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단현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단현황후는 명나라 만력제의 황후로,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황후 자리에 있었던 인물이다. 1577년 황후로 간택되어 1578년 만력제와 혼인하였고, 1620년 57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그녀는 영창공주를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더 이상 자녀를 두지 못해 국본지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만력제 사후 효단정각장혜인명비천육성현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정릉에 안장되었다. 1956년 정릉 발굴 과정에서 봉황관 등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력제의 황후 - 효정태후 (만력제)
명나라 만력제의 후궁이자 태창제의 생모인 효정태후 왕씨는 궁녀로 입궁하여 공비에 책봉되었고, 손자 천계제의 즉위 후 황태후로 추존되었으며, 정귀비로 인해 소외된 궁중 생활을 보냈다. - 만력제의 황후 - 효경태황태후
효경태황태후는 명나라 만력제의 후궁으로 경비로 책봉되었으며, 만력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산후독으로 사망하여 훗날 효경공순영장서정경천광성태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1564년 출생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564년 출생 - 윌리엄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잉글랜드의 극작가, 시인, 배우로서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희곡과 시들을 남겼고, 엘리자베스 시대 런던 연극계에서 글로브 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닝보시 출신 - 쉬자오
쉬자오는 중국 배우로서, 영화 《장강 7호》로 주목받아 홍콩 영화제 남우조연상 등을 수상했으며, 《뮬란: 전사의 귀환》, 《미스터 고》 등의 영화와 《빙화》, 《심야식당》 등의 드라마에 출연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닝보시 출신 - 장궈빙
장궈빙은 장제스의 조카이자 장징궈, 장웨이궈의 사촌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중화민국 육군 중교 예편 군인이며, 국부천대 사태를 목격했고 대한민국에서는 '장국병'으로도 불린다.
| 효단현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휘 | 왕희저 (王喜姐) |
| 씨족 | 왕 (王) |
| 아버지 | 왕위, 영년백 (永年伯 王偉) |
| 출생 | 1564년 11월 7일 |
| 출생지 | 경사 |
| 사망 | 1620년 5월 7일 |
| 사망지 | 경사, 자금성 |
| 매장지 | 정릉 |
| 배우자 | 만력제 |
| 자녀 | 영창공주 |
| 존호 | 효단정각장혜인명비천육성현황후 (孝端貞恪莊惠仁明媲天毓聖顯皇后) |
| 재위 | |
| 기간 | 1578년 3월 26일 – 1620년 5월 7일 |
| 유형 | 재위 |
| 이전 | 효안황후 |
| 이후 | 효애철황후 |
2. 생애
만력 5년(1577년) 정월, 왕희저는 후궁 간택에 참여하여 그 다음 해 정월에 만력제(萬曆帝)의 황후로 간택되었다. 왕희저는 베이징에서 저장성 유야오 출신인 왕위(王偉)의 딸로 태어났다.
1577년 정월, 인성태후와 효정태후는 만력제의 황후를 뽑기 위한 선발 행사를 열었고, 12세의 왕희저가 황후로 최종 선택되었다. 1578년 정월, 13세의 나이로 만력제와 정식으로 혼인하였다.
왕희저는 붉은 옷을 좋아했고[8], 총명하고 신중한 성격으로 후궁을 잘 다스렸다. 만력제의 문서 수집·정리를 돕고 황태후들에게 효도를 다했으며, 태창제(왕황귀비의 아들)를 지지하고 정황귀비에게 관용을 베풀어 황제의 총애가 없더라도 황후의 지위를 굳건히 했다. 한편, 궁녀와 환관들에게 학대를 일삼아 때로는 매질로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
만력 9년(1582년), 영창공주를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더 이상 자식을 볼 수 없었다. 이는 국본지쟁(國本之爭)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만력 24년(1596년), 곤녕궁(坤寧宮) 화재로 거처를 계상궁(啓祥宮)으로 옮겼다.
만력 48년(1620년), 만력제보다 4개월 먼저 붕어했다. '''효단정각장혜인명비천육성현황후'''라는 시호를 받았고, 정릉에 왕황귀비와 함께 황제와 합장되었다. 평생의 라이벌 정황귀비는 황후가 되려 했으나 실패하고 금산에 매장되었다.
1956년 정릉 발굴 과정에서 효단현황후의 묘에서 많은 보물이 발굴되었다. 황후가 사당을 방문하고 제사를 지낼 때 착용했을 봉황관에는 세 마리의 봉황과 여섯 마리의 용이 장식되어 있으며 무게는 2.96kg이다. 현재 이 관은 중국 국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역사학자 레이 황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그녀는 결혼한 날부터 영원히 궁궐의 호화로움과 편안함 속에 갇혔지만, 잔혹한 전통의 요구에 따라 그녀의 결혼은 단지 국가의 필요였으며, 그녀를 제도에 부속물로 전락시켜 온갖 무의미한 명예를 누리게 했지만 아내로서의 만족감은 거의 없었다. (중략) 그러나 궁궐 안에서 그녀는 종종 자신의 시녀들을 죽도록 구타하는 무자비한 안주인으로 더 기억되었다."''[5]
2. 1. 어린 시절
왕희저는 베이징에서 저장성 유야오 출신인 왕위(王偉)의 딸로 태어났다.1577년 정월, 인성태후와 효정태후는 만력제의 황후를 뽑기 위한 선발 행사를 열었다. 12세의 왕희저가 선발되어 황후로 최종 선택되었다. 1578년 정월, 13세의 나이로 만력제와 정식으로 혼인하였다.[1] 당시 내각대학사 장거정은 두 태후에게 왕희저와 만력제가 너무 어리다는 의견을 썼다.[2]
왕씨의 아버지 왕위는 딸이 황후가 된 덕분에 1,000가구를 관할하는 권한을 가진 금의위의 일원이 되었다. 1579년, 만력제는 그에게 영년백 작위를 하사했다.[3] 가정제 시대 이후로, 직계 후손에 의한 봉건 작위 세습은 허용되지 않았다. 왕희저에 대한 총애를 보여주기 위해, 그녀의 오빠 왕동(王棟)은 아버지의 사망 후 백작 작위를 받았다. 왕동이 사망하자 그의 어머니 조부인(趙)은 황제에게 왕동의 자녀들에게 백작 작위를 연장해 달라고 청했고, 이는 즉시 이루어졌다. 이와 유사한 영예를 받은 것은 이전에 효정태후의 가족뿐이었다.[4]
2. 2. 황후 시절
만력 5년(1577년) 정월, 왕희저는 후궁 간택에 참여하고자 입궁하였고, 그 다음 해 정월에 황후로 간택되어 만력제(萬曆帝)와 혼인하게 되었다.[8] 만력제의 문서 수집·정리, 황태후들에게 효도를 다했고, 태자 주상락(후의 태창제, 왕황귀비의 아들)을 지지했으며, 황제의 총비(정황귀비)에게 관용을 보여, 자신에게 황제의 총애가 없더라도 황후의 지위를 굳건히 했다.[8] 만력 9년(1582년), 영창공주(榮昌公主)를 순산하였으나, 순산 후 산후병으로 인해 더 이상 자식을 볼 수 없었다.[6] 이는 국본지쟁(國本之爭)을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만력 21년(1593년), 신료들이 황후에게 후사를 볼 수 없으니 후궁의 자식 중에 장자를 황태자로 책봉하라고 간청하였으나, 만력제는 역정을 내며 황태자 문제를 미루기만 하였다.만력 24년(1596년), 황후의 처소인 곤녕궁(坤寧宮)에서 화재가 일어나자, 만력제는 황후 왕희저에게 계상궁(啓祥宮)으로 거처를 옮기라고 명하였다. 그 다음 해에는 경비 이씨(敬妃 李氏)가 7황자를 순산한 후 세상을 떠나자, 만력제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경비 이씨 소생인 주상윤(朱常潤), 주상영(朱常瀛)을 황후 왕희저에게 양자로 삼게 하였다.
만력 28년(1600년), 국본지쟁이 절정으로 치달았고, 급사중(給事中)인 왕덕완(王德完) 등 대부분의 대신들은 장자인 주상락(朱常洛)을 태자로 삼으라며 계속 간언하였다. 그러나 만력제는 격노하여 일부 대신들을 삭탈관직하거나 국본의 문제에 관여하지 말라며 더욱 역정을 내었다. 그사이에 만력제와 황후 왕희저의 관계는 더욱더 악화되고 있었다. 사실 만력제는 장자인 주상락이 아닌 만력제가 가장 총애하는 황귀비 정씨(皇貴妃 鄭氏)의 소생인 주상순(朱常洵)을 황태자로 눈여겨보고 있었다. 그 다음 해에 만력제는 계속되는 대신들의 반항과 성년이 된 주상락 등의 이유로 더 이상 황태자 책봉을 미룰 수 없었다. 그리고 주상락은 황태자로 책봉이 되었다.
만력 46년 4월 6일(1620년 5월 7일), 황후 왕희저는 향년 57세의 나이로 붕어하고, 4개월 후 남편인 만력제도 붕어한다. 황후 왕희저는 중국 역사상 황후를 가장 오래 재위한 황후이기도 하였다. 명나라 역사는 황후가 매우 엄숙했고 그녀의 효도가 시어머니인 효정황태후의 총애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2. 3. 붕어와 사후
만력 46년 4월 6일(1620년 5월 7일)에 황후 왕희저는 향년 57세의 나이로 붕어하였고, 4개월 후 남편인 만력제도 붕어하였다. 왕희저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황후로 재위한 인물이다.[8] 정릉에 남편과 함께 매장되었다.[8]1956년 정릉 발굴 과정에서 효단현황후의 묘에서 많은 보물이 발굴되었다. 여기에는 황후가 사당을 방문하고 제사를 지낼 때 착용했을 봉황관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관에는 세 마리의 봉황과 여섯 마리의 용이 장식되어 있으며 무게는 2.96kg이다. 현재 이 관은 중국 국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 평가와 영향
효단현황후는 영창공주 주선영을 낳았고, 1582년에 정식 작위를 받았다. 주선영은 군 지휘관 양춘원(楊春元)과 결혼했다.[6]
3. 1. 긍정적 평가
레이 황은 효단현황후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그녀는 결혼한 날부터 영원히 궁궐의 호화로움과 편안함 속에 갇혔지만, 잔혹한 전통의 요구에 따라 그녀의 결혼은 단지 국가의 필요였으며, 그녀를 제도에 부속물로 전락시켜 온갖 무의미한 명예를 누리게 했지만 아내로서의 만족감은 거의 없었다. 그녀는 황제에게 딸을 낳았고 황제와 거의 같은 기간 동안 살았다. 그러나 그녀는 어떤 면에서도 그의 삶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녀는 황제의 주된 어머니인 진성(jen-sheng)의 주된 며느리로서, 그녀가 가마에서 내리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은 공석에서 그녀를 보좌할 특권과 의무가 있었으며, 효단은 정확히 요구대로 이 역할을 수행하여 효도에 대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궁궐 안에서 그녀는 종종 자신의 시녀들을 죽도록 구타하는 무자비한 안주인으로 더 기억되었다."[5]
명나라 역사는 효단현황후가 매우 엄숙했고 그녀의 효도가 시어머니인 효정황태후의 총애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황위 계승이 결정되지 않았을 때, 태창제가 공씨에게서 얻은 장자는 황성 동쪽에 있는 자신의 궁궐에서 공격을 받았다. 효단현황후는 그의 거처에 더 많은 경비와 보호를 설치하도록 조치했다.
3. 2. 부정적 평가
역사학자 레이 황은 효단현황후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그녀는 결혼한 날부터 영원히 궁궐의 호화로움과 편안함 속에 갇혔지만, 잔혹한 전통의 요구에 따라 그녀의 결혼은 단지 국가의 필요였으며, 그녀를 제도에 부속물로 전락시켜 온갖 무의미한 명예를 누리게 했지만 아내로서의 만족감은 거의 없었다. 그녀는 황제에게 딸을 낳았고 황제와 거의 같은 기간 동안 살았다. 그러나 그녀는 어떤 면에서도 그의 삶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녀는 황제의 주된 어머니인 진성(jen-sheng)의 주된 며느리로서, 그녀가 가마에서 내리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은 공석에서 그녀를 보좌할 특권과 의무가 있었으며, 효단은 정확히 요구대로 이 역할을 수행하여 효도에 대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궁궐 안에서 그녀는 종종 자신의 시녀들을 죽도록 구타하는 무자비한 안주인으로 더 기억되었다."[5]
4. 가족 관계
| 관계 | 작위 | 이름 | 비고 |
|---|---|---|---|
| 아버지 | 영년백 (永年伯) | 왕위 (王偉) | 베이징 출신, 저장성 유야오 |
| 오빠 | 왕동 (王棟) | 아버지 왕위 사망 후 백작 작위 받음. | |
| 딸 | 영창공주 (榮昌公主) | 주헌영(朱軒媖) | 1582년생. 만력제의 첫째 딸. 1597년에 양춘원(楊春元, 1582년~1616년)과 결혼하여 아들 다섯을 낳았다.[6] |
| 양자 | 주상윤 (朱常潤) | 만력제가 경비 이씨(敬妃 李氏) 사후 효단현황후에게 양자로 삼게 함. | |
| 양자 | 주상영 (朱常瀛) | 만력제가 경비 이씨(敬妃 李氏) 사후 효단현황후에게 양자로 삼게 함. |
5. 시호, 능호
시호는 효단정각장혜인명비천육성현황후(孝端貞恪莊惠仁明媲天毓聖顯皇后)이다. 능묘는 정릉이다.
황후는 남편이 묻힌 정릉에 매장되었다.[1]
1956년 정릉 발굴 과정에서 효단현황후의 묘에서 많은 보물이 발굴되었다. 여기에는 황후가 사당을 방문하고 제사를 지낼 때 착용했을 봉황관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관에는 세 마리의 봉황과 여섯 마리의 용이 장식되어 있으며 무게는 2.96kg이다. 현재 이 관은 중국 국가 박물관의 소장품이다.[2]
6. 기타
황후는 남편이 묻힌 정릉에 매장되었다.[1]
1956년 정릉 발굴 과정에서 효단현황후의 묘에서 많은 보물이 발굴되었다. 여기에는 황후가 사당을 방문하고 제사를 지낼 때 착용했을 봉황관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관은 세 마리의 봉황과 여섯 마리의 용이 장식되어 있으며 무게는 2.96kg이다. 현재 이 관은 중국 국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7. 등장 작품
- 만력 수보 장거정(중국, 2010년, 일본 미공개) 연기: 러우유
참조
[1]
간행물
Zhongyang
1962
[2]
간행물
Zhongyang
1962
[3]
간행물
Zhongyang
1962
[4]
서적
Qian
1700
[5]
논문
Huang
1981
[6]
서적
Qian
1700
[7]
문서
餘姚雙雁万暦皇后王喜姐宗譜(原姓黄)
[8]
보고서
定陵考古報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