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소 연결 수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소 연결 수용체는 세포 외부 신호에 반응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의 한 종류이다. 주요 패밀리로는 Erb 패밀리, 신경아교세포주 유래 신경영양인자(GDNF) 패밀리,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수용체(NPR) 패밀리, 신경영양인자(Trk) 수용체 패밀리, 톨 유사 수용체(TLR) 패밀리가 있다. 이들은 각각 티로신 키네이스 또는 구아닐산 고리화효소와 같은 효소 활성을 가지며, 다양한 리간드와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관통 수용체 - 세포 표면 수용체
    세포 표면 수용체는 세포 외부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하여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며, 이온 채널 연결 수용체, 효소 연결 수용체,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등으로 분류되고, 기능 이상 시 질병을 유발하며 약물 개발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 막관통 수용체 - 화학주성
    화학주성은 세포가 특정 화학 물질의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현상으로, 유인 물질과 기피 물질에 대한 반응을 통해 세포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며, 염증, 면역, 배아 발생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효소 연결 수용체

2. 종류

효소 연결 수용체는 세포 외부의 리간드와 결합하여 세포 내부에서 효소 활성을 촉진하는 막 관통 수용체이다. 주요 5가지 패밀리는 다음과 같다.[12][13][14][15][16]

효소 연결 수용체의 주요 패밀리
패밀리구성원촉매 활성내인성 리간드합성 리간드
ErbErbB1, ErbB2, ErbB3, ErbB4티로신 키네이스상피 성장인자(EGF), 암피레굴린, 베타셀룰린, 에피젠, 에피레굴린, 헤파린 결합 EGF 유사 성장인자(HB-EGF), TGF-αGW583340, 게피티닙, 엘로티닙, 티르포스틴 AG879 및 AG1478
GDNFGFRα1, GFRα2, GFRα3, GFRα4티로신 키네이스신경아교세포주 유래 신경영양인자(GDNF), 뉴투린, 아르테민, 퍼셉핀
NPRNPR1, NPR2, NPR3, NPR4구아닐산 고리화효소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ANP),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전구체 C(BNP), 유로구아닐린
TrkTrkA, TrkB, TrkC, p75티로신 키네이스신경 성장인자(NGF),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 신경영양인자-3(NT-3), 신경영양인자-4(NT-4)GW441756, 티르포스틴 AG879
TLRTLR1 ~ TLR10펩티도글리칸, 지질다당류(LPS), 플라젤린, CpG DNA 등레시퀴모드, 이미퀴모드 등


2. 1. Erb 패밀리

구성원유전자촉매 활성내인성 리간드합성 리간드
ErbB1티로신 키나아제상피세포 성장 인자, 암피레귤린, 베타셀룰린, 에피젠, 에피레귤린, HB-EGF, TGFaGW583340, 게피티니브, 엘로티닙, 티로포스틴 AG879 및 AG1478
ErbB2티로신 키나아제|
ErbB3티로신 키나아제NRG-1, NRG-2GW583340, 게피티니브, 엘로티닙, 티로포스틴 AG879 및 AG1478
ErbB4티로신 키나아제베타셀룰린, 에피레귤린, HB-EGF, NRG-1, NRG-2, NRG-3, NRG-4GW583340, 게피티니브, 엘로티닙, 티로포스틴 AG879 및 AG1478

[4]

2. 2. 신경아교세포주 유래 신경영양인자(GDNF) 패밀리

구성원유전자내인성 리간드
GFRα1GDNF > 뉴르투린 > 아르테민
GFRα2뉴르투린 > GDNF
GFRα3아르테민
GFRα4퍼세핀

[5]

2. 3.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수용체(NPR) 패밀리

구성원유전자촉매 활성내인성 리간드합성 리간드
NPR1구아닐산 시클라제심방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
NPR2구아닐산 시클라제C형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
NPR3구아닐산 시클라제심방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
NPR4구아닐산 시클라제우로구아닐린

[6]

2. 4. 신경영양인자(Trk) 수용체 패밀리

수용체유전자촉매 활성내인성 리간드합성 리간드
TrkA티로신 키나아제신경 성장 인자 > NT-3GW441756, 티로포스틴 AG879
TrkB"뇌 유래 신경 영양 인자, NT-4/NT-5 > NT-3
TrkC"NT-3
p75"NGF, BDNF, NT3, NT4/5

[7]

2. 5. 톨 유사 수용체(TLR) 패밀리

구성원유전자내인성 리간드합성 리간드
TLR1
TLR2펩티도글리칸
TLR3폴리IC, 폴리이노신-폴리시토신
TLR4LPS, 그람 음성 세균 유래 지질다당류
TLR5편모
TLR6
TLR7레시퀴모드, 이미퀴모드
TLR8
TLR9CpG, 시토신:구아노신 쌍이 풍부한 DNA
TLR10

[8]

참조

[1] 서적 High-yield cell and molecular bi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11-01
[2] 저널 Catalytic Receptors 2007-02
[3] 웹사이트 lecture10 http://darwin.nmsu.e[...] 2007-03-03
[4] 저널 Catalytic receptors: ErbB family 2007-02
[5] 저널 Catalytic receptors: GDNF family 2007-02
[6] 저널 Catalytic receptors: Natriuretic peptide family 2007-02
[7] 저널 Catalytic receptors: Neurotrophin family 2007-02
[8] 저널 Catalytic receptors: Toll-like receptor family 2007-02
[9] 서적 High-yield cell and molecular bi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11-01
[10] 저널 Catalytic Receptors 2007-02
[11] 웹인용 lecture10 http://darwin.nmsu.e[...] 2007-03-03
[12] 저널 Catalytic receptors: ErbB family 2007-02
[13] 저널 Catalytic receptors: GDNF family 2007-02
[14] 저널 Catalytic receptors: Natriuretic peptide family 2007-02
[15] 저널 Catalytic receptors: Neurotrophin family 2007-02
[16] 저널 Catalytic receptors: Toll-like receptor family 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