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이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이허는 친링-화이허선을 경계로 중국의 남북을 구분하는 지리적, 기상학적 경계선으로,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로 여겨져 왔다. 연간 강수량 1,000mm 선과 거의 일치하며, 북쪽은 밀 중심의 밭농사, 남쪽은 쌀 중심의 논농사가 발달했다. 역사적으로 황하의 범람으로 인해 물길이 바뀌었고, 현재는 심각한 수질 오염으로 인해 유역 주민들의 암 발생률이 높아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이허 - 훙쩌호
    장쑤성에 위치한 훙쩌호는 중국에서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로 큰 담수호이며, 황하의 물길 변경과 토사 유입, 그리고 조상릉 보호를 위한 제방 건설과 확장으로 인해 형성되고 변화를 겪어왔다.
  • 화이허 - 강회 (중국)
  • 장쑤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장쑤성의 강 - 우쑹강
    우쑹강은 상하이를 가로지르는 강이자 과거 상하이와 쑤저우를 잇는 수로였으며, 강 하구는 상하이의 약칭 '호'의 유래이고, 현재는 상하이 시 정부의 재활 프로젝트를 통해 수질 개선 및 도시 활성화가 진행 중이다.
  • 안후이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안후이성의 강 - 첸탕강
    첸탕강은 중국 동남부의 주요 강으로, 긴 역사를 가진 수운 교통로이자 세계 최대 조수 급강하 현상으로 유명하며, 풍부한 수자원과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해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화이허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화이허
다른 이름화이수 (淮水)
화이 허 (Huai He)
로마자 표기Huai He
안후이성 벙부의 화이허
안후이성 벙부의 화이허
지리
위치중국 중부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
도시신양시
푸양시
루안시
화이난시
벙부시
톈창시
화이안시
양저우시
발원지허난성 난양시 퉁바이산
발원지 좌표32.3810, 113.2763
발원지 고도1029m
하구양쯔강
하구 위치장쑤성 양저우시
하구 좌표32.3078, 119.7035
하구 고도0m
유역양쯔강 → 동중국해
길이1110km
유역 면적174000km2
평균 유량1616m3/s
기타 정보
화이허 및 주요 지류 지도

2. 지리적 특징

화이허(淮河)와 진령산맥을 잇는 선(친링-화이허 선)은 중국의 남북을 나누는 중요한 지리적 경계선이다. 이 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화베이(華北), 남쪽은 화난(華南)으로 구분되며, 기후, 농업, 교통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친링-화이허 선은 연간 강수량 1,000mm 선과 거의 일치한다. 이 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강수량이 적어 중심의 밭농사가, 남쪽은 강수량이 많아 중심의 논농사가 발달했다. 또한, 화이허 북쪽은 육로 교통이, 남쪽은 하천 교통이 발달하여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말이 생겨났다.

2. 1. 친링-화이허 선

친링-화이허 선은 화이허와 친링산맥을 연결하는 선으로, 중국의 남북을 나누는 지리적, 기상학적 경계선이다. 이 선은 연간 강수량 1,000mm 선과 거의 일치하며, 전통적으로 화베이(華北, 화북)와 화난(華南, 화남)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여겨졌다.[11]

친링-화이허 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강수량이 적어 중심의 밭농사가 발달했고, 남쪽은 강수량이 많아 중심의 논농사가 발달했다. 또한, 화이허 남쪽은 하천 교통이, 북쪽은 육로 교통이 발달하여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말이 생겨났다.

춘추 시대 제나라안자가 사용한 '귤화위지'(橘化爲枳) 또는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표현은 '남쪽의 귤이 회수(화이허)를 건너 북쪽으로 가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이미 그 시대부터 화이허가 중국 남북의 지리적 경계였음을 보여준다.[11]

이러한 농업 생산물과 교통의 차이는 정책과 군사 부문에 영향을 주어, 중국이 남북으로 분열되었을 때 화이허가 경계선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화이허 북쪽 지역은 PM2.5를 포함한 총 부유입자상물질(TSP) 농도가 남쪽보다 높아 주민 평균 수명이 5.5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6] 이는 북쪽 지역에서 석탄 난방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으로 인해 대기 오염이 심화된 결과로 보인다.[6]

2. 2. 유역 및 물길

화이허는 허난성 동백산과 로아차에서 발원한다.[7][8]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 3개 성을 통과하며, 중간에 장쑤성의 홍택호라는 중국 네 번째의 거대한 담수호를 형성한다. 여기서 일부는 갈라져 황해로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산장영에서 장강으로 유입된다.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낙차는 200m에 불과하다.

허난성과 안후이성의 경계인 홍하구까지가 상류이며, 길이는 360km, 낙차는 178m, 유역 면적은 30600km2이다. 홍하구부터 홍택호의 출구인 중도까지가 중류이며, 길이는 490km, 낙차는 16m, 유역 면적은 158000km2이다. 중도에서 산장영의 장강 유입 지점까지는 150km이며, 낙차는 6m이다.

화이허 수계 지도


현재 화이허는 가오유호와 사보호를 거쳐 삼하(三河)로 남쪽으로 흘러 양저우 근처 삼강영(三江营)에서 장강으로 유입된다.[4] 화이허 해양 유입로 및 수북 관개 수로라고 불리는 수로가 있으며, 이는 화이안을 통과하여 비단항(碧荡港)에서 바다로 유입된다.[4] 별도의 수로는 화이무(淮穆) 강과 화이슈(淮沭) 강을 통해 북쪽으로 흐르며, 화이허 수계를 련운항의 관운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이수사(沂沭泗) 수계의 일부인 신의(新沂) 강과 연결한다.[4]

워허(渦河), 샤허(沙河), 홍허(洪河) 등 화북평야의 황하에서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천정천인 황하에 합류할 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의 지류가 되었다. 이러한 강에는 옛날 황하 주류였던 하도(河道)를 흐르는 강도 있다.

화이허에는 많은 지류가 있으며, 면적이 2000km2를 초과하는 주요 지류가 15개, 유역 면적이 1000km2를 초과하는 주요 지류가 21개 있다.[4]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5]

화이허의 주요 지류
북쪽 강둑남쪽 강둑
홍하(洪河)유하(游河)
잉하(潁河)석하(浉河 [河流])
서비하(西淝河)죽간하(竹竿河)
과하(涡河)재하(寨河)
신변하(新汴河)황하(潢河)
규쇄하(奎濉河)백로하(白露河)
사관하(史灌河)
피하(Pi He River …)
동비하(东淝河)
지하(池河 [淮河])


3. 역사

화이허와 친링산맥을 연결하는 친링-화이허 선은 중국의 남북을 나누는 중요한 경계선으로 여겨졌다. 이 선은 연간 강수량 1,000mm 선과 거의 일치하며, 강수량 차이로 인해 북쪽은 중심의 밭농사, 남쪽은 중심의 논농사가 발달했다. 또한, 화이허 남쪽은 하천 교통, 북쪽은 육로 교통이 발달하여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말이 생겨났다.[11]

제나라안자가 언급한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고사성어는 '남쪽의 귤이 화이허를 건너 북쪽으로 가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춘추 시대부터 화이허가 중국 남북의 지리적 경계였음을 보여준다.[11]

이러한 자연환경과 교통의 차이는 정치, 군사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중국이 남북으로 분열되었을 때 화이허가 경계선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역사적으로 화이허는 황해로 흘러들어 주변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러나 1194년부터 황허가 여러 차례 남쪽으로 물길을 바꾸어 화이허에 합류하면서 토사가 쌓여 흐름이 막히고, 홍수가 자주 발생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민당 정부가 일본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황허 제방을 폭파하여 화이허 유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2]

3. 1. 물길 변화와 치수

화이허의 물길은 역사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과거 화이허는 장쑤성 북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갔으나, 1194년 황하가 남쪽으로 물길을 바꾸면서 화이허 하도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황하의 토사가 퇴적되어 화이허의 흐름이 막히고 물이 역류하여 홍택호가 형성되었고, 많은 땅과 마을이 물에 잠겼다.[3] 홍택호에 모인 물은 남쪽으로 흘러 고유호, 사백호 등의 호수를 거쳐 장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4]

1850년대에 황하가 다시 북쪽으로 물길을 바꾸었지만, 화이허는 황하의 옛 물길에 쌓인 토사로 인해 원래의 물길로 돌아가지 못하고 남쪽으로 계속 흘러 안후이성과 장쑤성 경계 부근에서 자주 범람을 일으켰다.[3]

195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화이허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나무를 심었으며, 하류의 배수로를 정비하는 등 치수 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장쑤성 북부에 설치된 수로소북관개총거는 화이허 옛 하도를 따라 화이허의 물을 황해로 내보내고 있다.[3] 그러나 치수를 위해 지류에 만들어진 댐 중 판교댐은 1975년 태풍 3호(레나 태풍)로 인한 폭우로 붕괴되어 하류의 댐까지 휩쓸려 대홍수를 일으키기도 했다.

4. 환경 문제

淮河|화이허중국어는 지난 40년 동안 심각한 수질오염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역 주민들의 발병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국제적인 문제가 되었다.[9]

주된 원인은 淮河|화이허중국어 유역의 화학 공장들이 오염 물질을 무단 방류하여, 淮河|화이허중국어의 물이 화학 물질로 오염되고 지하를 통해 우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시골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우물물을 식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을 마셔 암에 걸리게 되었다.[9]

중국 정부는 수질 개선을 위해 정수 시설을 갖춘 취수장을 설치하기 시작했지만, 2013년 기준으로 20여 곳 정도만 설치되어 광대한 유역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대다수 주민은 여전히 발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9]

4. 1. 수질 오염

화이허는 지난 40년 동안 심각한 수질오염을 겪고 있다.[9] 화이허 강둑에는 수십 센티미터 높이의 분홍색 거품이 몰려와 악취를 풍기는 곳이 많다.[9] 유역 마을 주민들의 발병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로이터 통신 등에 의해 국제적인 문제로 폭로되었다.[9] 국제적인 비판이 거세지자 중국 정부는 2005년에 조사를 명령하고 연구자들이 현지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9]

2013년 중국 정부는 화이허의 오염이 심각한 지역과 암 발병률이 높은 지역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유역 마을 중에는 주민들이 잇달아 여러 암으로 사망하는 암촌(癌村)이 있으며, 직장암 등의 발병률이 중국 다른 마을에 비해 5배나 되는 곳도 있다.[9]

오염의 주된 원인은 화이허 유역의 화학 공장 등이 오염 물질을 무단 방류하여 화이허의 물이 화학 물질로 오염되고, 그것이 지하를 통해 우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시골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우물물을 식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을 마셔 암에 걸리게 된 것이다.[9]

중국 정부는 수질 개선을 위해 정수 시설이 설치된 취수장을 설치하기 시작했지만, 2013년 시점에서 20여 곳 정도만 설치되어 광대한 유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유역 주민 대다수는 여전히 발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9]

4. 2. 암 발생률 증가

화이허는 지난 40년 동안 심각한 수질오염을 겪고 있다.[9] 강둑에는 수십 센티미터 높이의 분홍색 이상한 거품이 몰려와 악취를 풍기는 곳이 많다.[9] 유역 마을 주민들의 발병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주민들이 고통받는다는 사실이 로이터 통신 기자 등에 의해 폭로되면서 국제적인 문제가 되었다.[9] 국제적인 비판이 거세지자 중국 정부는 2005년에 조사를 명령하고 연구자들이 현지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9]

2013년 중국 정부는 조사 결과, 화이허의 오염이 심각한 지역과 암 발병률이 높은 지역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발표를 했다. 유역 마을 중에는 주민들이 잇달아 여러 암으로 사망하는 마을, 중국에서 암촌(癌村)이라고 불리는 마을, 주민들이 높은 확률로 암에 걸리는 마을이 있다.[9] 직장암 등의 발병률 악화 정도가 중국 다른 마을에 비해 5배나 되는 마을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

오염의 주된 원인은 화이허 유역의 화학 공장 등이 화이허에 오염 물질을 무단 방류한 결과, 화이허의 물이 화학 물질로 오염되고, 그것이 지하를 통해 우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시골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우물물을 식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을 마셔 암에 걸리게 된 것이다.[9]

중국 정부는 대책으로 수질 개선을 위한 정수 시설이 설치된 취수장을 설치하기 시작했지만, 광대한 유역에 2013년 시점에서 20여 곳 정도만 설치되어 있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유역 주민 대다수는 여전히 발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9]

5. 대책 및 전망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ain Rivers http://china.org.cn/[...] China.org.cn 2010-07-27
[2] 백과사전 Huai River http://www.britannic[...] 2014-10-31
[3] 서적 The Retreat of the Elephants: An Environmental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0-10-11
[4] 간행물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Water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Plans in China - The Case of Huai River Basin http://documents1.wo[...] 2020-10-10
[5] 웹사이트 淮河 https://zh.wikipedia[...] 2020-10-10
[6] 웹사이트 中国の大気汚染、南北差くっきり 淮河を境に寿命にも差 http://www.asahi.com[...] 2013-07-10
[7] 웹사이트 桐柏山-淮源风景名胜区 https://www.zgbk.com[...] 2023-02-05
[8] 웹사이트 国务院关于发布第七批国家级风景名胜区名单的通知 国函〔2009〕152号 http://www.gov.cn/zw[...] 中華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09-12-28
[9] 방송 報道ステーション SUNDAY 2013-09-29
[10] 방송 中国“水の危機”を救え!~海を渡る日本のエコ技術~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6-12-05
[11] 서적 안자춘추(晏子春秋) 내잡(內雜) 하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