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매는 남송 시대의 문인이자 관료로, 1123년에 태어나 1202년에 사망했다. 그는 박학굉사과에 급제하여 지방관을 거쳐 중앙 관직을 역임했으며, 금나라 사신 접대 시 외교적 기개를 보였다. 또한 역사 편찬에 참여하여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특히 기이한 이야기 모음인 《이견지》와 독서 필기 《용재수필》은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중국 구어 소설을 옹호하고 당나라 시를 편찬하는 등 문학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역사가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 송나라의 역사가 - 구양수
    구양수는 북송 시대의 문인, 사학자, 정치가로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며 한유의 고문 운동을 계승하여 문장 혁신을 주도했고, 역사학에도 조예가 깊어 《신당서》와 《신오대사》 편찬에 참여했으며, 만년에는 취옹이라 자칭했다.
  • 12세기 역사가 - 육유
    남송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였던 육유는 '방옹'이라는 호를 사용하며 만 수 이상의 시를 남겼고, 특히 중원 회복을 염원하는 우국시를 통해 애국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당완과의 비극적인 사랑과 관련된 시조 「채두봉」으로도 유명하다.
  • 12세기 역사가 - 안나 콤니니
    유럽 최초의 여성 역사가로 알려진 안나 콤니니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딸로서, 아버지의 치세를 기록한 역사서 『알렉시아스』를 저술하여 비잔티움 제국 역사 연구에 기여했으나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홍매
기본 정보
생애
직업
활동
저서
기타

2. 생애

홍매는 1123년 포양현(Poyang County)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홍호(洪皓)는 송나라 관리로, 정강의 변(Jingkang incident) 시기 송나라와 금나라(Jin dynasty (1115–1234)) 간의 협상에 참여했다. 그는 홍국(洪廓)과 홍존(洪遵)이라는 두 명의 형이 있었다.[5]

홍매가 태어나고 3년 후, 송나라는 금나라가 남침해 수도인 개봉을 점령당하고 황제인 휘종과 흠종을 포로로 잡아가는 ‘정강의 변’을 겪게 된다. 난을 피해 남쪽으로 도망한 흠종의 동생 고종이 지금의 항저우인 임안을 새로운 수도로 정하고 남송을 재건했다. 광활한 북쪽 영토를 이민족에게 빼앗기고, 그들에게 신하로서의 예의를 지키며 조공을 바치는 굴욕적 조약에 의해 구차한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급급했던 나약한 왕조가 바로 남송이었다.

홍매의 부친과 형들은 모두 명성 있는 학자이자 관료였다. 부친인 홍호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15년간 억류되었다가 천신만고 끝에 송나라로 돌아왔다. 당시 황제였던 고종은 홍호에 대해 “소무라도 이보다 더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가상히 여겼다. 홍매는 3형제 중 막내였는데 형들 또한 학문적으로 상당한 성취를 이루었고 저작을 남겼다. 이러한 가풍 속에서 성장한 홍매는 자연스럽게 사대부로서의 처세와 학문의 자세를 익힐 수 있었다. 홍씨 가문의 3형제는 당시 “3홍의 문명이 천하에 가득하다”고 할 정도로 손꼽히던 수재들이었다.

1145년, 고종의 총애를 받아 홍매는 수송부(Zhuanyun Si)에 관직을 얻었다.[5] 어린 시절부터 많은 책을 읽고 두 형보다 먼저 소흥(紹興) 15년(1145년)에 박학홍사과에 급제하였다.

소흥 32년(1162년)에 금나라 사신이 왔을 때 접반사가 되어, 기존의 접대 예의가 지나치게 비굴하다고 생각하여 개선하였고, 또한 하등위사로 금나라에 갈 때 가져간 국서에서 금나라를 “형제 적국(兄弟敵國)”이라고 칭하며 고치지 않아 금나라 사람들을 당황하게 했다. 같은 해, 홍매는 당시 중국 북부를 지배하던 금나라(Jurchen Empire, 즉 금나라 (1115–1234))로 외교관으로 파견되었다. 북방 체류 중 산둥(Shandong)에서 휴전을 맺으려 했으나 금나라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홍매는 북방으로부터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하고 가을에 남쪽으로 돌아왔다.[5] 이러한 행동은 진회(秦檜)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는 것이었고, 효종이 즉위한 융흥(隆興) 원년(1163년)에 천주(泉州) 지주로 좌천되는 원인이 된다.

길주(吉州)·감주(贛州)·무주(婺州) 등의 지주를 역임하며 많은 치적을 남겼다고 한다. 1166년, 홍매는 기주(Jizhou) 현령에 임명되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간주(Ganzhou)와 우주(Wuzhou)를 차례로 다스렸다.[5]

부문각시제(敷文閣侍制)에서 순희(淳熙) 4년(1177년)에는 한림학사로 승진하고, 소희(紹熙) 2년(1191년)에 단명전학사가 된 직후 은퇴하였다. 1175년, 홍매는 국립 기록 보관소의 일원이 되어 역사 편찬에 참여했다.[5] 1190년, 홍매는 소흥(Shaoxing) 현령에 임명되었다. 소흥에서 그는 인구 등록부를 정비하고 소흥 백성을 위한 감세를 청원했다.[5]

홍매의 관직 생활은 비교적 평탄한 편이었다. 20대 초반이었던 고종 소흥 15년 박학굉사과에 급제한 후 천주, 길주, 공주, 건녕, 무주, 진강, 소흥 등에서 지방관을 지내면서 교육, 수리 사업에 힘쓰는 등 실무 경험을 쌓았다. 중앙에 있는 기간에는 기거사인, 중서사인 겸 시독, 직학사원, 한림학사 등의 관직을 거쳐 단명전학사로 관직 생활을 마감했다. 홍매는 방대한 서적을 섭렵한 학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80세에 사망하여 광록대부(光禄大夫)를 추증받았다. 홍매는 1202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문민(文敏)이라는 시호(Posthumous name)를 받았다.[5]

3. 저작

홍매는 ≪이견지≫, ≪만수당인절구≫, ≪용재수필≫, ≪야처유고≫ 등을 저술했다. 30여 년간 사관으로 재직하며 ≪사조국사≫, ≪흠종실록≫, ≪철종보훈≫을 집필했다. 중국 구어 소설을 옹호하며 소설 창작을 시와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당나라 소설가들이 서민들의 감정을 감동적으로 묘사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8] 1180년에는 당나라 시 1만 수를 편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1190년에 "당나라 사행시 만수"를 완성했다.[9]

3. 1. 《이견지》(夷堅志)

이견지(夷堅志). 도쿄 도요문고 소장


홍매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인 ''이견지(夷堅志)''는 간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요괴 괴담 전통에 대한 것이다.[6] 이 책은 송나라 시대의 신화, 환상,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송나라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자세히 묘사하여, 현대 연구자들에게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게 해준다.[7]

3. 2. 《용재수필》(容齋隨筆)

홍매는 30여 년 동안 사관으로 지내면서 북송 신종, 철종, 휘종, 흠종 4대 왕조의 역사인 ≪사조국사≫, ≪흠종실록≫, ≪철종보훈≫을 집필했다. 경전과 역사, 문학 어느 한 방면에 국한되지 않는 홍매의 해박한 지식과 탁견은 40여 년의 시간에 걸쳐 집필된 ≪용재수필≫에 잘 드러나 있다.

3. 3. 기타 저작



홍매는 기이한 이야기 모음집인 ≪이견지≫, 당나라 시 선집 ≪만수당인절구≫, 독서 필기 ≪용재수필≫, 문집 ≪야처유고≫ 등을 저술했다. 특히 30여 년간 사관으로 재직하며 북송 신종, 철종, 휘종, 흠종 4대 왕조의 역사서인 ≪사조국사≫, ≪흠종실록≫, ≪철종보훈≫을 집필했다. 그의 해박한 지식과 탁견은 40여 년에 걸쳐 집필된 ≪용재수필≫에 잘 드러나 있다.[6]

홍매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인 ''이견지''는 간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요괴 괴담 전통을 다룬다. 이 책은 송나라 시대의 신화, 환상, 초자연적 사건들을 광범위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을 상세히 묘사하여 현대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7]

홍매는 중국 구어 소설을 옹호하며 소설 창작을 시와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그는 당나라 소설가들이 서민들의 일상적인 감정을 감동적으로 묘사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8]

1180년, 홍매는 1만 수의 당나라 시를 편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1190년에 완료했는데, 이 책이 바로 "당나라 사행시 만수"이다.[9]

  • ≪이견지≫
  • ≪사조국사기≫
  • ≪용재수필≫
  • ≪사기법어≫
  • ≪남조사정어≫
  • ≪경자법어≫
  • ≪흠종기≫

참조

[1] 서적 Song Blue and White Porcelain on the Silk Road BRILL
[2] 서적 洪迈年谱 Shanghai Guji Publishing house
[3] 서적 East Asian Science: Tradition and Beyond Kansai University Press
[4] 서적 Making the New World Their Own: Chinese Encounters with Jesuit Science in the Age of Discovery BRILL
[5] 서적 History of Song Zhonghua Book Company
[6] 서적 Chinese Ethics in a Global Context: Moral Bases of Contemporary Societies Brill
[7] 서적 Record of the Listener: Selections of Chinese Supernatural Stories Sinomedia International Group
[8] 서적 漢學典範大轉移——杜希德與「金萱會」 聯經出版事業公司
[9] 서적 Good Son is Sad If He Hears the Name of His Father: The Tabooing of Names in China as a Way of Implementing Social Value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