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40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02년은 명나라의 건문 4년, 일본의 오에이 9년, 베트남 호 왕조의 티에우타인 2년, 조선의 태종 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조선은 일본 무로마치 막부에 해적 소탕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신문고를 설치하여 백성의 억울함을 해결하려 했다. 명나라에서는 정난의 변으로 주윤문 황제가 사망하고 주디가 영락제로 즉위하며 중국이 통일되었다. 유럽에서는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 제국이 오스만 제국을 격파하여 오스만 제국 간극기가 시작되었고,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간의 전투와 웨일스 반란이 일어났다. 이 해에는 쿵 테무르가 몽골 제국의 칸으로 즉위했으며, 강리도가 완성되고, 뷔르츠부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02년
지도
기본 정보
연도1402년
세기15세기
천간임(壬)
지지오(午)
십이지
간지임오(壬午)
사건
유럽1402년카나리아 제도프랑스에 의해 정복되었다.
1402년에 안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티무르 제국에게 패배하여 오스만 제국술탄바예지드 1세가 포로로 잡혔다.
1402년오스만 제국에서 대공위 시대가 시작되었다.
아시아조선에서 태종이 즉위하고 사병을 혁파하였다.
명나라에서 건문제가 주체에게 패배하고 난징이 함락되면서 건문제는 실종되었고 영락제가 즉위하였다.
1402년응우옌 왕조베트남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기타1402년프랑스의 장 드 베탕쿠르가 카나리아 제도를 발견했다.
탄생
탄생김종서 (1383년 ~ 1453년)
문종 (1414년 ~ 1452년)
조반니 베네데토 플라티 (1697년 ~ 1763년)
사망
사망바예지드 1세 (오스만 제국의 술탄) (1360년 ~ 1403년)
기타카바타케 치카후사 (1293년 ~ 1354년)
주표 (1355년 ~ 1392년)
이방원 (1367년 ~ 1422년)
응우옌 호안 (1338년 ~ 1401년)
루프레히트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1352년 ~ 1410년)
데이비드 스튜어트 (1378년 ~ 1402년)
고케니와노 미카도 (1359년 ~ 1393년)
최만리 (1357년 ~ 1423년)
정약용 (1762년 ~ 1836년)
안도 히로시게 (1797년 ~ 1858년)
달력
간지임오년 (壬午年)
서력1402년
단기3735년
일본오에이(応永) 9년
중국건문(建文) 4년 / 영락(永楽) 원년

2. 연호

명나라에서는 건문(建文) 4년, 일본에서는 오에이(応永일본어) 9년, 베트남 호 왕조에서는 티에우타인(紹成) 2년이었다. 조선은 태종 2년이었다.

3. 사건

음력 7월 - 조선이 무로마치 막부아시카가 요시미쓰에게 작년의 해적 소탕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교린의 신의를 더욱 돈독히 해 달라는 취지의 서한을 보냈다.[12] 이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한반도 주변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의도였다. 특히 왜구의 침입으로 골머리를 앓던 조선은 무로마치 막부의 협조가 절실했다.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듣고 또 정적을 색출하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했다. 이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동시에 반대 세력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신문고 설치는 백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왕권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6월 13일 - 정난의 변: 연군이 명나라 수도 난징 성벽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였다. 북쪽 방어군이 금천문(金川門)을 열고 침입자를 들여보냈다. 주윤문 황제는 궁궐에 불을 지르고 자신과 신하들이 궁궐 안에서 불에 타 죽도록 명령하고, 연왕 주디가 도착하기 전에 이를 실행하였다. 주디는 궁중 관리 29명의 처형을 명하였다.[5]

6월 14일 - 베이징의 연국 왕 주디(朱棣)가 난징에서 새로운 명나라 황제가 되어 중국 남북을 통일하였다.[5]

7월 17일 - 명나라 연왕 주체가 난징에서 새로운 영락제(永樂帝)로 공식 즉위하며 정난(靖難)이 끝났다.

1월 - 도고 신조 내리 여러 문이 건립된다.

2월 - 今川了俊(이마가와 료슌)이 『난태평기』를 저술한다.

5월 - 다테 마사무네(다테 마사무네)가 오슈 탐다이인 아시카가 미쓰사다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관토 간료인 우에스기 우지노리가 토벌을 위해 향한다. 이 반란은 9월에 진압된다.

8월 20일(응영 9년 9월 5일)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중국의 명나라로부터 일본 국왕으로서 책봉을 받고, 왕을 자칭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12]

9월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명나라 사신을 접견하여 명나라의 국서를 받고, 영락제로부터 일본 국왕에 봉해진다.

쿵 테무르가 1402년에 몽골 제국의 제21대 황제(칸)로 즉위하였다.

7월 20일, 티무르 제국티무르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바예지드 1세를 격파하고 사로잡았다. 이 전투의 결과, 오스만 제국은 간극기에 돌입했으며, 세르비아는 오스만 지배에서 벗어나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세르비아 데스포트국(세르비아 제후국)의 데스포트로 즉위했다.

11월 21일,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데스포타트는 트리폴예 전투에서 오스만 총독 두라드 브란코비치에게 승리했다. 12월 2일에는 티무르가 성 요한 기사단이 통치하던 스미르나 공성전(현 터키 이즈미르)을 점령하고, 기독교인들을 학살했다. 이후 기사단은 보드룸에 보드룸 성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 1월 29일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요가일라(Jogaila) 국왕이 폴란드 통치에 대한 반발에 맞서 폴란드의 카지미어 3세(Casimir III of Poland)의 손녀인 첼리에의 안나(Anna of Celje)와 결혼하여 연합을 강화한다.
  • 2월 8일 – 지구 북반구 사람들이 1402년 대혜성(Great Comet of 1402)을 처음 관측한다. 낮에도 8일 동안 보였던 이 혜성은 2월 20일에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으며, 3월 27일까지 관측되었다.
  • 2월 19일 – 크지자노프의 지기스문트(Sigismund of Křižanov), 루크셈부르크의 프로코프(Prokop of Luxemburg), 그리고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4세(Wenceslas IV of Bohemia) 국왕이 루크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Sigismund of Luxembourg)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왕국의 군사 주둔지인 이흘라바(Jihlava)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지만 실패한다.
  • 3월 26일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인 로씨의 데이비드 스튜어트(David Stewart, Duke of Rothesay) 공작이 그의 삼촌인 올버니 공작 로버트 스튜어트(Robert Stewart, 1st Duke of Albany)에게 감금되어 사망한다.
  • 6월 22일
  • * 네즈빗 무어 전투: 잉글랜드군이 귀환하는 스코틀랜드 약탈 부대를 결정적으로 패퇴시키다.
  • * 브린 글라스 전투: 오웨인 글린더(Owain Glyndŵr)가 이끄는 웨일스 반군이 잉글랜드/웨일스 국경에서 잉글랜드군을 패퇴시키다.
  • 6월 26일 – 카살레키오 전투: 밀라노 공국(Duchy of Milan)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Gian Galeazzo Visconti) 공작이 볼로냐와 피렌체의 군대를 격파한다.
  • 8월 1일 – 에드워드 노리치가 아버지 에드먼드 랭리의 사망으로 잉글랜드의 두 번째 요크 공작이 된다.
  • 8월 15일 – 카스티야와 레온의 엔리케 3세(Enrique III) 국왕이 1396년에 시작된 전투를 끝내고 매제인 포르투갈의 주앙 1세(João I) 국왕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다.
  • 9월 3일 – 잔 마리아 비스콘티가 아버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의 사망으로 두 번째 밀라노 공작이 된다.
  • 9월 14일 – 홈밀던 힐 전투: 헨리 퍼시 경(핫스퍼)이 이끄는 북부 잉글랜드 귀족들은 장궁을 사용하여 스코틀랜드 침략군을 결정적으로 패퇴시킨다.
  • 11월 5일제노바 공화국모나코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한다.
  • 11월 25일 – 잉글랜드 헨리 4세 국왕의 제4차 의회가 웨일스인들이 모임, 공직 취득, 무기 소지 및 잉글랜드 도시 거주를 금지하는 웨일스에 대한 형벌법을 통과 시킨다.
  • 몰다비아가 폴란드 왕국의 봉신국이 된다.

카나리아 제도 정복은 카스티야의 엔리케 3세 국왕이 프랑스 탐험가 장 드 베탕쿠르를 파견하여 시작되었다. 베탕쿠르는 카나리아 제도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지만, 엔리케를 그의 봉신으로 인정했다. 현대 이라크이란 북부에 위치한 아크 코윤루(백양 투르크멘) 부족 연맹이 수도를 아미다에서 디야르바키르로 옮겼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조선에서는 세계지도인 강리도가 완성되었다.

3. 1. 동아시아

음력 7월 - 조선이 무로마치 막부아시카가 요시미쓰에게 작년의 해적 소탕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교린의 신의를 더욱 돈독히 해 달라는 취지의 서한을 보냈다.[12] 이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한반도 주변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의도였다. 특히 왜구의 침입으로 골머리를 앓던 조선은 무로마치 막부의 협조가 절실했다.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듣고 또 정적을 색출하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했다. 이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동시에 반대 세력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신문고 설치는 백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왕권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6월 13일 - 정난의 변: 연군이 명나라 수도 난징 성벽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였다. 북쪽 방어군이 금천문(金川門)을 열고 침입자를 들여보냈다. 주윤문 황제는 궁궐에 불을 지르고 자신과 신하들이 궁궐 안에서 불에 타 죽도록 명령하고, 연왕 주디가 도착하기 전에 이를 실행하였다. 주디는 궁중 관리 29명의 처형을 명하였다.[5]

6월 14일 - 베이징의 연국 왕 주디(朱棣)가 난징에서 새로운 명나라 황제가 되어 중국 남북을 통일하였다.[5]

7월 17일 - 명나라 연왕 주체가 난징에서 새로운 영락제(永樂帝)로 공식 즉위하며 정난(靖難)이 끝났다.

1월 - 도고 신조 내리 여러 문이 건립된다.

2월 - 今川了俊(이마가와 료슌)이 『난태평기』를 저술한다.

5월 - 다테 마사무네(다테 마사무네)가 오슈 탐다이인 아시카가 미쓰사다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관토 간료인 우에스기 우지노리가 토벌을 위해 향한다. 이 반란은 9월에 진압된다.

8월 20일(응영 9년 9월 5일)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중국의 명나라로부터 일본 국왕으로서 책봉을 받고, 왕을 자칭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12]

9월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명나라 사신을 접견하여 명나라의 국서를 받고, 영락제로부터 일본 국왕에 봉해진다.

쿵 테무르가 몽골 제국 제21대 황제()에 즉위했다. 1399년에 아버지(엘베크 칸)가 살해당하자 뒤를 이었다. 오르크 테무르와 대립하여 1402년에 살해당했고, 북원이 멸망했다.

3. 1. 1. 조선

음력 7월 - 조선이 무로마치 막부아시카가 요시미쓰에게 작년의 해적 소탕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교린의 신의를 더욱 돈독히 해 달라는 취지의 서한을 보냈다.[12] 이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한반도 주변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의도였다. 특히 왜구의 침입으로 골머리를 앓던 조선은 무로마치 막부의 협조가 절실했다.

백성의 억울한 사정을 듣고 또 정적을 색출하기 위해 신문고를 설치했다. 이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동시에 반대 세력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신문고 설치는 백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왕권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3. 1. 2. 명나라

6월 13일 - 정난의 변: 연군이 명나라 수도 난징 성벽에 도착하여 도시를 포위하였다. 북쪽 방어군이 금천문(金川門)을 열고 침입자를 들여보냈다. 주윤문 황제는 궁궐에 불을 지르고 자신과 신하들이 궁궐 안에서 불에 타 죽도록 명령하고, 연왕 주디가 도착하기 전에 이를 실행하였다. 주디는 궁중 관리 29명의 처형을 명하였다.[5]

6월 14일 - 베이징의 연국 왕 주디(朱棣)가 난징에서 새로운 명나라 황제가 되어 중국 남북을 통일하였다.[5]

7월 17일 - 명나라 연왕 주체가 난징에서 새로운 영락제(永樂帝)로 공식 즉위하며 정난(靖難)이 끝났다.

3. 1. 3. 일본

1월 - 도고 신조 내리 여러 문이 건립된다.

2월 - 今川了俊(이마가와 료슌)이 『난태평기』를 저술한다.

5월 - 다테 마사무네(다테 마사무네)가 오슈 탐다이인 아시카가 미쓰사다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관토 간료인 우에스기 우지노리가 토벌을 위해 향한다. 이 반란은 9월에 진압된다.

8월 20일(응영 9년 9월 5일)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중국의 명나라로부터 일본 국왕으로서 책봉을 받고, 왕을 자칭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12]

9월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명나라 사신을 접견하여 명나라의 국서를 받고, 영락제로부터 일본 국왕에 봉해진다.

3. 1. 4. 몽골

요약에 1399년 즉위라고 되어 있으나, 1402년 항목의 몽골 섹션이므로 1402년의 사건으로 간주하고 작성합니다. 그러나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으므로 요약(`summary`) 정보만을 사용합니다.

쿵 테무르가 1402년에 몽골 제국의 제21대 황제(칸)로 즉위하였다.

3. 2. 서아시아

7월 20일, 티무르 제국티무르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바예지드 1세를 격파하고 사로잡았다.[10] 이 전투의 결과, 오스만 제국은 간극기에 돌입했으며, 세르비아는 오스만 지배에서 벗어나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세르비아 데스포트국(세르비아 제후국)의 데스포트로 즉위했다.[10]

11월 21일,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데스포타트는 트리폴예 전투에서 오스만 총독 두라드 브란코비치에게 승리했다.[8] 12월 2일에는 티무르가 성 요한 기사단이 통치하던 스미르나 공성전(현 터키 이즈미르)을 점령하고, 기독교인들을 학살했다.[10] 이후 기사단은 보드룸에 보드룸 성을 건설하기 시작했다.[10]

3. 3. 유럽


  • 1월 29일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요가일라(Jogaila) 국왕이 폴란드 통치에 대한 반발에 맞서 폴란드의 카지미어 3세(Casimir III of Poland)의 손녀인 첼리에의 안나(Anna of Celje)와 결혼하여 연합을 강화한다.
  • 2월 8일 – 지구 북반구 사람들이 1402년 대혜성(Great Comet of 1402)을 처음 관측한다.[1] 낮에도 8일 동안 보였던 이 혜성은 2월 20일에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으며, 3월 27일까지 관측되었다.
  • 2월 19일 – 크지자노프의 지기스문트(Sigismund of Křižanov), 루크셈부르크의 프로코프(Prokop of Luxemburg), 그리고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4세(Wenceslas IV of Bohemia) 국왕이 루크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Sigismund of Luxembourg)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왕국의 군사 주둔지인 이흘라바(Jihlava)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지만 실패한다.[2]
  • 3월 26일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인 로씨의 데이비드 스튜어트(David Stewart, Duke of Rothesay) 공작이 그의 삼촌인 올버니 공작 로버트 스튜어트(Robert Stewart, 1st Duke of Albany)에게 감금되어 사망한다.
  • 6월 22일
  • * 네즈빗 무어 전투: 잉글랜드군이 귀환하는 스코틀랜드 약탈 부대를 결정적으로 패퇴시키다.
  • * 브린 글라스 전투: 오웨인 글린더(Owain Glyndŵr)가 이끄는 웨일스 반군이 잉글랜드/웨일스 국경에서 잉글랜드군을 패퇴시키다.[6]
  • 6월 26일 – 카살레키오 전투: 밀라노 공국(Duchy of Milan)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Gian Galeazzo Visconti) 공작이 볼로냐와 피렌체의 군대를 격파한다.
  • 8월 1일 – 에드워드 노리치가 아버지 에드먼드 랭리의 사망으로 잉글랜드의 두 번째 요크 공작이 된다.
  • 8월 15일 – 카스티야와 레온의 엔리케 3세(Enrique III) 국왕이 1396년에 시작된 전투를 끝내고 매제인 포르투갈의 주앙 1세(João I) 국왕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다.
  • 9월 3일 – 잔 마리아 비스콘티가 아버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의 사망으로 두 번째 밀라노 공작이 된다.
  • 9월 14일 – 홈밀던 힐 전투: 헨리 퍼시 경(핫스퍼)이 이끄는 북부 잉글랜드 귀족들은 장궁을 사용하여 스코틀랜드 침략군을 결정적으로 패퇴시킨다.
  • 11월 5일제노바 공화국모나코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한다.
  • 11월 25일 – 잉글랜드 헨리 4세 국왕의 제4차 의회가 웨일스인들이 모임, 공직 취득, 무기 소지 및 잉글랜드 도시 거주를 금지하는 웨일스에 대한 형벌법을 통과 시킨다.
  • 몰다비아가 폴란드 왕국의 봉신국이 된다.

3. 4. 기타 지역

카나리아 제도 정복은 카스티야의 엔리케 3세 국왕이 프랑스 탐험가 장 드 베탕쿠르를 파견하여 시작되었다. 베탕쿠르는 카나리아 제도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지만, 엔리케를 그의 봉신으로 인정했다. 현대 이라크이란 북부에 위치한 아크 코윤루(백양 투르크멘) 부족 연맹이 수도를 아미다에서 디야르바키르로 옮겼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조선에서는 세계지도인 강리도가 완성되었다.

4. 탄생


  • 음력 3월 11일 - 조선의 정창손
  • 음력 9월 8일 - 조선의 이축
  • 5월 18일 (응영 9년 4월 16일) - 일유, 무로마치 시대승려, 다이석사 제9대 법주
  • 6월 7일 (응영 9년 5월 7일) - 이치조 카네요시,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학자
  • 9월 29일 - 페르난두 성왕자, 포르투갈 왕국 아비스 왕조의 왕자
  • 11월 23일 - 장 드 뒤누아, 오를레앙 공작 루이 드 발루아의 서자, 뒤누아 백작
  • 아사쿠라 이에카게,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사쿠라 씨 제6대 당주
  • 우에스기 모치사다,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센가야 우에스기가 당주
  • 오다 모리이에,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히타치 국 오다 씨 당주
  • 험프리 스태퍼드, 버킹엄 공작, 대원수
  • 네사왈코요틀, 텍스코코의 왕
  • 유키 시쵸,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시모우사 국 유키 씨 제11대 당주
  • 레오노르 데 아라곤, 포르투갈 왕 두아르트 1세의 왕비
  • 2월 6일 – 헤세의 영주 루이 1세
  • 4월 28일 – 네사우알코요틀
  • 5월 2일 – 레오노르 데 아라곤

4. 1. 조선

4. 2. 유럽

1402년 유럽에서는 여러 인물들이 태어났다. 2월 6일에는 헤세의 영주 루이 1세가 태어났고, 4월 28일에는 테스코코의 철학자, 전사, 시인, 트라토아니인 네사우알코요틀이 태어났다. 5월 2일에는 포르투갈 왕비 아라곤의 엘레오노르가 태어났으며, 9월 29일에는 포르투갈의 성 페르디난드 왕자가 태어났다. 11월 23일에는 프랑스 귀족이자 군인인 장 드 뒤누아가 태어났다.

4. 3. 일본

5월 18일 (응영 9년 4월 16일) - 일유(日有), 무로마치 시대승려, 다이석사 제9대 법주

6월 7일 (응영 9년 5월 7일) - 이치조 카네요시(一条兼良),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학자

아사쿠라 이에카게(朝倉家景),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사쿠라 씨 제6대 당주

우에스기 모치사다(上杉持定),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센가야 우에스기가 당주

오다 모리이에(小田持家),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히타치 국 오다 씨 당주

유키 시쵸(結城氏朝),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시모우사 국 유키 씨 제11대 당주

5. 사망

조선의 무신 이지란이 사망하였다. 음력 2월 5일에는 조선의 검교한성윤 류방택이, 음력 4월 9일에는 청해군 이지란이 사망하였다. 음력 10월 16일에는 고성군 고려가, 음력 11월 19일에는 참판승추부사 강회백이, 음력 12월 18일에는 안변도호부사 조사의가, 음력 12월 22일에는 청성백 이거인이 사망하였다. 원천석은 고려 및 조선의 학자이다.

7월 13일 - 명나라건문제가 사망하고, 건문제 황후 마씨가 사망하였다.[11]



2월 1일에는 무로마치 시대 무장 다이나이 히로시게가 사망했다. 2월 9일에는 남북조 시대 무장으로 누마다 코바야카와 씨 당주였던 코바야카와 슌페이가 사망했다. 6월 3일에는 남북조 시대 공경이자 신기관이었던 요시다 켄키가 사망했다. 9월 29일에는 남북조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활동한 황족, 공경, 학자, 가인이었던 시토우 요시나리가 사망했다.

5. 1. 조선

조선의 무신 이지란이 사망하였다. 음력 2월 5일에는 조선의 검교한성윤 류방택이, 음력 4월 9일에는 청해군 이지란이 사망하였다. 음력 10월 16일에는 고성군 고려가, 음력 11월 19일에는 참판승추부사 강회백이, 음력 12월 18일에는 안변도호부사 조사의가, 음력 12월 22일에는 청성백 이거인이 사망하였다. 원천석은 고려 및 조선의 학자이다.

5. 2. 명나라

7월 13일 - 명나라건문제가 사망하고, 건문제 황후 마씨가 사망하였다.[11]

5. 3. 유럽

5. 4. 일본

2월 1일에는 무로마치 시대 무장 다이나이 히로시게가 사망했다. 2월 9일에는 남북조 시대 무장으로 누마다 코바야카와 씨 당주였던 코바야카와 슌페이가 사망했다. 6월 3일에는 남북조 시대 공경이자 신기관이었던 요시다 켄키가 사망했다. 9월 29일에는 남북조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활동한 황족, 공경, 학자, 가인이었던 시토우 요시나리가 사망했다.

5. 5. 기타

참조

[1] 서적 Cometography: 1800-18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 뉴스 Moravské markraběcí války (Moravian Margrave Wars) https://www.e-stredo[...] 2013-10-27
[3] 서적 From the Mongols to the Ming Dynasty: How a Begging Monk Became Emperor of China, Zhu Yuan Zhang Algora Publishing 2016
[4] 서적 Richard II and the English Royal Treasure Boydell Press 2012
[5] 서적 From the Mongols to the Ming Dynasty: How a Begging Monk Became Emperor of China, Zhu Yuan Zhang Algora Publishing 2016
[6] Coflein 2020-06-28
[7] 학술지 The False King Olaf and His Necklace of Letters https://sca.uwpres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3-03-20
[8] 서적 Knez i despot Stefan Lazarević https://books.google[...] Sveti arhijerejski sinod Srpske pravoslavne crkve
[9] 서적 Greeks, Latins, and Intellectual History 1204-1500 https://pure.royalho[...] Peeters
[10] 서적 La campagne de Timur en Anatolie, 1402 Variorum
[11] 웹사이트 David Stewart, 1st Duke of Rothesay: Biography on Undiscovered Scotland https://www.undiscov[...]
[12] 간행물 태종실록 (1431) 1권, 태종 1년 6월 12일 기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16-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