 명칭

베트남어로는 '''쯔엉선 길'''(드엉 쯔엉 선/Đường Trường Sơnvi) 또는 '''호찌민 길'''(드엉 몬 호찌민/Đường mòn Hồ Chí Minhvi)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Ho Chi Minh Trail''' (호찌민 트레일)이라고 한다.

3. 기원 (1959–1965)

호찌민 루트는 수세기 동안 존재해 온 원시적인 오솔길에서 기원했다. 이 루트가 지나는 지역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이동하기 힘든 곳 중 하나로, 해발 500m에서 2,400m의 험준한 산과 임관층의 정글, 빽빽한 열대우림이 있는 곳이었다.[37]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민은 이 오솔길과 도로를 넓혀 남북 통신과 병참을 유지했는데, 이 도로들을 "범서부 보급로" 그리고 "범인도차이나 연결망"으로 불렀다.[37]

호찌민 루트 초기에는 자전거들을 이용해 북베트남에서 남베트남으로 무기와 장비를 수송했다.


1958년 5월, 베트남 인민군과 파테트 라오는 라오스 9번 도로에 위치한 수송 허브인 세폰을 포위했다.[40] 5월의 라오스 선거에서 우익 정부가 라오스의 권력을 잡음으로서, 라오스는 미국의 군사 및 경제 지원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고 북베트남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41]

1959년 7월 28일, 파테트라오와 함께 북베트남은 라오스를 침공했고, 북베트남-라오스 국경 지대에서 왕립 라오스군과 전투를 벌였다. 1959년 9월, 하노이 정부는 라오스 북동부의 국경지대와 가까운 후아판주 나까이에 본부를 둔 제559수송단을 편성했다. 보 밤 중령이 부대를 지휘했고, 이 부대는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베트콩 반란군을 수송하기 위한 교통 체계를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42] 초기에 북베트남은 남북 베트남을 분리한 베트남 군사분계선(DMZ) 바로 아래에 침투하는 데 주력했다.[43] 제559수송단은 안남산맥 서쪽 지역으로 통신선을 "플립"했다.[40]

1959년에 제559수송단은 70연대와 71연대 등 2개 연대에만 6,000명의 병력이 있었으며,[38] 이 병력에는 보안 역할의 전투 부대나 북베트남과 라오스 민간 노동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분쟁 초기에는 오로지 인력의 침투를 위해 호찌민 루트가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북베트남은 바다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남쪽의 동맹 세력을 지원할 수 있었다. 1959년 북베트남은 침투를 수행하기 위해 20척의 철제 선박을 보유한 제759수송단을 설립했다.[38]

베트남 전쟁 연안에서 마켓 타임 작전이라 알려진 미국 해군의 봉쇄 노력이 시작된 후, 호찌민 루트는 두 가지 업무를 수행해야 했다. 북쪽에서 보내진 물자는 국경 지역의 은닉처에 저장되었고, 곧 이 은닉처들은 "기지 지역"(BA)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 지역은 이후 휴식을 취하려는 베트콩과 베트남 인민군 부대의 은신처, 그리고 남베트남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한 뒤의 재보급 기지가 되었다.[44]

라오스에는 5개의 주요 기지 지역(BA)이 설치되어 물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 BA 604는 전쟁 기간 동안 주요 물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남베트남 군관구 I 지역으로 병력과 보급품을 조정하고 분배했다.[44][9]
  • BA 611은 BA 604에서 BA 609로의 수송을 원활하게 했으며, 양방향으로 보급 수송대가 이동했다. 또한 BA 607에 연료와 탄약을 공급하고, 아샤우 계곡으로 보급을 이어갔다.[9]
  • BA 612는 남베트남 중부 고지의 B-3 전선을 지원했다.[44][9]
  • 사바나케트와 캄득 사이에 위치한 BA 614는 주로 남베트남 군관구 II와 B-3 전선으로 인력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었다.[44][9]
  • BA 609는 우수한 도로망 덕분에 우기에도 물자 수송이 가능하여 중요한 기지로 활용되었다.[44][9]


이러한 물자 수송은 초기에는 인력, 자전거, 소달구지 등을 이용하였으나, 곧 소련, 중국, 동구권 모델을 사용한 트럭 수송으로 대체되어 물자와 병력 이동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3] 1961년 12월 초, 베트남 인민군(PAVN) 일반 후방 지원 부서의 제3 트럭 수송 그룹이 전선에 투입되면서 자동차 수송이 확대되었다.[3] 1965년 4월, 판 쫑 투에 장군에게 지휘권이 이양된 559단은 6개의 트럭 수송 대대, 2개의 자전거 수송 대대, 1개의 보트 수송 대대, 8개의 공병 대대, 45개의 통신 연락 기지를 포함하여 24,000명의 병력을 지휘했다.[3] 559단의 모토는 "전진을 위해 길을 건설하고, 적과 싸워서 이동하라"였다.[3]

호찌민 루트에서 공산군이 물자 수송에 사용한 자전거. 미국 국립 역사 박물관, 워싱턴 D.C.


559단 아래에는 "빈 짬(Binh Trams)"과 통신-연락 부대가 있었다. "빈 짬"은 연대 물류 본부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특정 구역을 확보하고 보안, 공병,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 부대와 함께 물류를 제공했다. 통신-연락 부대는 서로 하루 거리에 위치하며, 다음 중간 기착지까지 음식, 숙소, 의료 서비스, 안내를 제공했다.[3]

호찌민 루트는 흙길, 보행로, 자전거길, 트럭 주차장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미로로 발전했다. 보급 벙커, 저장 구역, 막사, 병원, 지휘 및 통제 시설은 자연 및 인공 위장 시스템으로 은폐되었다.[8]

3. 1. 주요 기지

라오스에는 5개의 주요 기지 지역(BA)이 설치되어 물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BA 604는 전쟁 기간 동안 주요 물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남베트남 군관구 I 지역으로 병력과 보급품을 조정하고 분배했다.[44][9] BA 611은 BA 604에서 BA 609로의 수송을 원활하게 했으며, 양방향으로 보급 수송대가 이동했다. 또한 BA 607에 연료와 탄약을 공급하고, 아샤우 계곡으로 보급을 이어갔다.[9] BA 612는 남베트남 중부 고지의 B-3 전선을 지원했다.[44][9] 사바나케트와 캄득 사이에 위치한 BA 614는 주로 남베트남 군관구 II와 B-3 전선으로 인력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었다.[44][9] BA 609는 우수한 도로망 덕분에 우기에도 물자 수송이 가능하여 중요한 기지로 활용되었다.[44][9]

이러한 물자 수송은 초기에는 인력, 자전거, 소달구지 등을 이용하였으나, 곧 소련, 중국, 동구권 모델을 사용한 트럭 수송으로 대체되어 물자와 병력 이동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3] 1961년 12월 초, 베트남 인민군(PAVN) 일반 후방 지원 부서의 제3 트럭 수송 그룹이 전선에 투입되면서 자동차 수송이 확대되었다.[3] 1965년 4월, 판 쫑 투에 장군에게 지휘권이 이양된 559단은 6개의 트럭 수송 대대, 2개의 자전거 수송 대대, 1개의 보트 수송 대대, 8개의 공병 대대, 45개의 통신 연락 기지를 포함하여 24,000명의 병력을 지휘했다.[3] 559단의 모토는 "전진을 위해 길을 건설하고, 적과 싸워서 이동하라"였다.[3]

559단 아래에는 "빈 짬(Binh Trams)"과 통신-연락 부대가 있었다. "빈 짬"은 연대 물류 본부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특정 구역을 확보하고 보안, 공병,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 부대와 함께 물류를 제공했다. 통신-연락 부대는 서로 하루 거리에 위치하며, 다음 중간 기착지까지 음식, 숙소, 의료 서비스, 안내를 제공했다.[3] 1967년 건기부터 1968년 8월까지 9개의 빈 짬이 운영되었다.

호찌민 루트는 흙길, 보행로, 자전거길, 트럭 주차장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미로로 발전했다. 보급 벙커, 저장 구역, 막사, 병원, 지휘 및 통제 시설은 자연 및 인공 위장 시스템으로 은폐되었다.[8] 1973년까지 트럭은 덮개에서 나오지 않고도 루트 전체를 운전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8] 라오스 남동부의 날씨는 건기와 우기로 나뉘며, 흙길이 대부분이었던 루트의 특성상 보급 수송은 주로 건기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루트 대부분이 아스팔트 또는 단단하게 포장되면서 우기에도 많은 양의 물자 이동이 가능해졌다.

4. 미국의 차단 및 확장 (1965–1968)

1961년 미국 정보 분석가들은 5,843명의 적군 침투자(실제 4,000명)가 이 길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했다고 추정했다. 1962년에는 12,675명(실제 5,300명), 1963년에는 7,693명(실제 4,700명), 1964년에는 12,424명이었다.[11] 1964년에 이 길의 보급 능력은 하루 20~30톤에 달했고, 미국은 12,000명(실제 9,000명)의 베트남 인민군(PAVN) 군인이 그 해에 남베트남에 도착했다고 추정했다.[3] 1965년까지 사이공의 미군 사령부는 남부 전선의 공산주의자들의 보급품 요구량이 하루 234톤에 달하며, 195톤이 라오스를 통해 이동하고 있다고 추정했다.[11]

미국 국방정보국(DIA) 분석가들은 1965년 라오스 건기 동안 적이 하루 30대의 트럭(90톤)을 이 길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이는 사이공의 추정치를 훨씬 넘는다고 결론 내렸다.[11]

미국 관리들은 적의 능력에 대한 추정치만 가지고 있었고, 정보 수집 기관들은 종종 서로 충돌했다. 캄보디아의 시하누크 트레일과 연결되는 새로운 경로 개통을 포함한 트레일 시스템 개선 덕분에, 1965년 동안 수송된 보급품의 양은 이전 5년 동안의 총량을 거의 따라잡았다. 그 해 동안 이 시스템의 차단은 미국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가 되었지만, 당시 가용 병력의 제한과 라오스의 표면적인 중립성으로 인해 이에 대한 작전은 복잡했다.[12][13]

라오스 문제의 복잡성과 미국 및 북베트남의 간섭으로 인해, 적어도 대중에게는 서로를 무시하는 상호 정책이 이어졌다. 이는 북베트남이 라오스 중립성을 위반하여 보급 통로를 보호하고 확장하며, 중앙 정부와의 전쟁에서 파테트 라오 동맹을 지원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미국의 개입은 공산주의자들과의 싸움에서 중앙정보국(CIA)이 지원하는 비밀 군대를 건설하고 지원하는 형태, 그리고 트레일에 대한 끊임없는 폭격의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라오스 정부에 대한 지원도 제공했다.[14][15]

''배럴 롤 작전'' • ''스틸 타이거 작전'' • ''타이거 하운드 작전'' 작전 지역


1964년 12월 14일, 미국 공군(USAF)의 "배럴 롤 작전"은 라오스에서 호찌민 루트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폭격을 실시했다.[11] 1965년 3월 20일, 북베트남에 대한 롤링 선더 작전이 시작된 후,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호찌민 루트에 대한 대응적 확대를 승인했다.[7] "배럴 롤" 작전은 라오스 북동부에서 계속되었으며, 남부 지역은 "스틸 타이거 작전"으로 폭격되었다.[11]

연중반에 이르러 투입된 출격 횟수는 월 20회에서 1,000회로 증가했다. 1965년 1월, 사이공의 미군 사령부는 남베트남 북부 5개 주와 인접한 라오스 지역에 대한 폭격 작전 통제권을 요청하며, 해당 지역이 "확장된 전장"의 일부라고 주장했다.[11] 이 요청은 합동참모본부에 의해 승인되었다. 해당 지역은 "타이거 하운드 작전"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7]

정치적 고려 사항은 공중 작전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라오스에서 공산주의자들의 보급 작전을 방해한 계절풍 역시 차단 노력을 방해했다. 이러한 노력은 아침 안개와 흐린 날씨, 그리고 원주민들이 행하는 화전 농업으로 인한 연기와 먼지에 의해 방해받았다. 1968년 동안 USAF는 계절풍을 악화시키기를 희망하는 두 가지 실험적 작전을 수행했다. "포파이 프로젝트"는 구름 씨 뿌리기를 통해 라오스 남동부의 우기를 무기한 연장하려는 시도였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테스트는 스틸 타이거 및 타이거 하운드 지역을 통과하는 콩 강 유역에서 9월에 시작되었다. 구름은 은 요오드 연기로 항공기를 통해 씨를 뿌린 다음, 섬광탄 발사기에서 발사된 뇌관을 사용하여 활성화되었다. 10월까지 56번의 테스트가 수행되었으며, 85%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존슨 대통령은 이후 1972년 7월까지 지속된 이 프로그램에 대한 권한을 부여했다.[11]

두 번째 작전인 "코만도 라바 프로젝트"에 대한 테스트는 5월 17일에 시작되었다. 다우 케미칼의 과학자들은 빗물과 섞일 때 토양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진흙을 생성하는 화학 혼합물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전쟁이 아닌 진흙을 만들러 왔다"고 주장하는 군인과 민간인 참여자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받았다. 일부 지역에서는 토양 구성에 따라 효과가 있었다. 화학 물질은 C-130 허큘리스 항공기에 의해 투하되었지만, 북베트남의 차단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은 미미했고 실험은 취소되었다.[11]

4. 1. 지상 작전

PAVN의 호찌민 루트를 걷는 병사들 (미국 MACV-SOG 팀이 촬영한 사진)


지상에서 CIA와 라오스 왕립군(RLA)은 처음에 적의 침투를 막거나, 늦추거나, 감시하는 임무를 맡았다.[14] 라오스에서 CIA는 1962년에 작전 핀쿠션을 시작했고,[14] 이는 작전 하드노즈로 발전했다.[14]

1965년 10월,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미국의 국경 침투 정찰 작전 권한을 받았다. 1965년 10월 18일, 베트남 지원 사령부, 연구 및 관찰 그룹(MACV-SOG)에 의해 라오스에서 첫 번째 임무가 시작되었다.[17] 1965년 12월 10일, 라오스에서 첫 B-52 Stratofortress 폭격이 실시되었다.[5]

일반적인 역사적 관점은 침투를 막는 데는 실패했지만,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 적의 물자와 병력을 제한했다는 점에서 작전의 효능을 지지한다. 존 슐라이트는 PAVN의 물류 체계에 대해 "이 지속적인 노력은 수만 명의 군인의 전일제 활동을 요구했으며, 그렇지 않았다면 남베트남에서 싸웠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8]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66년 PAVN 침투자 수는 58,000명에서 90,000명 사이로 추정되었다.[5] 1966년 6월 DIA 추정에 따르면 북베트남은 600km의 통과 가능한 도로를 확보했으며, 그 중 최소 200km는 연중 사용이 가능했다.[19] 1967년, 동 시 응우옌 상좌가 559그룹의 지휘를 맡았다. 연말까지 북베트남은 2,959km의 차량 운행 가능한 도로를 완성했다.[20]

미국 정보국은 적이 콩 강과 방 파이 강을 사용하여 물자를 강에 띄워 보내는 방식으로 식량, 연료 및 탄약 수송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국은 1968년 테트 공세를 위해 81,000톤 이상의 물자를 수송 및 저장했다.[3] 200,000명의 PAVN 군대가 남쪽으로 이동했다.[19]

1969년 1월 22일부터 3월 18일까지 작전 듀이 캐년이 진행되었다. 작전 중, 제9 해병 연대는 다 크롱 강과 아 쇼 계곡에서 PAVN 활동을 차단하려 했다. 지상 부대는 PAVN 제9 연대와 전투를 벌이면서 라오스의 국경 지역에 잠시 진입했다.[21][22]

4. 2. 공중 작전

1964년 12월 14일, 미국 공군(USAF)의 "배럴 롤 작전"은 라오스에서 호찌민 루트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폭격을 실시했다.[11] 1965년 3월 20일, 북베트남에 대한 롤링 선더 작전이 시작된 후,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호찌민 루트에 대한 대응적 확대를 승인했다.[7] "배럴 롤" 작전은 라오스 북동부에서 계속되었으며, 남부 지역은 "스틸 타이거 작전"으로 폭격되었다.[11]

투입된 출격 횟수는 1965년 중반에 이르러 월 20회에서 1,000회로 증가했다. 사이공의 미군 사령부는 남베트남 북부 5개 주와 인접한 라오스 지역에 대한 폭격 작전 통제권을 합동참모본부에 요청했고, 승인되면서 해당 지역은 "타이거 하운드 작전"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7][11]

정치적 고려 사항은 공중 작전을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라오스에서 공산주의자들의 보급 작전을 방해한 계절풍은 차단 노력 또한 방해했다. 아침 안개와 흐린 날씨, 그리고 원주민들의 화전 농업으로 인한 연기와 먼지가 작전을 어렵게 했다.

1968년, 미국 공군은 계절풍을 악화시키기 위해 두 가지 실험적 작전을 수행했다. "Project Popeye|포파이 프로젝트"는 구름 씨 뿌리기를 통해 라오스 남동부의 우기를 연장하려는 시도였다.[11] 1966년 9월부터 콩 강 유역에서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10월까지 56번의 테스트가 수행되어 85%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존슨 대통령은 1972년 7월까지 이 프로그램을 승인했다.[11]

"Project Commando Lava|코만도 라바 프로젝트"는 빗물과 섞이면 토양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진흙을 생성하는 화학 혼합물을 이용하는 실험이었다.[11] 다우 케미컬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이 화학 물질은 C-130A 항공기를 통해 투하되었으나, 북베트남의 차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여 실험은 취소되었다.[11]

1965년 12월, 미국 공군은 라오스에서 호치민 루트에 대한 첫 번째 목장 작전(Operation Ranch Hand) 제초 작전을 시작했다.[16] 에이전트 블루와 에이전트 오렌지 제초제를 사용한 210회 이상의 작전이 수행되어 약 180만 리터의 제초제가 살포되었다.[16] 캄보디아의 앵무새 부리(Parrot's Beak, Cambodia) 지역을 대상으로 10회 이상의 작전이 수행되어 약 15만 5천 리터의 에이전트 오렌지가 살포되었다.[16]

5. 코만도 헌트 작전 (1968–1970)

Tet 공세(Tet Offensive) 이후, 북베트남은 병참 노력을 확장하고 현대화했다. 보급 및 정비 인력의 수는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자동차와 강 수송, 기계화된 건설 장비의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미국 중앙정보국(CIA)는 그해 559 그룹이 정비 및 신규 도로 건설을 위해 불도저 20대, 로드 그레이더 11대, 석재 파쇄기 3대, 증기 롤러 2대를 사용하고 있다고 추정했다.[5]

최대 43,000명의 북베트남인 또는 라오스인이 이 시스템을 운영, 개선 또는 확장하는 데 참여했다.[8] 1969년에는 433,000톤의 탄약이 라오스에 떨어졌다.[5] 이는 "작전 롤링 썬더"의 종료와 1968년 11월 "작전 코만도 헌트"의 시작으로 가능해졌다. 미국의 항공기는 차단 임무를 위해 자유롭게 투입되었으며, 하루에 최대 500대가 라오스 상공을 비행했다. 1968년 말까지 라오스 남부 상공의 폭격 임무는 10월 4,700회에서 11월 12,800회로 300% 증가했다.[23]

호찌민 루트, 1970년


이러한 24시간 공중 작전은 태국 나콘 파놈 왕립 해군 기지(Nakhon Phanom)에서 운영되는 "작전 이글루 화이트"에 의해 지휘되었다. 이 작전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공중 투하된 음향 및 지진 센서가 루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둘째, 태국의 정보 수집 센터(ICS)의 컴퓨터가 정보를 종합하고 호송 경로와 속도를 예측했다. 셋째, 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ICS의 지시에 따라 항공기를 목표로 유도하는 공중 중계 및 제어 항공기가 있었다.[11]

이러한 노력은 "코만도 헌트"를 위한 정찰, 도청, 폭탄 피해 평가 임무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이글루 화이트"를 위한 센서를 직접 설치한 MACV-SOG 정찰 팀에 의해 지원되었다. 1969년 초에는 인력 차단이 중단되었다. 센서 시스템은 적의 인력을 감지할 만큼 정교하지 않아서 1971년 말 "작전 아일랜드 트리"까지 이 노력이 중단되었다. 1968년 말 미국 정보 분석가들에게 밝혀진 사실은 북부 항구 빈(Vinh)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석유 파이프라인의 발견이었다.[5]

5. 1. 연료 파이프라인

처음에 연료는 운반인들이 운반했지만, 이는 비효율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렸기에 파이프라인을 훨씬 더 빠른 속도로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파이프라인 건설의 책임은 연료 공급 부서의 초대 부장이 된 판 투 꽝 중령과 파이프라인을 건설한 노동자들의 비밀 명칭인 제18 도로 작업팀의 사령관인 마이 종 프억 소령에게 주어졌다.[10]

1969년 초, 파이프라인은 무자 고개를 통해 라오스 국경을 넘었고, 1970년까지 남베트남의 아샤우 계곡 접근로에 도달했다. 수많은 소형 펌프장이 설치된 플라스틱 파이프라인은 디젤, 가솔린, 등유를 모두 같은 파이프를 통해 운송할 수 있었다. 베트남 인민군 제592 파이프라인 연대의 노력으로 라오스로 들어가는 파이프라인의 수는 그 해에 6개로 늘어났다.[3] 1970년에 군관구와 동등하게 된 제559 그룹은 "쯔엉선 군"이라는 추가 명칭을 받았고, 휘하 부대들은 연료 파이프라인 대대를 통제했다.[10]

1971년 7월, 쯔엉선 군은 재편성되어 4개의 트럭 수송 연대, 2개의 석유 파이프라인 연대, 3개의 대공포(AAA) 연대, 8개의 공병 연대, 그리고 제968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1970년 말까지 제559 그룹은 27개의 "빈 트램"을 운영하여 그 해에 40,000톤의 물자를 3.4%의 손실률로 수송했다.[3]

꽝 대령과 프억 소령은 결국 5,000km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270,000톤 이상의 휘발유를 운송했다. 파이프라인의 일부 구간은 1990년대에도 여전히 사용되었다.[10]

5. 2. 트럭 릴레이 시스템

보급품은 북베트남에서 릴레이 방식으로 트럭을 통해 수송되었으며, 각 중간 기지에서 트럭을 교체하고 짐을 다시 싣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였다.[8] 고장난 트럭은 북쪽 기지의 트럭으로 교체되었고, 최종 목적지까지 이러한 방식으로 운행되었다.[8] 마지막 기지에 도착한 보급품은 은닉, 선적되거나 인력을 통해 남베트남으로 수송되었다.[8]

"코만도 헌트(Commando Hunt)" 작전으로 인해 북베트남 수송 부대는 주로 해 질 녘에만 도로를 이용했고, 교통량은 이른 아침에 최고조에 달했다.[8] 미군 항공기가 배치되면 교통량은 감소했다가, 공격기와 폭격기가 기지로 돌아올 때 다시 증가했다.[8]

북베트남은 미국의 공중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공 무기 사용을 늘렸다.[5] 1968년에는 주로 37mm 및 57mm 레이더 제어 무기를 사용했고,[5] 다음 해에는 85mm 및 100mm 포가 등장했으며, "코만도 헌트" 작전이 끝날 무렵에는 1,500문 이상의 포가 방어에 사용되었다.[5]

1965~1972년 북베트남 인민군 대공 무기의 발전.


북베트남 공식 역사에 따르면, AC-130 스펙터(Spectre) 고정익 공격기가 호치민 루트에서 가장 강력한 적이었으며, 야간 보급 작전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3] 1970~71년 건기 동안 연합군 항공기는 약 4,000대의 트럭을 파괴했으며, 그 중 C-130이 2,432대를 파괴했다.[3] 1972년 3월 29일, 스펙터가 테폰 근처에서 지대공 SA-7 미사일에 맞아 격추되면서 대응책이 마련되었다.[5] 베트남 인민군은 룸 붐 북쪽에서 라오스 남부까지 1,000km 길이의 도로 K("그린 로드")를 건설하여 미국의 야간 폭격에 대응했다.[25]

6. PAVN의 승리로 가는 길 (1971–1975)

1971년, 남베트남군은 람손 719 작전을 통해 호찌민 루트를 차단하고자 했다.[26][5] 남베트남군은 9번 국도를 따라 라오스 국경을 넘어 PAVN 병참 기지인 테폰으로 진격했다.[26][5] 초기에는 저항이 적었으나, 3월에 PAVN이 6만 명의 병력과 파테트 라오 병력 및 라오스 민병대를 동원하여 반격하면서 상황이 변했다.[28] PAVN은 이전의 게릴라 전술을 버리고 정규전을 펼쳤으며, 조직적인 대공포 사격으로 남베트남군에 대한 지원을 어렵게 만들었다.[27] 결국 남베트남군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으며,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27]



1972년 봄, PAVN은 부활절 공세를 개시하여 꽝찌성을 침공하고, 콘툼과 안록을 공격했다.[29] 남베트남군은 미국의 대규모 공중 지원을 받아 반격하여 꽝찌 시를 탈환했지만, 큰 피해를 입었다.[28]

파리 평화 협정 체결 이후에도 북베트남은 호찌민 루트를 계속 확장했다.[30] 1973년까지 PAVN 병참 시스템은 2차선 포장 도로로 구성되었고, 1974년에는 4차선 도로로 확장되었다.[5] 송유관 또한 확장되어 록닌까지 연결되었다.[5]

1975년, PAVN은 "275 작전"을 시작하여 남베트남을 완전히 점령하고 사이공을 함락시켰다.[32] 이로써 베트남 전쟁은 북베트남의 승리로 종결되었다.[32]

7. 전후 상황과 영향

참조

[1] 간행물 Good Questions, Wrong Answers https://nsarchive2.g[...] 2004-02
[2] 서적 Ho Chi Minh's Blueprint for Revolution: In the Words of Vietnamese Strategists and Operativ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5-26
[3]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20-05-26
[4] 서적 Spartans in Darkness Center for Cryptographic History, NSA 2002
[5] 서적 The Blood Road: The Ho Chi Minh Trail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Wiley 2020-05-26
[6] 서적 Pawns of War: Cambodia and Laos https://books.google[...] Boston Publishing Company 2020-05-27
[7] 서적 Rain of Fire: Air War, 1969–1973 https://books.google[...] Boston Publishing Company 2020-05-26
[8] 서적 The War Against Trucks: Aerial Interdiction in Southern Laos, 1968–1972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9] 서적 Indochina Monographs RLG Operations and Activities in the Laotian Panhandle https://apps.dtic.mi[...]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0] 서적 A History of the Ho Chi Minh Trail, The Road to Freedom https://books.google[...] Orchid Press 2020-05-26
[11] 서적 Interdiction in Southern Laos, 1960–1968: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Southeast Asia https://media.defen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2] 서적 Laos: War and Revolution Harper Colophon
[13] 서적 Conflict in Laos: the Politics of Neutralization Praeger
[14]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https://books.google[...] Paladin Press 2020-05-27
[15] 서적 Shooting at the Moon: The Story of America's Clandestine War in Laos https://books.google[...] Steerforth Press 2020-05-27
[16] 논문 The extent and patterns of usage of Agent Orange and other herbicides in Vietnam http://stellman.com/[...] 2003-04-17
[17] 서적 The Vietnam Experience: A Contagion of War https://archive.org/[...] Boston Publishing Company
[18] 서적 A War Too Long: The USAF in Southeast Asia, 1961–1975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19] 서적 The Vietnam Experience The North Boston Publishing Company
[20] 문서 MACSOG Documentation Study
[21] 서적 Operations and Intelligence, I Corps Reporting: February 1969 http://www.tfpike.co[...] US Army
[22]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High Mobility And Standdown, 1969 https://www.usmcu.ed[...]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23] 서적 Setup: What the Air Force did in Vietnam and Why https://apps.dtic.mi[...] Air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Air War in Southeast Asia: Case Studies of Selected Campaigns https://apps.dtic.mi[...] Air University Press
[25] 서적 Sideshow: Kissinger, Nixon, and the Destruction of Cambodia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979
[26] 서적 Indochina Monographs Operation Lam Sơn 719 https://apps.dtic.mi[...]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7] 서적 Into Laos: The Story of Dewey Canyon II/Lam Son 719, Vietnam 1971 https://books.google[...] Presidio Press 2020-05-26
[28] 서적 South Vietnam on trial, mid-1970 to 1972 https://books.google[...] Boston Publishing Company 2020-05-27
[29] 서적 Trial by Fire; The 1972 Easter offensive, America's Last Vietnam Battle https://archive.org/[...] Hippocrene Books 1995
[30] 서적 The Vietnam Experience The False Peace Boston Publishing Company
[31] 서적 Webster's New World Dictionary of the Vietnam War Simon & Schuster Macmillan
[32] 서적 Decent Interval: An Insider's Account of Saigon's Indecent En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05-26
[33] 서적 The Vietnam Experience The Fall of the South Boston Publishing Company
[34] 문서 "アンナン山脈(Dãy Trường Sơn)の道(Đường)"
[35] 문서 ルートやウェイではなく、トレイルである。これはトレイルが、たとえば獣道のように通常は地図に載らず、自然の中の単なる動物の通行の跡と大差ないような、細い小道を指す言葉であり、南ベトナム解放民族戦線側が通常の道路を使用せず、自然の中に小道を開拓して利用していたことに由来する。
[36] 문서 デトロイトの[[アジア系アメリカ人]]のうち、モン人が帰化した{{仮リンク|label=モン系アメリカ人|モン (Hmong) 系アメリカ人|en|Hmong American}}である。[[クリント・イーストウッド]]の映画『[[グラン・トリノ]]』(2008年)で広く知られるようになった。
[37] 서적 Ho Chi Minh's Blueprint for Revolution: In the Words of Vietnamese Strategists and Operativ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8
[38]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2
[39] 서적 Spartans in Darkness Center for Cryptographic History, NSA 2002
[40] 서적 The Blood Road: The Ho Chi Minh Trail and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Wiley 1999
[41] 서적 Pawns of War: Cambodia and Laos https://books.google[...] Boston Publishing Company 1987
[42] 서적 Rain of Fire: Air War, 1969–1973 https://books.google[...] Boston Publishing Company 1985
[43] 서적 The War Against Trucks: Aerial Interdiction in Southern Laos, 1968–1972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44] 서적 Indochina Monographs RLG Operations and Activities in the Laotian Panhandle https://apps.dtic.mi[...]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