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던 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던 지도는 17세기 영국의 법학자 존 셀던의 유언에 따라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된 지도로, 조선, 일본, 명나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포괄한다. 1606년에서 1624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제작 시기와 장소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해상 무역을 위한 해도(海圖)로서, 한자 지명과 항로 표시를 통해 당시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활발한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중국 - 명-네덜란드 분쟁
명-네덜란드 분쟁은 17세기 명나라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간의 무력 충돌로, 네덜란드는 푸젠성 개항 등을 요구하며 명나라 상선을 공격했으나 랴오루만 해전 등에서 패배하고 타이완에서 쫓겨나는 등 지속적으로 패배했다. - 17세기 중국 - 동성파
동성파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방포, 유대규, 요내 등이 창시하여 문단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5·4 운동 이후 비판받으며 쇠퇴한 문학 유파이다. - 중국의 고지도 - 곤여만국전도
곤여만국전도는 마테오 리치가 1602년 제작한 중국 중심 세계관과 서양 지리학 지식을 반영한 계란형 세계지도로,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고, '일본해' 명칭의 최초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판은 보물로 지정되어 역사적·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 중국의 고지도 - 대명혼일도
대명혼일도는 14세기 후반 제작된 동아시아 고지도로, 중국은 비교적 정확하나 그 외 지역은 변형이 심하며, 만주 문자로 지명이 첨기되었고, 동쪽의 일본에서 서쪽의 유럽, 남쪽의 자와섬, 북쪽의 몽골까지 포괄하는 원나라적 세계관을 반영한 지도이다. - 보들리 도서관 - 고프 지도
고프 지도는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반에 제작된 중세 영국 지도로, 지리적 정확성을 추구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을 상세히 묘사하고 경로 및 거리 정보를 담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보들리 도서관 - 윌리엄 로드
윌리엄 로드는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잉글랜드 국교회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나, 반대 세력의 저항을 야기하여 반역죄로 처형되고 그의 정책은 잉글랜드 내전의 한 원인이 되었다.
셀던 지도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지도 종류 | 해도 |
제작 시기 | 17세기 초 |
제작 국가 | 추정 중국 |
언어 | 중국어 |
소장처 |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 도서관 |
식별 번호 | MS. Selden supra 38 |
역사 | |
발견 | 존 셀던에 의해 발견 |
보관 | 그의 죽음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에 기증 |
재발견 | 로버트 배첼러에 의해 2008년에 재발견 |
특징 | |
주요 특징 | 아시아 해안선 묘사, 특히 중국 |
항해 정보 | 항로 및 항구 정보 포함 |
색상 | 다채로운 색상 사용 |
방향 표시 | 나침반 장미가 특징적으로 나타남 |
중요성 | |
역사적 가치 | 17세기 중국의 지도 제작법과 항해술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 제공 |
연구 가치 |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 연구에 기여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The Selden Map of China: A New Look at East Asian Cartograph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홍콩 대학교 출판부, 2013 |
2. 발견
존 셀던(1584~1654)의 유언에 따라 1659년 9월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되었고,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가 2008년 사학자 로버트 베첼러에 의해 발견되었다.[12] 지도 자체에는 별다른 제목이 없다. 기증 당시 셀던이 붙인 명칭은 《중국 지도》이지만, 이 지도는 조선, 일본, 명나라 등의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지금의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포괄하고 있다.[13]
존 셀던은 1653년 자신의 유언장에서 이 지도를 언급했으며, 1659년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했다. 17세기 동양학자 토머스 하이드와 예수회 수사 심복종(마이클 선)이 지도에 유럽 언어로 주석을 달았고, 에드먼드 핼리도 관심을 가졌지만, 이후 오랫동안 잊혀졌다.[15] 지도 제작 시기와 장소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학자들은 대체로 17세기 초(1606년에서 1624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동서양항해도'''(明代東西洋航海圖)라고 부르지만, 이는 2008년 지도 발견 이후 붙여진 명칭이다.[14]
3. 제작 시기 및 배경
티모시 브룩은 존 새리스가 1608년에 지도를 입수하여 1609년에 영국으로 가져왔다고 추정했다.[5] 로버트 베첼러는 타이완에 대한 정보 등을 근거로 1619년경 마닐라 또는 루손섬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정지룡의 후원자였던 상인 이단을 제작자 또는 사용자로 지목했다.[7]
2016년,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연구팀은 지도의 종이에 대한 화학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마트라 아체에서 제작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10] 지도의 항로와 위치는 17세기 초의 항해 기록인 ''순풍상송''(順風相送), 정화의 항해 지도, 장섭(張燮)의 ''동서양고''(東西洋考, 1617)와 유사하지만 일치하지는 않는다.
3. 1. 제작 시기 논쟁
존 셀던은 1653년 이 지도를 언급한 적이 있고 1659년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하였다. 17세기 동양학자인 토머스 하이드와 당시 중국 출신의 예수회 수사 심복종(沈福宗, 마이클 선, Michael Shen)이 지도에 유럽 언어로 주석을 달았고 에드먼드 핼리 역시 관심을 가졌지만, 이후 오랫동안 수장고에 묻혀 있었다.[15] 셀던의 기록 외에 제작 시기와 장소에 대한 단서는 없다.
캐나다의 사학자 티모시 브룩은 제작 시기를 17세기 초로 추정한다.[16] 지도에 표기된 지역과 도시 명칭을 근거로 1606년에서 1624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룩은 지도가 1608년 제작되었고 영국인 최초로 일본을 방문하였던 존 새리스가 1609년 귀국하며 영국으로 가져왔을 것이라고 추측하였다.[17] 그러나 지도 발견자인 로버트 베첼러는 지도에 표기된 타이완 정보를 근거로 1610년대 이후에 지도가 제작되었다고 보면서 1619년을 제작 시기로 제안하였다.[18]
브룩과 베첼러는 지도 제작 장소를 놓고도 논쟁을 벌였다. 브룩은 새리스 가설에 따라 지도가 자와섬을 기반으로 한 화교 사회에서 제작되었다고 추측하였고,[19] 베첼러는 마닐라에서 제작되었거나 최소한 루손섬에서 사용되었다고 추측하였다. 베첼러는 정성공의 아버지 정지룡을 후원하였던 상인 이단(李旦)을 제작자 또는 사용자로 지목하였다.[20] 영국 동인도 회사 소속으로 일본 히라도시에 파견되었던 로버트 코크스의 기록에 따르면, 지도가 제작될 무렵 이단은 마닐라를 근거지로 하고 있었고 이후 스페인이 마닐라를 점령하자 나가사키로 이동하였다.[21]
3. 2. 제작 배경 논쟁
존 셀던은 1653년 이 지도를 언급하였고 1659년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하였다. 17세기 동양학자인 토머스 하이드와 당시 중국 출신의 예수회 수사로 유럽에 있었던 심복종(마이클 선, Michael Shen)이 지도에 유럽 언어로 주석을 달았고 에드먼드 핼리 역시 관심을 가졌지만 이후 오랫동안 수장고에 묻혀 있었다.[15] 셀던의 기록 외에 제작 시기와 장소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없다.
지도 제작 장소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캐나다의 사학자 티모시 브룩은 자와섬을 기반으로 한 화교 사회에서 제작되었다고 추측하였고[19], 지도 발견자인 로버트 베첼러는 마닐라에서 제작되었거나 최소한 루손섬에서 사용되었다고 추측하였다.[20] 베첼러는 정성공의 아버지인 정지룡을 후원하였던 상인 이단(李旦)을 제작자 또는 사용자로 지목하였다.[20] 영국 동인도 회사 소속으로 일본 히라도시에 파견되었던 로버트 코크스의 기록에 따르면, 지도가 제작될 무렵 이단은 마닐라를 근거지로 하고 있었고 이후 스페인이 마닐라를 점령하자 나가사키로 이동하였다.[21]
제작자는 불분명하나, 당시 활발했던 해상 무역 상인, 특히 화교 상인 사회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4. 해도(海圖)로서의 특징
셀던 지도는 해상 무역을 위해 제작된 해도이다. 지명은 한자로 표시되었으며, 총 105개의 지역이 나타나 있다.[22] 조선과 일본은 간략하게 표현되어 형태가 온전하지 않다. 반면 류큐국에서 자와섬까지는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되어 오늘날의 해도와 비교해도 정확도가 높다. 주요 지역 사이에는 항해로가 표시되어 있어, 이 지도가 상선들의 항해를 위해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23]
지도의 항로와 위치는 17세기 초의 항해 기록인 윌리엄 로드 소유의 ''순풍상송(順風相送)'', 정화의 항해 지도 ''무비지''(약 1628년), 장섭(張燮)의 ''동서양고''(東西洋考, 1617)에 나오는 정보와 유사하지만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2011년 로버트 민트와 전문가 팀이 복원 작업을 하면서 지도의 뒷면을 제거하자, 나가사키와 파항을 잇는 주요 항로 초안과 선의 길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 규칙을 나타내는 해시 마크가 발견되었다.[11]
5. 역사적 의의
셀던 지도는 명나라의 해금 정책에도 불구하고 당시 중국해에서 인도양까지 이어지는 바닷길이 세계적인 무역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동남아시아의 주요 항구에는 화교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었고,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일본 상인, 나하시를 중심으로 한 류큐 상인 등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이처럼 활발했던 동아시아 해상 무역과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바로 셀던 지도이다.[24]
5. 1. 조선과 셀던 지도
셀던 지도는 해상 무역을 위해 제작된 해도이다. 지명은 한자로 표시되었고 모두 105개의 지역이 표시되어 있다.[22] 조선과 일본이 포함되어 있지만 형태가 온전하지 않고 간략하다. 대신 류큐국에서 자와섬까지는 오늘날의 해도와 견주어도 정확도가 높을 정도로 비교적 상세하다. 주요 지역 사이에는 항해로가 표시되어 있어 이 지도가 상선들의 항해를 위해 제작되었음을 알려준다.[23]명나라는 해금 정책으로 해양 무역을 제한하고 있었지만, 당시 중국해에서 인도양까지 이어지는 바닷길은 세계적인 무역의 중심이었다. 동남아시아의 주요 항구에는 화교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었고,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일본 상인, 나하시를 중심으로 한 류큐 상인 등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중국 출신의 화교 상인들은 광저우, 마카오, 마닐라, 나가사키 등에 거점을 마련하고 있었다.[24]
당시 조선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 발 비껴서 있었으며, 헨드릭 하멜과 같이 표류해 온 경우를 제외하면 해외와 별다른 교류가 없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elden Map of China
http://seldenmap.bod[...]
2024-07-10
[2]
웹사이트
The Selden Map of China – Treasures of the Bodleian
http://treasures.bod[...]
2014-01-23
[3]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footnote 3.
[4]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42
[5]
문서
Brook, ''Mr. Selden's Map of China'', 173
[6]
웹사이트
The Folger Institute: Samuel Purchas, Map of China, 1625
http://www.folger.ed[...]
2014-01-23
[7]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50
[8]
문서
Brook, ''Selden's Map of China'', 169
[9]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56-7; Batchelor ''London'' 139-43
[10]
저널
The origins of the Selden map of China: scientific analysis of the painting materials and techniques using a holistic approach
2016-09-02
[11]
문서
Batchelor, "Selden Map Rediscovered," 42
[12]
뉴스
한 장의 ‘중국 지도’가 들려주는 남중국해의 야망
https://www.hani.co.[...]
한겨레
2018-11-02
[13]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37; David Helliwell and Robert Batchelor, "The Selden Map of China" (2011) http://seldenmap.bodleian.ox.ac.uk/
[14]
웹인용
「針路藍縷:牛津大學珍藏明代海圖及外銷瓷」展覽
http://timable.com/e[...]
2020-10-03
[15]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42
[16]
뉴스
1608년 지도가 말하는 사실 "남중국해는 상인의 바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1-02
[17]
문서
Brook, ''Mr. Selden's Map of China'', 173
[18]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50
[19]
문서
Brook, ''Selden's Map of China'', 169
[20]
문서
Batchelor, "The Selden Map Rediscovered" 56-7; Batchelor ''London'' 139-43
[21]
저널
The origins of the Selden map of China: scientific analysis of the painting materials and techniques using a holistic approach
2016-09-02
[22]
웹인용
「東西洋航海圖」 與明代中國
https://www.bodleian[...]
2015-10-28
[23]
뉴스
명은 쇄국을 택했지만, 남중국해는 동서 교류 중심지였다
http://m1.hankookilb[...]
한국일보
2018-11-02
[24]
서적
바다에서 본 역사
민음사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