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숭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숭선군은 조선 인조와 귀인 조씨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났다. 1646년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1648년 영풍군부인 신씨와 혼인했다. 1651년 어머니 귀인 조씨가 장렬왕후를 저주했다는 혐의로 역모에 연루되어, 동생 낙선군과 함께 강화 교동에 유배되었다. 4년 뒤 풀려났으며, 신덕왕후의 부태묘사 관련 상소를 올려 윤허를 받았다. 1680년 보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690년에 사망하여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장남 동평군은 숙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인조의 자녀 - 소현세자
    소현세자는 인조의 맏아들로,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서양 문물을 접하고 조선의 개혁을 시도하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았으며, 그의 죽음을 둘러싼 독살설과 부인 및 아들들의 비극적인 운명은 조선 정치사의 어두운 단면으로 남아있다.
  • 조선 인조의 자녀 - 효종 (조선)
    효종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으로,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갔다가 소현세자 사후 즉위하여 북벌 계획을 추진하고 군비 강화와 경제 재건에 힘썼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요절하였다.
  • 1639년 출생 - 사카이 다다쓰네 (1639년)
    사카이 다다쓰네는 1639년에 태어나 데와 쇼나이번 번주 사카이 타다카츠의 아들로, 마쓰야마번을 개척하고 슨푸성, 에도성 니노마루 성벽 축조, 심광사 창건에 기여했으며, 1675년에 사망했다.
  • 1639년 출생 - 인크리스 매더
    인크리스 매더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 매사추세츠에서 활동한 청교도 목사이자 하버드 대학교 총장으로, 보스턴 제2 교회 목사로 봉직하며 세일럼 마녀 재판과 관련된 논쟁적인 역할과 매사추세츠 헌장 폐지에 맞서는 정치 활동을 펼쳤고,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담은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1690년 사망 - 이상진 (1614년)
    이상진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승지와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숙종 때 우의정에 이르렀으나 기사환국으로 귀양, 갑술환국 이후 복권되었으며 시호는 충정으로,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에 관여하고 갑술환국 이후 복권은 남인 세력의 재기를 위한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
  • 1690년 사망 - 마쓰다이라 노부나리
    마쓰다이라 노부나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여러 요직을 거쳐 오지마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숭선군
기본 정보
이름숭선군
한자崇善君
이징(李澂)
출생일1639년 10월 17일 (음력)
사망일1690년 1월 6일 (음력)
시호효경(孝敬)
가족 관계
아버지능양군
어머니귀인 조씨
배우자영풍군부인 신씨
자녀2남 4녀
묘소
능묘숭선군묘
위치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산2-1

2. 생애

2. 1. 출생과 왕자 시절

1639년(인조 17년) 10월 17일, 인조귀인 조씨의 아들로 태어났다.[1]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징(澂), 자는 징지(澄之)이다. 1646년 숭선군(崇善君)으로 봉해지고[1]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1648년 신익전의 딸인 영풍군부인 신씨(永豊郡夫人 申氏)와 혼인하였다.[2][3][4][5]

2. 2. 김자점의 옥사와 유배

1651년(효종 2년) 11월, 숭선군의 어머니 귀인 조씨장렬왕후를 저주했다는 모함을 받아 역모로 몰리는 사건이 발생했다.[6] 숭선군의 누나 효명옹주의 여종 영이(英伊)가 귀인 조씨가 무당을 불러 장렬왕후를 저주한다고 고변하였고, 이로 인해 귀인 조씨, 효명옹주, 김자점 등이 옥사에 연루되었다.[6]

이 사건은 대규모 옥사로 확대되어 귀인 조씨와 효명옹주 모녀가 국왕 부자와 장렬왕후, 인평대군 등을 저주하고 김자점 등과 결탁하여 역모를 꾸몄다는 내용으로 관련자들이 처형되었다.[7] 귀인 조씨는 사사되고, 김자점은 참수되었으며, 김자점의 손자이자 효명옹주의 남편인 김세룡도 처형되었다. 효명옹주는 옹주의 작위를 박탈당했고, 숭선군의 외할머니 한옥(漢玉) 또한 처형되었다.[7]

1652년(효종 3년), 숭선군도 역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동생 낙선군과 함께 강화 교동(喬桐)에 유배되었다.[7] 효종은 숭선군의 부인 신씨에게 남편을 따라가도록 명했으나, 어머니를 잃은 숭선군은 아내를 원망하며 사이가 멀어졌다. 효종은 강원도 통천에 유배되어 있던 효명옹주의 유배지를 옮겨 숭선군, 낙선군과 함께 있게 해주었다.

2. 3. 방면과 이후의 삶

홍우원, 송시열, 이경여 등이 무고함을 상소하여 유배 4년 만인 1656년(효종 7년) 18세 때에 방면되었다. 이후 신덕왕후의 부태묘사(祔太廟事)로 모든 종친을 거느리고 예궐하여 세 차례나 상소를 올린 끝에 윤허를 받아 역사를 집행하였다. 아내 신씨와의 사이에서 2남 4녀를 두었는데, 이 중 장남인 동평군숙종의 총애를 받았다. 남인과 연통하며 희빈 장씨의 총애를 받았고 사촌 누나인 서인 가문의 숙안공주 등과는 반목하였다.

1680년(숙종 6년), 현록대부 보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2. 4. 사망

1690년(숙종 16년) 1월 6일 졸하였다.[8] 숙종은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 3년 동안 상을 마칠 때까지 봉록을 주라는 특명을 내렸다. 시호는 효경(孝敬)으로 추봉하였다.[8]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 종산 해좌에 있는 숭선군묘이다.

3. 가족 관계

조부는 정원군(1580 ~ 1619), 조모는 연주군부인(1578 ~ 1626)이다. 아버지는 인조(1595 ~ 1649)이고, 어머니는 귀인 조씨(? ~ 1651)이다. 외조부는 조기(趙琦, 1574 ~ ?), 외조모는 한옥(漢玉, ? ~ 1652)이다. 누나로는 효명옹주(1638 ~ 1700)가 있고, 동생으로는 낙선군 이숙(1641 ~ 1695)이 있다.

부인은 신익전(1605 ~ 1660)의 딸인 영풍군부인 평산 신씨(1639 ~ 1692)이다. 장모는 조수임(1607 ~ 1661)으로, 장렬왕후의 언니이다.

4. 숭선군이 등장하는 작품

4. 1. 드라마

오은찬이 2013년 JTBC에서 방영한 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 숭선군 역을 연기하였다.

참조

[1] 서적 인조실록 1646-12-25
[2] 서적 승정원일기 1648-08-19
[3] 서적 동강유집 https://db.itkc.or.k[...]
[4] 서적 1701
[5] 서적 인조실록 1648-04-20
[6] 서적 효종실록 1651-11-23
[7] 서적 효종실록 1651-12-14
[8] 서적 숙종실록 169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