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9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9년은 명나라 건문 원년, 조선 정종 원년 등으로,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정종의 개성 천도, 잉글랜드의 헨리 4세 즉위, 명나라의 정난의 변 발발 등이 있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7층탑이 낙성되었고, 잉글랜드에서는 리처드 2세가 폐위되고 헨리 4세가 왕위에 오르는 등 정치적 변화가 있었다. 이 해에는 여러 인물들이 태어나고 사망했으며, 맘루크 술탄의 교체, 오스만 제국의 시리아 침공 등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99년
연도 정보
기년법단기: 3732년
황기: 2059년
이슬람력: 795년 ~ 796년
간지: 기묘년
1399년
주요 사건조선에서 사병 혁파
조선에서 김사형이 탐라에 파견되다.
조선에서 문무과 실시
명나라에서 정난의 변이 일어났다.
비야야나가라 제국의 왕권 찬탈 사건이 일어났다.
바자즈가 이끄는 맘루크 기병대가 시리아에 침입하다.
탄생이탈리아의 르네상스 화가, 미켈레노 디 마테오 (1470년 사망)
사망잉글랜드의 왕, 리처드 2세
카라코윤루의 군주, 카라 무하마드
카자흐의 지도자, 토크타미시
조선의 문신, 조준
일본 남북조시대의 무장,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2. 연호

3. 주요 사건


  • 음력 3월 7일 - 정종 (조선)이 개성으로 천도하였다.[1]
  • 1월 - 티무르mn하리드와르를 함락하고 약탈했다.[3]
  • 2월 3일 - 잉글랜드 왕 리처드 2세의 삼촌이자 헨리 4세의 아버지인 곤트의 존이 사망했다.
  • 3월 18일 - 리처드 2세가 망명 중인 헨리 4세가 아버지의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 문서를 취소했다.
  • 7월 4일 - 리처드 2세아일랜드에서 군사 원정 중인 동안, 망명 중이던 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아룬델을 조언자로 삼은 헨리 4세가 잉글랜드로 돌아와 몰수된 자신의 토지를 되찾기 위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 7월 - 명나라에서 왕조 초기의 정변이자 내란인 정난의 변이 시작되었다.
  • 8월 6일 - 연왕(주디)이 베이징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 8월 12일 - 보르스크라 강 전투: 칸 테무르 꾸틀루와 에미르 에디구가 이끄는 몽골 킵차크 한국군이 전 킵차크 한국 칸 토크타미시와 리투아니아 대공 비타우타스가 이끄는 십자군을 궤멸시켰다.
  • 8월 19일 - 리처드 2세아일랜드에서 돌아오는 길에 포로로 잡혔다.
  • 9월 29일 - 헨리 4세리처드 2세로부터 왕위를 찬탈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의회는 리처드 2세를 백성에 대한 범죄 혐의로 기소하고 결국 퇴위시켰다.
  • 9월 30일 - 의회가 헨리 4세를 새로운 잉글랜드 왕으로 받아들였다.
  • 10월 13일 - 헨리 4세가 대관식을 치렀다.
  • 10월 19일 - 토마스 아룬델이 로저 월든을 대신하여 캔터베리 대주교직에 복귀했다.
  • 11월 1일 - 브르타뉴 공작 장 5세가 통치를 시작했다.
  • 파라지가 아버지 바르쿠크의 뒤를 이어 맘루크 술탄이 되었다.
  •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맘루크가 점령한 시리아를 침공하면서, 바예지드 1세와 시리아 정복을 원했던 티무르 제국의 티무르 사이에 불화가 생겼다.
  • 나폴리 라디슬라우스가 앙주 루이 2세를 몰아내고 나폴리 왕위를 되찾았다.
  • 공동 통치하던 왕비 야드비가가 사망한 후 요가일라가 폴란드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가 압둘라의 뒤를 이어 현재의 모로코에 있는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아카이아 공국 (현재의 그리스 남부)이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
  • 인도의 마이소르 왕국이 건국되었다. (이 왕국은 1950년까지 존속한다.)
  • 이우가가 몰다비아의 군주가 되었다.

3. 1. 한국

정종음력 3월 7일에 개성으로 천도하였다.[1] 조선에서는 권채, 변상회 등이 사망하였다.[3]

1399년 한국의 사망자
사망일이름내용
음력 2월 12일류원정조선 서성군(瑞城君)
음력 7월 10일이백유조선 완산군(完山君)
음력 10월 19일설장수조선 판삼사사(判三司事)
음력 11월 1일장철조선 중추원사(中樞院使)


3. 2. 중국

8월 6일 – 연왕(주디)이 베이징에서 반란을 일으켰다.[3]

7월 - 명나라에서 왕조 초기의 정변이자 내란인 정난의 변이 화북을 무대로 1402년까지 지속되었다.[3]

3. 3. 잉글랜드

9월 30일 - 랭커스터 공작 헨리 볼링브록리처드 2세를 폐하고 왕령과 랭커스터 공령을 합해 잉글랜드의 헨리 4세가 되었다.[3] 같은 날 잉글랜드 의회는 리처드 2세의 폐위와 헨리 4세의 왕위 계승을 결정했고, 이로써 랭커스터 왕조가 시작되었다.

2월 3일 - 잉글랜드 왕 리처드 2세의 삼촌이자 헨리 4세의 아버지인 곤트의 존이 사망했다.

3월 18일 - 리처드 2세가 망명 중인 헨리 4세가 아버지의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 문서를 취소했다.

7월 4일 - 리처드 2세아일랜드에서 군사 원정 중인 동안, 망명 중이던 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아룬델을 조언자로 삼은 헨리 4세가 잉글랜드로 돌아와 몰수된 자신의 토지를 되찾기 위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8월 19일 - 리처드 2세아일랜드에서 돌아오는 길에 포로로 잡혔다.

9월 29일 - 아버지의 토지를 되찾은 헨리 4세가 인기 없는 리처드 2세로부터 왕위를 찬탈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의회는 리처드 2세를 백성에 대한 범죄 혐의로 기소하고 결국 퇴위하도록 강요했다.

10월 13일 - 헨리 4세가 대관식을 치렀다.

10월 19일 - 토마스 아룬델이 로저 월든을 대신하여 캔터베리 대주교직에 복귀했다.

3. 4. 기타 유럽

3. 5.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맘루크가 점령한 시리아를 침공하면서, 시리아 정복을 원했던 티무르 제국티무르와 불화가 생겼다. 아카이아 공국 (현재의 그리스 남부)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1]

3. 6. 기타 지역


  • 티무르mn하리드와르를 함락하고 약탈했다.[3]
  • 파라지가 아버지 바르쿠크의 뒤를 이어 맘루크 술탄이 되었다.[3]
  •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맘루크가 점령한 시리아를 침공하면서, 바예지드 1세와 시리아 정복을 원했던 티무르 제국의 티무르 사이에 불화가 생겼다.[3]
  • 나폴리 라디슬라우스가 앙주 루이 2세를 몰아내고 나폴리 왕위를 되찾았다.[3]
  • 공동 통치하던 왕비 야드비가가 사망한 후 요가일라가 폴란드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3]
  •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가 압둘라의 뒤를 이어 현재의 모로코에 있는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3]
  • 아카이아 공국 (현재의 그리스 남부)이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3]
  • 인도의 마이소르 왕국이 건국되었다. (이 왕국은 1950년까지 존속한다.)[3]
  • 이우가가 몰다비아의 군주가 되었다.[3]

4. 탄생

5. 사망


존 오브 곤트


폴란드의 야드비가

참조

[1] 웹사이트 John of Gaunt, duke of Lancaster English prince https://www.britanni[...] 2020-06-26
[2] 웹사이트 Eleanor de Bohun, Duchess of Gloucester https://www.westmins[...] 2019-03-18
[3] 웹사이트 京都相国寺 - 日本の塔婆 http://www.d1.dion.n[...] 1470-00-00 # 연도만 제공되므로 임의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