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명옹주는 조선 인조의 딸로, 1638년에 태어나 1647년 효명옹주에 봉해졌다. 어머니 귀인 조씨는 권력가 김자점의 손자와 옹주를 결혼시키기 위해 사주를 조작했으며, 옹주는 이복 오라비 인평대군 부부와의 갈등을 겪었다. 효종 즉위 후, 어머니 조씨의 저주 사건에 연루되어 옹주 또한 혐의를 받아 유배되었으며, 170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인조의 자녀 - 숭선군
숭선군은 조선 인조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나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귀인 조씨의 역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보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 인조의 자녀 - 소현세자
소현세자는 인조의 맏아들로,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서양 문물을 접하고 조선의 개혁을 시도하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았으며, 그의 죽음을 둘러싼 독살설과 부인 및 아들들의 비극적인 운명은 조선 정치사의 어두운 단면으로 남아있다. - 1638년 출생 - 루이 14세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 국왕인 루이 14세는 72년간 재위하며 절대 왕정을 강화하고 프랑스 문화의 황금기를 이룩했으나 잦은 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절대 왕정의 전성기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 1638년 출생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1700년 사망 - 카를로스 2세 (스페인)
카를로스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근친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후계자 부재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야기하고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종말을 가져온 스페인 국왕이다. - 1700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12세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1691년부터 1700년까지 재위하며 족벌주의 금지, 교황청 개혁, 자선 사업, 매관매직 근절 등을 통해 교회 개혁에 힘썼다.
효명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명옹주 |
한글 | 효명옹주 |
한자 | 孝明翁主 |
로마자 표기 | Hyomyeong ongju |
신분 | |
작위 | 옹주 |
왕조 | 조선 |
재위 | 해당사항 없음 |
가문 | 전주 이씨 (출생 시) 안동 김씨 (결혼 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인조 |
어머니 | 귀인 조씨 |
배우자 | 김세룡 |
자녀 | 없음 |
생애 | |
출생 | 1638년 |
사망 | 1700년 9월 (향년 62-63세) |
기타 정보 | |
사망 당시 나이 | 62~63세 |
혼인 | 1647년 |
사별 | 1651년, 김세룡 사망 |
2. 생애
효명옹주는 인조의 유일한 딸[2]로, 아버지 인조와 어머니 귀인 조씨의 총애를 받으며 성장했다. 1647년 효명옹주에 봉해졌고, 김자점의 손자 김세룡과 혼인하였다. 그러나 인조 사후, 어머니 귀인 조씨가 장렬왕후 등을 주술했다는 혐의로 사약을 받았고, 남편 김세룡도 연좌되어 처형당했다. 효명옹주는 옹주 작위를 박탈당하고 유형에 처해져 1700년 64세로 사망할 때까지 평생 감시를 받으며 살았다.
2. 1. 어린 시절
인조의 유일한 딸[2]로, 아버지 인조의 총애가 컸다. 어머니는 귀인 조씨이다. 1647년 효명옹주(孝明翁主)에 봉해졌다.[3]2. 2. 혼인
인조의 유일한 딸[2]로, 아버지의 총애가 컸다. 1647년(인조 25년) 효명옹주(孝明翁主)에 봉해졌다.[3] 같은 해, 귀인 조씨는 딸을 세도가인 김자점의 손자 김세룡과 혼인시키기 위해 김자점의 동의 하에 김세룡의 사주팔자를 조작했고, 그 결과 김세룡은 옹주의 부마로 선발되었다.[4] 옹주의 어머니인 조씨는 인조의 총애를 받고 있었기에 혼인에 쓰인 옷과 물건이 무척 호화로웠다.[5]혼인 후에도 2년간 궁에서 살았으며 1649년에야 비로소 출궁하여 사가에서 생활했다.[4]
2. 3. 권력 투쟁과 몰락
인조의 유일한 딸[2]로, 아버지의 총애가 컸다. 어머니는 귀인 조씨이다. 1647년 효명옹주(孝明翁主)에 봉해졌다.[3]같은 해, 인조는 옹주의 신랑감을 간택하게 했는데, 귀인 조씨는 딸을 세도가인 김자점의 손자 김세룡과 혼인시키기 위해 김자점의 동의 하에 김세룡의 사주팔자를 조작했고, 그 결과 김세룡은 옹주의 부마로 선발되었다.[4] 옹주의 어머니인 조씨는 인조의 총애를 받고 있었기에 혼인에 쓰인 옷과 물건이 무척 호화로웠다.[5]
부모의 사랑을 받고 자란 효명옹주는 자기중심적이고 행동이 방자했는데, 궐 안에 잔치가 벌어지자 이복 오라비 인평대군의 처인 복천부부인 오씨와 누가 윗자리에 앉을 것인가를 두고 다툼을 벌였다.[6] 이때 인조는 옹주의 편을 들어 딸이 윗자리에 앉도록 했는데, 이 일 이후로 옹주와 인평대군 부부는 감정의 골이 깊어졌고, 옹주의 혼례 때 인평대군은 저주의 뜻이 담긴 베개를 들여보내기도 했다.[6] 또 옹주는 혼인 후에도 2년간 궁에서 살았으며 1649년에야 비로소 출궁하여 사가에서 생활했다.[4]
인조 사후 1651년 귀인 조씨가 장렬왕후와 효종을 저주한 일에 관해 여종들을 추국할 때 효명옹주가 옷소매 속에다 사람의 뼈가루를 담아서 대궐과 이복 오라비인 인평대군의 집에다 뿌리고 흉한 물건을 궁궐 주변에 묻었다는 자백이 나왔다.[7] 이에 효명옹주와 남편 김세룡을 국문하라고 요청했으나 효종은 김세룡만 국문하였다.[8] 남편 김세룡, 시조부 김자점이 사형당하자 작위를 박탈당하고 김처(김세룡의 처)라 불리게 됐다. 이후 통천으로 유배되었으며,[9] 이듬해인 1652년 통천의 날씨가 춥다는 이유로 이천으로 옮겨졌다.[10] 1655년에는 효종의 명으로 유배지를 교동으로 옮겨 동생들인 숭선군, 낙선군과 함께 살게 하였고,[11] 마침내 1658년에 석방하였다.[12] 옹주는 평생을 감시 속에 살다가 1700년(숙종 26년) 64세의 나이로 죽었다.[13]
2. 4. 유배와 죽음
1651년 조씨가 장렬왕후와 효종을 저주한 일에 관해 여종들을 추국할 때 효명옹주가 옷소매 속에다 사람의 뼈가루를 담아서 대궐과 이복오라비인 인평대군의 집에다 뿌리고 흉한 물건을 궁궐 주변에 묻었다는 자백이 나왔다.[7] 이에 효명옹주와 남편 김세룡을 국문하라고 요청했으나 효종은 김세룡만 국문하였다.[8] 남편 김세룡, 시조부 김자점이 사형당하자 작위를 박탈당하고 김처(김세룡의 처)라 불리게 됐다. 이후 통천으로 유배되었으며,[9] 이듬해인 1652년 통천의 날씨가 춥다는 이유로 이천으로 옮겨졌다.[10] 1655년에는 효종의 명으로 유배지를 교동으로 옮겨 동생들인 숭선군, 낙선군과 함께 살게 하였고,[11] 마침내 1658년에 석방되었다.[12] 옹주는 평생을 감시 속에 살다가 1700년(숙종 26년) 64세의 나이로 죽었다.[13]3. 가족 관계
효명옹주는 조선의 왕족으로, 전주 이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선 제16대 왕 인조이며, 어머니는 폐귀인 조씨이다. 남동생으로는 숭선군과 낙선군이 있었다.
효명옹주는 (구)안동 김씨 가문으로 시집갔다. 시아버지는 곡성현감 김식이며, 부마(남편)는 낙성위 김세룡이다.
3. 1. 왕가 전주 이씨
- 조부 : 추존 원종 (1580~1619)
- 조모 : 추존 인헌왕후 능성 구씨 (1578~1626)
- '''아버지''' : 제16대 인조 (1595~1649, 재위 1623~1649)
- 외조부 :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조기 (1574~미상)
- 외조모 : 정부인 청주 한씨[14]
- '''어머니''' : 폐 귀인 순창 조씨 (미상~1652)
- 동생 : 숭선군 징 (1639~1690)
- 동생 : 낙선군 숙 (1641~1695)
3. 2. 시가 (구)안동 김씨
- 시조부: 의정부 영의정 낙흥부원군 김자점(1588~1651)
- 시조모: 미상
- 시아버지: 곡성현감 김식(1620년[15]~1651)
- 시어머니: 미상
- 부마: 낙성위 김세룡(미상~1651)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孝明翁主중국어를 다룬 작품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승정원일기 63책 (탈초본 3책) 인조 16년(1638년) 1월 9일(계유) 기사
[2]
문서
인렬왕후 항목 참고
[3]
실록
인조실록 48권, 25년(1647년) 6월 24일 2번째 기사
[4]
서적
조선공주실록
역사의 아침
2009
[5]
실록
인조실록 48권, 25년(1647년) 8월 16일 4번째 기사
[6]
서적
조선공주실록
역사의 아침
2009
[7]
실록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1월 23일 2번째 기사
[8]
실록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2월 3일 1번째 기사
[9]
실록
효종실록 7권, 2년(1651년) 12월 21일 3번째 기사
[10]
실록
효종실록 3년(1652년) 9월 12일 2번째 기사
[11]
실록
효종실록 15권, 6년(1655년) 10월 18일 1번째 기사
[12]
실록
효종실록 20권, 9년(1658년) 6월 29일 2번째 기사
[13]
서적
조선공주실록
역사의 아침
2009
[14]
문서
이름은 한옥(漢玉)이다.
[15]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2015-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