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문인화가로, 시, 서예에도 능했으며, '명 사대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원나라 시대부터 명문가 출신으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그림과 글씨에 전념하며 은둔 생활을 했다. 심주는 소주에서 새로운 오파를 창시하여 중국 회화 역사에 기여했으며, 산수화에 특히 뛰어났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여산고도』, 『우중의 사색』 등이 있으며, 제자로는 문징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서예가 - 동기창
    동기창은 명나라 후기의 문인, 서예가, 화가, 미술 이론가로, 회화에서 남북종론을 주창하여 문인화의 정통성을 확립했으며, 작품으로는 「청변산도」 등이 있고, 저서로는 『화선실수필』 등이 있다.
  • 명나라의 서예가 - 진계유
    진계유는 명나라 시대의 문인이자 서화가로, 소식과 미불의 글씨를 사사하고 왕석작, 왕세정에게 문재를 인정받았으며, 쿤산과 둥사산에 은거하며 저술과 서화로 생계를 유지했고, 행서와 묵매도에 능하여 그의 작품이 베이징 고궁박물관과 교토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1509년 사망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1509년 사망 - 완원군
    완원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숙의 홍씨의 소생으로 완원군에 봉해졌고,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으로 풀려났으며, 정국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지만, 1509년에 사망했다.
  • 명나라의 시인 - 고계
    고계는 명나라의 시인으로, 다양한 주제를 평이하고 담백하게 표현한 약 2000수의 시를 남겼으며, 그의 작품은 일본에서도 널리 애창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시인 - 왕세정
    왕세정은 명나라 시대의 문인이자 고문사파와 후칠자의 일원으로, 만력 연간 문단을 이끌었으며, 서법과 서론에도 능통하고 평론가로서도 명성이 높았다.
심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주
원어 이름沈周
자(字)계남(啟南)
호(號)석전(石田)
인물 정보
출생1427년
출생지장쑤성쑤저우시샹청구
사망1509년
직업화가
사조
화파오파(吳派), 명나라 사대가(明四家)

2. 가계

심씨(沈氏)는 원(元)나라 시대부터 명문가였으나, 한때 몰락하였다. 증조부 대부터 가세가 번창하여 광대한 농지 등 많은 재산을 소유한 부호가 되었다. 조부 심징(沈澄)과 부친 심항길(沈恒吉)도 학문과 예술을 좋아하는 뛰어난 인물이었으나, 모두 가훈에 따라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1] 한 설에 따르면 심씨는 원말명초(元末明初)의 강남(江南) 대부호 심만삼(沈万三)의 가계라고 한다.[1] 심만삼은 장사성(張士誠)의 외척이었기 때문에, 그의 라이벌이었던 명나라 태조 주원장(朱元璋)에게 막대한 재산과 해외 무역의 권익을 몰수당하는 큰 타격을 입었다.[1] 또한 소주(蘇州)는 명 정부에 의해 가혹한 징세를 당해 오랫동안 쇠퇴하였다.[1]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심씨는 명 정부를 신뢰하지 않고 보신을 위해 벼슬길에 나가지 않는 가훈을 전해왔을 것으로 보인다.[1] 무역상이었던 심씨 가문에는 서역(西域) 사람의 피가 섞인 듯하며, 청(清)나라의 전겸익(銭謙益)과 원원(阮元) 등에 따르면 심주(沈周)는 이목구비가 깊고 '''푸른 눈(碧眼)'''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

인물관계자(字)호(號)비고
심양침(沈良琛)증조부난파(蘭坡)왕몽(王蒙)과 교류, 서화 감상에 조예가 깊음
심징(沈澄)조부맹연(孟淵)견암(絸庵)시서화 삼기
심항길(沈恒吉)부친항길(恒吉)동제(同齌), 도연도인(陶然道人)시서화 삼기
심정(沈貞)숙부정길(貞吉)남제(南齌), 도연도인(陶然道人)시서화 삼기
심빈(沈빈)동생시서화 삼기


3. 생애

심주(沈周)는 장쑤성 장주(長州)의 명문가 출신으로, 그의 조상들은 모두 시, 글씨,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황공망을 비롯한 송나라, 원나라 시대의 그림을 공부했으며, 만년에는 오진의 화풍을 익혀 웅건한 화풍을 확립했다. 남종화 부흥의 선구자로 평가받지만, 뛰어난 작품은 많지 않다.[1]

문징명, 당인, 구영과 함께 '명나라 4대 화가' 또는 '오문 4대가'로 불린다. 백거이, 소식, 육유의 시풍과 황정견의 글씨체를 익혔다. 그림은 동원, 거연, 이성 등의 화법을 익혔고, 중년 이후에는 황공망을, 만년에는 오진에게 심취했다.

원나라명나라 시대의 문인화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창조하여 오문화파(吳門畵派)를 열었다. 산수화, 화훼화, 동물화 등 다양한 소재를 그렸지만,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남북 화풍을 융합한 웅장한 구성과 수묵담채 기법이 돋보인다.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온화한 성격으로, 위작에 낙관을 해달라는 부탁도 거절하지 않고 응했으며, 화공으로 취급되어도 화내지 않았다. 말년에는 문명과 화명이 더욱 높아졌지만, 집안은 재산을 잃고 점차 빈곤해졌다.

3. 1. 초기 생애와 은둔

장저우(長州)의 명문 출신으로, 부조(父祖) 일족이 모두 시서화(詩書畵)에 뛰어났다. 심주(沈周)는 황공망에게 몰두하여 만년(晩年)에는 오진의 화풍을 배웠다.[1]

자는 계남(啓南)이고, 호는 석전(石田), 백석옹(白石翁), 옥전생(玉田生), 유죽거주인(有竹居主人) 등이다. 심석전(沈石田)으로 잘 알려져 있다. 증조부, 부친, 백부 등이 시와 글씨, 그림에 능했던 강남 문인 집안에서 자랐기 때문에 평생 책을 읽고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며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며 살았다.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그림과 글씨에 열정을 쏟았으며, 학식이 깊었고 많은 도서와 서화를 소장했다.[1]

아버지 심항지(沈恒之)가 사망하자 심주는 과거 시험을 포기하고 과부가 된 어머니 장수완(張素婉)을 모시는 데 헌신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아마도 처음부터 관료가 될 의향이 없었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이를 드러내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효성(孝行)을 지키면서 관직 생활을 포기했고, 이를 통해 (어머니를 모시는 것을 제외한) 책임에서 벗어나 은둔 생활을 하며 그림을 그리고 사교 활동을 하고 주변 자연을 관찰하며 수행에 힘쓸 수 있었다. 그는 부유했기 때문에 부유한 후원자를 필요로 하지 않았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특권을 누렸다.[1]

15세 때 아버지로부터 가산의 수세 역할을 물려받았지만, 마음씨가 너그러운 심주(沈周)는 농민들을 잘 보살폈다고 전해진다. 27세에 지방관리로 추천되었으나 팔괘(八卦)의 점을 따라 벼슬길을 피하고 은일하였다. 이후 소주(蘇州)의 농촌에서 문예에 탐닉하였으며, 서재인 '''유죽거(有竹居)'''에는 문인과 애호가들이 끊임없이 찾아왔고, 그 사이사이에 예술 활동을 하였다. 특히 오관(呉寛)·도목(都穆)·문림(文林)(문징명(文徴明)의 아버지)과 교류가 깊었다.

3. 2. 오문화파의 창시와 예술 활동

심주는 장쑤성 장주의 명문가 출신으로, 그의 집안은 대대로 시, 글씨, 그림에 뛰어났다. 그는 황공망을 비롯한 송나라, 원나라 시대의 그림을 공부했으며, 만년에는 오진의 화풍을 익혀 웅건한 화풍을 확립했다. 그는 남종화 부흥의 선구자로 평가받지만, 뛰어난 작품은 많지 않다.[1]

심주는 문징명, 당인, 구영과 함께 '명나라 4대 화가' 또는 '오문 4대가'로 불린다. 그는 백거이, 소식, 육유의 시풍과 황정견의 글씨체를 익혔다. 그림은 동원, 거연, 이성 등의 화법을 익혔고, 중년 이후에는 황공망을, 만년에는 오진에게 심취했다.[1]

그는 원나라명나라 시대의 문인화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창조하여 오문화파(吳門畵派)를 열었다. 산수화, 화훼화, 동물화 등 다양한 소재를 그렸지만,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남북 화풍을 융합한 웅장한 구성과 수묵담채 기법이 돋보인다.[1] 그의 대표작으로는 <산수도권>, <여산고도>, <추림화구도>, <창주취도>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객좌신문』, 『석전집』, 『강남춘사』, 『석전시초』, 『석전잡기』 등이 있다.[1]

심주는 원나라(1279~1368) 시대 화가들의 자유로운 예술 정신을 이어받아, 명나라 초기 홍무제의 획일적인 화풍 강요에 맞섰다. 영락제 시기 수도가 베이징으로 옮겨가면서, 심주가 있던 쑤저우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우파(吳派)라는 새로운 화풍을 탄생시켰다.[1]

심주는 학자 집안에서 자라며 중국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존경심을 키웠고, 이는 그의 예술에도 반영되었다. 그는 고전에 능통했으며, 그의 그림은 원나라 화풍, 중국 역사, 유교 사상을 담고 있다. 그는 풍경화와 '뼈 없는' 꽃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문인 친구들과의 교류를 통해 그림, 시, 서예를 결합한 작품도 많이 남겼다.[1]

산꼭대기의 시인


심주(沈周)의 ''숭고한 루산(廬山)''. 1467년, 족자, 6피트 × 3피트. 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


심주(沈周)의 ''낙화의 시적 감흥''. 앨범 잎, 먹과 채색, 종이, 35.9 x 60.1 cm. 난징박물관, 중국.


우파 화가들에게 그림은 단순한 직업이 아닌 명상과 자기표현의 수단이었다. 심주는 자신의 그림을 상품으로 여기지 않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드러내는 도구로 생각했다. 그의 그림은 우뚝 솟은 산과 나무를 통해 자연의 웅장함을 표현하고, 인간을 작게 묘사하여 자연 앞에서 겸손한 인간의 모습을 담아냈다.[1] 그의 대표작 ''우중의 사색''(국립고궁박물원 소장)은 비 내리는 풍경 속에서 자연에 압도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1]

심주는 15세에 아버지로부터 세금 징수 역할을 물려받았지만, 백성들을 너그럽게 대했다. 27세에 관리로 추천받았으나, 팔괘(八卦) 점괘에 따라 은둔하며 문학과 예술에 전념했다. 그의 서재 '''유죽거(有竹居)'''에는 많은 문인과 예술 애호가들이 찾아왔고, 그는 그들과 교류하며 예술 활동을 펼쳤다. 오관(呉寛), 도목(都穆), 문림(文林)(문징명(文徴明)의 아버지)과 특히 깊은 교류를 했다.[1]

심주는 온화한 성품으로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했고, 심지어 위작(贋作)에 낙관(落款)을 해달라는 부탁도 들어주었다. 화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졌지만, 말년에는 가난하게 살았다.[1]

3. 3. 말년

심주는 만년에 오진의 화풍을 배워 필묵의 격조가 강하고 웅건한 화풍을 창출하였다.[1] 남종화 부흥의 선도자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뛰어난 작품은 많지 않다.[1]

심주는 사람들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온화한 성격으로, 위작에 낙관을 해달라는 부탁도 거절하지 않고 응했으며, 화공으로 취급되어도 화내지 않고 묵묵히 따랐다. 말년에는 문명과 화명이 더욱 높아졌지만, 집안은 재산을 잃고 점차 빈곤해졌다.

4. 예술 세계

심주는 북송(北宋)의 황정견(黃庭堅)을 존숭하여 서예를 배웠고, 시는 진관(陳寛)에게 사사하여 백거이(白居易), 소식(蘇軾), 육유(陸游)를 좋아했다. 그림을 그리면 시를 짓고, 직접 제목을 지었기에 ‘삼절(三絶)’이라고 평가받았다.

또한 산문(散文)에 대해서도 양순길(楊循吉) 등이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시문집으로는 石田集|석전집중국어, 石田詩選|석전시선중국어, 石田雑記|석전잡기중국어 등이 있다.

4. 1. 회화

심주는 중국 회화 역사의 중요한 시기에 살면서 중국 예술 전통에 크게 기여했으며, 소주에서 새로운 우파(吳派)를 창시했다. 원나라 시대 화가들은 이전 송나라 화풍과 다른, 더 "개성적"이고 혁신적인 예술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명나라 초기 홍무제는 기존 화가들을 남경 궁정으로 불러들여 송나라 화풍에 맞추도록 했다. 이는 사대부의 예술계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명나라 궁정 화가들의 지배적인 화풍은 절파(浙派)였다. 그러나 영락제가 즉위하고 수도가 남경에서 베이징으로 옮겨지면서, 황실의 영향력과 심주의 도시인 소주 사이의 거리가 멀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우파(吳派)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심주의 학자적인 성장 배경과 예술적 훈련은 중국의 역사적 전통에 대한 존경심을 심어주었다. 그는 역사와 고전에 능통했으며, 그의 그림은 원나라 화풍, 중국 역사, 그리고 정통 유교에 대한 엄격한 순종을 보여준다. 그는 풍경화와 원나라 거장들의 화풍을 재현한 '뼈 없는' 꽃 그림으로 가장 유명하다.

심주는 원말 명초의 그림을 많이 소장하고 있었는데, 그와 그의 문인화가 동료들은 이를 우파 부흥 운동의 모델로 사용했다. 그는 실험적인 요소들을 원나라 거장들의 보다 엄격한 화풍과 자주 결합했다. 그의 작품 상당수는 문인 친구들과 함께 모임에서 그림, 시, 서예를 결합한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우파 화가들에게 그림은 직업이라기보다는 명상이었다. 심주는 자신의 그림을 탐내지 않았지만, 그의 그림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자주 탐내지고 모방되었다. 심주의 눈으로 볼 때 그림은 상품이 아니라 화가 자신을 보여주는 확장이었다.

그의 그림은 우뚝 솟은 산과 높이 솟은 나무를 묘사하지만, 인간의 작품은 이러한 광대함 속에서 점으로 축소된다. 이는 인간의 요소를 왜소하게 만들면서 자연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1487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우중의 사색''(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은 비가 구성을 지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중요하지 않은 집은 그 위에 우뚝 솟은 산과 흐릿하게 겹쳐져 있다. 그는 인간을 그림의 중심으로 배치하는 화가 오위와 대조되는 경우가 많다.[1]

이 화가는 1848~1903년에 살았던 다른 중국 화가 심주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림은 아버지 심항길(沈恒吉)과 숙부 심정길(沈貞吉)에게 배우고, 이후 아버지의 스승이기도 했던 두굉(杜瓊)에게 사사했다. 그 외에 조동로(趙同魯)와 유려(劉玨)에게도 가르침을 받았다. 먼 오대(五代) 시대의 동원(董源)과 거연(巨然)까지 사사하고, 원말사대가(元末四大家)를 사사했다. 후배인 왕주등(王穉登)은 『오군단청지(呉郡丹青志)』에서 소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들 중에서 심주(沈周)를 가장 높이 평가하여 신품(神品)으로 꼽았다. 서예는 북송(北宋)의 황정견(黄庭堅)을 존숭하고, 시는 진관(陳寛)에게 사사하여 백거이(白居易), 소식(蘇軾), 육유(陸游)를 좋아했다. 그림을 그리면 시를 짓고, 직접 제목을 지었기에 ‘삼절(三絶)’이라고 평가받았다. 제자로는 당인(唐寅)과 축윤명(祝允明)이 있고, 특히 애제자인 문징명(文徴明)이 심주의 뒤를 이어 오파(呉派) 문인화의 발전에 힘썼다. 생전부터 위작이 많아 진품은 거의 없다고 왕세정(王世貞)이 전하고 있다(『예원주언(芸苑巵言)』).

'''주요 작품'''

제목소장처
『양강명승도책』(兩江名勝圖)중국 상하이 박물관
『방황자구산수도』(倣黃子久山水圖)중국 상하이 박물관
『야좌도』(夜坐圖, 1492년작)대만 대북 국립고궁박물관 & 일본 교토 양족원
『여산고도』(廬山高圖, 1467년작)일본 교토 양족원
『책장도』(策杖圖)일본 교토 양족원
『사생책 중의 해하』(寫生冊 中 蠏蝦, 1494년작)일본 교토 양족원
『사생책 중의 옥란』(寫生冊 中 玉蘭, 1494년작)일본 교토 양족원
『산수도권』(山水圖卷)
『추림화구도』(秋林話舊圖)
『창주취도』(滄州趣圖)
『송창고사』(松窗高士)


4. 2. 시와 서예

심주는 역사와 고전에 능통했으며, 그의 그림은 원나라 화풍, 중국 역사, 그리고 그가 효성스러운 삶으로 구현한 정통 유교에 대한 엄격한 순종을 보여준다. 그는 풍경화와 원나라 거장들의 화풍을 정교하게 재현한 '뼈 없는' 꽃 그림으로 가장 유명하다.[1]

심주는 원말 명초의 그림을 많이 소장하고 있었는데, 그와 그의 문인화가 동료들은 이를 우파의 부흥 운동을 위한 모델로 사용했다. 그는 실험적인 요소들을 원나라 거장들의 보다 엄격한 화풍과 자주 결합했다. 그의 작품 상당수는 문인 친구들과 함께 모임에서 그림, 시, 서예를 결합한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바로 이러한 이상을 바탕으로 그의 우파가 설립되었다. 우파 화가들에게 그림은 직업이라기보다는 명상이었다. 심주는 자신의 그림을 탐내지 않았지만, 그의 그림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자주 탐내지고 모방되었다. 심주의 눈으로 볼 때 그림은 상품이 아니라 화가 자신을 보여주는 확장이었다.

그의 그림은 우뚝 솟은 산과 높이 솟은 나무를 묘사하지만, 인간의 작품은 이러한 광대함 속에서 점으로 축소된다. 이는 인간의 요소를 왜소하게 만들면서 자연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1487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우중의 사색''(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은 비가 구성을 지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중요하지 않은 집은 그 위에 우뚝 솟은 산과 흐릿하게 겹쳐져 있다. 그는 인간을 그림의 중심으로 배치하는 화가 오위와 대조되는 경우가 많다.[1]

그림은 아버지 심항길(沈恒吉)과 숙부 심정길(沈貞吉)에게 배우고, 이후 아버지의 스승이기도 했던 두굉(杜瓊)에게 사사했다. 그 외에 조동로(趙同魯)와 유려(劉玨)에게도 가르침을 받았다. 먼 오대(五代) 시대의 동원(董源)과 거연(巨然)까지 사사하고, 원말 사대가(元末四大家)를 사사했다. 후배인 왕주등(王穉登)은 『오군단청지(呉郡丹青志)』에서 소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들 중에서 심주를 가장 높이 평가하여 신품(神品)으로 꼽았다. 서예는 북송(北宋)의 황정견(黄庭堅)을 존숭하고, 시는 진관(陳寛)에게 사사하여 백거이(白居易), 소식(蘇軾), 육유(陸游)를 좋아했다. 그림을 그리면 시를 짓고, 직접 제목을 지었기에 ‘삼절(三絶)’이라고 평가받았다. 제자로는 당인(唐寅)과 축윤명(祝允明)이 있고, 특히 애제자인 문징명(文徴明)이 심주의 뒤를 이어 오파 문인화의 발전에 힘썼다.

또한 산문(散文)에 대해서도 양순길(楊循吉) 등이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시문집으로는 『석전집(石田集)』, 『석전시선(石田詩選)』, 『석전잡기(石田雑記)』 등이 있다.

4. 3. 문집

심주는 시문집으로 石田集|석전집중국어, 石田詩選|석전시선중국어, 石田雑記|석전잡기중국어 등을 남겼다. 양순길(楊循吉) 등은 심주의 산문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그 외 저서로는 客座新聞|객좌신문중국어, 江南春詞|강남춘사중국어 등이 있다.

5. 평가 및 영향

심주는 중국 회화사의 중요한 시기에 활동하며 중국 예술 전통에 큰 영향을 주었고, 소주에서 우파(吳派)를 창시했다. 원나라 시대 화가들은 이전 송나라 화풍과 다르게 개성적이고 혁신적인 예술을 추구했다. 그러나 명나라 초기 홍무제는 궁정 화가들에게 송나라 화풍을 따르도록 강요했는데, 이는 사대부 예술계의 영향력을 억제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명나라 궁정의 지배적인 화풍은 절파(浙派)였다. 영락제 시기 수도가 베이징으로 옮겨지면서 황실의 영향력이 약해졌고, 소주에서는 명나라의 이상을 되살린 우파(吳派)가 부상했다.

심주의 학문적 배경과 예술 훈련은 중국 역사와 전통에 대한 존경심을 심어주었고, 그의 삶과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역사와 고전에 능통했으며, 그의 그림은 원나라 화풍, 중국 역사, 유교에 대한 순종을 보여준다. 그는 풍경화와 원나라 거장들의 화풍을 재현한 '뼈 없는' 꽃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엄격한 경계 내에서만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니었다.

심주는 원말 명초의 그림을 많이 소장했고, 이를 우파 부흥 운동의 모델로 삼았다. 그는 원나라 거장들의 엄격한 화풍에 실험적인 요소를 결합했다. 그의 작품은 문인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그림, 시, 서예를 결합한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우파 화가들에게 그림은 직업이라기보다는 명상이었다. 심주는 자신의 그림을 탐내지 않았지만, 그의 그림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자주 모방되었다. 심주에게 그림은 상품이 아니라 화가 자신을 보여주는 확장이었다.

그의 그림은 우뚝 솟은 산과 나무를 묘사하며, 인간은 광대함 속에서 점으로 축소된다. 이는 자연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위함이었다. 1487년 작품 ''우중의 사색''(국립고궁박물원, 타이베이)은 비가 구성을 지배하고, 집은 산과 흐릿하게 겹쳐져 있다. 그는 인간을 그림의 중심으로 배치하는 오위와 대조된다.[1]
참고: 1848~1903년에 살았던 다른 중국 화가 심주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6. 묘소

쑤저우시 샹청구 양청후진(陽澄湖鎭)에 심주의 묘소가 있다.

참조

[1] 서적 1492 : the year our world began http://archive.org/d[...] London : Bloomsbury 2011
[2] 웹사이트 陽澄湖鎮挙辦“学沈周 伝文化 做雅美少年”活動 http://www.szxc.gov.[...] 相城区人民政府 2018-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