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민양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민양황후는 중국 명나라 건문제의 황후이다. 홍무 28년(1395년) 황태손비로 책봉되었고, 건문 원년(1399년) 건문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정난의 변으로 영락제 군이 난징을 함락시키자 자결한 것으로 추정된다. 영락제 즉위 후 폐후가 되었으나, 남명 홍광제에 의해 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의 시호를 받았다. 건문제와의 사이에서 하간왕 주문규와 회왕 주문귀 두 아들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황태자비 - 여태후 (주표)
  • 명나라의 황태자비 - 효원정황후
    효원정황후는 명나라 황족으로 만력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태창제의 태자비가 되었으나, 태창제 즉위 전에 사망 후 아들인 천계제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다.
  • 14세기 출생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14세기 출생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 명나라의 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후 - 인효문황후
    명나라 영락제의 황후 인효문황후는 서달의 딸로 학문을 좋아했으며, 정난의 변 당시 베이징을 지키고 황후가 된 후 문화 사업에 힘쓰며 불교 관련 사업을 지원했다.
효민양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ull
이름효민양황후 (孝愍讓皇后)
로마자 표기Hyomin-yang Hwanghu
씨족마 (馬)
생애
출생1378년 (홍무 11년)
출생지응천부 (현재의 남경시)
사망1402년 7월 13일 (건문 4년 6월 13일)
사망지자금성, 응천부
가족 관계
아버지마전 (馬全)
배우자건문제
자녀주문규 (朱文奎)
주문귀
칭호
재위1399년 3월 20일 – 1402년 7월 13일
종류재임 기간
전임효자고황후
후임인효문황후
시호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 (孝愍溫貞哲睿肅烈襄天弼聖讓皇后)

2. 생애

효민양황후 마씨는 난징의 응천부 출신 관리 마전(馬全)의 딸로 1378년에 태어났다. 봉양현 (홍무제의 출신지) 사람이다.

홍무제의 손자인 주윤문과 결혼하여, 홍무 28년(1395년) 황태손비(皇太孫妃)로 책봉되었다.[2] 건문제(r. 1398–1402)와의 사이에서 하간왕 주문규와 회왕 주문귀 두 아들을 두었으며, 두 아들 모두 사후에 존호를 받았다.

1402년, 주체가 난징을 함락시키고 궁에 불을 질렀을 때 황후는 스스로 불길에 몸을 던져 사망했다. 사망 후 서인으로 강등되었다.[4]

영락제 즉위 후 폐후로 남았으나, 남명 홍광제(r. 1644–1645)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어 '''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孝愍溫貞哲睿肅烈襄天弼聖讓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4]

2. 1. 출생과 혼인

홍무 28년(1395년) 건문제의 황태손비로 책봉되었고, 건문 원년(1399년) 건문제 즉위 후 황후에 책봉되었다.[2][3] 정난의 변 때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방불명이 되었거나, 소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1378년에 태어난 마씨는 오늘날 난징의 응천부 출신 관리 마전(馬全)의 딸이었다. 홍무제의 손자인 주윤문과 결혼하여 1395년에 황태손비(皇太孫妃)로 책봉되었다.[2]

건문 원년(1399년) 건문제 즉위와 함께 황후로 책봉되었다.[3]

2. 2. 황후 시절

홍무 28년(1395년) 건문제의 황태손비로 책봉되었고, 건문 원년(1399년) 건문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2][3] 건문제와의 사이에서 하간왕 주문규와 회왕 주문귀 두 아들을 두었다.[3]

건문 4년 6월 13일(1402년 7월 13일) 정난의 변주체가 난징을 함락시키고 궁에 불을 질렀는데, 이때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방불명이 되었거나, 소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영락제 즉위 후 폐후가 되었으나, 남명 홍광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어 '''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孝愍溫貞哲睿肅烈襄天弼聖讓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2]

2. 3. 정난의 변과 죽음

홍무 28년(1395년) 건문제의 황태손비로 책봉되었고, 건문 원년(1399년) 건문제 즉위 후 황후에 책봉되었다. 건문 4년 6월 13일(1402년 7월 13일) 정난의 변 때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방불명이 되었거나, 소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영락제 즉위 후 폐후로 남게 되었으나, 남명 홍광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하여 '''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孝愍溫貞哲睿肅烈襄天弼聖讓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4]

2. 4. 사후

영락제 즉위 후 폐후로 남았으나, 남명 홍광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어 '''효민온정철예숙렬양천필성양황후'''(孝愍溫貞哲睿肅烈襄天弼聖讓皇后)라는 시호를 받았다.[4]

3. 자녀

효민양황후는 건문제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낳았다. 장남은 주문규이며, 차남은 주문규(1401년~1457년)이다.

3. 1. 장남 주문규

주문규(1396년 11월 30일~1402년)는 건문제의 장남이다.

3. 2. 차남 주문귀

건문제의 차남으로 이름은 주문규(潤懷王, 1401년 ~ 1457년)이다.

4. 대중문화 속 마씨

렁가이키가 사도행자에서 연기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Ma (3) – (c1377 – 1395): Chinese empress consort http://www.abitofhis[...] 2013-01-11
[2] 서적 Historical Biography 1
[3] 서적 Historical Biography 1
[4] 서적 Historical Biography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