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견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성군은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셋째 아들로, 1491년 견성군에 책봉되었다. 유은종을 모함하여 살해하고, 전산군 이과의 반란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으나, 이후 무죄로 밝혀져 신원되었다. 묘역은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으며, 2014년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왕족 - 이지 (1598년)
    이지는 광해군의 장남으로 1598년에 태어나 세자 책봉 후 인조반정으로 폐세자가 되어 강화에 위리안치되었다가 1623년 자결한 인물이다.
  • 사형된 왕족 - 이차돈
    이차돈은 신라 법흥왕 때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인물로, 자신의 죽음을 통해 왕의 위엄을 세우고 신하들의 반대를 잠재워 신라 불교의 초석을 다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1507년 사망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1507년 사망 - 마르틴 베하임
    마르틴 베하임은 뉘른베르크 출신의 독일 상인이자 지리학자로, 1492년에 제작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구본인 "에르다프펠"로 유명하며, 이는 당시 유럽인들의 세계관과 지리적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1482년 출생 - 봉안군
    봉안군은 조선 성종의 서6남으로, 연산군에 의해 사사되었으며, 의춘군부인 평양 조씨를 배우자로 두고 흥원군을 아들로 두었다.
  • 1482년 출생 - 조광조
    조광조는 조선 중종 때 김굉필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하고 중종의 신임을 받아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기묘사화로 사약을 받은 사림파 성리학자이자 개혁가로,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견성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견성군
한자 표기甄城君
이돈(李惇)
작위조선 성종의 왕자
부친성종
모친숙의 홍씨
사망일1507년 11월 20일 (양력)
출생일1482년
배우자영양군부인 평산 신씨
시호경민(景愍)
자녀2남 1녀
능묘
능묘견성군 묘(甄城君墓)
위치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산152-1
다른 이름
다른 이름진성군(甄城君)

2. 생애

성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

1506년(연산군 12년), 유은종의 집을 빼앗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유은종이 술에 취해, 예전 자신의 집 앞을 지나가면서 “어째서 남의 집을 빼앗느냐”고 묻자, 견성군은 그를 함정에 빠뜨려 살해하였다.[1]

1507년(중종 2년), 전산군 이과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간성으로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무죄가 인정되어 복권되었다.[2]

2. 1. 출생과 왕자 시절

1482년(성종 13년), 성종숙의 홍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년도와 생일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 국립고궁박물관은 관내 소장중인 1482년 5월 5일생의 왕자 수정(壽禎)의 태지석을 견성군의 태지석이라고 소개하고 있다.[3] 견성군에게는 각각 1년 터울로 태어난 동복 형인 완원군(1480년 12월 29일생)[4]회산군(1481년 12월 13일생)[5]이 있기 때문에, 회산군이 태어나고 5개월 밖에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견성군이 태어날 수가 없으므로, 왕자 수정의 태지석은 견성군의 태지석이 아닐 확률이 높다.

1491년(성종 22년), '''견성군'''(甄城君)에 책봉되었는데, 견성(甄城)은 전라도 전주의 별칭으로, '견훤의 도읍지'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6]

1494년(성종 25년), 신우호(申友灝)의 딸인 영양군부인(永陽郡夫人) 평산 신씨와 혼례를 올렸으며,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2. 2. 권력 남용과 횡포

1503년(연산군 9년), 견성군과 견성군의 종인 금산(今山)이 거짓 문서를 예조에 바치고 잡역을 면제받으려 한 일과 관련하여 금부에서 금산을 잡아 국문하니, 연산군은 견성군을 죄주라 하였다가 이내 자신의 뜻을 철회하고 견성군을 용서하였다.[7]

1506년(연산군 12년) 견성군은 유은종(柳恩宗)의 집을 빼앗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유은종이 술에 취해 그의 집 앞을 지나면서 '왜 남의 집을 빼앗느냐'고 묻자 견성군은 그를 모함하여 죽였다.[8][9] 李惇|견성군 이돈중국어이 柳恩宗|유은종중국어의 집을 빼앗고, 또 작은 집을 아울러 차지하려 하였다. 柳恩宗|유은종중국어이 분노를 품고 항상 술이 취하면 그의 문을 지나면서 ‘왜 남의 집을 빼앗는가?' 하므로, 견성군이 거짓을 꾸미어 아뢰니, 왕이 노하여 죽인 것이다.

2. 3. 중종반정과 죽음

1507년(중종 2년), 정국원종공신 전산군(全山君) 이과(李顆)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자 견성군은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죄를 청했다.[10]

견성군이 궐정에 이르러 아뢰기를, "소신이 지극히 가까운 근친(近親)으로 불령(不逞)한 자의 입에 오르내렸으니, 놀랍고 황송하기가 그지없습니다. 직을 버리고 대죄하기를 청합니다." 하고, 드디어 의관을 벗고 머리를 조아리며 통곡했다. 견성군에게 전교하기를, "저들 무리가 저들끼리 소란을 피웠을 뿐이지 견성군이 어찌 알 일이겠는가? 대죄하지 말라." 하였다.|《중종실록》 3권, 중종 2년(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8월 27일 (무술)중국어

중종은 견성군을 형제의 정으로 비호하였으나, 의정부, 종친, 육조 등 공신들은 견성군이 모의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이들의 추대를 받았으니 도성 밖으로 내쫓을 것을 청하였다.[11]

견성군은 강원도 간성에 유배되었고, 이어 대신들의 극론으로 사사되었다.[12] 이후 역모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인정되어 이듬해 신원되었다.[13]

2. 4. 사후 복권과 묘소

견성군의 묘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다. 2014년 9월 30일 남양주시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묘역의 석물로는 묘표 1기, 문인석 1쌍, 상석, 혼유석, 동자석 1쌍, 망주석 1쌍이 있으며 모두 조성 당시의 석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봉분 앞쪽의 묘표는 원수방부(圓首方趺) 형태로, 비신의 전면에 "견성군지묘(甄城君之墓), 영양군부인 신씨 지묘(永陽郡夫人申氏之墓)"라는 비문이 있다.

견성군은 조선 성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 1507년 전산군 이과의 반란 사건에 연루되어 추대를 받았다는 이유로 간성으로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무죄가 인정되어 복권되었다.[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성종1457년1494년조선 제9대 왕
어머니숙의 홍씨1457년1510년
누나수란1478년?
1480년1509년
1481년1512년
동생정순옹주1486년?
동생1488년1552년
동생1489년1526년
동생1490년1524년
동생1492년1551년
동생여란1493년1573년
부인영양군부인 평산 신씨??봉사 증찬성 신우호의 딸
장남완산군 수함??
자부평양 이씨??행대사성 이희보의 딸
손자선성군 흠1522년?
손자평성부정 균1523년?
손자여성군 석1525년?
손녀이곤옥1533년?
손녀이정옥1534년?
자부측실(이름 미상)??
서손녀이효옥1548년?
자부측실(이름 미상)??
서손녀이순옥1555년?
차남계산군 수계??회산군에게 출계
장녀이정묘1507년?
사위동래 정씨 정수후??참군
외손녀정가이1518년?
외손녀정욱이1521년?


참조

[1] 서적 연산군 일기 하늘과 땅 2006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견성군 http://people.aks.ac[...]
[3] 웹사이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견성군 태지석 https://www.gogung.g[...]
[4] 간행물 완원군 태지석 https://www.gogung.g[...]
[5] 서적 전주이씨세보(全州李氏世譜) 회산군파(檜山君派)
[6] 실록 성종실록 1491-01-10
[7] 실록 연산군일기 1503-06-13
[8] 실록 연산군일기 1506-07-06
[9] 서적 연산군 일기 하늘과 땅 2006
[10] 실록 중종실록 1507-08-27
[11] 실록 중종실록 1507-09-01
[12] 실록 중종실록 1507-10-16
[13] 웹인용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견성군 http://people.aks.ac[...] 201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