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철곤은 2001년 4월 보궐선거에서 마산시장에 당선되어 2010년까지 3선 연임했다. 마산시장 재임 기간 동안 '6+6프로젝트' 등 마산 발전을 위한 계획을 추진하여 도시 도약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퇴임 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어 징역 1년이 선고되었다. 그는 1976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서울시, 경남도청, 내무부 등에서 근무했으며, 함안군수, 창원군수, 사천군수를 역임했다. 부산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단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경남대학교에서 명예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복지정책론》, 《21세기를 여는 [통합마산 어떻게]》 등이 있으며, 마산시장 재임 중 마산밸리 재단 이사장, 경상남도 시장·군수협의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황철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철곤 |
국가 | 대한민국 |
원래 이름 | 黃喆坤 |
출생일 | 1954년 5월 20일 (69세)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 |
거주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사파동 |
종교 | 불교 |
자녀 | 슬하 2녀 |
공직 경력 | |
직책 | 경상남도 마산시장 |
임기 | 2001년 4월 26일 ~ 2010년 6월 30일 |
전임 | 김인규 |
후임 | 박완수(창원시와 통합) |
정당 | 자유한국당 |
학력 | |
학교 | 단국대 대학원 정치학 박사 |
군 복무 |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복무 기간 | 1977년 ~ 1981년 |
지휘 | 정훈장교 수습행정사무관 |
계급 | 대한민국 공군 대위 |
경력 | |
강사 | 경남대학교 겸임교수 울산대학교 겸임교수 동아대학교 겸임교수 |
주요 경력 | 경상남도 마산시장 전국시장 군수 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경상남도 함안군수 경상남도 사천군수 |
수상 | |
훈장 | 대한민국 근정포장 |
표창 |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대한민국 내무부 장관 표창장 대한민국 체육부 장관 표창장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황철곤 공식 사이트 |
2. 생애
2001년 4월 보궐선거로 마산시장에 당선되어 3선을 연임하였다. 시장 재임 기간 동안 마산은 도 단위 기관 및 향토기업들의 창원 이전, IMF 외환 위기 후유증 등으로 도시 경쟁력과 성장 동력을 잃고 오랜 침체를 겪고 있었다. 그러나 황철곤 시장은 '6+6프로젝트' 등 마산 발전을 위한 다양한 계획들을 추진하고, 대규모 사업들을 유치하여 마산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
퇴임 이후에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고, 2011년 12월 징역 1년이 선고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신방초등학교(1961년 ~ 1967년), 창덕중학교(1967년 ~ 1970년), 마산고등학교(1970년 ~ 1973년)를 졸업했다.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에서 학사 학위(1973년 ~ 1977년)를 취득하고, 공군 방공포병학교를 졸업(1977년 ~ 1978년)했다.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1979년 ~ 1981년)를,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1988년 ~ 1991년)를 취득했다.2. 2. 공직 경력
1976년 제18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다.[1] 서울시 강남구청, 경남도청, 내무부 등에서 근무하였다.[1] 함안군수, 창원군수, 사천군수 등 경상남도 내 여러 기초자치단체장을 역임하였다.[1]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장을 지냈다.[1]연도 | 직책 |
---|---|
1976년 2월 | 제1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1] |
1976년 5월 | 서울시 강남구청 수습행정 사무관[1] |
1981년 7월 | 공군 대위 예편[1] |
1981년 8월 | 경상남도청 지방과[1] |
1981년 12월 | 경남도청 서무과 통신계장[1] |
1982년 5월 | 경남도청 사회과 복지계장[1] |
1984년 2월 | 경남도청 기획담당관실 기획계장[1] |
1986년 4월 | 경남도청 서무과 인사계장[1] |
1987년 1월 | 경남도청 공무원교육원 서무과장[1] |
1987년 4월 | 내무부 새마을운동중앙본부 파견[1] |
1987년 11월 | 범민족 올림픽추진중앙협의회 파견[1] |
1989년 1월 | 내무부 총무과 인사담당[1] |
1989년 6월 | 내무부 행정관리담당관실 행정관리담당[1] |
1990년 10월 | 내무부 총무과 인사담당[1] |
1991년 7월 | 경남도청 기획관리실 기획담당관[1] |
1992년 4월 ~ 1993년 6월 | 함안군수(관선)[1] |
1993년 6월 | 청와대 민정 수석실 행정관[1] |
1994년 1월 ~ 1995년 | 창원군수(관선)[1] |
1995년 1월 ~ 1995년 4월 | 사천군수(관선)[1] |
1996년 9월 ~ 1997년 1월 | 동남산업단지공단 울산본부장(상무이사)[1] |
1997년 1월 ~ 2000년 9월 |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장(특1급)[1] |
2. 3. 마산시장 재임
2001년 4월 보궐선거를 통해 마산시장에 당선되어 3선을 연임하였다. 시장 재임 기간 동안 마산은 도 단위 기관 및 향토기업들의 창원 이전, IMF 외환 위기 후유증 등으로 도시 경쟁력과 성장 동력을 잃고 오랜 침체를 겪고 있었다. 그러나 황철곤 시장은 '6+6프로젝트' 등 마산 발전을 위한 다양한 계획들을 추진하고, 대규모 사업들을 유치하여 마산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퇴임 이후에는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고, 2011년 12월 징역 1년이 선고되었다.
2. 4. 퇴임 이후
퇴임 이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고, 2011년 12월에 징역 1년이 선고되었다.[1]3. 경력
연도 | 내용 |
---|---|
1976년 2월 | 제1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
1976년 5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 수습행정 사무관 |
1981년 7월 | 공군 대위 예편 |
1981년 8월 | 경상남도청 지방과 근무 |
1981년 12월 | 경상남도청 서무과 통신계장 |
1982년 5월 | 경상남도청 사회과 복지계장 |
1984년 2월 | 경상남도청 기획담당관실 기획계장 |
1986년 4월 | 경상남도청 서무과 인사계장 |
1987년 1월 | 경상남도청 공무원교육원 서무과장 |
1987년 4월 | 새마을운동중앙본부 파견 |
1987년 11월 | 범민족 올림픽추진중앙협의회 파견 |
1989년 1월 | 내무부 총무과 인사담당 |
1989년 6월 | 내무부 행정관리담당관실 행정관리담당 |
1990년 10월 | 내무부 총무과 인사담당 |
1991년 7월 | 경상남도청 기획관리실 기획담당관 |
1992년 4월 ~ 1993년 6월 | 함안군수(관선) |
1993년 6월 |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 |
1994년 1월 ~ 1995년 | 창원군수(관선) |
1995년 1월 ~ 1995년 4월 | 사천군수(관선) |
1996년 9월 ~ 1997년 1월 | 동남산업단지공단 울산본부장(상무이사) |
1997년 1월 ~ 2000년 9월 |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장(특1급) |
2001년 4월 27일 ~ 2010년 6월 30일 | 제39·40·41대 마산시장(3선, 한나라당) |
2002년 5월 17일 ~ 2010년 6월 30일 | 마산밸리 재단이사장 |
2008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경상남도 시장·군수협의회장 |
2008년 7월 16일 | 경상남도 시장·군수협의회 공동회장단 대변인 |
2009년 7월 31일 ~ 2010년 6월 30일 | 경상남도 시장·군수협의회 사무총장 |
늘푸른한국당 최고위원 | |
자유한국당 |
4. 학력
학교명 | 학위 | 졸업 연도 |
---|---|---|
신방초등학교 | 졸업 | 1967년 |
창덕중학교 | 졸업 | 1970년 |
마산고등학교 | 졸업 | 1973년 |
부산대학교 | 경영학 학사 | 1977년 |
대한민국 공군방공포병학교 | 졸업 | 1978년 |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 석사 | 1981년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정치학 박사 | 1991년 |
4. 1. 명예 박사 학위
2007년 경남대학교에서 명예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저서 및 논문
- 《한국복지정책론》 (1985)
- 《21세기를 여는 [통합마산 어떻게]》 (1994)
- 〈빈곤층 실태분석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 〈선거제도와 정당제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 논문)
- 《우산받쳐주는시장 [회고록]》 (2010)
6. 상훈
연도 | 상훈 |
---|---|
1985년 | 근정 포장, 대통령 표창, 내무부장관 표창 |
1989년 | 체육부장관 표창 |
2007년 | 지방자치발전 대상, ‘한국의 아름다운 얼굴 20인’ 선정, “참다운 향토인상” |
2008년 | 2008 지방자치大賞 경영혁신 최우수 5대 단체장 부문 대상 |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95년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민주자유당 | 64,997표 (33.34%) | 2위 | 낙선 | 민선 1기 |
1996년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무소속 | 17,038표 (18.16%) | 2위 | 낙선 | |
2001년 | 200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한나라당 | 56,021표 (81.55%) | 1위 | 당선 | 초선, 민선 2기 |
2002년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한나라당 | 111,040표 (73.97%) | 1위 | 당선 | 재선, 민선 3기 |
2006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한나라당 | 122,692표 (72.62%) | 1위 | 당선 | 3선, 민선 4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