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산시는 경상남도 남부 해안에 위치했던 도시로, 2010년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되어 창원시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로 개편되었다. 고대에는 가야의 영역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창원부의 일부였다. 1899년 마산항이 개항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마산부로, 이후 마산시로 개칭되었다. 3·15 마산 의거와 부마민주항쟁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NC 다이노스 홈구장, 마산항, 돝섬해상유원지 등이 있으며, 아구찜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마창대교, 김해국제공항, 경전선 마산역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산시 - 3·15 마산 의거
    1960년 3월 15일,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 시민들이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인 3·15 마산 의거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가 조성되고 매년 3월 15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 마산시 - 마산시 합포구
    마산시 합포구는 1990년 마산시 구제 실시로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국회의원 선거구이기도 했으나 2000년 마산시 구제 폐지로 인해 폐지되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기장군
    기장군은 부산광역시 동해안에 위치한 농촌적 특징을 가진 지역으로, 멸치와 미역이 유명한 어업 중심지이며, 해동용궁사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언양군
    언양군은 신라시대 거지화현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 현양으로 개칭, 조선시대 언양현을 거쳐 언양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울산군에 통합되며 소멸된 경상남도의 옛 군이다.
  • 1949년 설치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1949년 설치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마산시
지도
기본 정보
행정 구역 명칭마산시
로마자 표기Masan-si
한글 표기마산시
한자 표기馬山市
가나 표기마산=시
면적330.4
총인구418,076명 (2007년 8월)
상위 자치 단체경상남도
하위 행정 구획1읍 4면 27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8020
시의 나무은행나무
시의 꽃장미
시의 새괭이갈매기
공식 웹사이트마산시 공식 웹사이트
폐지 정보
폐지 당시창원시에 통합됨
참고폐지된 행정 구역에 대한 정보이며, 통합된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 창원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역사

1899년 4월 마산포 사건이 발생하고, 5월 1일 일본의 압력으로 마산항이 개항되었다. 초기 무역품으로는 소금, 생선, 면화 등이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쓰시마 해협에 가까이 위치하고 진해만을 품은 이 지역은 러일 패권 다툼의 무대가 되었다. 1899년 러시아가 마산에 단독 조차지를 설치하려 했던 마산포 사건을 거쳐 마산은 조선반도 다섯 번째 개항지가 되었다. 마산에는 일본인 조차지 외에 러일전쟁까지는 러시아 조차지도 있었다.

마산항은 과거 중국 원나라의 몽골인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결국 실패로 끝난 일본 정벌 준비에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도 마산에는 몽골의 영향을 보여주는 작지만 역사적인 "몽고정(蒙古井)"이 자산동 117번지에 위치해 있다. 현재 마산항은 마산시를 대표하는 중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 1901년에 처음 개항되었으며, 창원산업단지, 마산자유무역지역, 그리고 미래의 사천산업단지 등을 외부 세계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950년-1952년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대한민국 경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민간인 학살 사건(보도연맹 사건)이 발생했다.[8]

2. 1. 고대 - 근세

고려 시대인 1274년 9월, 고려는 원나라 쿠빌라이 칸의 일본 정벌을 돕기 위해 300척이 넘는 대형 선박을 건조했다. 2만 명이 넘는 몽골군과 5,000명의 고려군을 포함한 연합군은 1274년 9월 15일 마산에서 900척의 배를 타고 출발하여 일본 정복을 위한 작전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고대에는 가야의 영역으로, 골포(骨浦)라 불렸다. 통일신라 시대 757년 골포현(骨浦縣)을 합포현(合浦縣)으로 개칭하여 의안군(義安郡)의 속현으로 삼았다. 일본에서 “가포(がっぽ)”라고 읽는 합포는 원나라의 일본 침공 기지로 유명하다. 1274년 10월 3일, 몽골인 도원수 홀둔을 총사령관으로, 한인 좌부원수 유복형과 고려인 우부원수 홍차구를 부장으로 하는 몽골·한군 1만 5천~2만 5천 명의 주력군과 도독사 김방경 등이 이끄는 고려군 5,300~8,000명, 수부를 포함한 총 2만 7천~4만 명을 태운 726~900척의 군선이 합포(가포, 현재의 대한민국 마산)에서 출항했다. 그 7년 후인 1281년 5월 3일, 동정도원수 흔두·홍차구가 이끄는 몽골인, 한인 등으로 구성된 몽골·한군 3만 명과 정일본도원수 김방경이 이끄는 고려군 약 1만 명의 동로군 900척이 고려 국왕 충렬왕의 사열을 받은 후, 합포(가포)에서 출항했다.

1282년에는 회원현(會原縣)으로 개칭되어 금주(金州)에 속하는 군현의 하나가 되었다. 조선 시대 1408년, 회원현과 의창현(의안현에서 개칭)이 통합되어 창원부(昌原府)가 되었다. 이후 조선시대를 통하여 마산포(馬山浦)는 창원부의 일부였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7] 1914년 4월 1일에는 개항지 부근을 관할하는 부제에 기반한 마산부가 설치되어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이때 도시 지역인 각국거류지와 외서면 일원을 '''마산부'''로 남기고, 이를 제외한 지역은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14]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마산부 외서면 월영리 일부, 신월리 일부, 완월리 일부, 자산리, 서성리 일부/성호리 일부/성산리 일부, 서성리 일부, 동성리 일부/서성리 일부/중성리 일부, 성호리 일부/중성리 일부, 동성리 일부/성산리 일부, 동성리 일부/중성리 일부/오산리 일부, 동성리 일부/오산리 일부/상남리 일부, 상남리 일부, 성호리 일부, 교방리/회원리 일부, 신월리 일부/완월리 일부마산부 금정, 영정, 고정, 월영리, 신월리, 선정, 궁정일정목, 궁정이정목, 통정일정목, 통정이정목, 통정삼정목, 통정사정목, 통정오정목, 도정일정목, 도정이정목, 도정삼정목, 중정, 주정, 자산리, 신정, 부정, 행정, 수정, 원정, 석정, 표정, 만정, 오동리, 상남리, 성호리, 교원리, 완월리



1942년 10월 1일 창원군 일부를 편입하였다.[15]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창원군 창원면 봉암리, 창원군 내서면 교방리, 회원리, 산호리, 석전리, 양덕리, 창원군 구산면 가포리마산부 봉암리, 교방리, 회원리, 산호리, 석전리, 양덕리, 가포리



1947년 7월 20일 일본식 정(町)명이 한국식 동명으로 개정되었다.

구 행정구역 (법정동)신 행정구역
마산부 경정(京町)1~3정목, 통정(通町)1~5정목, 빈정(濱町)1~3정목, 궁정(弓町)1·2정목, 도정(都町)1~3정목, 본정(本町)1~3정목, 풍정(豊町)1·2정목마산부 두월동1~3가, 장군동1~5가, 창포동1~3가, 대성동1·2가, 중앙동1~3가, 월남동1~3가, 신포동1~2가
마산부 대정(臺町), 파정(巴町), 녹정(綠町), 영정(英町), 서정(曙町), 금정(錦町), 앵정(櫻町), 유정(柳町), 고정(高町), 부정(富町), 석정(石町), 수정(壽町), 만정(萬町), 원정(元町), 영정(榮町), 욱정(旭町), 선정(扇町), 중정(仲町), 주정(湊町), 행정(幸町), 석정(石町), 표정(俵町), 신정(新町)마산부 대내동, 대외동, 유록동, 화영동, 청계동, 해운동, 문화동, 신창동, 대창동, 부림동, 창동, 수성동, 동성동, 남성동, 홍문동, 평화동, 반월동, 신흥동, 월포동, 서성동, 창동, 중성동, 추산동



1949년 8월 15일 마산부를 '''마산시'''로 개칭하였다.[16] 1958년 8월 15일에는 행정동 명칭과 구역을 확정하였다.[17]

1960년 3월 15일 마산에서는 이승만 독재 정권의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민 데모가 발생하여 치안 당국과의 충돌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3.15 의거, 4·19 혁명으로 이어짐) 같은 해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머리에 최루탄을 맞은 고등학생 김주열의 시신이 발견되어(마산 사건)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1]

1970년 박정희 정권은 수출 진흥을 위해 마산 자유무역지역을 설정하고 외국 기업을 유치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창원군 일부를 편입하였다.[20]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창원군 창원면, 상남면, 웅남면 일원, 창원군 내서면 구암리, 합성리, 회성리, 두척리, 창원군 구산면 예곡리, 우산리, 현동리, 덕동리마산시 의창1동, 의창2동, 상북동, 성주동, 용지동, 웅남1동, 웅남2동, 합성동, 회성동, 현동



1979년 10월 19일에는 부마민주항쟁이 일어났다. (유신 체제 종식의 결정적 원인이 됨)

1980년 4월 1일 마산시 창원출장소 및 의창동을 관할로 창원시가 분리되었다.[23] 1990년에는 시역에 합포구·회원구를 설치했다.(2000년 말 폐지)[30] 1995년에는 시역의 서쪽에 남아 있던 의창군(구 창원군) 관하의 5면을 합병하여 도농복합형태시가 되었다.[31]

2005년 3월 18일, 마산시의회는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竹島の日) 제정에 반발하여 “쓰시마의 날(対馬の日)” 조례를 제정했다.[9]

2010년 7월 1일 마산시는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면서 폐지되고 창원시로 통합되어 창원시 마산회원구마산합포구로 분구되었다.

마산에 진입하는 공수부대, 민주화 시위와 계엄령 선포 이후 도시에 대한 잔혹한 진압 시작

3. 명칭 유래

마산이라는 명칭은 이미 세종실록의 마산창(馬山倉)이나 동국여지승람의 마산포(馬山浦)라는 언급으로 보아 적어도 고려시대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마산이란 명칭의 유래에 관해서는 조창 관련설, 오산(午山, 용마산) 관련설 등이 있다.


  • 고려시대 조창 관련설: 고려 성종 때 전국 12곳에 조창을 설치하였는데, 마산에 석두창이 설치되었다. 두척은 쌀을 재는 말(한말, 두말 …)인 ‘斗’와 자를 뜻하는 ‘尺’의 합성어로 '쌀을 재는 자'(말통)를 뜻하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말 마(馬)'로 옮긴 것이 마산으로 표기되었다는 것이다. 두척산(무학산의 원래 이름), 두척마을, 마재고개 등의 지명이 유력한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 용마산 관련설: 용마산(龍馬山)을 오산(午山)이라 부르다가 마산(馬山)으로 부르면서 비롯되었다는 설이다.

3. 1. 별칭

4. 지리

마산은 경상남도 남부 해안 지대에 위치한 항만 도시였다. 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창원시 의창구와 접하며, 마산만과 면한다. 서쪽으로는 진주시, 고성군, 북쪽으로는 함안군에 접하고, 남쪽으로는 진해만에 면한다. 시내와 마산만이 접해 있으며, 마산만 한가운데에는 해상 유원지인 돝섬이 있다.

옛 마산시는 경상남도 남부 해안 지대, 진해만 최내측에 위치해 있었다. 남서쪽으로는 고성군, 서쪽으로는 진주시, 북쪽으로는 함안군과 접하고 있었다. 남쪽과 동쪽은 바다(진해만)에 면해 있으며, 동쪽에 있는 진해만의 만입을 특히 마산만이라고도 부른다. 2010년 7월에 편입될 때까지 창원시는 마산만 건너편에 있는 도시였다.

19세기 개항한 이래 일제강점기1910년대에 도시 지역이 창원군과 분리되어 부(府)로 설정될 정도로 주변 지역에 비해 일찍 도심이 형성되었다. 마산은 일찍이 항구, 공업, 상업, 주거 지역 등으로 발전하면서 구역별로 각각 다른 별칭이 붙었는데, 주로 시민들에게서 통용되는 별칭은 다음과 같다.


  • '''서마산''': 주로 회성동석전동 일대를 가리키며, 이 지역에 서마산 나들목이 있다.
  • '''동마산''': 주로 합성동구암동 일대를 가리키며, 양덕동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 지역에 동마산 나들목과 KT 동마산지사가 있다.
  • '''북마산''': 교원역(북마산역)에서 유래하였으며, 1973년 창원군 일부 지역 편입으로 현재 지리상으로는 북쪽은 아니다. 현재는 인근의 회산다리 시장 인근을 가리키며, 교원역이라는 역명이 유래한 교방동과 회원동이 여기에 포함된다.
  • '''구마산''': 과거 마산의 도심을 이루었던 지역을 뜻하는 명칭이며, 구마산역이 위치했던 지역을 뜻하기도 한다. 성호동과 노산동, 산호동, 합포동이 여기에 들어간다.
  • '''신마산''': 1960년대까지 기존의 해상 지역을 매립한 지역을 뜻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산동과 동서동 이남 도심 지역을 통틀어 칭하는 별칭이기도 하다. 옛 마산시청(현 마산합포구청)이 이 지역에 위치한다.
  • '''공단지역''': 과거에는 한일합섬 공장이 있었던 양덕동과 수출자유지역(자유무역지역)이 있는 봉암동을 가리켰지만, 한일합섬 공장 철수 이후 현재는 봉암동만이 여기에 해당하고 있다.

4. 1. 기후

1985년 기상청(당시 중앙기상대) 마산측후소가 개설되어 유인 기상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상관측소는 1996년 마산기상대로 승격하였다. 마산의 1월 평균기온은 2.8°C, 8월 평균기온은 26.6°C[34], 연평균 기온은 14.8°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503.7mm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은 편이다. 겨울철에는 대체로 온화하고 맑은 날이 많으며, 눈도 적지만 기압골에 의한 강설현상이 나타나면 가끔 큰 눈이 내릴 때가 있다[35].

'''마산의 평균 기온과 강수량'''[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2.8°C4.5°C8.6°C14°C18.3°C21.6°C25.3°C26.6°C22.8°C17.4°C11°C5.3°C14.8°C
최고 기온 ()7.4°C9.3°C13.5°C19.2°C23.3°C25.7°C28.8°C30.3°C27°C22.4°C15.9°C10.4°C19.4°C
최저 기온 ()-1.1°C0.3°C4.4°C9.5°C14.1°C18.4°C22.6°C23.7°C19.3°C13.1°C6.7°C1.1°C11°C
강수량 (mm)36.341.878.3116.0134.4235.7293.7275.8165.353.052.221.21503.7


  • 최고 기온 극값 39°C (1994년 7월 20일)
  • 최저 기온 극값 -11.3°C (1991년 2월 23일)

5. 행정 구역 (2010년 통합 직전)

2010년 7월 1일 창원시와 통합되기 직전까지 마산시의 하위 행정구역은 1읍 4면 27동(68법정동)이었다. 2001년 1월 1일 일반구 폐지 이후로는 행정구역 변경이 없었다.

읍·면·행정동법정동·리
내서읍감천리, 삼계리, 상곡리, 신감리, 안성리, 용담리, 원계리, 중리, 평성리, 호계리
구산면구복리, 난포리, 내포리, 마전리, 반동리, 석곡리, 수정리, 심리, 옥계리, 유산리
진동면고현리, 교동리, 다구리, 동전리, 사동리, 신기리, 요장리, 인곡리, 진동리, 태봉리
진북면금산리, 대티리, 대평리, 덕곡리, 망곡리, 부산리, 부평리, 신촌리, 영학리, 예곡리, 이목리, 인곡리, 정현리, 지산리, 추곡리
진전면고사리, 곡안리, 근곡리, 금암리, 동산리, 봉곡리, 봉암리, 시락리, 양촌리, 여양리, 오서리, 율티리, 이명리, 일암리, 임곡리, 창포리, 평암리
가포동가포동
교방동교방동
구암1동구암동
구암2동
노산동교원동(일부), 상남동(일부)
동서동남성동, 동성동, 부림동, 서성동, 수성동, 신포동, 창동
문화동대외동, 대창동, 두월동, 문화동, 신창동, 유록동, 월남동, 창포동, 청계동, 평화동, 홍문동, 화영동
반월동대성동1가, 신월동, 월포동, 장군동1가, 중앙동1가
봉암동봉암동
산호동산호동(일부)
석전1동석전동
석전2동
성호동성호동, 추산동
양덕1동양덕동
양덕2동
오동동오동동
완월동완월동, 장군동4가, 장군동5가
월영동대내동, 월영동, 해운동
자산동자산동
중앙동대성동2가, 신흥동, 장군동2가, 장군동3가, 중앙동2가, 중앙동3가
합성1동합성동
합성2동
합포동교원동(일부), 산호동(일부)
현동덕동동, 예곡동, 우산동, 현동
회성동회성동, 두척동
회원1동회원동
회원2동


6. 문화

마산의 야구장은 KBO 리그NC 다이노스 홈구장이다. 이전에는 인근 부산에서 활동하는 한국야구위원회 팀인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가 종종 열리기도 했다. 신포동에는 한국의 여러 프로 여자 야구단 중 하나가 있다. 도도라는 작은 섬에는 놀이공원과 동물원이 있다.

마산은 어업으로 유명하며, 아귀(anglerfish영어, 검은 입 아귀)를 쪄서 만드는 매운 아구찜의 원조 지역이다. 1940년대까지 아귀는 외모가 못생기고 상업적 가치가 낮아 먹지 않고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새롭게 발견된 별미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 아구찜은 개발 이후 마산 지역의 특산물로 여겨지며, 특히 마산의 한 동네인 오동동에서 유명하고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5]


  • 저도연육교


저도연육교는 일출과 일몰을 감상하기 좋은 인기 장소이다. 1990년에 건설된 이 다리는 구복리와 저도를 연결하며, 길이 182m, 높이 15.5m이다. 다리 양쪽 끝에 있는 바위들은 바다 쪽으로 뻗어 있으며, 짙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다리를 건널 수 있다.

  • 자산솔밭공원


이 공원은 마산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95m 길이의 작은 개울을 따라 물레방아, 붉은 점토로 조성된 소나무 숲길, 체육시설이 있는 야외 피트니스 공간, 숲 속 어린이 놀이터, 야외 공연장, 게이트볼장 등이 있다.

  • 가고파 꼬불랑길


이곳은 구불구불한 골목길을 따라 산촌과 마산항의 전망을 즐길 수 있는 벽화마을이다. 추산동과 성호동 지역 활성화를 위해 32명의 예술가들이 무료로 벽화를 그렸다.

  • 돗섬


마산의 돗섬은 도시에서 벗어나 조용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다. 마산항에서 페리로 금방 갈 수 있다. 아름다운 해안 산책로, 푸른 자연, 그리고 아름다운 바다와 산의 전망을 자랑하는 섬이다.[5]

  • 시립박물관
  • 문신미술관

7. 교육

마산에는 경남대학교, 창신대학교를 비롯한 세 곳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경남대학교는 신마산에 인접한 마산 남쪽에 위치한 사립 대학교이며, 창신대학교는 시 북동쪽에 있는 작은 사립 기독교계 대학교이다. 시 북서쪽 용담리에는 공립 직업학교가 있다.


  • 경남대학교
  • 마산전문대학(단기대학)
  • 마산여자고등학교/자매교 - 옥명여자고등학교
  • 마산합포고등학교/자매교 - 효고현립대학 부속중학교·고등학교

8. 교통

마창대교


마창대교는 한국 최초의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건설된 대규모 교량이다. 현대건설과 부이그 트라보 퓔릭이 1990년대 후반부터 이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컨세션 사업자인 MCB 유한회사는 시공사들과 MKIF가 공동 소유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과는 43km 거리에 있다.

한국철도 경전선

남해고속도로 제1지선(102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 분기점

9. 자매 도시

마산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6]

9. 1. 국내

도시체결일
목포시1998년 12월 24일
창녕군1998년 12월 1일

[6]

9. 2. 국외

국가도시체결일
미국잭슨빌1983년 5월 30일
멕시코사포판1987년 6월 9일
베트남다낭1997년 9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술란시1997년 10월 29일
러시아우스리스크1999년 10월 26일
일본히메지시2000년 4월 18일

[6]

참조

[1] 논문 Moral Imperatives: South Korean Studenthood and April 19th https://www.jstor.or[...] 2012
[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Norton
[3]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4] 웹사이트 Masan City website http://masan.go.kr
[5] 웹사이트 Dotseom Island https://themonkeypaw[...]
[6] 웹사이트 Masan City : Home > About Masan > Sister Cities http://english.masan[...]
[7]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7호 조선총독부 1906-10-01
[8] 뉴스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유골” 다량 발견 https://megalodon.jp[...] 중앙일보 2004-04-25
[9] 뉴스 「쓰시마는 한국 영토」 창원시의회, 정부 지원 요청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7-03-30
[10] 웹사이트 대한민국 기상청 http://www.kma.go.kr[...]
[11] 웹인용 `창마진` 통합시 명칭 `창원시`로 잠정 결정 http://news.mk.co.kr[...] 2010-02-17
[12] 뉴스 창원·마산·진해 통합시 이름은 `창원시`(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2-17
[13] 뉴스 통합창원시 구청이름 결정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5-07
[1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2호 1942-09-30
[16]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17] 법률 시조례 제126호
[18] 법률 시조례 제221호
[19] 법률 시조례 제393호
[2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1] 법률 경상남도조례 제853호
[22] 법률 시조례 제816호
[23] 법률 법률 제3188호 동해시 등 시 설치와 시·군 관할구역 및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79-12-28
[24] 법률 시조례 제938호
[25] 법률 시조례 제1083호
[26]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27] 법률 시조례 제1136호
[28] 법률 시조례 제1310호
[29] 법률 시조례 제1501호
[30] 법률 시조례 제1590호
[31]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 남양주시 등 33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994-08-03
[32] 법률 시조례 152호
[33] 법률 시조례 제263호
[34] 웹사이트 평년값자료(30년) > 국내기후자료 > 기후자료 > 날씨 > 기상청 http://kma.go.kr/wea[...]
[35] 웹사이트 창원기상대 > 소속기관안내 > 부산지방기상청 > 소속·산하기관 소개 > 기상청소개 > 기상청 http://web.km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