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이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이포는 16세기에서 17세기 사이 중국에서 사용된 서양식 대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붉은 오랑캐'라는 뜻으로, 명칭은 발사 시 붉은 불꽃에서 유래되었으며, 포르투갈에서 처음 제작되어 중국에 도입되었다. 명나라 시기에 개량되어 복합 금속 대포가 제작되었고, 청나라에서도 사용되었다. 홍이포는 중국의 무기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편전쟁 시기에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화기 - 신기전
신기전은 14세기 후반부터 조선 시대에 사용된 한국의 로켓 무기로, 왜구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크기와 사거리가 다른 네 종류가 존재하고 임진왜란 등 여러 전쟁에서 활용되었다. - 조선의 화기 - 중완구
- 캐넌 - 사석포
사석포는 14세기 초중반부터 대포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4세기에서 15세기 동안 주로 대형 대포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으며, 크기에 대한 표준 없이 다양한 크기로 존재했고, 초기 모습은 12세기 초 다주 석각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영국에서는 14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 - 캐넌 - 컬버린
컬버린은 15세기부터 사용된 화포의 한 종류로, 긴 사거리와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며 경량포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야전포로 대체되어 영국에서는 18세기 초에 명칭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홍이포 | |
---|---|
개요 | |
![]() | |
종류 | 활강 전장식 컬버린 |
기원 | 포르투갈 |
사용 시기 | 17세기 초 – 19세기 말 |
사용 국가 | |
실전 | 명청 전쟁 |
제원 | |
생산 시기 | 17세기 ~ 19세기 |
중량 | 1800 kg |
길이 | 2.15 m |
구경 | 12 cm |
포신 수 | 1 |
사거리 | 700 m |
최대 사거리 | 2 km ~ 5 km |
명칭 |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주앙 로드리게스 (1561?-1633) |
관련 문서 | 국립중앙박물관 계간지 |
2. 명칭
"홍이(紅夷)"는 "붉은 오랑캐"라는 뜻으로, 16-17세기 중국 복건성 사람들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나 마카오의 포르투갈 사람들을 가리켜 홍모(紅毛)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 이는 1600년대 초 셀던 지도에서 네덜란드가 정복했던 인도네시아의 말루쿠 제도를 앙 모라고 표기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12]
홍이포는 16세기 포르투갈에서 처음 제작되어 마카오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홍이포'라는 이름은 발사 시 붉은 불꽃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오랑캐'라는 용어는 당시 중국 남부와 일본에 도착한 포르투갈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
"홍이포"라는 용어는 발사 시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붉은 불꽃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오랑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포르투갈인들이 중국 남부와 일본에 도착한 이후 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
여진족은 "홍이포"라는 용어가 모욕적이라고 여겨 그들의 무기고에 들어오면서 "홍의포"(紅衣炮|hóngyīpào중국어)로 이름을 변경했고, 만주 팔기에서도 그렇게 불렸다.
3. 역사
여진족은 '홍이포'라는 용어가 모욕적이라고 여겨 '홍의포(紅衣炮|hóngyīpào중국어)'로 이름을 변경했고, 만주 팔기에서도 그렇게 불렸다.
명나라는 시차오완 해전에서 포르투갈을 격파하고 그들의 총을 노획하면서 서양식 대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마카오의 포르투갈에 철제 대포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 저장성과 푸젠성의 지휘관 유자고는 펑후 제도의 네덜란드 전초 기지에 대한 원정에 앞서 1624년에 여러 '홍이포'를 주문했다.[4]
예수회 선교를 통해 기독교로 개종한 쉬광치와 산둥성의 쑨위안화 등은 새로운 기술의 사용을 지지한 명나라 관료였다. 1622년 봄, 톈치 황제는 두 번째 포르투갈 원정대가 수도에 도착하는 것을 허락했고, 1623년에는 쑨위안화의 요청에 따라 쑨청종, 위안충환과 같은 장군 휘하에서 일부 ''홍이포''가 중국 북부 국경에 배치되었다.[6][7] 홍이포는 1626년 닝위안 전투에서 누르하치를 격퇴하는 데 사용되었다.[4]
명나라는 바다에서 인양한 영국 및 네덜란드 대포를 역설계하기도 했다.[5]
1629년 후금군이 융핑에서 명나라 포병 부대를 점령한 후, 그들 역시 홍이포(紅衣炮|hóngyīpào중국어) 생산을 시작했다. 후금 팔기군 내에서 홍이포의 제조와 사용은 중군(ujen coohai|중군중국어)이라 불리는 한족 투항병들이 수행했다. 홍타이지의 지휘하에 있는 후금군은 1631년 다링허 전투에서 이러한 대포를 사용하여 큰 효과를 보았다.
이후 후금이 청으로 변모하고 여진족과 한족 투항병들이 만주 팔기로 재편된 후에도 대포와 화약 무기는 여전히 한군에만 독점적으로 제한되었고 만주 기병대는 이를 피했다. 포병과 머스킷을 전문으로 하는 한인 기병들은 청나라가 명나라 요새를 포위하는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80년대에 이르러 홍이포는 청나라 무기고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로서의 지위를 잃었고, '기적의 힘을 가진 장군 대포'라고 불리는 다른 종류의 대포로 대체되었다.
3. 1. 명나라의 도입과 개량
명나라는 1521년 시차오완 해전에서 포르투갈 함대를 격파하고 노획한 포르투갈제 후장식 회전포를 도입하면서 서양식 대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4] 이후 명나라는 마카오의 포르투갈로부터 홍이포를 도입했다.
명나라의 무기 제작자들은 "홍이포(紅夷砲)"가 명나라 무기고에 들어온 후에도 지속적으로 개량했고, 결국 자체적인 주조 기술을 설계에 적용하여 개선했다. 1642년, 명나라의 주조 기술은 유럽식 대포 설계와 융합되어 "정료대장군(定遼大將軍)"으로 알려진 독특한 대포를 만들었다. 정료대장군은 철제 포신 내부에 황동 외피를 씌운 복합 금속 대포로, 기존 철제나 청동제 대포보다 가볍고 튼튼하며 수명이 길었다.[8]
청동-철 복합 대포는 여러 면에서 철 또는 청동 대포보다 우수했다. 더 가볍고, 더 튼튼하며, 수명이 길고, 더 강한 폭발 압력을 견딜 수 있었다. 중국 장인들은 주철 외피에 단철 내심을 갖춘 대포와 같은 다른 변형을 실험하기도 했다. 이러한 대포는 청동-철 대포에 비해 열등했지만, 표준 철 대포보다 훨씬 저렴하고 내구성이 뛰어났다. 두 종류 모두 성공을 거두었고, 17세기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여겨졌다.[9] 중국의 복합 금속 주조 기술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포르투갈 제국 관리들은 인도 고아에 있는 대포 주조소에 중국 무기 제작자를 고용하여 포르투갈 무기 제조에 그들의 기술을 전수하려 했다.
4. 중국의 개량
명나라의 무기 제작자들은 홍이포가 명나라 무기고에 들어온 후에도 지속적으로 개량했고, 결국 자체적인 주조 기술을 설계에 적용하여 개선했다. 1642년, 명나라의 주조 기술은 유럽식 대포 설계와 융합되어 "정료대장군"으로 알려진 독특한 대포를 만들었다.[8] 중국 남부의 진보된 주철 기술과 중국 북부에서 발명된 철-청동 복합 포신을 결합하여 정료대장군은 철과 청동 대포 설계의 장점을 모두 보여주었다. 전통적인 철 및 청동 대포와 달리 정료대장군의 내부는 철로 만들어졌고, 외부는 황동으로 만들어졌다.[8]
그 결과 만들어진 청동-철 복합 대포는 여러 면에서 철 또는 청동 대포보다 우수했다. 더 가볍고, 더 튼튼하며, 수명이 길고, 더 강한 폭발 압력을 견딜 수 있었다. 중국 장인들은 주철 외피에 단철 내심을 갖춘 대포와 같은 다른 변형을 실험하기도 했다. 이러한 대포는 청동-철 대포에 비해 열등했지만, 표준 철 대포보다 훨씬 저렴하고 내구성이 뛰어났다. 두 종류 모두 성공을 거두었고, 17세기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여겨졌다.[9] 중국의 복합 금속 주조 기술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포르투갈 제국 관리들은 인도 고아에 있는 대포 주조소에 중국 무기 제작자를 고용하여 포르투갈 무기 제조에 그들의 기술을 전수하려 했다.[9] 타이완의 제란디아 요새 포위전에서 네덜란드를 위해 싸운 군인 알브레히트 헤르포트는 "중국인들은 매우 효과적인 총과 대포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 다른 곳에서는 그들과 같은 것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9]
명나라가 1642년에 복합 금속 정료대장군을 생산하기 시작한 직후, 베이징은 만주족 청나라에 의해 함락되었고, 북중국 전체가 청나라의 손에 들어갔다. 만주족 엘리트들은 직접적으로 총과 총의 생산에 관여하는 대신, 이 작업을 중국 장인들에게 위임하는 것을 선호했고, 이들은 청나라를 위해 "신위대장군"으로 알려진 유사한 복합 금속 대포를 생산했다. 그러나 청나라가 1700년대 중반 동아시아를 장악한 후, 복합 금속 대포 주조는 1840년 아편 전쟁에서 왕조가 외부 위협에 직면할 때까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이 시점에서 활강포는 강선포의 등장으로 인해 이미 구식이 되어가고 있었다.[8] 다구 요새 전투 (1860년) 이후, 영국군은 중국 대포 중 일부가 암스트롱 위트워스 포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복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했다.[10] 해안을 따라 배치된 청나라 대포의 상당수는 17세기 또는 18세기 초에 제작되었다.[11]
중국 남부에서 1530년대부터 철심과 청동 외피를 가진 대포를 만들기 시작했지만, 곧 1545년 구자라트, 1580년경 영국, 1629년 네덜란드에서도 이 기술을 실험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력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불가능했다. 유럽인들은 본질적으로 이를 실험 제품으로 취급했고, 오늘날까지 소수의 조각만 남아 있다.[10][11] 현재 알려진 복합 금속 대포 중에는 영국 2개, 네덜란드 2개, 구자라트 12개, 명청 시대 48개가 있다.[8]
날짜 | 구경 (cm) | 길이 (cm) | 무게 (kg) |
---|---|---|---|
1533 | 2.6cm | 29.5cm | 4.65kg |
1533 | 2.6cm | 29.5cm | 5kg |
1541 | 2.7cm | 29.3cm | 4.25kg |
1541 | 4.75kg | ||
1543 | 3.5cm | 23cm | |
1628 | 7.8cm | 170cm | 420kg |
1642 | 10.2cm | 382cm | 2500kg |
날짜 | 구경 (cm) | 길이 (cm) | 무게 (kg) |
---|---|---|---|
1643 | 13cm | 264cm | 2340kg |
1643 | 13cm | 266cm | 2220kg |
1643 | 13cm | 299cm | 2400kg |
1643 | 14.5cm | 2160kg | |
1646 | 13cm | 214cm | |
1658 | 10cm | 384cm | 1848kg |
5. 영향
홍이포는 명·청 교체기의 주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626년 닝위안 전투에서 명나라군은 홍이포를 사용하여 후금의 누르하치를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6] 1631년 다링허 전투에서는 후금군이 홍이포를 사용하여 명나라군을 상대로 큰 효과를 보았다.[7]
청나라가 동아시아를 장악한 후 복합 금속 대포 주조는 19세기 아편 전쟁 시기까지 중단되었으나, 이는 강선포의 등장으로 활강포가 구식이 된 영향도 있었다.
참조
[1]
학술지
João Rodrigues (1561?-1633)
https://repositorio.[...]
2011
[2]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of Korea Quarterly Magazine
https://webzine.muse[...]
2024-03-02
[3]
웹사이트
Cast in bronze and iron
http://www.bbc.com/s[...]
2024-03-02
[4]
서적
Lost Colony: The Untold Story of China's First Great Victory Over the We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5]
서적
Lost Colony: The Untold Story of China's First Great Victory Over the We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6]
서적
Siege Weapons of the Far East (2): AD 960-164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2
[7]
서적
Firearms: A Global History to 17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8]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Distinctive Composite-Metal Cannons Cast During the Ming-Qing Period
http://thjcs.web.nth[...]
2018-06-11
[9]
PDF
https://www.universa[...]
2022-03
[10]
PDF
http://nautarch.tamu[...]
2022-03
[11]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Distinctive Composite-Metal Cannons Cast During the Ming-Qing Period
http://lawdata.com.t[...]
2011-03
[12]
웹인용
Term 'ang moh' in use as early as 1600s in Ming Dynasty map
https://www.straitst[...]
2019-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